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얼어붙은 매머드

미디어위원회
2004-04-14

얼어붙은 매머드 

(Frozen mammoths)

by Walt Brown Ph.D.


     수세기 동안 시베리아 북동쪽 툰드라 지역에 묻혀 있는 매머드라(1) 불리는 코끼리와 같은 얼려진 거대한 동물 시체들에 관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2). 4 m 이상의 큰 휘어진 어금니를 가지고 있는 이 매머드는 너무도 신선하게 보여, 많은 사람들은 지하에 살고 있는 단순히 큰 두더지였다고 믿었다. 몇몇은 그들을 '얼음 쥐(ice-rats)'라고 불렀다(3). 사람들은 매머드들이 표면에서 햇빛을 보았을때 죽었다고 생각했다. Petrograd(오늘날 St. Petersburg, Russia)에서 Imperial Academy of Sciences의 의장인 Leopold von Schrenck 박사는 1869년에 책을 출판했는데, 매머드는 지구 깊은 곳에서 어두운 굴을 파고 먹이를 구하며 살고 있는 거대한 짐승이라고 하였다. 그들은 동물의 시체들이 너무도 신선하고 잘 보관되어 있어서 그때까지도 살아있는 동물이라 생각했다(4). 몇몇은 매머드들이 빠르게 터널을 파냄으로 지진이 일어난다고 까지 생각했다. 이것은 얼려진 매머드들에 대한 초기의 해석이었다. 사람들은 다른 이상한 해석들을 배움으로서 여러 이론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불행하게도 몇몇 세부사항들을 해석한 이론들은 다른 것들을 해석할 수 없었다. 사실 몇몇 제안된 해석들은 새로운 지식으로볼 때 우스꽝스러운 것이었다. 무엇이 매머드들을 얼게 했을까를 배우기 위해서, 우리는 첫째 매머드에 관하여 알려진 것이 얼마나 되는지를 이해하여야 한다. 이것은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이것으로 부터 우리는 매머드의 동결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핵심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때 우리는 매머드에 관한 아홉 가지의 제안된 이론들을 검증할 것이다. 많은 것들이 초기에는 그럴듯하게 보이지만 그 해석이 각 세부사항들을 체계적으로 잘 설명할 수 있는지를 비교해 봄으로서, 그들의 결점들은 분명해질 것이다. 마침내 우리는 모든 세부사항들을 가장 잘 해석할 수 있는 한가지 이론 - 수판이론(the hydroplate theory) - 을 보게될 것이다.

 

일반적 서술 (General Description) 

