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화석의 연대를 결정하는 방법 : 공룡의 연부조직이 중국에서 대대적으로 발견되었다.

화석의 연대를 결정하는 방법 

: 공룡의 연부조직이 중국에서 대대적으로 발견되었다.

(How (Not) to Date a Fossil)

by Brian Thomas, Ph.D.


     암석과 화석은 수천만 년 전의 것이라는 단서를 가지고 있는가? 중국의 다오후고우(Daohugou) 지층에서 나온 화석에서 그러한 단서는 없었다. 오히려 반대로, 화석들은 최근의 기원을 가리키고 있었다.


중국 베이징 북동부의 접근할 수 있는 여러 암석 노두들에서, 화석 수집가들은 지난 몇 십 년 동안 가장 잘 보존된 곤충과 다른 절지동물 화석들을 포함하여, 친숙하거나 친숙하지 않은 척추동물 화석 등 많은 화석들을 발굴해왔다. 그들은 언제 퇴적된 것일까? 연구자들은 다오후고우 척추동물 화석들의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척추동물 고생물학 지에 게재하면서 이렇게 썼다 : ”이 지역에서 발굴된 화석들로부터 다오후고우 지층의 연대에 있어서 상충되는 의견들이 급속하게 나타나고 있다.”[1]


연구의 저자들은 다오후고우 지층을 쥐라기 중기에서부터, 쥐라기 말기, 심지어 백악기 초기로 분류했던 동료-평가된 보고들을 인용했다. 이러한 차이는 기존의 진화론적 시간 틀로 4천만 년에 해당하는 차이이다. 이 화석들이 퇴적 시기에 관한 명확한 단서를 가지고 있다면, 왜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연대를 제안하고 있었던 것일까?


이들 지층의 연대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주요 방법은 비슷한 모습을 가진 화석들의 상관 관계에 기초하고 있다. 화석 생물이 들어있는 지층의 연대 결정은 그 생물이 특정한 진화론적 지질시대 동안 살았었다는 가정(assumption)에 기초한다. 다른 말로해서, 그 방법은 어떤 연대를 할당하기도 전에 수백 수천만 년의 진화를 가정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유사한 화석이 발견되는 모든 지층들은 다른 대륙에 떨어져 있다하더라도 같은 진화론적 지질시대로 가정한다.


그러나 많은 다오후고우 화석들은 여러 지층들에 걸쳐 발견된다. 따라서 각 지층들은 장구한 시간을 나타낸다고 가정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생물이 수천만 년 동안 변화되지 않고 살아왔다고 가정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연대 지표로서 표준화석을 사용하는 개념과 모순되는 것이다. 연구의 저자들은 어떤 표준화석이 ”상당한 기간의 지질학적 시간 동안 살았었다”는 것을 인정했을 때, 무의식적으로 이 모순을 드러내고 있었던 것이다.[2] 이러한 점은 화석에 기초한 연대 평가들이 잘못되었을 수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어떤 표준화석이 상당한 기간의 지질학적 시간 동안 살았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전체 화석연대 평가 방법을 무효화시키는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표준화석은 그 화석의 출현 이전 또는 이후에도 살아있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이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들의 진화론적 선입견과 적합한 화석을 선택하고, 가장 잘 어울릴 것 같은 연대를 선택한다.


같은 보고서의 또 다른 사례에서, 연구팀은 잘못된 지층에서 발견된 어떤 식물과 곤충 화석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었다. 그들은 썼다 : ”그러나 쥐라기 중기의 표준화석으로 간주되는 어떤 식물과 무척추동물 군이 중국 북동부의 쥐라기 말기에도 살아있는 것은 이러한 분명한 모순을 해결해줄 수도 있다.”[1] 이 경우에서, 저자들은 고대 생물이 수천만 년 동안 진화하는 데에 실패했다고 상상함으로써 그 모순(표준화석이 상당한 지질학적 기간 동안 살아있는 것)을 해결하고 있었다. 화석을 가지고 화석의 연대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주관적인 것이다.


