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알파벳
(The world’s oldest alphabet)
by James R. Hughes
믿고 있는 것과 달리, 증거들은 페니키아인이 아니라, 히브리인에 의해 개발되었을 수 있음을 가리킨다.
노아 홍수 이전의 족장시대 사람들이 글을 쓰는 방법을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선 확신할 수 없다. 그러나 홍수 직후에 많은 문자 체계가 나타났다. 홍수 이후의 최초의 기록 체계는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개별 상징들(예: 이집트 상형문자)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수천 개의 단어에 대한 상징들을 모두 배우는 것은 쓰고 읽는 기술을 습득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와 대조적으로 알파벳 체계는 보다 배우기 쉽다. 알파벳은 일련의 기호(symbols)을 사용하여, 구어(spoken language)의 기본적인 의미 소리를 기록한다. 알파벳을 사용한다면, 기록을 위해 몇 개의 기호들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에는 26개의 기호(철자)들이 있다.
그림 1. 알파벳 문자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이집트 상형문자의 예시
최초의 알파벳은 페니키아어였는가?
글을 기록하기 위해 알파벳을 사용하는 개념은 시리아에서 페니키아인(Phoenicians)에 의해 개발되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편집자들은 최초의 알파벳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북셈어(North Semitic) 알파벳, 가장 초기에 완전히 개발된 알파벳 체계로... BC 11세기에 시리아에서 사용되었으며, 아마도 남셈어(South Semitic, 예로 고대 에티오피아어(Ethiopic), 시바어(Sabaean))로 분류된 문자들을 제외하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모든 알파벳 문자의 조상일 것이다.”[1]
페니키아 알파벳은 북셈어 알파벳에서 발달되었으며, BC 1050년에서 150년 사이에 널리 사용되었다고 믿어지고 있다. 또한 초기 고히브리어(Paleo-Hebrew)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의 지역적 변형이라고 믿어지고 있다. 고히브리어 알파벳은 바벨론 포로 기간 중 아람어 알파벳이 채택되기 전 유다왕조(남유다왕국) 시대에 사용된 문자이다. 아람어(Aramaic) 알파벳은 오늘날 히브리어와 유사한 문자를 사용했다.
대안적 가설 — 히브리인에 의해서 개발한 최초의 알파벳
토론토 대학에서 시로-팔레스타인 고고학(Syro-Palestinian archaeology)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온타리오의 윌프리드 로리어 대학(Ontario’s Wilfrid Laurier University)에서 고대 이집트를 가르쳤던, 더글라스 페트로비치(Douglas Petrovich)는 최초의 알파벳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 그의 책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알파벳(The World’s Oldest Alphabet)에서[2] 그는 히브리어가 언어의 자음만(only consonants)을 나타내는 문자를 사용한 최초의 언어라고 주장한다. 자음만 나타내는 알파벳은 ‘아브자드(Abjad)’라 불려진다. 자음 알파벳에는 모음 소리에 대한 기호가 없다. 모음 소리는 암묵적으로 남아 있으며, 글을 읽을 때 자음 사이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자음 CT는 문맥에 따라 '잘라내기(cut)'또는 '고양이(cat)'로 읽혀질 수 있다.
그림 2. 히브리어 철자를 나타내는 상형문자 기호
페트로비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재까지 고대 근동과 관련된 비문 연구(epigraphical studies)에서 가장 큰 미해결 영역 중 하나는, 이집트, 시나이, 레반트의 다양한 비문들에서 상형문자와 원시자음(proto-consonantal) 문자로 된 언어를 식별하는 것이었다.”[pp. 6–7] 그의 주장은 히브리어가 일반적으로 믿어졌던 페니키아어(또는 다른 언어)에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원시자음 문자로 표현된 언어라는 것이다.
페트로비치는 단순화된 중이집트(Middle-Egyptian) 상형문자가 포함된 16개의 비문들을 조사했다. 비문은 기둥, 바위 표면, 바위 조각, 도자기 조각, 조각품 등에 새겨져 있던 것들이었다. 이것들은 시나이 반도 남부와 나일강에 인접한 두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남부 지역은 현재 카이로 남쪽의 라훈(Lahun), 남쪽의 엘 카르나크(El Karnak)와 테베스(Thebes) 근처의 와디 엘홀(Wadi el-Hol)이다. 이 비문들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Egyptian Middle Kingdom)와 신왕국(New Kingdom)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왕국 시대는 전통적으로 BC 2055~1650년, 신왕국 시대는 BC 1550~10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각 기호는 히브리어 이름이 주어졌고, 이름의 첫 글자는 그림 1과 같이 알파벳 자음 문자와 관련된 소리였다는 것이다.
