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요나의 벌레는 무엇이었는가?

미디어위원회
2024-07-05

요나의 벌레는 무엇이었는가?

(Jonah’s worm)

by Kevin Tuck


    요나(Jonah)에 대한 성경 기록은 하나님의 자비에 대한 놀라운 사례를 보여준다. 먼저, 반항적인 선지자 요나에게 자비를 베푸시고, 그다음에 자격이 없는 니느웨라는 나라에 자비를 베푸신다.

요나는 힘든 방법으로 순종을 배워야 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요나는 니느웨로 가서 말씀을 전하라는 부름을 받았지만, 대신 바다를 건너 먼 땅으로 도망치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하나님의 부르심은 피할 수 없었다. 폭풍이라는 사건을 통해 요나는 배 밖으로 던져졌고, 그곳에서 하나님이 준비하신 큰 물고기에 삼켜졌다. 목숨을 건진 요나는 니느웨로 가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했다. 요나는 사람들이 회개하지 않는 것에 실망했다. 그러자 하나님께서는 한 식물과 '벌레'의 실물 교훈을 통해, 요나의 더 잘못된 태도를 알려주셨다 :

“하나님 여호와께서 박넝쿨을 예비하사 요나를 가리게 하셨으니 이는 그의 머리를 위하여 그늘이 지게 하며 그의 괴로움을 면하게 하려 하심이었더라 요나가 박넝쿨로 말미암아 크게 기뻐하였더니 하나님이 벌레를 예비하사 이튿날 새벽에 그 박넝쿨을 갉아먹게 하시매 시드니라” (욘 4:6~7).

수년에 걸쳐 학자들은 이 식물과 벌레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노력해 왔다. 요나의 식물에 대한 좋은 후보들이 제시되었지만, 벌레의 정체를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2500여 년이 지난 지금, 과학자들이 이 벌레를 발견한 것 같다.


요나의 식물

수년에 걸쳐 학자들은 이 식물과 벌레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노력해 왔다. 요나의 식물에 대한 좋은 후보가 제시되었지만, 벌레의 정체를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그림 1. 요나의 '박넝쿨(vine)' 리시누스 코뮤니스(Ricinus communis)


이 식물을 뜻하는 히브리어 ‘키카이온(qiqayon)’은 영어 번역에서 덩굴(vine), 담쟁이덩굴(ivy), 박(gourd)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었다. 이 중 어느 것도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현재 키카이온은 피마자유 식물(castor oil plant, 피마자, 아주까리)인 리시누스 커뮤니스(Ricinus communis)를 지칭하는 것으로, 교회와 히브리 전통 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1] AD 404년, 교부였던 제롬(Jerome)은 이 식물이 당시 시리아 사람들에게 알려져 있었다고 제안했다. 이 식물은 빠르게 자라며, 덩굴도 담쟁이덩굴도 아닌, 지지대 없이도 서 있을 수 있었다.[2]

그림 2. 리시누스 코뮤니스(Ricinus communis)의 잎 <© Simona Pavan | Dreamstime.com>


요나의 '박넝쿨(vine)'이 피마자유 식물(castor oil plant)인 리시누스로 밝혀진 것은 성경학자들과 곤충학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왜냐하면 그 식물은 독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잎과 씨앗에는 독성이 있으며, 잎 추출물은 강력한 살충제를 만들기 때문에, 이 식물을 먹을 수 있는 곤충은 거의 없다. 또한 사람과 동물에게도 독성이 있으며, 리신(ricin)은 화학 무기로도 사용되었다! (하지만 씨앗으로 만든 피마자유는 안전하다. 왜냐하면 리신은 기름에 거의 녹지 않으며, 더 중요한 것은 기름을 80°C까지 가열하면 리신은 변성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렇게 독성이 강한데, 어떻게 한 벌레(tola)가 요나의 식물을 먹을 수 있었을까?


이스라엘에서 보고된 '새로운' 나방 종

이러한 독성에도 불구하고, 최근에 이스라엘에서 애벌레 단계에서 해를 받지 않고 리시누스를 먹을 수 있는 아름다운 호랑이 나방(tiger moth) 종이 발견되었다. 이 나방은 처음에 과학계에서는 새로운 종으로 여겨져 올레파 슐레이니(Olepa schleini)라는 이름이 붙여졌다.[3] 그러나 이후 올레파 리시니와 같은 종으로 밝혀졌고, 그 종은 방글라데시, 중국, 인도, 네팔, 스리랑카, 태국에서도 알려져 있었다.[4] 애벌레는 글루타치온 S-전이효소(glutathione S-transferase, GST)라고 하는 매우 활발한 해독 효소를 고농도로 갖고 있기 때문에, 독소에 대처할 수 있다.[5]

.올레파 리시니(Olepa ricini) <Image courtesy of Zoologische Staatssammlung München, under CC BY-SA 4.0 license>

.그림 3. 2017년 9월, 이스라엘 글릴로토(Glilot)에서 피마자유 식물인 리시누스 코뮤니스를 갉아먹고 있는 올레파 리시니(Olepa ricini)의 애벌레. <CC0 1.0, ‘Plagadis’, commons.wikimedia.org>


성경을 믿는 크리스천들은 성경 본문이 다시 한번 관측 과학의 한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에 놀라지 말아야 한다.


