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노아와 사람의 어원 : Manu, Man, Maru, Mano, Anu, Marine...단어들의 기원과 대홍수

미디어위원회
2004-07-26

노아와 사람의 어원 

: Manu, Man, Maru, Mano, Anu, Marine...단어들의 기원과 대홍수 

(Noah And Human Etymology)

Bengt Sage 


    노아 홍수 이후 사람들의 이주와 함께 전 지구적 홍수 전설도 세계로 퍼져나갔고, 노아라는 존경할 만한 이름도 그들과 함께 이동되었다.1 이것은 고대 산스크리트 언어와 '마누(Manu)' 라는 이름으로 인해 더욱 분명해진다. 산스크리트어는 '고대 인도유럽어'와 같은 뿌리의 말에서 유래된 듯하다.


 '마누(Manu)'는 인도 전설 속 홍수 영웅의 이름이었다. 그는 노아처럼 여덟 사람을 구해낸 방주를 지었다고 한다. 따라서 노아와 'Manu'는 같은 사람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Ma'는 고대어로 '물' 이라는 뜻이므로, 'Manu'는 '노아의 홍수'를 의미할 수 있다. 히브리어 구약 성경에서 '물'과 '큰물'이라는 단어는 표준 히브리어의 복수 어미인 'yim' 음절이 있는 'mayim'을 번역한 것이다. 'ma' 접두사는 원래 'mar'과 'mer'(스페인어와 불어에서는 '바다'를 뜻하며 두 단어 모두 라틴어의 'mare'에서 유래되었다)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영어에서는 'marine'이라는 단어가 되었다.


산스크리트어에서 'Manu' 라는 이름은 '인간(man)' 혹은 '인류(makind)' 라는 말과 상당한 연관성이 있다. (왜냐하면 Manu, 또는 Noah는 홍수 후 모든 인류의 조상이었기 때문이다.) 그 단어는 서부 게르만 사람들의 언어인 게르만어의 'Mannus'라는 단어와 관련이 있다.2  'Mannus'는 로마의 역사가 타키투스의 저서 'Germania'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3 또한 리투아니아에서는 노아를 'Mannus' 라고 부른다.4 또 다른 산스크리트 말인 'manusa'는 스웨덴어의 'manniska'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5, 이는 모두 '인류'를 의미하는 단어들이다. 'Manu'는 아마도 이집트의 'Menes'(이집트 최초 왕조의 건립자)와 'Minos'(첫 번째 크레타 왕조의 건립자)에 조차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Minos'는 또한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아들과 바다의 지배자가 되었다고 한다.6


영어 단어 'man' 역시 다른 게르만 언어들과 동일하게 산스크리트의 'manu'와 연관이 있다. 가장 오래된 게르만 언어라고 알려진 고트어(Gothic)는 'Manna'와 'gaman'('fellow man') 형태를 사용했었다.


'아누(Anu)' 라는 이름은 수메르어에서 하늘의 신이라는 뜻으로 나타나며, 무지개를 'Anu의 커다란 활'7 이라고 불렀고, 이는 노아와 관련이 있음이 분명한 것처럼 보인다 (창세기 9:13). 이집트 신화에서 'Nu'는 홍수로 인류를 파괴시키러 보내진 홍수의 신이었다. 'Nu'와 그의 배우자 'Nut'은 하늘과 비의 신이었다. 'Nu'는 최초의 물 덩어리와 동일시되며, 그의 이름 역시 '하늘'을 뜻하고 있다.9


아프리카에서는 콩고 왕조(콩고 제국은 한때 콩고 전 지역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앙골라, 자이르, 카빈다, 그리고 콩고공화국의 영토가 함께 자리 잡고 있다)를 'Mani' 콩고라고 불렀었다. 'Mani'는 위대한 지도자, 각료, 통치자, 성직자, 그리고 왕 자신에게 주어지는 명예로운 지위였다. 사실 이 제국은 한 때 'Manikongo' 제국으로 불리었었다.10


유럽에서 'ma' 접두사는 종종 '물'과 '강'을 뜻하는 오래된 단어인 'da' 형식으로 사용된다. 이 단어는 영국과 러시아와 발칸 제국의 다뉴브(Danube) 강에서 'Don'이라는 이름으로 변화되었다. 해변 지역에 살았던 최초의 그리스인들은 'Danaoi' 혹은 '물의 사람들'이라고 불려졌었다.11다뉴브(Danube)라는 이름은 'Donau', 'Dunaj', 'Duna', 'Dunau', 'Dunay'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변형되었다. 이 모든 이름들의 뿌리는 '강' 혹은 '흐름'을 뜻하는 'danu' 라는 단어이다.12라트비아의 강 드비나(Dvina)는 이전에 'Duna'로 불려졌었고, 이는 또한 같은 인도-유럽어원의 단어인 'danu'에서 유래된 것이다. 'danu'에서 'manu'에까지 그 유사성은 매우 분명하다.13