페트로비치는 자신이 조사한 비문이 히브리어의 필사본이라고 가정하기 시작했다. 그런 다음 상형문자 기호를 히브리어 문자나 소리로 대치했다. 그는 16개의 비문에 대한 번역을 보여주었다.
그림 2의 비문이 기초하고 있는 유물은 BC 1834년경 이집트 제12 왕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존 애쉬톤(John Ashton)과 데이비드 다운(David Down)은 이 표준 이집트 연대기를 수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3] 제12 왕조에 대한 수정된 이집트 연대기를 사용하면, 유물은 BC 1704~1572년경이 된다. 이것은 요셉이 이집트의 총리였을 때, 이 비문이 작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히브리인들이 그들의 역사(즉, 창세기에 기록된 것)를 더 쉽게 기록하고 자녀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요셉에 의해 히브리어 알파벳 문자가 개발되었다는, 일부 학자들이 제시한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각 비문들에 의한 번역에서, 페트로비치는 상형문자 기호를 히브리어 자음으로 대치한 결과를 기반으로, 뜻을 갖는 문장을 형성하는 단어들 안에 자음 열들을 나누었다. 예를 들어, 그림 2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히브리어 자음(רביונמנהנגמהאפמחר)은 모음 없이 6개의 히브리어 단어(רב יונ מנ הנג מהאפ מחר)를 가리키는 것으로 나뉠 수 있다. 페트로비치가 제공한 필사본에는 모음(자음 위와 아래에 분음 부호)이 삽입되어 있다. 그가 확인한 각 히브리어 단어에 대해, 그는 성경의 히브리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동일한(또는 밀접하게 관련된) 단어들이 있는 대표적인 구약 구절들을 포함시켰다.
그림 3.
또 다른 비문(그림 3)은 출애굽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전통적인 표준 이집트 연대기로) BC 1446년경인 이집트 제18왕조의 비문으로, 이 비문에는 모세의 이름이 등장하기에 매우 흥미롭다.
중요한 결론들
상형문자를 히브리어 자음으로 대치하고, 히브리어를 기반으로 상형문자가 갖는 의미를 보여주는 페트로비치의 접근 방식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그가 옳다면, 그의 발견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
▶ 창세기 45장부터 출애굽기 12장까지 이집트에 히브리인이 있었다. 비문은 성경 밖에서 성경의 기록이 역사적으로 정확하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 히브리인들은 시나이 반도의 채석장과 광산, 이집트 남부의 건설 현장에서 일했다. 이것은 노예 생활의 속박에 대한 성경적 기록을 입증해준다. 이러한 수준의 역사적 정확성은, 일부 학자들이 말하듯이 사건이 발생한지 천 년이 지난 후에 그 기록이 작성되었다는 주장이 사실일 수 없음을 의미한다.
▶ 히브리인들은 문자를 갖고 있었고, 일꾼(예로 석공, 도공)과 장인들도 문자를 쓸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모세가 모세오경의 저자이고, 그가 이집트에서 탈출한 것에 대한 목격자로서 성경의 기록을 썼다는 성경 전체의 진술을 믿을 수 있다.
▶ 히브리인들은 페니키아인 이전에 진짜 알파벳을 사용했다. 페니키아인들은 히브리어 알파벳을 채택했다. 페니키아 알파벳의 이후 버전은 여호수아의 정복 이후 레반트 지역 전체로 퍼져나갔다. 이것 이후에 각색된 알파벳이 가나안으로부터 중동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예로 아람어). 그런 다음 페니키아 상인들이 지중해를 통해 세계로 여행하면서 알파벳이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그리스어 알파벳과 라틴어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언약의 백성은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이자, 모든 민족에게 하나님의 진리를 쉽게 전파하는데 필수적인 도구가 된 알파벳을 발명했던 것이다.
References and notes
1. britannica.com/topic/North-Semitic-alphabet.
2. Petrovich, D., The World’s Oldest Alphabet—Hebrew as the Language of the Proto-Consonantal Script, Carata, Jerusalem, 2016.