올레파 리시니 애벌레의 습성은 요나서의 기록과 일치한다. 그 곤충은 보통 밤에 먹이를 먹으며, 리시누스 식물을 빠르게 파괴할 수 있다. (그들은 또한 목화, 옥수수, 고구마, 바나나 같은 유용한 식물도 먹는다). 애벌레는 보통 해가 뜨기 전에 식물을 떠나, 근처의 마른 잎 사이에서 더위를 피해 숨는다.


자연을 보완하는 초자연

요나서 4:10절에 따르면, "... 네가 수고도 아니하였고 재배도 아니하였고 하룻밤에 났다가 하룻밤에 말라 버린 이 박넝쿨을 아꼈거든"이라고 말씀하고 있다. 초자연적 과정이 요나서의 여러 측면에 분명히 관여하고 있지만, 그중 많은 부분이 여전히 '자연적으로' 일어났다 :

▶ 요나가 바다생물의 뱃속에서 3일 동안 무사히 살아남는 것은 자연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창조 목록에 있는 거대한 바다생물 중 하나가 포유류 먹이를 통째로 삼키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일 수 있다.

▶ 리시누스 식물은 보통 하룻밤 사이에 사람을 가릴 만큼 큰 크기로 자라지 않지만, 상당히 빠르게 자란다. 마찬가지로

▶ 이 식물은 평소보다 더 빨리 시들을 수도 있지만, 이 애벌레가 일으키는 자연적 파괴는 더욱 빠를 수 있다(그림 3). 그리고 그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애벌레의 공격은 밤에 일어난다.

리시누스에게 그렇게 파괴적인 곤충이 중동에서 오랫동안 기록되지 않았다는 것이 놀랍게 보일 수도 있지만, 중동에서는 이 곤충이 매우 드문 것으로 보인다. 멸종 위기에 처해있을 수도 있지만, 리시누스는 2,500년 동안 그 행태에 대한 보고 없이 생존해 왔다.[6]


요약 및 결론

이 애벌레가 리시누스를 먹이로 삼는 행동과 중동에서 발견되는 것을 보면, 이 애벌레가 요나의 '벌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1] 성경을 믿는 크리스천들은 성경 본문이 다시 한번 관측 과학의 한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에 놀라지 말아야 한다.


References and notes

1. Hausmann, A. and Müller, G.C., The biblical worms on Jonah’s Ricinus were Olepa schleini larvae. Mitt. Münch. Ent. Ges. 95:5–9, 2006. 

2. Letter from Jerome to Augustine (ad 404), 75.7, in Schaff, P. (ed.), Nicene and Post Nicene Fathers, T&T Clark, Edinburgh, 1886, “… the Hebrew Ms. has ‘ciceion,’ which in the Syriac tongue as now spoken is ‘ciceia.’ It is a kind of shrub having large leaves like a vine, and when planted it quickly springs up to the size of a small tree, standing upright by its own stem, without requiring any support of canes or poles …”. 

3. Witt, T.J. and 5 others, A new Olepa species from Israel, NachrBl. bayer. Ent. 53:101–115, 2005. 

4. Zhang, Y., Huang, S., Wang, M., First record of the genus Olepa Watson, 1980 from China (Lepidoptera, Erebidae, Arctiinae, Arctiini). Biodivers Data J. 14 Feb 2022. 

5. Premachandran, K. and Srinivasan, T.J., Polyphagous insect Olepa sps. feeding on cardenolide rich Calotropis gigantea (L.) leaves and detoxification mechanism involving GST, Heliyon 8(9):E10596, 2022. 

6. Müller, G.C. and 7 others, Distribution, phenology, ecology, behaviour and conservation issues of the new Israeli tiger moth Olepa schleini Witt et al., 2005, Mitt. Münch. Ent. Ges. 95: 19–29, 2006. 


Related Articles

Jonah’s witness to the Creator God

Jonah and Leedsichthys problematicus, the problem fish

Jonah in a megalodon?


Further Reading

Proclaiming Creation in a scientific age

The Historic Jonah


*관련자료 : 성경식물 (세계기독교박물관)

http://segibak.or.kr/plants

성서 속 식물 어떤 것이 있나 (아이굿뉴스 2004. 4. 4)

https://www.igood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5848

‘성경 속 식물’ 가득한 동산에서 은혜 체험하세요 (2021. 3. 5. 국민일보)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81332


*참조 : 성경에서 발견되는 식물(나무) 이야기

https://creation.kr/Plants/?idx=1291460&bmode=view

기적의 식물인 모링가 나무는 제3세계의 식량과 연료가 될 수 있다.

https://creation.kr/Plants/?idx=1291441&bmode=view

하나님은 왜 잡초를 만드셨을까?

https://creation.kr/Plants/?idx=1291456&bmode=view

예기치 않은 숲 도우미 : 겨우살이

https://creation.kr/Plants/?idx=1291393&bmode=view

사과나무의 기원은 아라랏산 주변 지역이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35&bmode=view

가장 오래된 나무가 가장 복잡했다? : 고생대 데본기의 화석 나무는 매우 발달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https://creation.kr/Circulation/?idx=1295079&bmode=view

▶ 식물의 복잡성

https://creation.kr/Topic103/?idx=6557069&bmode=view

▶ 식물의 설계적 특성

https://creation.kr/Topic1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6932&t=board

▶ 나무와 꽃

https://creation.kr/Topic1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5242&t=board

▶ 씨앗의 경이

https://creation.kr/Topic1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5332&t=board

▶ 나방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90469&t=board

▶ 요나의 물고기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544&t=board


출처 : Creation 45(2):22–23, April 2023

주소 : https://creation.com/jonah-worm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