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빅뱅 이론을 부정하는 별들의 발견

미디어위원회
2022-07-21

빅뱅 이론을 부정하는 별들의 발견

(Stars Defy Big Bang)

by Jake Hebert, PH.D.  


    최근 독일 쾰른 대학(University of Cologne)과 체코 마사리크 대학(Masaryk University)의 천문학자들은 빠르게 움직이는 한 별이 우리 은하(Milky Way) 중심부 주위를 불과 4년 만에 돌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1, 2] 이러한 정보를 얻어낸 것은 거의 20년치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인상적인 기술적 업적이었다. 그러나 S4716으로 이름 붙여진 이 빠르게 움직이는 별과, 그와 같은 다른 별들은 진화 천문학자들에게 문제가 되고 있다.

천문학자들은 우리 은하 중심에 궁수자리 A*(Sagittarius A*)라고 불리는 초대질량 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3] 어떤 별들은 궁수자리 A*에 매우 가까이 붙어서 공전한다. 이들은 궁수자리 A*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S 항성(S stars)’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다.[4] 이들 궁수자리 A*를 도는 S 항성들의 일부 궤도는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다. 

천문학자들은 S4716의 짧은 궤도에 놀랐다. 선임저자이자 천체물리학자인 플로이드 피어스커(Floyd Peissker)는 "초거대 블랙홀 근처에서 별이 이렇게 가깝고 빠르게 안정된 궤도에 있다는 것은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며, 전통적 망원경의 관측 한계를 드러냈다"고 말했다.[1] 천체물리학자인 마이클 자야첵(Michael Zajaček)은 덧붙였다. “단주기의 짧은 S4716의 궤도는 상당히 당혹스럽다... 별들은 블랙홀 근처에서 그렇게 쉽게 형성될 수 없다. 예를 들어 S4716은 S 성단의 다른 별과 천체들에 접근함으로 안쪽으로 움직여야만 했고, 이로 인해 S4716의 궤도가 크게 줄어든 원인이 되었을 것이다."[1]

만약 S4716이 궁수자리 A* 근처에서 형성될 수 없었다면, S4716은 궁수자리 A*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형성되었다가, 어떻게든 궁수자리 A* 근처로 이동했을 것이다. 하지만 위의 발언을 볼 때, 이것은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논문의 저자들은 이것을 실현시킬 수 있었던 메커니즘에 대해 추측하고 있었지만, 그들은 그들의 추측이 "더 상세한 수치적 시뮬레이션에 의해서 검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었다.[2]

S2 또는 S0-2로 불리는 또 다른 별은 16년을 주기로 블랙홀 주위를 돌고 있었는데, 이것도 또한 주류 이론가들에게 문제가 되고 있었다. 천문학자들은 이 별은 젊고 뜨거운 ‘청색 주계열성(blue main sequence star)'에 속하는 별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들은 "초거대 블랙홀에 가까운 곳에 그러한 젊은 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어렵다"고 인정하고 있었다.[5] 진화론적 계산에 의하면, S2는 1천만 년 전보다 조금 전에 형성되었어야 한다. 그러나 S2의 현재 위치 근처의 강한 조석력은 그 별이 그곳에서 형성됐을 수 있었다는 것을 배제하는 것처럼 보인다.[5, 6] 그 별은 더 멀리에서 형성되었다가 안으로 이동했을까? 아마도, 그러나 이 과정은 매우 효율적인 이동 과정을 필요로 하지만, "이곳 별들의 분포에 대한 현재의 이해는 그렇게 효율적인 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5] 다시 말해, 이동 과정은 '주계열' 별의 수명보다 더 긴 1천만 년 이상 걸렸을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진화론적 계산에 의하면, S2는 존재해서는 안되는 것이었다.

