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중국에서 발견된 거북의 거대한 화석무덤. : 1800 마리의 쥐라기 거북 화석들은 격변적 매몰을 가리킨다.

미디어위원회
2012-11-21

중국에서 발견된 거북의 거대한 화석무덤. 

: 1800 마리의 쥐라기 거북 화석들은 격변적 매몰을 가리킨다. 

(Huge Deposit of Jurassic Turtle Remains Found in China)

AiG News 


      화석무덤(fossil graveyards)의 발굴은 언제나 극적이다. 중국 신장(Xinjiang) 북서부의 터판 분지(Turpan Basin)에서 발견된 쥐라기의 거북 화석무덤도 예외가 아니었다. (ScienceDaily. 2012. 10. 29). ”뼈 위에 뼈들이 놓여 있었는데, 우리 눈을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고생물학자인 올리버 윙즈(Oliver Wings)는 말한다. 독일과 중국의 고생물학자들은 2008년에 이 화석묘지를 발견했다. 그리고 한 부분을 발굴해왔고, 일부 거북들을 분석해왔었다. 튀빙겐 대학의 거북 화석 전문가인 월터 조이스(Walter Joyce)는 말했다 : ”이 장소에는 지금까지 쥐라기에서 발굴된 거북 화석보다 아마도 두 배 이상 묻혀있는 것으로 보인다. 암석에서 거북 껍질은 다른 껍질 위에 포개져 쌓여있었다.”


.중국 신장 북서부의 터판 분지의 골층(bone bed)에서 발견된 거북 화석. 껍질은 직경 20cm 정도이고, 서로 포개어져 놓여있었다. 거북은 Annemys 속의 한 종이었다. 거북 전문가인 월터 조이스(Walter Joyce)는 이 특별한 거북의 생물다양성을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것에 대해 흥분하고 있었다. 1800여 마리의 무더기 거북 화석들과 두터운 퇴적층은 맹렬한 물에 의한 격변적 퇴적을 가리키고 있다.


상어, 공룡, 악어, 포유류 화석들도 같이 발굴됐지만, 이 화석무덤의 주인공은 거북인 것처럼 보인다. 해체된 거북들도 있었지만, 많은 거북들이 완전한 형체 그대로 있었다. 껍질들은 매우 치밀하게 뭉쳐져 있었는데, Mesa Chelonia를 따라 10×2m 장소에 10~20cm 두께로 밀집되어 있었다.[2] 0.5㎡의 암석 내에 18마리의 거북 화석과 많은 거북 화석들을 가지고 있는 인근 지역의 발굴에 기초하여, 연구자들은 그 화석무덤에는 1,800마리 정도의 거북들이 포함되어있을 것으로 계산했다.


이 거북들은 왜 모두 함께 묻혔을까? 오늘날 간혹 호주에서 가뭄으로 유발된 거북의 대량 축적이 발생하기 때문에[2], 발굴팀은 거북들이 가뭄 동안 강바닥에 모여 있었고, 그곳에서 죽었고, 남서쪽 방향에서 다량의 퇴적물을 운반해왔던 한 순간적 홍수에 의해서 파묻혔고, 오늘날 발견됐다는 것이다.


.중국 신장 북서부의 Mesa Chelonia에 화석 발굴 장소. 연구자들은 화석무덤을 쥐라기 중기로 추정하고 있지만, 그 지역의 층서학은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다. 따라서 미래에 다른 결론에 도달할 수도 있다.”[2] 


그러나 가뭄이 있었다는 지질학적 증거는 없다. 발굴팀은 이렇게 쓰고 있었다 : ”불행하게도 가뭄을 지지하는 퇴적학적 증거는 제한되어 있다. 지질학적 분류 기준으로 Mesa Chelonia에 있는 퇴적층에 가뭄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다. 특히, 화석과 관련된 지층 어느 곳에서도 건열(mud cracks), 증발(evaporites), 또는 칼리치(caliche, 가뭄과 관련된 광물 퇴적)에 대한 증거가 없다.”[2]


연구자들은 그렇게 많은 거북이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가뭄으로 유발된 집합을 제안했지만, 그것을 지지하는 증거는 '불행하게도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완전히 결여되어 있었다. 가뭄에 대한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들은 이에 대한 어떠한 인용도 하지 않았다. 반면에, 그들은 현대의 많은 거북이 집단에서 '높은 개체군 밀도‘를 기술하고 있었다.[2] 그리고 높은 개체군 밀도로 발견되는 다른 거북 화석무덤들, 그린리버 지층(Green River Formation)에서 블랙 마운틴 거북 층(Black Mountain turtle layer)을 언급하고 있었다.[3] 그러므로 무더기로 모여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가뭄을 가설화할 필요는 없었다. 


매몰 전에 가뭄이 있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그 매몰은 갑작스럽고 격변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증거들은 지지한다. 연구자들은 층화(stratification) 또는 분류(sorting)의 결여 및 파묻힌 거북이의 포개어짐 등은 물에 의한 고밀도, 고에너지, 난류성 이류(mudflow, 진흙 흐름)를 가리킨다는 것이다. 또한 화석에서 마모의 부족은 그들이 먼 거리를 운반되지 않았음을 가리키고, 포식자에 의한 뜯어 먹히거나 부패한 흔적이 없다는 것은 거북들이 빠르게 파묻혔음을 가리킨다.[2]


운반된 거북들의 일부를 해체시키며, 거북들을 갑자기 파묻어버린 한 맹렬한 이류는 전 지구적 홍수와 일치한다. 부가적으로 연구자들이 기록하고 있는 것처럼, 거북 화석무덤 아래의 지층은 거북을 운반해온 이류에 의해서 변형되고 형성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부드러웠다는 발견은 전 지구적 홍수 동안에 빠른 퇴적층의 퇴적과 일치한다. 전 지구적 홍수와 관련된 격변적 퇴적은 전 세계에 많은 화석무덤들을 만들었고, 중국 터판 분지에서 거북 화석무덤을 만들었던 것이다.        
 

For more information

The World’s a Graveyard

Cincinnati—Built on a Fossil Graveyard

Chapter 23: Aren’t Millions of Years Required for Geological Processes?

Green River Formation Very Likely Did Not Form in a Postdiluvial Lake

More Soft Tissue in 'Old Fossils”


*관련기사 : 중국서 쥐라기 거북 화석 무더기 발견 (2012. 10. 30.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2/10/30/2012103000842.html?news_Head3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fossils/types-of-fossils/turtles-found-chinese-jurassic-rock-layer/

출처 - AiG News, 2012. 11. 3.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