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아름다웠던 한 멸종된 새

미디어위원회
2022-07-17

아름다웠던 한 멸종된 새

(A Beautiful, Extinct Bird)

by Frank Sherwin, D.SC. (HON.)


     2021년, 중국 북동부의 퇴적층에서 큰어치(bluejay) 크기만한 아름다운 새의 화석이 발굴되었다. 유안추아비스(Yuanchuavis)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새는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멋진 꼬리 깃털의 독특한 조합을 갖고 있었다.

"그 화석 새는 밑부분에 부채 모양의 짧은 깃털과, 두 개의 매우 긴 큰깃털(plumes)을 갖고 있었다"라고 시카고 현장박물관의 고생물학자인 징마이 오코너(Jingmai O'Connor)는 말한다. "긴 큰깃털은 깃털대(rachis)라고 불리는 중앙 척추에서 솟아나서, 끝으로 가며 꼬리깃털이 되었다. 짧은 꼬리 부채와 두 개의 긴 꼬리깃털의 결합은 핀테일(pintail)이라 불려지는데, 그것은 태양새(sunbirds)와 케찰(quetzals)과 같은 몇몇 현대 조류에서도 볼 수 있다."[1]

유안추아비스는 오늘날 조류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신체적 특징을 가진, 홍수 이전의 세계에서 살았던 아름다운 새였다. 그러나 진화론자들은 "이 새로운 발견은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과 성선택(sexual selection) 사이의 상호작용이 그들의 초기 역사에서 어떻게 새의 꼬리를 형성했는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라고 말하며[1], 화석에 근거 없는 진화론적 왜곡을 가하고 있었다. 자연선택과 성선택 사이의 추정되는 상호작용은 새의 꼬리 모양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이다. 그것은 진화론자들의 단순한 의견일 뿐이다.

게다가 자연선택의 비지능적이고 미스터리한 힘은[2] 성선택에 주목하도록 요구한다,[3] "연구자들은 이 발견이 그들의 초기 역사에서도 자연선택이 어떻게 성선택에도 관여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한다.[4] 그러나 진화론자들은 어떻게 암석으로 변해있는 1억2천만 년 전의 화석에서 성선택이 작동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일까? 중국과학원의 연구자인 왕민(Wang Min) 박사는 "화석기록의 불완전한 성격을 고려할 때, 주어진 화석화된 구조가 성선택에 의해서 형성되었는지를 구별하는 것은 어렵기로 악명 높다."[1] 진화론자들은 추론, 구조 유사성, 진화 압력, 가정, 제안에 의존하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은 막연한 것들이다.[5]

이 새 화석의 연대도 의심스러운 것이다. 그들은 "이 화석은 중국 북동부에 있는 제홀 생물군(Jehol Biota)의 1억2천만 년 된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라고 말한다.[1] 그러나 몇몇 현대의 새들도(태양새와 케찰) 유안추아비스처럼, 핀테일이라고 불리는 "밑부분에 부채와 같은 짧은 깃털과 두 개의 매우 긴 깃털"을 갖고 있다. 유안추아비스는 멸종된, 현대적 특성을 가진 100% 새였다. 창조론자들은 이 화석은 약 4,500년 전 창세기 홍수 때 형성됐다고 생각하고 있다.

  

References

1. Staff Writer. Fossil bird with fancy tail feathers shows that sometimes, it's survival of the sexiest. PhysOrg. Posted on physorg.com September 16, 2021, accessed July 6, 2022.

2. Natural Selection Part 1: A Darwinian Deception. Creation.Live Podcast. Posted on Youtube.com.

3. Spencer, H. and J. Masters. 1992. Sexual selection: contemporary debates. In Keller, E. and E. Lloyd. (eds.), Keywords in Evolutionary Biology. First Harvard University Press.

4. Staff Writer. Prehistoric peacock? Scientists discover ‘pintailed’ bird that lived alongside dinosaurs. StudyFinds. Posted on studyfinds.org October 5, 2021, accessed July 6, 2022.

