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공룡 알의 둥지들에 대한 재해석 1

미디어위원회
2016-05-19

공룡 알의 둥지들에 대한 재해석 1 

(Dinosaur Nests Reinterpreted)

by Walter R. Barnhart


개요

공룡 알들의 둥지(nests)들은 정상적인 지표면 조건(normal subaerial conditions)에서 놓여졌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서 조사가 이루어져 왔었다. 전 세계적인 여러 장소들에서 대표적 공룡 알 집단들에 대해서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그들은 모두 퇴적작용이 자주 활발히 일어나고 있었던, 물기가 많은 환경(watery environment) 하에서 놓여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공룡의 둥지들이 정상적으로 살아가던 환경을 나타내고 있지 않으며, 대신 고도의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 하에서, 생존적 차원에서 존재했었다는 결론을 내리게 한다. 이러한 상황들은 전 세계적인 홍수 기간 동안에 공룡 알들이 놓여지게 되었다는 것과 일치한다.
 


1. 서론

지질 기록과 홍수/홍수이후 경계(Flood/post-Flood boundary)의 지질학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 가운데에서, 중생대 지층에서 발견되는 공룡 알(dinosaur eggs)들보다 더 문제를 일으키는 화석기록은 없다. (Garner, 1996, pp.101-5; Johns, 1997, p.321; Oard, 1997, pp.145-6; 1999, p.4; Robinson, 1998, pp.61-3). 많은 발견들이 빠르게 상승되는 홍수 물을 생각나게 하지만, 한편으로 공룡 알들의 둥지와 같은 것들은 분명히 느린 과정을 가리키는 것처럼 보인다. 이들에 관한 의문들은 공룡 알들의 원래 둥지를 다룬 최초의 책에서, 공룡 둥지들은 전 지구적인 홍수에 수반되는 파도작용이 없었던 상당 기간 동안에 일어났음에 틀림없다 라고 가정했기 때문에 일어났다. 공룡들이 둥지를 짓고, 알들을 품고, 어미 공룡에 의해서 부화시키는 데에(새끼들이 부화 장소에서 자라는 것까지) 걸리는 기간은 몇 일에서 몇 달까지 다양할 수 있다. 이것은 몇몇 저자들에게, 그러한 공룡 둥지들이 의미하는 분명한 기간은 홍수 이전이나, 홍수 이후에 일어났음에 틀림없다 라는 생각을 갖게 하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공룡 둥지가 있는 지층과 이들 위, 또는 아래의 지층은 홍수 이전, 또는 홍수 이후 지층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 나는 공룡 어미들이 정상적인 생활 주기 동안 존재했던 토양 층 위에 알들을 낳았는지, 또는 알들이 홍수 상황 동안 육지 표면으로 홍수물이 증가하는 동안 놓여졌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들 둥지들의 구조와 수반되는 증거들을 재조사하였다. 만약 알들이 물이 있는 환경에서 놓여지게 되었다면, 이것은 임신 중의 암컷 공룡들이 노아의 홍수와 같은 비정상적인, 그리고 고도의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에서 알들을 낳았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그러한 상황은 공룡 알 둥지들이 홍수 후에 이루어졌다거나, 어미 공룡들이 알을 품었었다는 주장들을 즉각적으로 배제시키거나 포기하도록 강요할 것이다.


2. 간략한 역사

공룡 알들은 전 세계의 여러 장소에서 풍부하게 발견되었다. 주목된 최초의 발견은 1859년, 그리고 1869년에 프랑스에서 였다 (Buffetaut and LeLoeuff, 1994, pp. 31-2). 공룡 알들에 대한 대중적인 지식은 1923년 몽골을 탐사한 미국 자연사박물관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견을 통하여 일어났다. 이 발견은 또한 공룡알 둥지(그림 1을 보라)에 대한 사진을 대중화하였다. 그 이후에도 이들 두 장소에서 추가적인 발견들이 있었고, 루마니아(Grigorescu, et al., 1994), 인도(Sahni, et al., 1994), 아르헨티나(Oard, 1999, p.3), 우루과이(Faccio, 1994), 북아메리카의 록키산맥(Hirsch, 1994) 등에서의 중요한 발견들은 연구에 이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들을 상당히 추가시켰다. 

그림 1. 몽골에서 발견된 프로토케라톱스(Protoceratops(?))의 알 둥지(egg nest). 준비되고 전시됨으로서 순서가 바뀌었다. (그려진 것으로부터 다시 그려짐. Moratalla and Powell, 1994, p. 42, Figure 3.8).


