물고기들은 노아 홍수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Kenneth B. Cumming
2004-07-28

물고기들은 노아 홍수시 어떻게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How Could Fish Survive the Genesis Flood)


     노아의 홍수 당시 어떻게 동물들이 노아의 방주에 탔고, 적응했으며, 그곳에서 살아남았는지에 대해서 많은 관심들이 모아지고 있다.그러나 수생동물(aquatic animals)들이 홍수 동안에 어떻게 살아남았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분명히 육상에 살면서 공기로 호흡하는 동물들은 땅을 뒤덮은 대홍수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 그러나 수생동물들은 주변이 온통 물임으로, 집에 있는 것처럼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그렇지만은 않다.


수중 생물체들은 육상생물체들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생리학적, 생태학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2대격변적 홍수인 경우, 어류의 많은 종들이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엄청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실제로 지질 퇴적층에서 나타나 있는 어류 화석들의 기록은 많은 종들의 멸종을 보여주고 있다.몇몇 생물체들은 거친 물결에 의한 외상으로도 매우 쉽게 죽기도 한다. 다른 몇몇은 살기에 적절한 서식장소들의  파괴로 인해 죽기도 한다. 예를 들어, 너무 많은 담수(fresh water)는 적응을 불가능하게 하여 바다 물고기 종들을 죽음으로 내몰 것이고, 그 반대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염분 농도에 국한된 문제만이 아니라, 수온, 빛, 산소, 미생물, 그리고 영양 상태와도 관련이 있다. 이것들은 수생생물들의 생존을 논의하는데 있어, 반드시 모두 다 평가되어야 한다.


논의를 간단히 하기 위해, 담수물고기, 바닷물고기, 그리고 두 서식지 모두에서 살 수 있는 물고기 중에서 다섯 종류의 물고기 (개복치(sunfish), 메기(catfish), 송어(trout), 뱀장어(eel), 대구(codfish))가 선택되었다. 선택된 물고기들은  맑은 담수, 탁한 담수, 강을 거슬러 올라가고 (산란을 위해 바다에서 강으로 질주해가는), 바다로 내려가고(반대로), 절대적으로 바닷물에서만 사는 것들이다. 이 범주들은 그들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의 주된 요소인 염분(salinity), 수온(temperature), 혼탁도(turbidity)에 관한 참고자료들과 함께 논의될 것이다.


생리학적 범위

염분

물고기는 그들의 신체 내부액체와 외부액체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데 있어서, 하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담수물고기(freshwater fishes)들은 음식, 마시는 물, 조직에서 전이된 것으로부터 매우 많은 양의 담수를 얻고 있다. 반면에, 바닷물고기(marine fishes)들은 체액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매우 적은 양의 담수를 얻고 있다. 마시는 물에 포함된 많은 양의 소금과 일정한 삼투압은 조직 부위를 둘러싸고 있는 바다에서 담수를 끌어당긴다. 4

신장과 아가미가 이 균형을 관리하는 두 기관들이다. 만약 담수물고기가 너무 많은 물을 얻는다면, 신장은 순환하는 소금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많은 양의 물을 내보낸다. 바다의 경골어류(bony fish)들은 과다한 소금을 아가미를 통해 내보내고, 내부의 물을 재흡수하여 보존한다.

바다 송어(sea-run trout)는 산란을 위해 바다에서 담수로 이동하고, 뱀장어(eels)는 담수에서 바다로 이동한다. 둘 다 그들의 환경에 있는 소금의 양에 따라 물과 소금의 조절을 반대로 할 수 있다. 개복치와 대구는 각각 그들의 생활 주기 동안 담수와 바다에 남아 있는다. 소금의 양은 담수의 0 에서부터 바닷물의 35 ppt (35,000 ppm, 또는 35,000 mg/l)까지 분포할 것이다. 절대적 담수어(obligate freshwater fish)는 일반적으로 7 ppt (7,000 mg/l) 보다 더 높은 염분 농도에서는 치사되어진다. 절대적 바닷물고기 종은 매우 적은 범위의 염분 내성 한계치를 지닌다.강과 바다를 오고가는 종들은 삼투압을 조절함으로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다.


수온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수온의 범위는 어종과 서식지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한다. 몇몇 물고기는 온도 변화에 대해 매우 민감하여, 차가운 물, 따뜻한 물, 뜨거운 물에서만 산다. 다른 몇몇 종들은 얼음물에서부터 뜨거운 물(0~32℃)까지 넓은 범위의 수온에서 생존이 가능하다. 성장 단계에 있는 어린 물고기들은 자주, 성어의 생존 수온 범위 내에서 폭이 좁은 수온 범위가 요구된다. 

