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토끼는 새김질을 한다는 성경의 기록은 오류인가?

미디어위원회
2023-06-29

토끼는 새김질을 한다는 성경의 기록은 오류인가?

: 한 회의론자들의 주장은 실패하고 있었다.

(Do rabbits chew their cud?

The Bible beats the skeptics (again) …)

by Jonathan Sarfati


      레위기에는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이 지켜야 했던 여러 음식법(food laws, 음식 규례)이 기록되어 있다. 현대 의학에 따르면, 이들 중 상당수는 그 시대와 장소의 사람들에게 매우 좋은 건강상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모세의 율법은 사람들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하는 가정교사였지만(갈라디아서 3:24),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죄를 위해 죽으시고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신 후에는 많은 개별 명령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특히 주 예수님과 사도들은 이제 모든 음식이 '깨끗하다'고 선언하셨다(막 7:18~19, 행 10:10~15, 골로새서 2:16).

음식법 중 일부는 회의론자들에 의해서 성경에 오류가 있다는 '증거'로, 즉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이 될 수 없다는 공격의 대상이 되어 왔다. 예를 들어, 레위기 11:3-6은 다음과 같이 말씀한다:


3절. 모든 짐승 중 굽이 갈라져 쪽발이 되고 새김질하는 것은 너희가 먹되

4절. 새김질하는 것이나 굽이 갈라진 짐승 중에도 너희가 먹지 못할 것은 이러하니 

     낙타는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5절. 사반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6절. 토끼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우리는 1997년 창조 지에서(Creation 19(4):29, 1997) 낙타(camel)의 발굽 사진을 보여줌으로써, 일부 회의론자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낙타가 완전히 '발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다'라는 레위기 11:4절의 주장이 옳다는 것을 증명했다. 다른 회의론자들은 바위너구리(coney, KJV, 히브리어 שָּׁפָ֗ן shāphān, = hyrax, rock badger)와 토끼(hare, 히브리어 אַרְנֶ֗בֶת arnebet = hare/rabbit)가 되새김질을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현대 영어에서는 '되새김질(chew the cud)'을 하는 동물을 반추동물(ruminants, 反芻動物)이라고 한다. 반추동물은 처음 음식을 먹을 때, 거의 씹지 않고, 부분적으로 소화되는 특수한 위장으로 음식을 삼켜버린다. 그런 다음 반추하여, 다시 씹어서 다른 위장으로 삼킨다. 이렇게 하는 동물로는 소, 양, 염소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위가 4개이다.[1] 바위너구리와 토끼는 이러한 현대적 의미에서 반추동물이 아니다.


오늘날 '되새김질'은 모세 시대보다 더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성경의 오류가 아니다.


그러나 히브리어로 '되새김질(chew the cud, מַעֲלַת גֵּרָה)'이라는 말은 단순히 '삼킨 것을 다시 들어 올린다'라는 뜻이다. 바위너구리(coneys)와 토끼(rabbits)는 반추동물과 매우 유사한 동작을 하기 때문에, 현대 분류학의 아버지이자 창조론자인 린네(Linnaeus)는 처음에 바위너구리와 토끼를 반추동물로 분류했다.

또한 토끼(rabbits, hares)는 먹이를 먹을 때, 본질적으로 반추(rumination)와 같은, 실제로 '삼킨 것을 들어 올리는' 행동을 한다. 음식은 토끼를 바로 통과하여, 특별한 형태의 똥(dung)으로 배출된다. 토끼는 이것들은 다시 먹고, 부분적으로 이미 소화가 되었기 때문에 토끼에게 영양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이 과정은 자기분식(cecotrophy, 자신의 변을 먹는 행동)이라는 또 다른 이름으로 불려진다. 왜냐하면 그 재료는 맹장(cecum or ‘blind gut’, 라틴어 caecus = blind)이라고 불리는 대장의 시작 부분에 있는 한 주머니에서 취해졌기 때문이다. 맹장에서는 '후장 발효(hindgut fermentation)'라는 과정이 일어나는데, 그곳에서 박테리아들은 셀룰로오스를 단당류로 분해하여 음식의 소화를 돕는다. 그런 다음 씨코트로프(cecotrope)라고 불리는 특별한 분변 덩어리를 배출하고, 그것을 다시 먹는다. 이 씨코트로프는 일반 대변과는 매우 다르다. 따라서 자기분식(cecotrophy)은 돼지나 개와 같은 동물들이 똥을 먹는 행위와는 매우 다르다.

오늘날 '되새김질'이라는 용어는 모세 시대보다 더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다. 이것은 성경의 오류가 아니다. 실제로 토끼와 산토끼는 훨씬 더 특별한 의미에서 '되새김질'을 한다. 다시 한번 성경은 옳았고, 회의론자들은 틀렸다.