5. Staff Writer. Survival of the prettiest: Sexual selection can be inferred from the fossil record. Phys.Org. Posted on phys.org January 23, 2013, accessed July 6, 2022.

  

*참조 : 공작새 꼬리에 대한 허튼 소리? : 다윈의 성선택 이론은 실패하고 있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759&bmode=view

수컷 공작의 화려한 깃털은 암컷에게 매력적이지 않다 : 성선택 이론의 완전한 붕괴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83&bmode=view

약자생존과 폐기되는 성선택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308&bmode=view

큰부리새의 부리는 성선택과 상관이 없었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15&bmode=view

새들로 인해 놀라고 있는 진화론자들. : 공작, 앵무새, 벌새, 타조에 대한 진화 이야기

http://creation.kr/animals/?idx=1291178&bmode=view

수컷이 암컷보다 더 진화되었는가?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78&bmode=view

진화론자들의 예측은 계속 빗나가고 있다 : 박테리아, 새둥지, 광합성, 성선택, 동갑동물, 판다, 토마틸로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316&bmode=view

진화론 : 늘 번복되는 이론 ; 칙쇼루브 충돌, 성선택, 셰브론, 스토로마톨라이트...

http://creation.kr/Textbook/?idx=1289649&bmode=view

유물론자들의 과학이 아직까지 설명할 수 없는 것들 : 피자식물과 딱정벌레의 기원, 성선택, 이빨들의 진화, 생명계통수...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290280&bmode=view

하나님의 놀라운 예술적 걸작품들

http://creation.kr/animals/?idx=1291221&bmode=view

공룡 지층에서 현대적 조류들이 발견된다 : 앵무새, 부엉이, 펭귄, 오리, 아비새, 신천옹, 도요새, 가마우지, 물떼새 등도 '살아있는 화석'?

http://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774&bmode=view

공룡 뱃속에서 발견된 3마리의 새. : 공룡이 조류의 조상인가? 아니다. 새를 먹고 있었다!

http://creation.kr/Dinosaur/?idx=1294595&bmode=view

1억 년 전(?) 호박 속의 새 날개가 의미하는 것은? : 미얀마 호박이 제기하는 연대 문제와 살아있는 화석 문제

http://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814&bmode=view

1억 년 전(?) 호박 속의 새 날개가 의미하는 것은? : 미얀마 호박이 제기하는 연대 문제와 살아있는 화석 문제

http://creation.kr/LivingFossils/?idx=1294814&bmode=view

공룡이 조류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조류가 공룡으로 진화했다?

http://creation.kr/Textbook/?idx=1289653&bmode=view

공룡 시대에 현대적인 새 화석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Textbook/?idx=1289646&bmode=view

1억 년 전의 새는 완전히 현대적인 새였다 : 그리고 발가락 사이에 연부조직이 남아 있었다.

http://creation.kr/Textbook/?idx=1289630&bmode=view

시조새는 현대적 비행 깃털(아마도 검은 색)을 가졌다 : 1억5천만 년 된 시조새 화석에 아직도 남아있는 멜라노솜?

http://creation.kr/Textbook/?idx=1289664&bmode=view

백악기 조류 화석에서 발견된 원래의 단백질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26&bmode=view

백악기 조류 화석에서 연부조직이 또 다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31&bmode=view

1억5천만 년 전(?) 시조새 화석에 남아있는 유기분자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70&bmode=view

시조새 화석에서 보존된 조직이 발견되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33&bmode=view

놀랍게도, 1억2천만 년 전의 화석 새는 광물화된 뼈가 아니라, 원래의 뼈를 갖고 있었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39&bmode=view

화석 새의 기름 발견으로 당황하고 있는 과학자들 : 4천8백만 년(?) 전 조류 화석에 지방이 남아있었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37&bmode=view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yuanchuavis

출처 : ICR, 2022. 7. 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