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노아의 홍수는 유성 충돌로 시발되었는가?

미디어위원회
2019-11-20

노아의 홍수는 유성 충돌로 시발되었는가? 

(Did Meteors Trigger Noah’s Flood?)

by Andrew A. Snelling, Ph.D.


    지질학자들은 과거에 소행성과 운석들이 지구와 충돌했다는 증거들을 점점 더 많이 찾아내고 있다. 이와 같이 지구 밖에서 날아온 미사일이 노아의 홍수를 일으킨 원인일 수 있을까?

창세기에 나오는 노아의 홍수가 어떻게 발생되었는지 궁금하게 여겨본 적이 있었는가? 창세기 7장 11절을 보면 노아의 홍수가 시작됨과 동시에 진기한 지질학적 사건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노아가 육백 세 되던 해 둘째 달 곧 그 달 열이렛날이라 그 날에 큰 깊음의 샘들이 터지며 하늘의 창문들이 열려”

큰 깊음의 샘들”이 터졌다는 것은 지구 지각이 판(plate)들로 분열되었음을 나타낸다고 대부분의 창조 지질학자들은 말한다.[1] 이어서 이들 판들은 급속하게 대격변적으로 이동하여 엄청난 량의 뜨거운 지하수와 용암을 바다로 방출하게 된다. 뜨거운 지하수가 균열된 해저를 통해 분출되면서, 순식간에 과열 증기로 변화되어 초음속 증기 제트로 대기권으로 솟아올라, 바닷물을 운반했고, 결국에는 비가 되어 떨어졌다.

그렇다면 하나님이 수마일 두께로 지구 지각을 균열시키기 위하여 사용했던 대격변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일부 사람들은 전례 없는 크기와 범위의 운석 또는 소행성이 충돌했다는 의견을 제시한다.[2] 증거가 있는가? 지질학자들은 분명히 엄청나게 큰 충돌의 잔재라고 볼 수 있는 거대한 구덩이 흔적과 잔해 더미를 여러 개 발견해왔다.


호주에서 발견된 결정적 증거?

노아의 홍수를 일으킬 만큼 강력한 충돌의 한 예는 호주 남부에서 발견된 90km 넓이의 아크래먼 충돌분화구(Acraman impact crater)이다. 분명히 이 충돌분화구는 26km/s에 가까운 속도로 아웃백(Outback)에 충돌한 4km 폭의 소행성으로 인하여 생성되었다(그림 1)[3]. 이 폭발은 5만에서 10만 개의 수소폭탄이 동시에 터지는 폭발력과 동등하다. 노아의 홍수가 나기 전에 결정질 기반암의 일부가 이 충돌로 분쇄되어 450km 떨어진 위치까지 날아가, 그 잔해물이 40cm 두께의 층으로 축적되어, 홍수 가장 초기의 지층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4]

또한 노아의 홍수를 일으킨 한 소행성 충돌 또는 동시 다발 충돌은 수개월 또는 수년 동안 지속된 태양계 전체에 걸쳐 진행됐던 대격변의 일부일 수도 있다.[5] 그렇다면, 하나님이 지구를 심판하시는 동안 지구에 연속적으로 충돌했던, 다른 많은 운석 충돌의 증거들을 발견하는 것이 예상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의 증거를 이용하여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할 수 있다. (1)노아 홍수 기간 동안에 운석 충돌분화구의 생성이 급격히 증가했음과, (2)이 충돌 과정에서 남겨진 운석들의 현장들이다. 

.노아 홍수 초기의 충돌분화구(그림 1). 4km 폭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소행성이 노아의 홍수 초기에 지구와 충돌하여, 호주 남부 지역에 남겨놓은 것으로 추정되는 90km 넓이의 충돌 분화구. 5만에서 10만개의 수소 폭탄에 해당하는 이 폭발이 노아의 홍수를 시발했을 수 있었을까?