무엇이 발견되었는가 : 1800년도 부터, 적어도 열팀의 과학 탐험대가 멸종된 매머드의 신선한 사체를 발굴하였다(6). 대부분의 신선한 사체들은 북극권내의 시베리아 북쪽의 영구동토지역에 묻혀 있었다. 여섯이 알래스카안에서 발견되었다. 완전한 사체들은 단지 소수로 발견되어졌다. 보통 과학자들이 도착하기 전에 야생동물들이 노출된 부분들을 뜯어 먹은 채로 발견되곤 하였다. 1977년에 처음으로 새끼 매머드의 완전한 사체가 발굴되었다. 이 매머드는 6~12 달된 숫놈으로 'Dima' 라 이름이 붙여졌다. 납작하게(7), 수척한(8), 그러나 잘 보존된 몸체는 완만한 산의 경사면 1.8m 아래에 얼음으로 덮여져 있었다(9). 얼음의 일부분은 투명했으며, 다른 부분은 광물질과 유기입자들에 의해 황갈색을 띠고 있었다(10). 침니, 점토, 작은 크기의 자갈들이 그의 소화기관과 호흡기관(기도, 기관지, 폐)에서 발견되었다(11). 만약 우리가 다른 동물의 얼려진 연부조직을 찾기 위해서 지평선을 넓힌다면, 우리는 몇몇 무소들을(rhinoceroses) 같은 지역안에서 찾아낼 수 있다. 몇몇은 뛰어나게 잘 보존되었다. 표2는 57 마리의 보고된 매머드와 무소 발견들을 요약했다. 그리고 다른 신선한 사체들은 말(horse), 어린 사향 황소(musk ox)(12), 족제비(wolverine)(13), 들쥐류(voles)(14), 다람쥐들(squirrels)(15), 들소(bison), 토끼(16), 스라소니(lynx)(17) 들이다. 만약 우리가 지금 매머드의 잘 보존된 살이 아니라 뼈와 상아를 찿는다면,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무수히 발견할 수 있다. 러시아 Academy of Science's Committee의 의장인 Nikolai Vereshchagin은 매머드에 대한 연구에서 매머드의 어금니 50만톤 이상이 북극해안 600마일에 걸쳐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18). 전형적인 매머드의 어금니는 100 파운드 이기 때문에 이것은 이 지역에 500만 마리 이상의 매머드가 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평가가 높게 계산되고, 천년 이상에 걸쳐 축적된 숫자라고 할지라도, 매머드의 거대한 무리가 북극해안을 따라 번성했었으며, 그외 지역에서도 더 많이 존재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매머드의 뼈와 상아들은 유럽, 중앙아시아, 북부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쪽으로는 멕시코시티에서 까지 발견되었다. 매머드의 뼈, 상아, 이빨들의 무더기가 먼 북극섬에서도 발견됐다. 분명히 오늘날의 바다장벽이 그곳에는 없었다(과거에는 육지와 연결되어 있었다). 많은 사람들은 이 매머드들이 이 섬의 주요한 구성체였음을 기술하고 있다(26). 이 보고들이 과장되었다 할지라도 무엇이 북극권안의 불모의 섬에 뼈와 상아들을 무더기로 남기고 보존하게 하였는가? 200마리분 보다 더 많은 매머드의 어금니들이 북해의 Dogger Bank에서 굴(oyster)들과 묻혀져 있었다. 북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의 일부분까지 도처에 걸쳐 우리는 매머드의 뼈들과 많은 다른 동물들의 뼈들을 볼 수 있다. 그들의 부분적인 목록은 다음과 같다. 호랑이(28), 영양(29), 낙타, 말, 순록, 거대한 비버, 거대한 황소, 사향 양, 사향황소, 당나귀, 족제비, 야생염소(ibex), 털많은 무소, 여우, 거대한 들소, 스라소니, 표범, 오소리, 북극 산토끼, 사자, 고라니(elk), 거대한 늑대, 땅다람쥐, 동굴 하이에나, 곰, 여러 종류의 새들이다.  어린 동물, 늙은 동물이 같이 발견되듯이 친구들과 천적들이 근처에서 발견되고, 육식동물들과 초식동물들이 같이 묻혀져 있다. 그들의 죽음들은 관련이 있었는가? 동물의 뼈들은 드물게 보존되었다. 그렇게 많은 다양한 동물들의 뼈가 있기 때문에 거기에는 어떤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얼려진 매머드들의 이전 환경 (Former Environment of Frozen Mammoths) 

일반적으로 매머드는 극도의 추운 지역에서 살았다고 잘못 오해되고 있다. 이러한 넓게 퍼진 믿음은 매머드가 눈이 많은 북극지역에서 안락하게 살 수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게 하였다. 화가들은 매머드의 털이 많고, 피부아래 9cm 정도의 두꺼운 지방층에 기초한 초기의 생각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 동물은 추운 지역에서는 절대로 살 수 없다. 그 특성들을 자세히 살펴보자.

 

털 (Hair)

매머드 털은 양의 털처럼 북극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매머드는 털을 세워 절연 공기주머니를 만들 수 있는 기립근(erector muscle)이 결여됐다. 매머드의 피부와 털에대해 가장 세밀한 연구를 수행했던 Neuville는 다음과 같이 썼다. ”피부와 털에 대한 해부학적인 검사결과 추위에 적응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도 발견하지 못했다”(30). 매머드 다리의 긴 털은 발가락까지 달려있는데(31), 매머드가 눈위를 걷는다면, 눈과 얼음은 털과 함께 발목에 케이크처럼 엉겨 버렸을 것이다. 눈속에서의 매 걸음은 발목 털을 밀고 당겨서 닳아 없앴을 것이다. 북극지역에 살고 있는 모든 발굽을 가진 동물들은(사향 황소를 포함하여) 그들의 발에 털(hair)을 가지고 있지 않고, 부드러운 털(fur)을 가지고 있다(32). Fur는, 특별히 oily fur는 피부와 눈사이에 두꺼운 정체된 공기층을 형성하여 매우 단열효과가 우수하다. 매머드의 기름기 없는 털은 눈이 피부에 접촉하였을 때 녹아 체열의 방산을 10~100배 더 증가시켰을 것이며, 후에 동결이 일어나 매우 해롭게 했을 것이다.