3. Ashton, J. and Down, D., Unwrapping the Pharaohs, Master Books, pp. 78–86, 2006. R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참조 : 언어의 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2&bmode=view
가장 오래된 히브리 문자가 해독됐다 :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에 대한 또 하나의 증거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82&bmode=view
노아와 사람의 어원 : Manu, Man, Maru, Mano, Anu, Marine...단어들의 기원과 대홍수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3&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기록들은 얼마나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가?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43&bmode=view
바벨탑 : 전설인가, 역사인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18&bmode=view
언어의 혼잡에 관한 전 세계의 전설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3&bmode=view
인도의 가장 오래된 언어는 단지 4500년 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7&bmode=view
언어, 창조, 그리고 속사람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6&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가나안의 하솔 - 성경이 옳았다! : 성경에 보존된 고대 도시의 흔치않은 지식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048467&bmode=view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사울 왕의 아들 ‘에스바알(이스보셋)’의 이름이 새겨진 3,000년 전 도자기가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4&bmode=view
여호수아의 아이 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 : 또 다시 확인된 성경 기록의 정확성.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2&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성경 속 이름의 인장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 느헤미야에 기록된 데마의 인장은 성경의 고고학적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0&bmode=view
고고학은 성경을 지지하는가? 1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7&bmode=view
출애굽의 역사성을 확증하고 있는 영화, “출애굽의 증거들”이 개봉되었다.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0&bmode=view
“증거의 패턴: 홍해의 기적” - 성경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영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3156850&bmode=view
시내산의 위치에 관해 논란이 되고 있는 고고학적 장소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공개한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2574870&bmode=view
성경이 진실이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66&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여리고의 성벽 : 고고학적 확인에 의하면 여리고성의 벽은 정말로 무너져 내렸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3&bmode=view
여호수아의 파괴 이후의 여리고 성 : 성경과 고고학의 일치.
http://creation.kr/archaeology/?idx=3837349&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사울 왕의 아들 ‘에스바알(이스보셋)’의 이름이 새겨진 3,000년 전 도자기가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4&bmode=view
이사야 선지자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 히스기야 왕의 인장에 이은 놀라운 발견!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7&bmode=view
왕비 이세벨의 고대 인장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7&bmode=view
이집트 왕 시삭에 대한 어떤 증거가 발견된 적이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0&bmode=view
예언자 발람의 존재를 증명할 어떤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2&bmode=view
스바 여왕 : 솔로몬은 이집트 파라오의 방문을 받았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5&bmode=view
솔로몬 왕이 건설했을 가능성이 있는 성벽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5&bmode=view
솔로몬 왕의 구리광산에 대한 증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70&bmode=view
모세를 찾아서 1, 2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1&bmode=view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2&bmode=view
중국 삼성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제1성전 시대의 저수조가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76&bmode=view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3&bmode=view
성경 밖의 기록에서 성경 사건들에 대한 어떤 확증이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4&bmode=view
아담과 하와를 타락시켰던 악마의 전략 : 사탄은 하나님의 말씀을 변조하고 의심하게 한다.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70&bmode=view
모세는 창세기를 정말로 썼는가? : 성경을 훼손하고 있는 사기적인 문서가설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30&bmode=view
성경은 누가 썼는가? : 사해사본과 엔게디의 불에 탄 성경이 말하고 있는 것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4&bmode=view
당신이 무시할 수 있는 다른 교리는 무엇인가?
http://creation.kr/Faith/?idx=1293779&bmode=view
진화론이 만연한 이 시대에도 필요한 외침, ‘오직 성경’
http://creation.kr/Faith/?idx=1293853&bmode=view
성경을 죽기까지 사랑하기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297&bmode=view
성경이 진실이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66&bmode=view
창세기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60&bmode=view
창세기 1장은 바벨론의 신화를 재편집했는가?
http://creation.kr/Genesis/?idx=3863816&bmode=view
창세기 1장과 2장은 창조 순서에 모순이 있는가?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66&bmode=view
두 개의 창조신화?
http://creation.kr/Genesis/?idx=1289117&bmode=view
▶ 정확무오한 하나님 말씀인 성경
http://creation.kr/Series/?idx=1842641&bmode=view
출처 : CMI, 2020. 6. 4. (GMT+10)
주소 : https://creation.com/oldest-alphabet
번역 : 조항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알파벳
(The world’s oldest alphabet)
by James R. Hughes
믿고 있는 것과 달리, 증거들은 페니키아인이 아니라, 히브리인에 의해 개발되었을 수 있음을 가리킨다.