천문학자들은 S2를 설명할 다른 방법들을 제안했지만, 그들은 "가능성들 중 어느 것도 만족스러운 것은 없다. 초대질량 블랙홀 근처에 있는  S2는 젊은 연대를 가리키며 모순이 되고 있다“고 인정하고 있었다.[5]

물론 이것은 성경이 가리키고 있는 것처럼, 우리 은하가 단지 6,000년 정도라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하지만, 그것은 빅뱅 천문학자들이 주장하는 138억 년보다 훨씬 젊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는 수많은 "이상(anomalies)"과 "모순" 중 하나가 되고있는 것이다.[7-11]

많은 창조론자들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theory of relativity)이 젊은 우주에서 수십억 광년의 별빛이나, 오랜 시간을 요구하는 것처럼 먼 우주에서의 과정들과 같은 수수께끼를 설명할 수 있는 열쇠라고 생각하고 있다.[12] 상대성 이론은 먼 곳에서 우주의 시계는 여기 지구의 시계보다 훨씬 빨리 돌아갔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지구의 시계로 측정될 때, 우주의 나이는 단지 6,000년 정도 되었지만, 먼 우주의 시계는 이것보다 더 오래 되었을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은 성경과 모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창조의 날들은 분명히 여기 지구에서 지구의 시계로 측정되기 때문이다.[13] 그러나 이것이 하나님이 멀리 있는 별빛을 우리가 빨리 볼 수 있게 한 방법이라 할지라도, 진화론적 연대는 여전히 크게 부풀려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교적 젊음을 가리키는 증거들은 여기 지구와 태양계 내에서 가득하다. 그러나 오랜 연대를 가리키는 증거들이 많다는 먼 우주에서도, 모든 것이 빅뱅 이론과 잘 들어맞지 않는다는 많은 단서들이 있다. 우리의 우주는 '빅뱅'의 결과가 아니고, 단지 6,000년 전에 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창조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발견은 놀라운 것이 아니다.[14, 15]


References

1. 8,000 kilometers per second: Star with the shortest orbital period around black hole discovered. Phys.org. Posted on phys.org July 5, 2022, accessed July 5, 2022. 

2. Peiβker, F. et al. 2022. Observation of S4716 – A Star with a 4 yr Orbit around Sgr A*. The Astrophysical Journal. 933 (1). 

3. The black hole’s name comes from the fact that it is located within the constellation Sagittarius.

4. Yirka, B. The fastest star ever observed. Phys.Org. Posted on phys.org August 17, 2020, accessed July 7, 2022. 

5. Ghenz, A. M. et al. 2003. The First Measurement of Spectral Lines in a Short-Period Star Bound to the Galaxy’s Central Black Hole: A Paradox of Youth. The Astrophysical Journal. 586: L127-L131.

6. Tidal forces are forces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strength of gravity on one side of an object compared to the other side. Because of their extreme gravity, tidal forces near black holes are very large.

7. Hebert, J. Our Young Solar System. Acts & Facts. 47 (9). 

8. Hebert, J. Deep Space Objects Are Young. Acts & Facts. 48 (9). 

9. Hebert, J. 2020. “Hot Jupiter” on the Verge of Destruction.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March 19, 2020, accessed July 7, 2022. 

10. Hebert, J. 2020. Hot Neptune Atmosphere “Shouldn’t Exist”.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November 5, 2020, accessed July 7, 2022. 

11. Hebert, J. 2021. New Exoplanet’s Year is Just 16 Hours.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December 31, 2021, accessed July 7, 2022. 

12. Hebert, J. 2022. Seeing Distant Starlight in a Young Universe. Acts & Facts. 51 (7). 

13. In Genesis 1, the days of creation are measured by “evening and morning”, which clearly implies time measured by Earth clocks.

14. Genesis 1, Psalm 19:1-2, Colossians 1:13-18.

15. Johnson, J. J. S. 2008. How Young is the Earth? Applying Simple Math to Data Provided in Genesis. Acts & Facts. 37 (10): 4.   