한류어종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어종들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간을 장기적으로 가진다면 최소한 2~24℃의 수온에서 생존할 수 있다. 조사대상이 된 성어들이 선호하는 수온은 다음과 같다. 송어 16~21℃. 개복치 16~28℃, 메기 21~29℃, 뱀장어 16~28℃ 정도, 대구 12~16℃ 이다.6, 7


혼탁도

자연 상태의 물 속에서 부유하는 미립자들은 광전자적으로 혼탁도가 측정된다. 부유 미립자들은 침식된 토사, 유기 입자, 박테리아, 플랑크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바다속 기질(substrate)들을 덮음으로 먹이감들을 죽이고, 산란 장소를 파괴하여, 물고기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토사는 아가미와 무척추동물의 호흡 기관을 마모시켜 손상을 일으킨다. 물고기들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점액(mucus)을 분비하여 입자들을 밖으로 내보낸다. 탁한 물은 간접적으로 빛의 투과를 막아 광합성이 가능한 지역을 감소시킨다. 혼탁도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깨끗함;<10ppm (mg/l),  탁함;10-250 ppm,  매우 탁함;>250 ppm. 월렌(Wallen)은8 많은 어종들이 100,000 ppm 정도의 매우 탁한 물에서도 한 주 이상은 살아남을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생존 작전


바다 위를 흐르는 빗물 (runoff)

지표를 뒤덮는 폭우는 금새 급류가 되어 하천 유역을 범람한다. 그 다음 잠식된 해안선은 담수로 뒤덮일 것이다. 오듐(Odum)은이와 비슷한 상황을 '많은 층을 이룬(highly stratified)', 혹은 '염분이 분리된(salt-wedge)” 강어귀(estuary) 라고 불렀다. 대륙으로부터의 그런 엄청난 담수의 유출은 바다에 내린 강우와 합해져 염분 약층(halocline), 또는 강한 염분 농도차(density gradient)를 이룬다. 이것은 육지의 담수 생태계에서 떠밀려 나온 어류들이 계속해서 담수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게 한다. 만약 담수의 깊이가 깊어 내부의 혼합 흐름을 막기에 충분하다면, 이와 같은 담수층은 강한 바람에도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은 담수물고기와 바닷물고기가 대홍수로 일시적으로 옮겨진 상태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상황을 그려볼 수 있게 한다.


혼탁류의 흐름

한편, 침전되는 입자 강우와 바닥에 깔리는 슬러리(slurries)로서, 혼탁류의 큰 입자들과 거대한 밑짐(bedloads)은 대양 안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더 무거운 입자들은 천천히 움직이는 해안가 물 속에 가라앉았을 것이고, 진흙 흐름은 대양 바닥 위에 퇴적되었을 것이다. 담수층과 염수층의 경계가 불안정해질 수도 있지만, 입자들의 삽입은 아마도 적절한 혼합없이도 일어났을 것이다. 주어진 내성 범위 내에서, 많은 물고기들은 높은 혼탁도의 노출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이다.


세인트 헬렌산에서의 뜻밖의 발견

1980년 5월 18일 세인트 헬렌산의 화산 폭발은 생태계의 회복이 빠르고 광범위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명, 노아의 홍수는 화산 폭발보다도 훨씬 더 큰 한번의, 또는 몇 번의 격변이었지만, 그 사건은 생태계가 회복되는 방법을 알게 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있다. 관심이 있는 세 가지 요인(염분 등의 용질이 용해된 의미에서의 알칼리도, 온도, 혼탁도)에 대해서, 중요한 변화가 그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었다.9, 10

                                       세인트 헬렌산 스프릿 호수 (Spirit Lake)
              1980. 4. 4              1980. 6. 30
   알칼리도 (Alkalinity, mg/l)                0.01                 150.5
   수온 (Temperature, °C)                4.0                   22.4
   혼탁도 (Turbidity, mg/l)                0.75                   24.61


엄청난 격변적 사건에 노출됐던 스피릿(Spirit)호수는, 분출 후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알칼리도와, 상온과 같은 수온, 낮은 혼탁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폭발로 인해 호수에 살던 모든 고유 어종들이 죽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마도, 나무 조각들의 부패와 메탄, 이산화황의 확산으로 많은 양의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1980년 6월 30일 경에 물고기들을 다시 기른다 해도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것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10년 안에 그 호수는 물고기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회복되었고, 많은 수중 생물들이 돌아 왔고, 확립되었다. 만약 호수가 터틀(Toutle)강에 직접 연결되었다면, 연어들도 지금쯤 호수에 다시 살게 되었을 것이다. 