하나님은 모세(Moses)를 통해 이스라엘 사람이라면 누구나 따를 수 있는 지침을 주셨다. 중동 지역 동물들의 행동에 익숙했던 모세가 토끼에 대해 실수를 범했다는 것은 믿기 어려운 일이고, 관찰에 반하는 것이 성경에 기록되었다는 것도 믿기 어려운 일이다.


--------------------------------------------------------

부록


이 글이 창조 지에 게재된 후, 나는 인터넷의 한 잡지에서 더 자세한 기사를 발견했다. 그 기사는 내가 주장한 내용을 입증해주고, 자세한 어휘 분석을 통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관련 글은 아래와 같다 :


“토끼는 되새김질을 하지 않는다”

    : 메리트(Meritt)라는 한 성서비판가의 주장 


레 11:6 : “토끼도 새김질은 하되 굽이 갈라지지 아니하였으므로 너희에게 부정하고”


MT에 등장하는 용어로 게라[גֵרָה֙]는 (씹는) 새김질거리(cud), 곡물(grain), 또는 베리(berry, 세겔의 20분의 1로 여기서는 관련 없어 보임)를 의미한다. 이 단어는 똥(dung)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이에 대한 완벽하게 적절한 히브리어 단어가 있어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KJV에서 '새김질을 하다(chew the cud)'로 번역된 구절은 더 정확하게는 '새김질 거리를 꺼내 올린다(bring up the cud)'이다. 토끼는 아무것도 꺼내 올리지 않고, 끝까지 진행시킨 다음, 그것을 다시 먹는다. 레위기에 나오는 설명은 부정확하다. 토끼는 자신의 똥을 먹는다. 아무것도 끌어올려서 씹지 않는다.


[ 홀딩(J. P. Holding)이 대답했다 : ]


'MT'는 구약성경의 히브리어 사본인 마소라 본문(Masoretic text)을 지칭한다. 메리트 씨는 히브리어 원문으로 유일하게 답을 구한 것에 대해 상당히 자랑스러워하는 것 같다. (결국 번역 문제가 중요하다). 그러나 조금 더 깊이 파고들지 않은 것이 아쉽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슈가 있는데, 'cud'와 'chew'의 정의에 관한 것이다. 두 단어의 히브리어 버전을 자세히 살펴보자. 먼저 cuds를 살펴보고, 나중에 chew를 살펴보겠다.

첫째, 게라(gerah)는 실제로 여기에서 (cud에 대해) 사용된 단어이며, 중요한 것은 구약성경에서 레위기와 신명기의 이 구절 외에는 어디에도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모세 율법에서 이 단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이 문맥뿐이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슈가 있는데, 'cud'와 'chew'의 정의에 관한 것이다. 


둘째, 토끼가 진행하는 과정을 반추(refection)라고 하는데, 토끼가 먹는 것은 단순히 '똥(dung)'이 아니기 때문에, 여기에서 '똥'이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사용되지 않았을 수 있다. 실제로 메리트의 주장과는 달리, 게라라는 단어가 세겔의 1/20을 의미한다는 사실은 여기서 힌트를 준다! 세겔의 20분의 1은 가치가 거의 없지만, 가치가 있다. 성경에서 '똥(dung)'이라는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 더럽거나 불결하거나 쓸모없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토끼에서 '똥'은 쓸모없는 것이 아니다. 토끼의 배설물에는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물 알갱이가 들어 있는데, 토끼는 이 알갱이를 씹어서(노폐물과 함께) 밖으로 나간 영양분을 다시 위장으로 공급한다. (비타민과 영양소를 더 많이 섭취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알갱이(pellets)는 1세겔의 20분의 1에 해당하는 일부 미세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것을 소와 다른 동물들이 하는 일, 즉 오늘날 '되새김질(chewing the cud)'이라고 부르는 반추(rumination)와 비교해 보자. 소는 되새김질 거리(cuds)라 불려지는, 부분적으로 소화된 작은 음식물 덩어리들을 역류시키고, 침과 섞으면서 조금 더 씹는다. (아마도 이 방법도 음식물을 최대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나는 시도해 보지 않았다).

자, 그럼...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을 보자. 음식은 부분적으로 소화된다. 여기서 공통적인 요소는 같은 것으로 보인다. 히브리어 단어가 단순히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을 가리키는 것일까? 아니면, 과정이 이슈가 아니라, 단지 대상이 문제일 수 있을까?