노아의 홍수 기간 내내 지속된 충돌

현재까지 많은 운석 충돌분화구들이 지구 표면 전체에 걸쳐 확인되었다. 이러한 충돌분화구들은 노아의 홍수로 퇴적된 지층에 흔적이 남아 보존되어있으며[6], 또한 미국 아리조나주 북부 지역의 플래그스태프(Flagstaff) 동쪽에 있는 유명한 운석 충돌구(Meteor Crater)와 같이, 오늘날 노아의 홍수 후기 지표면에서도 볼 수 있다.


.충돌분화구(크레이터)의 역사에 대한 두 가지 해석(그림 2). 지질학자들은 지금까지 지구상에서 100개 이상의 충돌분화구들을 발견했다. 이 표에서 110회 충돌 중 39회가 최상위 암석층에 남아 있으며, 나머지는 그 아래의 여러 지층에 분산되어있다.


만약 이러한 모든 지층들이 수억 수천만 년 동안에 걸쳐 천천히 퇴적되었다면, 충돌은 최근에 더 흔하게 발생했던 것이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층들이 1년 정도 지속된 노아의 홍수 기간 중에 퇴적되었다면, 71회의 충돌은 단지 1년 동안에 발생된 셈이다. 나머지 39회는 그 후의 4,500년에 걸쳐 분산적으로 발생된 것이 된다.

110개 충돌분화구의 (세속적인 연대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충돌 시기는 그림 2에 표로 작성되어있다.[7] 이와 같이 세속적인 지질학자들은 3천만 년마다 1~8개의 대형 운석들이 지구와 충돌했으나, 그 비율이 최근 들어 훨씬 더 빈번해졌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화석 기록의 대부분이 노아 홍수 기간 동안에 퇴적되었다고 믿는 과학자들은 매우 다른 결론을 내리고 있다. 노아의 홍수 모형에 따르면, 이 110회 충돌 중 초기의 71회는 홍수가 일어났던 약 1년의 기간 동안에 발생했으며, 그 외의 39회는 노아 홍수 이후의 4,500년 동안에 걸쳐 분산적으로 발생했다.

노아 홍수 기간 동안의 충돌률인 1년간 71회는 노아 홍수 이후 115년마다(4500÷39=115) 평균 한 번의 충돌률에 비하면 대단히 재앙적이다. 노아 홍수를 시발했던 격변적 과정이 현재의 아주 느린 속도로 둔화되면서, 노아 홍수 이후 발생한 39회 충돌도 대부분 초기 수십 년 간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


스웨덴의 화석 운석

놀랍지 않게도, 화석 운석(fossil meteorites)들은 노아 홍수 지질기록의 다양한 지층에서 발견되어오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세계적으로 운석이 가장 밀집된 지역들 중의 하나가 스웨덴 중남부 지역의 오르도비스기(Ordovician) 석회암 층에서 발굴되었다.[8] 이 퇴적층은 노아 홍수 가장 초기의 퇴적물 중 하나이다.

현재까지 40개의 화석 운석들이 스웨덴 남부의 Kinnekulle에 위치한 Thorsberg 채석장 내의 지역 전체에서 발견되었다.[9] 이 운석들의 크기는 7×10mm에서 거의 15×20cm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약 6,000m2 넓이의 채석장 지역에서 발굴되었다. 지금까지는 이와 같이 화석 운석과 연관된 충돌 분화구들이 발견된 적이 없었다. 여러 차례의 화학 분석 결과, 이 운석들은 모두 일반적인 콘드라이트 운석(ordinary chondrite meteorite)임이 밝혀졌다.[10]. 또한 노아의 홍수 때부터 지구에 낙하된 운석들도 대략 80%가 콘드라이트 운석이다.

이들 40개의 화석 운석들은 오르도비스기의 해양 석회암 층에서 발굴되었으며, 이 석회암 층은 25만km2 이상의 발트해-스칸디나비아 지역에 걸쳐 퇴적된 오르토케라타이트 석회암(Orthoceratite Limestone)의 일부이다. 이 운석을 함유한 상태로 출토된 단면은 3.2m 두께이며 1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있다.(그림 3). 