이 장소들에서, 알들은 자주 '둥지(nests)'로서 문헌들에 언급되는 여러 다른 배치를 가진 배(clutches, 한 번에 낳은 알)들로 나타난다. 그러나 또한 단독으로 있거나, 넓은 장소에 껍질 파편들이 흩뿌려져서 분포하기도 한다. 태아가 들어있는 공룡 알이 하드로사우르스(hadrasaur)의 골격 잔해 내부에서 발견되기도 하였고(Hirsch 1994, p.138), 태아기의 조반류 공룡(embryonic ornithischian dinosaur)이 들어있는 또 다른 공룡 알이 앨라배마에서 완전한 바다 환경인 백악(chalk) 층에 보존되어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부유하여 떠다니던 임신 중인 공룡 암컷의 몸체에서 알들이 떨어졌던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Ensign, 2002, p.8).

단순히 공룡 알들의 발견으로 모든 공룡들이 난생(卵生, oviparity)이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Paul, 1994, p.247). 현대 파충류 중에서는 난생과 태생(胎生, viviparity)이 둘 다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ckard, et al., 1997, p.75). 일부 증거들은 공룡들에서도 난생과 태생이 있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 (공룡의 난태생 문제는 이 논문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며, 다음 번에 논의되어야할 것이다). 화석 파충류 중에서, 익티오사우르스(ichthyosaurs, 어룡)는 태생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일부 공룡 알들이 놓여졌을 때, 배아 발달이 이미 상당히 진행 중이었을지도 모른다는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3. 둥지의 형태

공룡 알 집단은 둥지(nests)라고 불리는 여러 정렬을 통해 발생한다. 미카일로프(Mikhailov) 등은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1994, p.110).

”둥지의 3 가지 기본 형태는 몽고의 공룡 알 장소에서 구별될 수 있다 : 하나는 전형적인 땅속 형태의 둥지(underground(hole) nest)이고, 2 가지는 흙으로 만든 둔덕 형태의 둥지(mound nests)로서, 이러한 둥지는 모래나 식물 없이 지어졌다.”

대조해서, 모라탈라(Moratalla)와 포웰(Powell)은 전 세계적으로 공룡 알 둥지의 형태를 확인하였다 (1994, p. 38).

”.... 두 종류의 큰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모여 있는(clutched, nest) 형태와 늘어서 있는 선형(linear) 형태가 있다. 모여 있는 둥지 형태는 다시 알들의 분포상태에 따라 동심원의 형태(concentric circles), 나선형의 형태(spirals), 뒤집어진 원추형 형태(inverted cones) 등으로 더 나뉘어질 수 있다. 늘어서 있는 형태(linear type)는 또한 평행하게 열을 지은 형태 (parallel row)와, 호(arcs)를 이루는 형태로 발생한다.”

몽고에서의 발굴로부터, 둔덕 형태의 둥지(mound nests)들은 다음과 같은 상황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식물로 만들어졌고, 둥지를 이루는 물질의 부패와 매몰 후에 알들이 떨어(놓여)졌고,  그 위를 덮은 퇴적물의 압력은 각각의 알들을 긴 쪽에 수직으로 납작하게 만들었다.” (Mikhailov, et al., 1994, p.111).  

비록 식물들의 압착과 알들의 파쇄는 수직적인 위치에서 더 있음직하게 보이지만, 이것은 부화(hatching) 후에 그러나 확실히 식물들의 부패와 알들의 파쇄 이전에 매몰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대조해서, 모래 둥지(sand nests)라고 불리는 둥지들은 알들이 모래에 의해서 수직적인 위치에서 지지되도록 놓여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수직적으로, 또는 준수직적인 위치에서 보존되었다 (Mikhailov, et al., 1994, p. 112).