노아 홍수 이전의 족장시대 사람들이 글을 쓰는 방법을 알고 있었는지에 대해선 확신할 수 없다. 그러나 홍수 직후에 많은 문자 체계가 나타났다. 홍수 이후의 최초의 기록 체계는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개별 상징들(예: 이집트 상형문자)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수천 개의 단어에 대한 상징들을 모두 배우는 것은 쓰고 읽는 기술을 습득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와 대조적으로 알파벳 체계는 보다 배우기 쉽다. 알파벳은 일련의 기호(symbols)을 사용하여, 구어(spoken language)의 기본적인 의미 소리를 기록한다. 알파벳을 사용한다면, 기록을 위해 몇 개의 기호들만 필요하다. 예를 들어, 영어 알파벳에는 26개의 기호(철자)들이 있다.
그림 1. 알파벳 문자를 나타내는데 사용된 이집트 상형문자의 예시
최초의 알파벳은 페니키아어였는가?
글을 기록하기 위해 알파벳을 사용하는 개념은 시리아에서 페니키아인(Phoenicians)에 의해 개발되었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편집자들은 최초의 알파벳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북셈어(North Semitic) 알파벳, 가장 초기에 완전히 개발된 알파벳 체계로... BC 11세기에 시리아에서 사용되었으며, 아마도 남셈어(South Semitic, 예로 고대 에티오피아어(Ethiopic), 시바어(Sabaean))로 분류된 문자들을 제외하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모든 알파벳 문자의 조상일 것이다.”[1]
페니키아 알파벳은 북셈어 알파벳에서 발달되었으며, BC 1050년에서 150년 사이에 널리 사용되었다고 믿어지고 있다. 또한 초기 고히브리어(Paleo-Hebrew)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의 지역적 변형이라고 믿어지고 있다. 고히브리어 알파벳은 바벨론 포로 기간 중 아람어 알파벳이 채택되기 전 유다왕조(남유다왕국) 시대에 사용된 문자이다. 아람어(Aramaic) 알파벳은 오늘날 히브리어와 유사한 문자를 사용했다.
대안적 가설 — 히브리인에 의해서 개발한 최초의 알파벳
토론토 대학에서 시로-팔레스타인 고고학(Syro-Palestinian archaeology)으로 박사 학위를 받고, 온타리오의 윌프리드 로리어 대학(Ontario’s Wilfrid Laurier University)에서 고대 이집트를 가르쳤던, 더글라스 페트로비치(Douglas Petrovich)는 최초의 알파벳에 관한 책을 출판했다. 그의 책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알파벳(The World’s Oldest Alphabet)에서[2] 그는 히브리어가 언어의 자음만(only consonants)을 나타내는 문자를 사용한 최초의 언어라고 주장한다. 자음만 나타내는 알파벳은 ‘아브자드(Abjad)’라 불려진다. 자음 알파벳에는 모음 소리에 대한 기호가 없다. 모음 소리는 암묵적으로 남아 있으며, 글을 읽을 때 자음 사이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자음 CT는 문맥에 따라 '잘라내기(cut)'또는 '고양이(cat)'로 읽혀질 수 있다.
그림 2. 히브리어 철자를 나타내는 상형문자 기호
페트로비치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재까지 고대 근동과 관련된 비문 연구(epigraphical studies)에서 가장 큰 미해결 영역 중 하나는, 이집트, 시나이, 레반트의 다양한 비문들에서 상형문자와 원시자음(proto-consonantal) 문자로 된 언어를 식별하는 것이었다.”[pp. 6–7] 그의 주장은 히브리어가 일반적으로 믿어졌던 페니키아어(또는 다른 언어)에서 발전한 것이 아니라, 원래부터 원시자음 문자로 표현된 언어라는 것이다.
페트로비치는 단순화된 중이집트(Middle-Egyptian) 상형문자가 포함된 16개의 비문들을 조사했다. 비문은 기둥, 바위 표면, 바위 조각, 도자기 조각, 조각품 등에 새겨져 있던 것들이었다. 이것들은 시나이 반도 남부와 나일강에 인접한 두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남부 지역은 현재 카이로 남쪽의 라훈(Lahun), 남쪽의 엘 카르나크(El Karnak)와 테베스(Thebes) 근처의 와디 엘홀(Wadi el-Hol)이다. 이 비문들은 이집트 중왕국 시대(Egyptian Middle Kingdom)와 신왕국(New Kingdom)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왕국 시대는 전통적으로 BC 2055~1650년, 신왕국 시대는 BC 1550~106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각 기호는 히브리어 이름이 주어졌고, 이름의 첫 글자는 그림 1과 같이 알파벳 자음 문자와 관련된 소리였다는 것이다.