 

피부 (Skin)

매머드와 코끼리의 피부는 두께와 구조에 있어서 매우 유사하다(33). 둘 다 지방분비선(oil gland)이 없어 추위와 습한 기후에 매우 취약하다. 오늘날의 모든 북극의 포유동물들은 매머드에는 없는 지방분비선과 erector muscle을 가지고 있다(34). 피부 아래의 지방(fat)의 량은 동물의 거주지역과는 거의 관계가 없다. 일예로 무소와 같이 온대지역에 살고 있는 몇몇 동물들은 두꺼운 지방층을 가지고 있으며, 오히려 순록과 같은 북극지역의 많은 동물들은 거의 지방층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 피부 아래의 두꺼운 지방층은 단지 음식물의 풍부함을 보여주고 있다. 풍부한 음식물은 온화한 기후를 암시한다.

 

코끼리 (Elephants)

매머드와 매우 유사한 동물인 코끼리는 북극지역에서 사는 동물이 아니라, 열대지역에서 사는 동물이다. 코끼리는 따뜻하거나 매우 더운 기후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온도가 영하 가까이 떨어진다면 복통을 일으킬 것이다(36). 갓 태어난 코끼리들은 폐렴에 민감하여 반드시 따뜻하고 건조하게 유지시켜주어야 한다(37). 37마리의 코끼리로 알프스를 넘은 한니발은 추운 기후로 한 마리를 제외한 모든 코끼리를 잃었다.

 

온도 (Temperature)

시베리아 북동쪽의 일월 평균기온은 28°F이다. (60°F 이하서부터 동결됨). 빙하 시대동안에는 더욱 추웠다. 매머드의 길고 호리호리한 코는 추위에 매우 취약했을 것이다. 1.8m의 긴 코는 추운 하루밤도 견디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시베리아의 겨울은 8달이다. 어린 매머드의 더욱 가느다란 코는 열손실로 인한 손상이 더욱 컷을 것이다. 코끼리는 그들의 코가 심한 손상을 받았을 경우 대부분 죽는다(39).

 

물 (Water)

만약 매머드가 북극 기후에 살았다면 겨울에는 먹을 물을 눈과 얼음으로 얻어야만 한다.야생의 코끼리는 매일 30~60 갈론의 물을 필요로 한다(40). 눈과 얼음을 녹이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열로 코끼리의 주요 열량의 반이상이 소모될 것이다. 다른 북극의 동물들과 달리 긴 코는 한랭조건으로부터 잘 견뎌야만 한다. 코끼리를 간호하는데에는 25% 나 더 많은 물이 요구된다.

 

소금 (Salt)

어떻게 매머드는 북극의 기후안에서 비교적 소금기가 많은 식욕을 만족시켰을까? 코끼리는 날카로운 어금니를 사용하여 소금을 판다(41). 딱딱한 영구 동토지대에서는 이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특히 매머드의 휘어진 어금니로는 더욱 불가능하다.

 

근처의 식물과 동물들 (Nearby Plants and Animals). 

멸종된 동물과 식물의 환경을 결정하는 가장 쉽고 가장 정확한 방법은 근처에 같이 묻힌 동식물들을 조사하는 것이다. 매머드는 무소, 호랑이, 들소, 말, 영양, 27m의 과일나무(42), 온대지역 풀들 등과 함께 묻혀 있다. 모두 따뜻한 기후에 살던 것들이다. 몇몇 얼려져 남아 있는 동물들은(예로 들쥐와 같은 것들) 굴을 파고 사는 동물이다. 그러나 바위와 같이 딱딱한 영구동토지역에서는 굴을 팔 수 없다. 얼려진 매머드의 위장에서 발견된 쇠파리의 유충(larvae of the warble fly)은 오늘날 열대지방에서 사는 것과 동일하다(43). 매머드 근처에서 같이 발견되는 동물들과 식물들은 북극환경에 살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그런데 왜 매머드만 추운지역에서 살았다고 추정하는가?