다른 키워드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메리트는 KJV에서 'chew the cud'로 번역된 구절이 더 정확하게는 'bring up the cud'라고 말하는 것이 맞는다고 말한다. (전체 구문은 ‘maketh the cud to come up’이다.) 그는 'bring up(올리다)'이라는 단어가 오직 역류(regurgitation)만을 의미한다고 우리가 믿기를 바라는 것 같다. 잠깐, 잠시 뒤로 물러서서, 히브리어 단어에는 어떤 뜻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자! 이 단어(bring up, 올리다)는 ‘alah (עָלָה)’로서 구약의 모든 페이지에서 거의 문자 그대로 어떤 문법적 형태로 발견된다! '올리다' 외에도 많은 개념을 포괄하고 있는 단어로서, 또한 상승하다, 운반하다, 던지다, 가져오다, 일어나다, 회복하다, 계속하다, 차지하다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 무언가를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을 설명하는 포괄적인 형태의 동사인 것이다.(maketh the gerah to ‘alah’)

이제 이슈의 구절에서 'alah'는 분사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식으로 사용된 다른 성경 구절들을 살펴보자. (NIV는 이 구절들 중 일부만 의미하며, 괄호 안의 구절은 원문에 있는 구절이고, 때로는 KJV에 있는 구절이다) :


▶ 여호수아 24:17. It was the Lord our God himself who brought us and our fathers up out of Egypt. … (이는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친히 우리와 우리 조상들을... 애굽 땅... 에서 올라오게 하시고 ...) 

▶ 이사야 8:7. …therefore the Lord is about to bring (up) against them the mighty floodwaters of the River.. (그러므로 주 내가... 큰 하수... 위력으로 그들을 뒤덮을 것이라 

▶ 나훔 3:3. Charging cavalry, flashing swords (lifted up), and glittering spears! (충돌하는 기병, (들려진) 번쩍이는 칼, 번개 같은 창)

▶ 역대하 24:14. When they had finished, they brought (up) the rest of the money … (공사를 마친 후에 그 남은 돈을.. 가져왔으므로)

▶ 시편 135:7. He makes clouds rise (up) from the ends of the earth … (안개를 땅 끝에서 일으키시며

▶ 사무엘하 6:15 … while he and the entire house of Israel brought up the ark of the Lord with shouts and the sound of trumpets. (Similar quote, 1 Chronicles 15:28) (다윗과 온 이스라엘 족속이 즐거이 환호하며 나팔을 불고 여호와의 궤를 메어오니라)


와우! 그 단어가 역류만을 의미한다면, 이 구절들을 어떻게 된 것인가? 

그래서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문제의 히브리어 단어는 역류(regurgitation)에만 사용되는 특정한 단어가 아니라, 일반적인 움직임(이동)을 나타내는 단어라는 것이다. 그리고 당면한 문제와 관련하여, 토끼는 이전에 소화된 물질을 몸 밖에서 '가져오는' (반추동물과는 다른 방식이지만), 그 후에 '일부 소화된 물질'을 새김질하는 동물이라는 것이다! (메리트가 말했듯이 그 단어는 역류에만 사용되는 특정한 단어가 아니다!). 메리트의 실수는 반추라는 과학적 용어를 그것이 필요하지 않은 어떤 것에 적용한 데에 있었다. <Extracted with permission from tektonics.org/af/cudchewers.html.>

-------------------------------------------------------------------------------


Related Articles

Precambrian rabbits—death knell for evolution?

Can a cow become a hog?

The grey blanket


Further Reading

Are praying mantises kosher?

Answering Bible skeptics

Bible ‘contradictions’ and ‘errors’


References and notes

1. This is a common colloquial usage, also backed up in Stomach, Ruminant Categories, MedicalGlossary.org, which refers to four stomachs: (1) Rumen (from which ruminant gets its name), (2) Reticulum, (3) Omasum, (4) Abomasum, the ‘true stomach’. Other sources prefer to categorize them as four stomach chambers. 


*관련기사 : 토끼는 되새김질한다는 성경기록은 오류인가? (2013. 4. 15. 기독교타임즈)

http://www.kidoktimes.co.kr/1185

<사이언스> 토끼는 되새김질 반추동물인가? (2019. 8. 2. 모닝선데이)

http://www.morningsunday.com/sub_read.html?uid=18024


*참조 : 성경의 권위와 무오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8823&bmode=view

성경의 오류 논란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792&t=board

토끼의 되새김질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677&t=board

창1, 2장의 창조순서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775&t=board

가인의 아내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765&t=board

곤충의 다리 수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748&t=board

에서의 아내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664&t=board

이새의 아들 수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661&t=board

아하시야의 즉위 나이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650&t=board

여호야긴이 풀려난 날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649&t=board

예수님의 족보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8432&t=board

예수님의 탄생 시기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7967&t=board

가롯 유다의 죽음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7317&t=board

겨자 씨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7315&t=board

예수님의 무덤 속 기간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7311&t=board

제자들의 지팡이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7308&t=board

기타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7305&t=board


출처 : Creation 20(4):56, September 1998

주소 : http://creation.com/do-rabbits-chew-their-cud

번역 : 양승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