페트로비치는 자신이 조사한 비문이 히브리어의 필사본이라고 가정하기 시작했다. 그런 다음 상형문자 기호를 히브리어 문자나 소리로 대치했다. 그는 16개의 비문에 대한 번역을 보여주었다.
그림 2의 비문이 기초하고 있는 유물은 BC 1834년경 이집트 제12 왕조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존 애쉬톤(John Ashton)과 데이비드 다운(David Down)은 이 표준 이집트 연대기를 수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3] 제12 왕조에 대한 수정된 이집트 연대기를 사용하면, 유물은 BC 1704~1572년경이 된다. 이것은 요셉이 이집트의 총리였을 때, 이 비문이 작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히브리인들이 그들의 역사(즉, 창세기에 기록된 것)를 더 쉽게 기록하고 자녀들에게 가르칠 수 있도록, 요셉에 의해 히브리어 알파벳 문자가 개발되었다는, 일부 학자들이 제시한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이다.
각 비문들에 의한 번역에서, 페트로비치는 상형문자 기호를 히브리어 자음으로 대치한 결과를 기반으로, 뜻을 갖는 문장을 형성하는 단어들 안에 자음 열들을 나누었다. 예를 들어, 그림 2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 히브리어 자음(רביונמנהנגמהאפמחר)은 모음 없이 6개의 히브리어 단어(רב יונ מנ הנג מהאפ מחר)를 가리키는 것으로 나뉠 수 있다. 페트로비치가 제공한 필사본에는 모음(자음 위와 아래에 분음 부호)이 삽입되어 있다. 그가 확인한 각 히브리어 단어에 대해, 그는 성경의 히브리어 텍스트에 나타나는 동일한(또는 밀접하게 관련된) 단어들이 있는 대표적인 구약 구절들을 포함시켰다.
그림 3.
또 다른 비문(그림 3)은 출애굽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전통적인 표준 이집트 연대기로) BC 1446년경인 이집트 제18왕조의 비문으로, 이 비문에는 모세의 이름이 등장하기에 매우 흥미롭다.
중요한 결론들
상형문자를 히브리어 자음으로 대치하고, 히브리어를 기반으로 상형문자가 갖는 의미를 보여주는 페트로비치의 접근 방식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약 그가 옳다면, 그의 발견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
▶ 창세기 45장부터 출애굽기 12장까지 이집트에 히브리인이 있었다. 비문은 성경 밖에서 성경의 기록이 역사적으로 정확하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 히브리인들은 시나이 반도의 채석장과 광산, 이집트 남부의 건설 현장에서 일했다. 이것은 노예 생활의 속박에 대한 성경적 기록을 입증해준다. 이러한 수준의 역사적 정확성은, 일부 학자들이 말하듯이 사건이 발생한지 천 년이 지난 후에 그 기록이 작성되었다는 주장이 사실일 수 없음을 의미한다.
▶ 히브리인들은 문자를 갖고 있었고, 일꾼(예로 석공, 도공)과 장인들도 문자를 쓸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모세가 모세오경의 저자이고, 그가 이집트에서 탈출한 것에 대한 목격자로서 성경의 기록을 썼다는 성경 전체의 진술을 믿을 수 있다.
▶ 히브리인들은 페니키아인 이전에 진짜 알파벳을 사용했다. 페니키아인들은 히브리어 알파벳을 채택했다. 페니키아 알파벳의 이후 버전은 여호수아의 정복 이후 레반트 지역 전체로 퍼져나갔다. 이것 이후에 각색된 알파벳이 가나안으로부터 중동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예로 아람어). 그런 다음 페니키아 상인들이 지중해를 통해 세계로 여행하면서 알파벳이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그리스어 알파벳과 라틴어 알파벳은 페니키아 알파벳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
▶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언약의 백성은 역사상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이자, 모든 민족에게 하나님의 진리를 쉽게 전파하는데 필수적인 도구가 된 알파벳을 발명했던 것이다.
References and notes
1. britannica.com/topic/North-Semitic-alphabet.
2. Petrovich, D., The World’s Oldest Alphabet—Hebrew as the Language of the Proto-Consonantal Script, Carata, Jerusalem, 2016.