한 배의 알들(egg clutches)에서 발견되는 복잡하고, 규칙적이고, 기하학적인 배열을 만들 수 있는 공룡들의 능력에 관해서는 상당한 불일치가 있다. 미카일로프(Mikhailov) 등은, ”암컷들이 알들을 그런 위치에 놓이도록 했다는 것은 믿어지지 않는다”고 인정했다 (1994, p.111). 둔덕 주변에 토양으로 교대로 덮여져 있는 여러 준수직적 동심원들을 포함하고 있는 알들의 일군들에 대해 말하면서, 모라탈라와 포웰(Moratalla and Powell)은 그러나 두 평행한 열로 놓여있는 공룡 알들의 패턴은...암컷이 알들을 낳은 후에 재정렬되었다는 것을 제시한다고 언급했다 (1994, p.41). 알들의 규칙적인 기하학적 배열이 흔하게 발생하는 것에 의거하여, 공룡들은 기하학적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그들은 제안하였다 (Moratalla and Powell, 1994, p.44). 이것은 어떠한 현존하는 파충류를 근거로 한 가정이 아니다. 그러나 규칙적이고, 기하학적인 패턴은 존재한다. 그래서 이전의 추측은 공룡들이 마른 땅 위에 이러한 패턴들이 만들어지도록 조작해 놓았다는 것이었다. 


4. 양막이 있는 알들로부터의 증거.

양막이 있는 알(amniotic egg)은 대기 환경에서의 건조(desiccation)로부터 태아의 발달을 보호해 주기 때문에, 4족 보행동물(tetrapods)들이 물에다 알들을 낳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해주었다. (Carpenter, et al., 1994, p.4). 그러나 양막이 있는 것으로 공룡 알들을 기술할 때에, 공룡들은 공기를 호흡하는 생물체임을 확인하는 것이다. 공룡 알들에 대한 전자현미경 연구에 의하면, 환경과 가스 교환을 했던 다양한 공극 시스템(pore systems)을 보여주었다. 공룡 알들의 가스 교환율은 조류 알(bird eggs)들의 가스교환율에 비해 8배에서 수백 배까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Faccio, 1994, p.52). 이러한 높은 기체 교환율은 공룡 배아들에 제시된 매우 빠른 성장률을 위해서는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만약 공룡 알들이 물에 빠지게 된다면, 배아들은 익사(drowning)에 매우 민감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달걀(chicken egg)을 단지 수 분 정도만 물에 담가도 배아는 죽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공룡 알들의 경우에도 똑같을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정말로 공룡 알들의 껍질에서 발견되는 파손의 패턴은, 빠르게 물을 흡수함으로서 내부 수압(internal hydrostatic pressure)의 증가에 의해서 원인된 문자 그대로 껍질의 폭발(explosion of the shell)의 결과였던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물의 흡수(water absorption)는 배아를 물에 빠져 죽게 했을 것이다.


5. 공룡들이 알을 낳는 동안 스트레스 하에 있었다는 증거들.

둥지 안에 있는 공룡 알 배(clutches)들의 존재는 두 대중적인 사진들에 기초하였다. 그림 1은 1923년에 몽골에서 발견되어 대중들에게 전시된 프로토케라톱스(Protoceratops) 알들의 배이다. 그리고 그림 2는 1981년 프랑스의 Rousset-sur-Arc 북쪽에서 발견된 티타노사우르스(titanosaur) 알들의 둥지이다. 주의 깊은 연구자들은 일반 대중들에게 제시되는 둥지들에 대한 유행하는 사진 너머를 바라보게 된다. 그들은 알들에서 보여지는 물리적 정렬을 통해서 알들이 놓여질 당시에 무엇이 일어났었는지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이러한 이해는 임신한 공룡 암컷들이 알들을 낳을 때 어떤 상황이었는지를 추측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림 2. 프랑스 Rousset에서 발견된 첫 번째 공룡 알들의 배(clutch). 1981년 Kérourio에 의해서 한 둥지로부터 그려졌다.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 (도해로부터 다시 그려졌다. Cousin, et al., 1994, p. 69).


몬태나주의 두 메디슨 지층(Medicine Formation)으로부터(1994, p.312, as cited in Moratalla and Powell, 1994, p.41), 가끔 풍부한 염류피각(caliche, 자갈, 모래, 암층 등이 다공질의 탄산칼슘이나 기타의 염류로 고결된 것)을 가지고 있는(Horner and Currie) 녹회색의 이암(mudstone)에서 한 둥지로 분류된 트루돈(Troodon)(?) 알들의 늘어서 있는 형태(linear pattern)가 두 개의 평행한 열을 지어서 발견되었다 (그림 3). 둥지에서 알들이 쌍을 이루는 것은 비교적 흔하며, 몽골에서의 프로토케라톱스의 배들을 포함하여 여러 예에서 볼 수 있다 (그림 4).