*Dr. Hebert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physics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참조 : 초기 우주의 회전하는 원반은하는 빅뱅이론에 도전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3926383&bmode=view

나선은하는 우주론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흐릿해지도록 감겨지고 있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70&bmode=view

청색별은 수십억 년의 연대와 조화되지 않는다. : 새로운 연구도 청색 낙오자의 젊음을 설명하지 못한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63&bmode=view

젊은 창조에 대한 '별 증인' : 젊은 우주를 가리키는 청색별과 중성자별들 

http://creation.kr/Cosmos/?idx=1757531&bmode=view

젊은 청색별이 우리 은하에서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55&bmode=view

빠르게 사라지는 독수리 성운의 ‘창조의 기둥’ : 파괴율에 대한 평가는 0.1% 정확도였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85&bmode=view

젊은 우주를 가리키는 한 증거 : 초신성 잔해들이 부족하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58&bmode=view

잘못 평가되었던 초신성들의 연대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91&bmode=view

생각했던 것보다 80%나 젊어진 초신성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82&bmode=view

초신성 잔해들은 모두 어디로 갔는가?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73&bmode=view

수많은 쌍성(연성)들은 젊은 우주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757379&bmode=view

불가능한 네 쌍의 별들이 발견되었다 : 2.5시간 마다 서로를 돌고 있는 연성(binary star) 

http://creation.kr/Cosmos/?idx=1293973&bmode=view

수십억 년의 태양계에서는 모든 것들이 기괴하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14&bmode=view

나는 젊다고 외치고 있는 태양계!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319&bmode=view

하늘은 젊은 태양계를 선포하고 있다 : 혜성, 달, 뜨거운 목성형 행성들이 말하고 있는 것은?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01&bmode=view

태양계 행성들에서 밝혀진 새로운 사실들 1 : 수성, 금성, 달, 화성, 소행성들은 젊은 연대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92&bmode=view

태양계 행성들에서 밝혀진 새로운 사실들 2 : 목성, 토성, 위성들, 혜성들은 젊은 연대와 창조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93&bmode=view

지구 자기장의 붕괴가 중요한 이유

http://creation.kr/Earth/?idx=2530262&bmode=view

지구 자기장은 생각했던 것보다 지속될 수 없다.

http://creation.kr/Earth/?idx=1294097&bmode=view

태양은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까?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67&bmode=view

한결같은 태양 : 수십억 년의 연대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154&bmode=view

미약한 젊은 태양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130&bmode=view

맹렬하게 화산을 분출하고 있는 목성의 위성 이오는 수십억 년의 태양계 나이를 거부한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304&bmode=view

뜨거운 용암을 분출하고 있는 이오(Io) : 수십억 년의 연대를 거부하는 한 작은 목성의 위성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97&bmode=view

토성의 오로라와 자기장 : 젊은 토성과 창조의 증거.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86&bmode=view

토성의 젊은 고리 문제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757538&bmode=view

태양계 천체들의 새로운 유행 - 바다의 존재 : 유로파에서 관측된 200km의 물기둥이 의미하는 것은?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24&bmode=view

목성의 위성 유로파도 물 기둥을 분출하고 있었다 : 젊은 태양계를 가리키는 또 하나의 증거.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80&bmode=view

엔셀라두스에서 발견된 101개의 간헐천들 : 증가하고 있는 젊은 태양계의 증거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87&bmode=view

엔켈라두스의 간헐천들은 넓게 커튼처럼 분출되고 있었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94&bmode=view

명왕성의 젊은 모습으로 곤혹스런 지질학자들

https://creation.kr/SolarSystem/?idx=10472599&bmode=view

명왕성의 대기가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었을까?

https://creation.kr/SolarSystem/?idx=8396096&bmode=view

명왕성의 지질학적 복잡성은 지구에 필적한다 : 극도로 추운 곳에 있는 천체가 수십억 년(?) 후에도 지질학적으로 활발할 수 있는가?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757540&bmode=view

소행성 세레스도 수증기를 분출하고 있었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88&bmode=view

소행성 세레스는 젊은 연대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318&bmode=view

왜소행성 하우메아도 고리를 갖고 있었다! : 작은 천체에 존재하는 고리는 젊은 연대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35&bmode=view