산스크리트어인 'manu'는 인도에서부터 동쪽으로도 전해졌다. 일본에서 'manu'는 'maru'가 되었고, 이 단어는 대부분의 일본 선박 이름에 쓰여지고 있다. 고대 일본 전설에서 'Hakudo Maru'라는 신은 하늘에서 내려와 사람들에게 배를 짓는 방법을 가르쳐 주었다. 이 이름은 최초의 선박건축자인 노아와 잘 연관될 수 있다. 일본의 선박 이름에 'maru'라는 이름을 사용한 관습은 12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시작된 것으로 보여진다. 16세기 말, 전쟁의 신인 히데요시는 'Nippon Maru' 라고 불리는 일본 최초의 거대 선박을 건조하였다. 또한 일본에서 'maru'는 둥글게 둘러친 담 혹은 원형의 피난처를 의미하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원형은 행운의 표시로 생각되어졌다. 물론 노아의 방주는 최초의 거대한 둥근 피난처였었다. 일본의 원주민을 'Ainu'라고 불렀는데 이는 '사람' 이라는 뜻이다.14


'mai' 라는 단어는 몇몇의 호주 원주민 언어에서 '원주민(aboriginal man)'을 의미하고 있다. 하와이에서는 'mano'가 상어(shark)를 뜻하는 단어 일뿐 아니라, 상어 신의 이름이다. 몰로카이 섬의 어떤 언덕은 'Puu Mano(상어 신의 언덕)' 라고 이름지어졌다.15 산(mountain) 이란 뜻의 단어는 'mauna'인데, 아마도 하와이의 거대한 화산들은 최초의 정착민들에게 아라랏산을 생각나게 한 듯 하다. 그래서 그들은 이 후부터 그들의 조상인 'manu' 혹은 노아의 이름으로 그런 산들의 이름을 짓게 되었다. 말이 나온 김에 아라랏(Ararat)은 성경에서 아르메니아(Armenia)와 같다. 'Ar' 접두사는 '산'을 뜻하므로, 'Armenia'는 아마도 'Meni의 산'을 의미할 것이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manu'가 몇 개의 형태로 변화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수족(Sioux)의 언어에서는 '물'을 뜻하는 'minne' 형태로 변하였다. 따라서 미니애폴리스(Minneapolis; 미국 미네소타 주 최대의 도시)는 '물의 도시'를 뜻하며, 미네소타(Minnesota)는 '하늘 푸른 물' 등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아시니보인(Assiniboine) 언어에서 'minnetoba'는 '물의 대초원'을 의미하고 있다. 이 이름은 캐나다 지역의 매니토바(Manitoba; 캐나다 중남부의 주)에서 보전되고 있다. 그러나 또한 '위대한 영의 장소' 라는 의미가 함께 있는 매니토바(manitoba)라는 단어는 크리족(Cree, 북미대륙의 인디언 부족 중 하나)과 'Ojibiva-Saulteaux' 언어에 그 기원이 있는 듯 하다.  'Manitou'(위대한 영)는 알곤킨 부족(Algonquins, 북미 인디언 부족 중 하나)의 우두머리 신을 의미한다.16


남미에서조차 고대 'Manu'라는 이름의 흔적들을 찾아낼 수 있다. 니카라과(중앙 아메리카의 공화국)의 수도인 마나과(Managua)라는 이름은 '물로 둘러싸였다' 라는 뜻을 가진 'Nahuatl managuac'에서 유래되었다. 서기관 프랜시스코 로페즈 드 고마라(Francisco Lopez de Gomara)는 잔인한 정복자 코르테즈(Cortez)에게 'Manoa'를 금의 도시인 엘도라도의 수도인 냥 꾸며낸 보고서를 건네주었다. 그래서 'Manoa'(노아의 홍수를 의미함)는 브라질과 베네주엘라 사이 Sierra Parina 고지에서 죽음의 도시가 되었다고 한다.17 브라질 아마존강 유역의 'Manaus' 라는 도시는 한 때 그 지역을 지배했었던 인디언 부족인 'Manau'족이 살기 시작한 이후에 지어진 이름이다. 볼리비아에는 'Manoa'라는 마을이 있고, 페루에서는 강을 'Manu'라고 부른다. 사실상 몇몇 강들의 이름에도 'manu'가 들어가 있다 : Muymanu, Tahuamanu, Pariamanu, Tacuatimanu, 등등. 'Madre de Dios' 성(省)에는 모두 이런 강들이 위치하고 있고, 이 곳에서 'manu'는 '강' 혹은 '물'의 의미로 이해되고 있다. 사실 이 성(省)의 지역 중 하나에서는 'Manu'와 또 다른 'Tahuamanu'로 이름 지어졌다.


'물'을 뜻하는 이집트의 상형 문자는 물결치는 선으로 기록되어 있다. 알파벳이 만들어 질 때, 이 기호는 'm' 이라는 글자가 되었고, 셈족의 언어에서 '물'을 의미하는 'mayim'을 표시하고 있다. 기원전 1300년-1000년 사이의 페니키아에서는 'm'을 '멤'(Mem)이라 불렀고, 그 후에 그리스에서는 '무'(Mu)라 불렀으며, 마침내 로마인들 사이에서 '엠'(Em)이 되었다.