예전의 화산 폭발 기록을 검사하는 것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관찰은 아마도 폭발 부근의 다양한 지역 중에서 생태계에 가장 적은 피해를 입은 장소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폭발 지역 내에 있었던 메타 호수(Meta Lake)를 예로 들면, 폭발 당시 호수는 얼음으로 덮여 있었는데, 이 덕분에 겨울 동안 잠들어 있던 생태계가 열기와 산소부족, 화산재로 인해 파괴되지 않았다. 물고기가 완전히 사라졌던 그 장소에서, 물고기와 그 생태계는 겨울이 시작되기 전에 회복되었다. 수생생물학자인 머디 크릭(Muddy Creek)은  많은 양의 진흙과 파편들이 밀려들어왔던, 스위프트(Swift) 저수지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우를 관찰했다. 물고기들은 부근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강 연안이나, 더 낮은 하류의 저수지로 옮겨갔다. 그러나 2년 만에 많은 플랑크톤이 서식하게 되었고, 생태계는 새로운 이주자들과 함께 잘 회복되었다.


그러한 제한된 영역(평방 500마일)의 격변은 가령 홍수와 같은 거대한 격변에 대한 하나의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 그러한 사건들의 거대한 규모에도 불구하고, 가장 손상을 입기 쉬운 것에까지도 살아남기 위한 피난처가 존재한다. 둘째, 원 상태로의 회복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일어나는데, 한 달에서 10년이면 충분하다. 셋째, 최소의 피해를 입은 지역으로부터 생물들의 이주는 생물체들의 정상적인 이주 행동과 함께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록 몇몇 동식물의 개체 수나 종들은 그러한 사건으로 멸절될 수 있다 하더라도, 살아남은 개체들은 새롭게 번성하여 회복될 수 있다.

  


References

 1. John C. Whitcomb and Henry M. Morris, The Genesis Flood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1961), pp. 63-79.

2. M. M. Ellis, 'Detection and Measurement of Stream Pollution' in Lowell E. Keup, William M. Ingram, and Kenneth M. Mackenthun, Biology of Water Pollution (U.S. Dept. of Interior, Federal Water Pollution Control Administration, 1967), pp. 129-185.

3. John C. Briggs, 'A Cretaceous-Tertiary Mass Extinction?' BioScience 41 (1991), pp. 619-624.

4. Ernst Florey, An Introduction to General and Comparative Animal Physiology (Philadelphia, W. B. Saunders Co., 1966), pp. 97-110.

5. Eugene P. Odum, Fundamentals of Ecology (Philadelphia, W. B. Saunders Co., 1971), pp. 328,354.

6. Alex Calhoun, Inland Fisheries Management (State of California , The Resource Agency, Department of Fish and Game, 1966), pp. 194, 375, 448.

7. William A. Anikouchine and R. W. Sternberg, The World Ocean: An Introduction to Oceanograph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Inc., 1973), pp. 215, 223.

8. I. E. Wallen, 'The Direct Effect of Turbidity on Fishes,' Oklahoma Agric. and Mech. College Bulletin 48 (1951), pp. 18-24.

9. Robert C. Wissmar, Allan H. Devol, Ahmad E. Nevissi, James R. Sedell, 'Chemical Changes of Lakes Within the Mount St. Helens Blast Zone,' Science 216 (1982), pp. 175-178.

10. Robert C. Wissmar, Allan H. Devol, James T. Staley, and James R. Sedell, 'Biological Responses of Lakes in the Mount St. Helens Blast Zone,' Science 216 (1981), pp. 178-181.


* Dr. Kenneth Cumming is Professor of Biology and Dean at the ICR Graduate School.



*참조  : 노아 홍수 때 민물고기들을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571

홍수 동안에 민물고기와 바닷물고기는 어떻게 살았을까요?
http://www.hisark.com/홍수-동안에-민물고기와-바닷물고기는-어떻게

노아 홍수시 민물고기는 어떻게 바닷물 속에서 살아남았습니까?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720

노아의 방주에 관한 24개의 질문과 답 (FAQ)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721



번역 - 한동대 창조과학연구소

링크 - http://www.icr.org/pubs/imp/imp-222.htm

출처 - ICR, Impact No. 222, December 1991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121

참고 : 4573|4198|4275|4235|4473|4490|4607|4610|6104|6049|6030|6006|4195|2141|6076|5973|5957|5958|5955|5951|5841|5834|5737|5721|5717|5675|5556|5517|5468|5429|5419|5400|5399|5286|5307|5264|5260|5185|4786|4722|4471|4468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