미카일로프(Mikhailov) 등의 기록에 의하면, 알들은 자주 쌍으로 보존되어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알들이 난관에서 둘이 동시에 배출되고 점액분비로 함께 달라붙어 있는 결과에 기인한다고 하였다 (1994, p.99). 그러나 그림 3의 알들과 관련하여, Moratalla와 Powell은 ”이 패턴은 알들이 놓여진 후에 암컷에 의해서 재정렬 되었음을 가리키고 있다”고 말하였다 (1994, p. 41). 그 이유의 하나로 테로포드는 짧은 앞다리로 알들을 다루기에 적절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림 3. 미국 몬태나주에서 발견된 두 개의 평행한 열을 지으며 놓여진 테로포드(Theropod)의 알들. (Redrawn from diagram, Moratalla and Powell, 1994, p. 41. Figure 3.7).


공룡 알들의 규칙적인 패턴은 공룡에 의해서 처리(manipulation)된 것을 가리키는가? 그림 3을 볼 때, 쌍으로 놓여진 알들 사이에 꽤 큰, 그러나 일정한 간격이 있다는 것은 알들이 단지 떨어졌고, 암컷에 의해서 처리되지 않았음을 가리킨다.

쌍을 이룬 알들 사이의 거리는 그들이 난관에서 쌍으로 존재했다는 것과 일치하는 기계적 결정을 가리킨다. 배치의 기계적 본질은 미카일로프 등이 몽고에서 발견된 공룡 알들에 대해서 언급할 때 강조되었다 (1994, p.99). ”알들은 자주 쌍으로 보존되었는데, 이것은 아마도 알들이 난관에서 둘이 동시에 배출되고 점액분비로 함께 달라붙어 있는 결과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쌍으로 된 알들은 임신 중인 암컷이 스트레스를 받았다는, 즉 짐이 되는 알들을 가능한 빠르게 몸에서 제거시키고자 노력했었다는 하나의 징후(sign)가 될 수 있다. 알들은 이 패턴으로 암컷에 의해서 조작되지 않았을 것이다. 대신 단순히 알들을 떨어뜨렸고, 알을 낳으며 계속 앞쪽으로 전진함으로서 선형 패턴(linear pattern)으로 남겨지게 되었다.

그림 4. 몽골에서 발견된 프로토케라톰시드(Protoceratopsid)의 알들 (Redrawn from photo, Mikhailov, et al. 1994, p. 102. Figure 7.12A).


양쪽 난관(oviducts)이 동시에 기능을 하는 어떠한 예도 현존하는 파충류에서 발견될 수 없다. 한 배(clutch)에 많은 알들을 놓는 파충류는 녹색 바다 거북(green sea turtle)으로 이들은 파낸 하나의 모래 둥지(sand nest)에 200개 이상의 알들을 놓는다. 반면에 해변에서 암컷 거북이들은 알들이 약탈되는 경우에 알들을 한 번에 하나씩 놓는다. 알들은 둥글고, 배설강(cloaca)이 꽤 느슨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두 개의 알이 함께 나오는 것도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들이 그렇게 하는 것은 관측된 적이 없다. 해부학적 설계는 도관(canal)을 통하여 한 번에 하나의 둥근 알을 밀어내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 모든 알려진 조류들은 같은 패턴을 따른다. 그리고 한쪽 끝이 뾰족한(tapered) 새 알들의 디자인은 더 크고 부피가 큰 부분이 나올 수 있도록 가능한 부드럽게 출구를 확장하면서, 더 가는 끝이 먼저 배설강을 통해 밀려나오도록 되어 있다. 현존하는 파충류와 조류의 패턴으로부터 공룡의 연부 조직들의 디자인을 재구성하는 작업에 의하면, 공룡들의 구조도 어떤 중요한 차이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한다. 이 비교는 강조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쌍으로 놓여져 있었다고 믿어졌던 모든 공룡 알들은 길쭉하고, 한쪽 끝이 가느다란 알들이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가능한 부드럽게 배설강이 열려지는, 조류의 알들과 같은 방식으로 기능을 하도록 디자인 되어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동시에 놓여진 두 개의 알들은 그것을 허락한, 또는 그것을 발생시킨 상해(injury)의 원인을 가리키고 있을 지도 모른다고 추정할 수 있다.

(다음에 계속 됩니다)

 

*참조 : Dinosaur eggs and the post-Flood boundary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9_3/j19_3_66-72.pdf

Evidence of dinosaur nest construction is extremely rare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9_2/j19_2_21-22.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s://www.creationresearch.org/crsq-2004-volume-41-number-2_dinosaur-nests-reinterpreted

출처 - CRSQ Vol 41(2), September 2004.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