3. Ashton, J. and Down, D., Unwrapping the Pharaohs, Master Books, pp. 78–86, 2006. R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참조 : 언어의 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2&bmode=view
가장 오래된 히브리 문자가 해독됐다 :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에 대한 또 하나의 증거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82&bmode=view
노아와 사람의 어원 : Manu, Man, Maru, Mano, Anu, Marine...단어들의 기원과 대홍수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3&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기록들은 얼마나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가?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43&bmode=view
바벨탑 : 전설인가, 역사인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18&bmode=view
언어의 혼잡에 관한 전 세계의 전설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3&bmode=view
인도의 가장 오래된 언어는 단지 4500년 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7&bmode=view
언어, 창조, 그리고 속사람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6&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가나안의 하솔 - 성경이 옳았다! : 성경에 보존된 고대 도시의 흔치않은 지식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048467&bmode=view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사울 왕의 아들 ‘에스바알(이스보셋)’의 이름이 새겨진 3,000년 전 도자기가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4&bmode=view
여호수아의 아이 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 : 또 다시 확인된 성경 기록의 정확성.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2&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성경 속 이름의 인장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 느헤미야에 기록된 데마의 인장은 성경의 고고학적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0&bmode=view
고고학은 성경을 지지하는가? 1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7&bmode=view
출애굽의 역사성을 확증하고 있는 영화, “출애굽의 증거들”이 개봉되었다.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0&bmode=view
“증거의 패턴: 홍해의 기적” - 성경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영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3156850&bmode=view
시내산의 위치에 관해 논란이 되고 있는 고고학적 장소를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공개한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2574870&bmode=view
성경이 진실이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66&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여리고의 성벽 : 고고학적 확인에 의하면 여리고성의 벽은 정말로 무너져 내렸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3&bmode=view
여호수아의 파괴 이후의 여리고 성 : 성경과 고고학의 일치.
http://creation.kr/archaeology/?idx=3837349&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사울 왕의 아들 ‘에스바알(이스보셋)’의 이름이 새겨진 3,000년 전 도자기가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4&bmode=view
이사야 선지자의 인장이 발견되었다 : 히스기야 왕의 인장에 이은 놀라운 발견!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7&bmode=view
왕비 이세벨의 고대 인장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7&bmode=view
이집트 왕 시삭에 대한 어떤 증거가 발견된 적이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0&bmode=view
예언자 발람의 존재를 증명할 어떤 고고학적 증거가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2&bmode=view
스바 여왕 : 솔로몬은 이집트 파라오의 방문을 받았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5&bmode=view
솔로몬 왕이 건설했을 가능성이 있는 성벽이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5&bmode=view
솔로몬 왕의 구리광산에 대한 증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70&bmode=view
모세를 찾아서 1, 2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1&bmode=view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12&bmode=view
중국 삼성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제1성전 시대의 저수조가 예루살렘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76&bmode=view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3&bmode=view
성경 밖의 기록에서 성경 사건들에 대한 어떤 확증이 있는가?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54&bmode=view
아담과 하와를 타락시켰던 악마의 전략 : 사탄은 하나님의 말씀을 변조하고 의심하게 한다.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70&bmode=view
모세는 창세기를 정말로 썼는가? : 성경을 훼손하고 있는 사기적인 문서가설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30&bmode=view
성경은 누가 썼는가? : 사해사본과 엔게디의 불에 탄 성경이 말하고 있는 것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4&bmode=view
당신이 무시할 수 있는 다른 교리는 무엇인가?
http://creation.kr/Faith/?idx=1293779&bmode=view
진화론이 만연한 이 시대에도 필요한 외침, ‘오직 성경’
http://creation.kr/Faith/?idx=1293853&bmode=view
성경을 죽기까지 사랑하기
http://creation.kr/Worldview/?idx=1876297&bmode=view
성경이 진실이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http://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66&bmode=view
창세기를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60&bmode=view
창세기 1장은 바벨론의 신화를 재편집했는가?
http://creation.kr/Genesis/?idx=3863816&bmode=view
창세기 1장과 2장은 창조 순서에 모순이 있는가?
http://creation.kr/Genesis/?idx=1289066&bmode=view
두 개의 창조신화?
http://creation.kr/Genesis/?idx=1289117&bmode=view
▶ 정확무오한 하나님 말씀인 성경
http://creation.kr/Series/?idx=1842641&bmode=view
출처 : CMI, 2020. 6. 4. (GMT+10)
주소 : https://creation.com/oldest-alphabet
번역 : 조항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