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미라가 된 숲과 대홍수 이후 빙하기

미라가 된 숲과 대홍수 이후 빙하기 

(Mummified Forest Highlights Post-Flood Ice Age)

by Brian Thomas, Ph.D.


     과학자들은 2010년 캐나다 북부의 엘즈미어 섬(Ellesmere Island)에서 미라가 된 숲(a mummified forest)을 발견했다. 이 숲은 분명 오래 전에 산사태로 매몰된 것인데, 최근 얼음과 빙하가 후퇴하면서 노출되었다. 어떻게 그러한 나무들이 오늘날 너무나도 추운 그러한 장소에서 자랄 수 있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그러나 발견된 몇 가지의 단서는 성경적인 타임라인(time line)과 설정에 잘 들어맞으며 진화론적인 추정과는 모순된다.

그 예로서 통나무, 잎, 침엽(needles), 종자꼬투리(seedpods) 등은 광물질로 대체되지 않았다. 그리고 ”정교하게 보존된” 원형 그대로의 유기물로 발견되었다. 이들의 연대는 2백만~8백만 년으로 정해졌는데, 이것은 이미 ‘알려져 있는’ 연대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된 다양한 화분(pollen)과 비교하여 얻어진 결과이다[1]. 식물병리학자인 로버트 블란쳇(Robert Blanchette, 그는 미라 숲이 발견된 장소를 잘 알고 있었지만 본 연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는 내셔날 지오그래픽 뉴스에서 ”마치 당신이 임상(forest floor)에서 나무를 막 들어 올린 것처럼 그렇게 좋은 상태로 수백 년간 보존된 나무를 발견한다는 것은 매우 예외적인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2]. 

금세기에 들어서 지구온난화로 인해 얼음과 빙하가 녹음에 따라 미라가 된 숲이 발견되게 되었다[3]. 내셔날 지오그래픽 뉴스는 ”미라가 된 나무들이 그렇게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은 산사태로 인해 나무가 매우 빠르게 매몰되었고, 분해를 촉진하는 공기나 물의 접촉이 없었기 때문”으로 제안하였다[2]. 하지만 분해를 촉진하는 요인이 없다고 해서 어떤 특정한 요소들이 기적적으로 나무의 고유한 성질을 그렇게 오랫동안 보존시킬 수 있었는가의 문제를 설명해주지 못한다.

오하이오 주립대학의 조엘 바커(Joel Barker)는 이 연구의 수석연구자이다. 대학의 보도 자료에서 그는 DNA 검사를 수행할 계획이라고 하였다[1]. 만약 DNA를 냉동시킨다면 수백만 년간 보존이 가능할까?

실험실의 DNA 연구에 의하면, 식별 가능한 단편(최소 500 염기쌍 길이)을 섭씨 -50℃ 이하로 지속적으로 보존한다면 10만년 이후에는 작고 식별할 수 없는 조각들로 분해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 그러나 엘즈미어 섬의 작은 도시 얼럿(사람이 계속 거주할 수 있는 세계 최북단에 위치)에서 8월의 따뜻한 달의 온도는 섭씨 0℃ 주변을 맴돈다.[5]

따라서 미라 숲에 대해 사람들이 추정하는 수백만 년이라는 연대는 과학적으로도 성경적으로도 모순되는 것이다. 만약 수백만 년이 아니라면, 이 숲은 언제 존재했던 것일까? 바커는 미라가 된 나무들의 나이테가 매우 좁은 것을 관찰했는데, 이것은 숲이 스트레스가 매우 심한 조건에서 생존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

”이러한 나무들은 북극에서 매우 혹독한 시기에 생존했다. 엘즈미어 섬은 온대 활엽수림의 환경에서 상록활엽수의 환경으로 빠르게 변화되었는데, 그것이 바로 우리가 오늘날 볼 수 있는 불모지의 잡목림으로 가는 길이다”[1]라고 그는 말한다. 

미라 숲의 나무들이 고사되었을 때 나이는 최소 75년생 이었다[1]. 왜 이 나무는 고작 그것밖에 살지 못했을까? 어떤 드라마틱한(극적인) 기후변화가 이러한 숲의 처음과 마지막의 흔적을 남기게 했을까? 왜 미라 숲은 그렇게 원형 그대로의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것일까?

이러한 질문들은 성경적 역사의 시간 틀을 채택함으로써만 그 답을 얻을 수 있다. 노아홍수의 격변기 동안에 상승된 맨틀 물질로 인해 따뜻해진 대양의 물은 기상패턴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을 것이고, 그로 인해 노아홍수 이후의 빙하기(Ice Age)를 촉발했던 것이다. 이 시기에 특정 장소에 얼음이 형성되는 동안, 북극에서는 대양의 따뜻해진 공기로 인해 온대의 회랑지대(corridors, 내륙에서 항구 등으로 통하는 좁고 긴 지형) 역시 존재하게 되었다[6].

대홍수 이후에 산림은 북극의 회랑지대에서도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그 지역은 숲이 조성되기 이전에는 거의 따뜻하거나 충분한 물이 없던 곳이었다. 대양이 냉각된 이후에는 온도가 급격하게 떨어져 계속 추운 상태로 변화되었다. 대홍수 이후 물에 의해 얼마 전까지 영향을 받았던 언덕들은 다소 불안정한 상태로 남아있게 되었다. 그 후 몇 년 후에 지각운동으로 인해 이러한 재료들이 붕괴되어 산사태가 일어났고, 숲이 매몰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 모든 일은 지난 4,500년 이내에 일어났으며, 오늘날 엘즈미어 섬에서 발견되는 잘 보존된 나뭇잎과 숲 재료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해준다. 성경적인 타임라인은 비교적 쉽게 그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반면, 진화론의 입장에서는 너무도 많은 질문들에 답을 하지 못하고 있다.



References

1. Gorder, P. F. Ancient Forest Emerges Mummified from the Arctic. Th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release, December 16, 2010, regarding research presented December 17, 2010, at the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0 Fall Meeting in San Francisco.
2. Inman, M. Mummified Forest Found on Treeless Arctic Island. National Geographic Daily News. Posted on news.nationalgeographic.com December 17, 2010, accessed January 3, 2011.
3. Vardiman, L. 2009. A New Theory of Climate Change. Acts & Facts. 37 (11): 10.
4. Criswell, D. 2006. How Soon Will Jurassic Park Open? Acts & Facts. 35 (6).
5. Climate Data Almanac, Alert, NunavutNational Climate Data and Information Archive, Environment Canada. Posted on climate.weatheroffice.gc.ca, accessed January 5, 2010.
6. Vardiman, L. 2010. An Ice Age in Yellowstone National Park. Acts & Facts. 39 (12): 12-14.      

 

번역 - 문흥규

링크 - http://www.icr.org/article/mummified-forest-highlights-post-flood/

출처 - ICR News, 2011. 1. 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