그들의 보고서는 화석 속임수의 몇몇 사례들을 또한 보여주고 있었다. 저자들은 랴오닝도롱뇽(Liaoxitriton)이라 불리는 (유명한 다오후고우 지층에서 발굴된) 도롱뇽(salamander) 화석과 같은 증거를 진화론적 시간 틀 내로 강제로 끼워 맞추기 위해 씨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저널에 따르면, 이 화석은 오늘날 살아있는 현대의 Hynobiidae(도롱뇽 과)처럼 보였다. (사진은 여기 클릭). 화석 도롱뇽과 살아있는 도롱뇽 사이에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면, 그 생물이 화석화된 이후로 매우 적은 시간이 흘렀을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Liaoxitritonis가 오랫동안 살았던 속이 아니라면, (Shuikouzi 지역의) 다오후고우 지층과 익시안 지층(Yixian Formation)에서 Liaoxitritonat가 같이 존재하는 것은 이들 지층의 연대가 서로 가까움에 틀림없다는 것을 의미한다.[1] 도롱뇽이 발견된 지층의 연대를 먼저 알지 못한다면, 도롱뇽이 조금도 변화하지 않은 채로 얼마의 오랜 기간을 살아왔는지, 어떻게 알 수 있겠는가? 그리고 그 생물이 얼마나 오래 살아왔는지를 먼저 알지 못한다면, 누가 그 연대를 알 수 있겠는가?


세속적 연구자들이 화석에 나이를 할당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결함이 있는 추론에 기초하여 명확한 단서가 결여되어 있음에 기인하는 것이다. 분명히 진화론적 사고는 그들의 세계관을 부정하는 당황스러운 증거들을 외면하고 눈감아 버린다. 예를 들면, 광물화되지 않은 화석 내부에 아직도 남아있는 원래 연부조직과 같은 것들이다. 척추고생물학 지의 보도 자료는 심지어 다오후고우 지층에서 발굴된, 주변 이암과는 다르게 자외선을 반사하고 있는 깃털 새의 원래의 뼈 물질과 연부조직을 보여주고 있었다.[3] 그러한 생물학적 유기물질이 1백만 년 동안이나 (1억6천만 년은 말할 것도 없고) 유지될 수 있다는 생각은 신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것이다.[4]   


다오후고우 지층에서 발굴된 식물, 곤충, 도롱뇽, 조류, 포유류(날다람쥐 유사한 생물과 비늘 꼬리를 가진 수달과 유사한 생물을 포함하여), 익룡, 공룡 같은 화석들은 형성되는 데에 수천만 년을 필요로 했는가? 전혀 아니다. 그들은 노아 홍수와 같은 대격변으로 형성되었다고 보는 것이 훨씬 더 합리적이다. 분명히, 오늘날에는 일어나지 않는 과정인, 어떤 거대한 진흙 흐름의 재앙이 이들 모든 생물들을 삼켜버렸고, 함께 보존시켰다.


척추고생물학 지의 보도처럼, 암석 지층은 과거 생물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창(window)이 아니라, 대홍수 격변 시 죽었던 생물들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하는 창인 것이다.[3]



References
1. Sullivan, C. et al. 2014. The vertebrates of the Jurassic Daohugou Biota of northeastern China. Journal of Vertebrate Paleontology. 34 (2): 243-280.
2. Their quote in context, from ref. 1: 'Vertebrate paleontologists have sometimes argued that the vertebrate assemblage preserved at the Daohugou locality resembles Late Jurassic and Early Cretaceous rather than Middle Jurassic equivalents, supporting the inference that the Daohugou strata are relatively young. However, these vertebrate-based correlations are not persuasive because they involve supraspecific, and in almost all cases even suprageneric, taxa [life forms] that might be expected to persist for considerable spans of geologic time.'
3. Prequel Outshines the Original: Exceptional Fossil of 160 Million Year Old Doahugou [sic] Biota. Society of Vertebrate Paleontology Press Release, posted on vertpaleo.org accessed March 24, 2014.
4. Thomas, B. A Review of Original Tissue Fossils and Their Age Implications. In M. Horstemeyer, ed., 2013,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 Pittsburgh, P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8054/

출처 - ICR News, 2014. 4. 2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