노아라는 이름은 '비'(rain)를 뜻하는 앗시리아어 'zunnu'에 또 다른 영향을 미친 듯 하다.20 머리가 둘 달린 신인 야누스(Janus ;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1월(January)이 여기서 유래되었다)는 세상의 아버지와 배의 창조자로서, 후에는 문(portals)의 신이 됨으로써 이탈리아 최초의 거주자들에게 섬김을 받았다. 이러한 모든 개념들은 노아와 잘 연관되어져 있다.


야누스(Janus) 라는 이름은 원래 'Jah'와 'Noah'가 결합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노아의 주(Noah's Lord)' 를 의미하고 있다. 북유럽 신화에서 'Njord'는 배의 신이며, 배들의 항구인 'Noatun'에서 살았다. 이 언어에서 'noa'라는 음절은 아이슬란드어에서 배를 뜻하는 'nor'와 관련이 있다.21 또한 원래 산스크리트와 유사하게, '배' 라는 단어는 'nau' 이다. 이 어원은 영어에서 조차 다음과 같은 단어들로 - 'navy'(해군), 'nautical'(해상의), 'nausea'(뱃멀미) 발전되어 왔다.22 이 단어는 여전히 최초의 선박 건축자인 '노아(Noah)' 라는 이름의 또 다른 변형이라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Ino'는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의 신이며, 또한 그리스어에서 'naiade'는 '강의 요정'을 의미하고 있다.23


많은 다른 예들을 열거할 수 있다. 이처럼 노아와 거대한 홍수는 모든 나라들의 고대 전설에서 재차 나타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아나 홍수와 관련된 명칭들은 노아의 후손들의 많은 언어들 속에 각가지 경로를 통하여 섞이게 되었다.


증거들은 빈약하고 때로는 거의 없어져서, 몇몇의 추측된 연결 과정들이 불확실하거나 어쩌면 잘못되었을 수도 있지만, 언어들 사이의 상관관계들은 너무나 많기 때문에 일치에 의한 것일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이 역시 전 지구적 홍수가 역사적 사실이라는 것에 대한 증거가 된다.

 


References

1. This study is necessarily exploratory and somewhat speculative. Nevertheless, it is fascinating, and the etymological correlations seem too numerous and detailed to be coin- cidental.

2. See the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Etymology.

3. Tacitus, The Agricula and the Germania, Middlesex, England: Penguin Books, Ltd., 1970, p. 102.

4. Kolosimo, Peter, Not of This World, London, England: Sphere Books, Ltd., 1975, p. 171.

5. See the Syensk Etymologisk Ordbok.

6. Ceram, C. W., Gods, Graves and Scholars, Middlesex, England: Penguin Pelican Books, 1974, pp. 79-83.

7. Sandars, N. K, The Epic of Gilgamesh, Middlesex, England: Penguin Classics, 1960.

8. Tomas, Andrew, Atlantis from Legend to Discovery, London: Sphere Books, Ltd., 1972, p. 25.

9. Spence, Lewis, Myths and Legends of Egypt, London: George C. Haffap & Co., Ltd., 1915.

10. Hall, Richard, Discovery of Africa, Melbourne, Australia: Sun Books, Ltd., 1970, p. 67.

11. See article on El Correo, published by Unesco, April 1960, p. 27.

12. Se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October 1977, p. 458.

13. There is no actual documentation of a phonetic change from 'ma' to 'da,' although such would have been quite possible, especially in view of the similar meanings of derivatives.

14. Furneaux, Rupert, Ancient Mysteries, London: Futura Publications, Ltd., 1976.

15. Pukui, Mary Kawens, and Elbert, Samuel H., Place Names of Hawaii,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66.

16. See brochure published by Manitoba Historical Society in Winnipeg, Canada.

17. Kolosimo, Peter, Timeless Earth, London: Sphere Books, Ltd., 1974, pp. 136, 215.

18. Laird, Charlton, The Miracle of Language, New York: Fawcett World Library, 1967, p. 177.

19. Pei, Mario, Language for Everybody, New York: Pocket Books, Inc., 1958, p. 182.

20. Cleator, P.E., Lost Languages,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of World Literature, 1962, p. 105.

21. Filby, Frederick A., The Flood Reconsidered, London: Pickering and Inglis, 1970, pp. 55-57.

22. Hellquist, Elof, Svensk Etymologisk Ordbok, Lund, Sweden: C.W.K. Gleerups Forlag, 1966, p.701.

23. Cuerber, H. A., The Myths of Greece and Rome, London: George G. Harrap and Co., Ltd., 1948, p.235.

 

* 저자 : Bengt Sage는 언어와 어원학 연구를 취미로 하는 호주 사업가이다. 그는 스웨덴 태생이며 어린 시절에는 해군 함정의 상인으로 모든 대륙을 여행하였다. 그는 스페인어로 성경의 서신서를 연구하여 학위를 받았고, 스페인어 번역본으로 된 성경과 현대 과학서적을 읽은 결과 창조론에 전념하게 되었다.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s://www.icr.org/article/noah-human-etymology/

출처 - ICR, 1980. 5. 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