.노아 홍수 동안의 '운석 낙하”(그림 3). 스웨덴에 있는 한 채석장에서 40개 이상의 운석들이 3m 길이의 석회암 단면에서 발굴되었다. 홍수 초기에 퇴적된 12개의 얇은 층에 운석 파편들이 흩어져있다. 마치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하여 폭발한 한 개의 유성에서 흩어진 것처럼, 이 운석 파편들은 동일한 금속 성분을 가지고 있다.


세속적인 연대 측정법에 따르면, 이 지층들은 1억7천5백만 년에 걸쳐 평균 천 년당 단지 2mm(0.08인치)의 속도로 퇴적되었다고 추정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이 40개의 화석 운석들 중 대부분은 세속적인 지질학자들이 100년에서 1,000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아무 것도 퇴적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지층 사이의 경계면에 매립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세속적인 지질학자들은 이 운석들이 서로 다른 시점에 최소한 12회 낙하했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화석 운석들이 묻혀있는 지층에는 길이가 최대 약 16인치(40cm)이고 두께가 약 2.5인치(6cm)인 껍질이 곧은 나우틸로이드(nautiloid, 고대 오징어) 화석들이 풍부하게 매장되어있다. 이러한 사실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문점이 제기된다. 어떻게 하여 이와 같이 깨지기 쉬운 나우틸로이드 껍질들이 내부 구조가 손상되지 않고 매립되어 보존될 수 있었으며, 침전물이 퇴적되지 않았던 이 오랜 기간 동안 부패나 침식의 흔적을 전혀 보이지 않을 수 있었을까?

또한 어떻게 10만 평방마일(250,000km2) 이상의 광대한 지역에 걸쳐, 물에 의해서 이러한 석회암 층과 그 층 내의 화석 생물들이 이처럼 고르게 퇴적될 수 있었을까? 화석화된 나우틸로이드 껍질들이 특정 방향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할지라도, 이 화석들은 순식간에 매장되어야만 그렇게 잘 보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대한 지역이 순식간에 퇴적되려면, 격변적인 대홍수가 일어나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모든 화석 운석들이 본질적으로 동일하고, 모두 급격한 퇴적 및 격변적인 홍수 기간 동안에 축적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아마도 틀림없이 이 운석들은 하나의 운석이 낙하하면서 남긴 잔해에 해당할 것이다. 이러한 대재앙적인 운석 충돌들은 성경이 말하는 노아의 홍수 동안의 지구에 대한 심판과 일치한다.


노아 시대의 홍수

하나님께서 하나의 소행성(asteroids) 또는 소행성 무리를 사용하여 노아의 홍수와 그로 인한 지구 표면 지판들의 분열을 일으키셨는지 우리가 확실히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소행성들이 홍수 기간 동안 대재앙적인 속도로 지구와 충돌했고, 이러한 소행성들이 지표면에 뒤덮여있는 흔적들을 우리는 발견하고 있다. 하나님이 지구를 심판하시는 동안에 발생했던 끔찍하고 격렬했던 지질학적 사건의 주요 원인은 분명히 소행성들이다.

창세기 6:7,13절에서 하나님은 ”땅과 함께” 인간, 가축, 기는 것과 공중의 새를 멸할 것임을 선언하셨다. 이러한 지구 전역의 대홍수 재앙은 지구의 원래 모습을 파멸시켰을 것이다(베드로후서 3:6). 원래의 땅덩어리는 파괴되고, 물에 잠겼으며, 분쇄되었다. 많은 충돌 분화구들과 화석 운석들은 하나님의 약속을 상기시키는 엄연하고 근엄한 상징이다.

이와 같은 심판의 흔적들은 노아처럼 하나님의 구원을 믿는 모든 이들이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받는 자들임을 또한 우리에게 일깨워주고 있다. 예수님은 구원의 방주로서, 장차 다가올 불의 심판에서 우리를 구하시는 것이다(베드로후서 3:7).

*앤드류 스넬링(Andrew Snelling) 박사는 시드니 대학에서 지질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호주 및 미국에서 지질학 분야의 연구 자문위원으로 활동해오고 있다. 수많은 과학 기사의 저자인 스넬링 박사는 현재 미국 Answers in Genesis의 연구 소장을 맡고 있다.