 

갑작스런 동결과 빠른 매몰 (Sudden Freezing and Rapid Burial)

다른 사실들을 알아보기 전에 우리는 3가지 이상한 문제를 만나게 된다. 첫째, 오늘날 시베리아 북부지역은 춥고, 건조하고, 황량하다. 어떻게 수만 마리의 매머드들과 수많은 다른 동물들이 무엇을 먹고 살았을까? 분명히 그들의 환경은 온도와 습도가 적절한 쾌적한 환경이었다. 그렇다면 그 기후는 왜 변했을까? 두 번째, 잘 보존된 매머드들과 무소들은 그들이 죽은후 신속하게 급냉이 되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연부조직과 내장들은 빠르게 분해될 것이다. Guthrie는 ”(복강이) 열려지지 않은 동물은 매우 낮은 온도라 할지라도 죽은 후에 분해가 계속 일어난다. 왜냐하면 몸체는 단열 가죽으로 쌓여있어, 몸에 남아 있는 체열은 미생물과 효소의 활성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44) 매머드는 매우 많은 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결시키기 위해서는 극도로 낮은 온도가 필요하다.” 라고 말하였다.(보충 : 살이 개들이 먹을 정도로 신선하게 보존되기 위해서는 매머드의 털과 지방층을 고려하여 영하 120~150도 정도의 극저온으로 급냉되어야 한다고 함). 세번째, 그들의 몸들은 파묻혀져서, 새나 곤충들과 같은 약탈자들로부터 보호되었다. 그러나 땅이 오늘날과 같이 얼어 있었다면 매몰은 일어날 수 없다. 다시 이것은 엄청난 기후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그것이 갑자기 변화되어야만 볼 수 있다. 어떻게 이 거대한 동물들이 빠르게 얼려져서 분해된 동식물들의 잔해를 포함한 유기질의 토양(흑니, muck) 속으로 매몰될 수 있었을까?  

흑니(muck)는 주요한 지질학적 신비이다. 흑니는 북극해 둘레의 모든 지역과 전 지구 표면의 1/7을 덮고 있다. 이것은 나무가 없고, 쌓여진 흑니의 침식을 일으킬만한 산이 주변에 없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지형에서 발견된다. 러시아 지질학자들은 몇몇 장소들에서 구멍을 뚫어 딱딱한 바위층 없이 1200m의 깊이로 흑니 층이 덮여있는 곳도 발견하였다. 그와 같이 엄청난 부식 재료들은 어디로부터 생겼는가? 알래스카 muck층을 통과하여 구멍을 뚫었던 유정 발굴자들은 지표면 아래 약 300m 지점에서 18인치 길이의 나무줄기 덩어리를 캐내었다. 그것은 얼려져서 석화되지 않았다(45). 가장 가까운 숲은 수백마일이나 떨어져 있었다. 윌리엄은 알래스카에서 유사한 발견들을 기술하였다. 오일회사들이 Prudhoe Bay 지역 부근에서 지표면으로부터 570m 깊이의 유정을 파다가 고대의 열대 숲을 발견했는데, 그것들은 석화되지 않고 얼려져 있었다. 그것은 330m에서 510m 깊이 사이에 있었다. 거기에는 야자수나무, 소나무, 그리고 열대 잎이 무성한 나무들이 있었다. 사실 그들은 마치 그 위치에 떨어진 것처럼 그것들이 모든 주변을 두르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46). 어떻게 딱딱하고 얼려진 땅 수백미터 아래에 무성한 나무들이 묻혀 있는가? 우리는 얼려진 매머드들을 첫 번째로 보았을때도 똑 같은 일련의 질문들과 만나게 된다. 다시 우리는 지금은 얼려져 딱딱하지만 흑니안으로 빠른 매몰을 동반한 갑작스럽고, 드라마틱한 기후 변화가 있었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science.com/onlinebook/FrozenMammoths.html 

출처 - CSC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