울티마 툴레 소행성은 젊어 보인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757539&bmode=view

위성 열병은 태양계 외곽으로 확산되고 있다 : 카이퍼 벨트의 소행성은 아직도 내부 열을 가지고 있었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02&bmode=view

늙고 젊은 모습의 소행성 베스타! : 충돌분화구(운석공)에 의한 연대 추정의 계속되는 실패

http://creation.kr/Dating/?idx=1289567&bmode=view

빅뱅이론에 반대되는 증거들 목록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2&bmode=view

천문학 지가 보도하고 있는 빅뱅이론의 위기 

http://creation.kr/Cosmos/?idx=3937185&bmode=view

빅뱅 이론은 정말 과학적인가?

http://creation.kr/Cosmos/?idx=2965866&bmode=view

빅뱅이론의 딜레마 : 초기 우주에 갑자기 등장하는 은하들 ; 빅뱅 후 약 1억5천만 년이 지난 시점에 은하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32&bmode=view

빅뱅의 특이점 - '암흑'의 시작 : 우주는 ‘무’에서부터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는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7&bmode=view

빅뱅 이론에 의하면, 우주는 존재해서는 안 된다. : 물질과 반물질의 비대칭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56&bmode=view

새로 발견된 직경 100억 광년의 초거대 우주 구조는 현대 우주론의 근본 교리를 부정하고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82&bmode=view

우주에서 지름 50억 광년의 은하들 고리가 발견되었다? : 빅뱅 이론에서 그러한 거대한 구조는 존재해서는 안 된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3&bmode=view

거대 퀘이사 그룹은 우주론적 원리를 거부한다. : 40억 광년의 지름을 가진 우주 구조의 존재? 

http://creation.kr/Cosmos/?idx=1293977&bmode=view

빅뱅 4억 년 후인 134억 년 전 은하 발견과 10억 광년 크기의 거대한 은하들의 벽 : 기록적인 우주 구조들은 빅뱅 이론에 도전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24&bmode=view

초기의 거대 은하는 빅뱅 이론의 점검을 요구한다. : 빅뱅 후 단지 10억 년 정도에 574개의 거대 은하들 발견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7&bmode=view

연결되어 있는 은하-퀘이사는 우주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 서로 다른 적색편이를 보이는 두 천체가 연결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5&bmode=view

바이-바이 빅뱅? : 진화론적 천문학에서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적색편이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3&bmode=view

모은하와 퀘이사의 물리적 연관성이 확증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3142398&bmode=view

높은 적색편이 퀘이사들은 빅뱅설과 충돌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66&bmode=view

우주 거리 측정의 기본 잣대가 흔들리고 있다 : 1a형 초신성의 광도는 일정하지 않았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08&bmode=view

빠르게 희미해지는 퀘이사들이 발견되었다. : 그것은 성경적 창조론 모델과 어떻게 적합한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53&bmode=view

별빛-시간 문제에 내재된 7가지 가정들 : 수십억 광년의 별빛은 성경적 창조론을 부정하는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36&bmode=view

멀리 있는 별빛은 우주가 오래되었음을 증명하는가? 1

http://creation.kr/Cosmos/?idx=1293949&bmode=view

http://creation.kr/Cosmos/?idx=1293950&bmode=view

별빛-거리 문제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6&bmode=view

별빛과 시간 1, 2

http://creation.kr/Cosmos/?idx=1293897&bmode=view

http://creation.kr/Cosmos/?idx=1293898&bmode=view

시간 팽창 우주론과 성경적 창조론 : 화이트홀 안쪽에 시간이 흐르지 않던 지역의 존재

http://creation.kr/Cosmos/?idx=1294038&bmode=view

수십억 광년 떨어진 별빛을 보기 때문에, 우주의 나이는 수십억 년 된 것이 아닌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3880&bmode=view

빅뱅설의 커다란 문제점들 : 별빛과 시간, 그리고 블랙홀과 화이트홀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4&bmode=view


출처 : ICR, 2022. 7. 14.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stars-defy-big-bang/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