*관련 추천 자료 : Shock Dynamics geology theory (추천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_IIE8UnvPUg

The Shock Dynamics theory and website
http://www.newgeology.us/

Interpreting Craters in Terms of the Day Four Cratering Hypothesis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arj/v7/n1/interpreting-craters



Footnotes
1.S. A. Austin et al., ”Catastrophic Plate Tectonics: A Global Flood Model of Earth History,” Proceedings of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 ed. R. E. Walsh (Pittsburgh, Pennsylvani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1994), pp. 609–621.
2.W. S. Parks, ”The Role of Meteorites in a Creationism Cosmology,” Creation Research Society Quarterly 26 (1989): 114–146; W. R. Spencer, ”Geophysical Effects of Impacts during the Genesis Flood,”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 ed. R. E. Walsh (Pittsburgh, Pennsylvani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1998), pp. 567–579.
3.G. E. Williams, ”The Acraman Structure—Australia’s Largest Impact Scar,” Search 18 (1987): 143–145; G. E. Williams, ”Acraman: A Major Impact Structure from the Neoproterozoic of Australi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193 (1994):209–224.
4.G. E. Williams, ”The Acraman Impact Structure: Source of Ejecta in Late Precambrian Shales, South Australia,” Science 233 (1986): 200–203; V. A. Gostin et al., ”Impact Ejecta Horizon within Late Precambrian Shales, Adelaide Geosyncline, South Australia,” Science 233 (1986):198–200; M. W. Wallace et al., ”Discovery of the Acraman Impact Ejecta Blanket in the Officer Basin and its Stratigraphic Significance”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36 (1989): 585–587.
5.W. R. Spencer, ”Catastrophic Bombardment Surrounding the Genesis Flood,”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 ed. R. E. Walsh (Pittsburgh, Pennsylvani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1998), pp. 553–566. Back
6.D. D. Bogard, ”Impact Ages of Meteorites: A Synthesis,” Meteoritics 30 (1995): 244–268.
7.R. A. F. Grieve, ”The Terrestrial Cratering Record,” Accretion of Extraterrestrial Matter Throughout Earth’s History, eds. B. Peucker-Ehrenbrink and B. Schmitz (New York: Kluwer Academics, 2001), pp. 379–402.
8.P. Thorslund and F. E. Wickman, ”Middle Ordovician Chondrite in Fossiliferous Limestone from Brunflo, Central Sweden,” Nature 289 (1981): 285–286. J. O. Nyström et al., ”Discovery of a Second Ordovician Meteorite using Chromite as a Tracer,” Nature 336 (1988): 572–574.
9.B. Schmitz et al., ”A Rain of Ordinary Chondritic Meteorites in the Early Ordovicia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94 (2001): 1–15; B. Schmitz et al., ”Accretion Rates of Meteorites and Cosmic Dust in the Early Ordovician,” Science 278 (1997): 88–90; B. Schmitz et al., ”Geochemistry of Meteorite-Rich Marine Limestone Strata and Fossil Meteorites from the Lower Ordovician at Kinnekulle, Sweden,”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45 (1996): 31–48; B. Schmitz et al., ”Sediment-dispersed Extraterrestrial Chromite Traces a Major Asteroid Disruption Event,” Science 300 (2003): 961–964.
10.There are three major types of meteorites—iron, stony-iron, and stony. Chondrite meteorites are a kind of stony meteorite. They derive their name from their texture. Dispersed more or less uniformly throughout the rock are spherical, sub-spherical, and sometimes ellipsoidal structures called chondrules, ranging in size from a fraction of an inch in diameter to about half an inch. Chondrites are primarily made of silicate minerals such as olivine and pyroxene, similar to what is found in earth’s volcanic rocks, along with sulfide and metallic minerals. O. R. Norton, The Cambridge Encyclopedia of Meteorites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번역 - 김은태

링크 -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am/v7/n1/meteors-trigger-flood

출처 - Answers, December 6, 201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