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용암 분출로 형성된 컬럼비아 고원에서
흔히 관측되는 엔타블러처는 노아 홍수로 더 잘 설명된다.
(Entablature Reveals Flooding of Columbia River Basalts)
by Tim Clarey, PH.D.
많은 창조론자들은 워싱턴주 동부의 '수로가 있는 화산용암 지대(Channeled Scabland, 수로를 가진 딱지 땅)'에 대한 빙하댐의 붕괴(breached-dam) 설명에 익숙하다.[1] 빙하기 동안, 몬태나주 서부에 있었던 빙하 호수였던 미졸라 호수(Lake Missoula)가 터졌다. 이것은 스포캔 밸리(Spokane Valley)을 통해, 컬럼비아강 아래로 초당 7억4천만 입방피트로 흘러가며, 단 3일 만에 540입방마일의 물을 모두 배수시켰다.[2, 3] 격변적 물흐름에 의해서 노출된 현무암 용암(basalt lavas)은 또한 노아의 홍수를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해준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컬럼비아 강(Columbia River)은 컬럼비아 고원(Columbia Plateau)의 중앙을 통과하여 흐르고 있다. 이 넓고 평탄한 지역은 워싱턴, 오리건, 아이다호 주에 걸쳐 81,000 평방마일을 뒤덮었던 거대한 용암 분출로 형성되었다. 홍수 현무암(flood basalt)으로 알려진[4] 이들 용암은 하와이 현무암보다 더 약한 점성을 갖고 있다(쉽게 흐른다). 개별 용암은 최대 750km까지 확장되어 있다.[5] 인도의 데칸고원(Deccan Plateau)에 있는 것과 유사한 홍수 현무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된다.
많은 현무암 용암은 수직적 육각형 모양의 기둥들을 만든 주상절리(columnar joint)와 같은 특별한 냉각 결(textures, 구조)을 갖고 있다. 일부 결은 용암이 물속에서 분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절연성 증기 기포의 얇은 막이 냉각으로부터 용암류를 보호할 경우, 용암은 물속에서 먼 거리를 흐를 수 있다.[4]
.그림 1. (주상절리는 분화구에서 흘러온 용암이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 수직으로 쪼개지면서 만들어지는데, 대체로 5각형이나 6각형의 기둥 형태가 흔하다. 가지런한 기둥들의 묶음을 콜로네이드(Colonade)라고 하며,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을 엔타블러처(Entablature)라고 한다).
컬럼비아 고원의 용암 또한 평평한 상부와 하부를 갖고 있으며, 흐름 사이에 침식의 징후나 오랜 시간이 지나갔음을 나타내지 않는다.[4] 많은 흐름의 꼭대기에는 가스 구멍들이 나있고, 종종 유리처럼 보인다. 일부 흐름은 특히 가장자리에서 베개용암(pillow lava)을 보게 된다. 베개 구조(둥근 구형 구조)는 용암이 물속에서 분출되어, 빠르게 냉각되었을 때 형성되는 것으로, 물이 땅을 덮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엔타블러처(entablature)라고 불리는 또 다른 중요한 구조는, 많은 용암 흐름이 활발한 홍수에 의해 냉각되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엔타블러처는 불규칙한 곡선 기둥 또는 물결 모양의 왜곡된 파쇄 패턴을 갖고 있다(그림 1).[4] 컬럼비아 고원에서 대부분의 용암은 엔타블러처로 구성되어 있다.[4] 그것은 식기 시작한 신선한 용암 표면에 물이 범람하면서 형성된다.[6] 틈새로 물이 스며들어, 나머지 흐름을 빠르게 억제하면서, 엔타블러처 특유의 혼란스런 결(chaotic textures)을 만든다.
엔타블러처는 홍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통적 지질학자들은 용암이 건조한 땅을 가로질러 흘렀고, 지역적 강을 막아서, 용암 위로 물이 넘치게 되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4] 문제는 용암류가 강이나 수원을 만나, 용암 위로 물이 넘친 경우가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 시나리오에 비해 엔타블러처는 컬럼비아 고원에서 너무도 흔하다.
홍수 지질학자들은 더 나은 설명을 할 수 있다. 컬럼비아 고원의 용암은 홍수가 물러가는 단계(마이오세)의 말기에 분출하였다.[7] 홍수 물은 이 지역에서 완전히 배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해양지각의 급속한 생성으로 인해, 거대한 지진과 쓰나미들이 발생했다. 이 거대한 쓰나미들은 여전히 오리건과 워싱턴주를 가로질러, 그리고 신선한 용암 흐름의 꼭대기 위로 흘렀고, 용암 중심부를 냉각시켰고, 엔타블러처를 형성했다.
전 지구적 홍수와 뒤이은 빙하기는 컬럼비아 고원의 지질학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을 제공한다. 홍수의 후퇴 단계(receding phase)는 엔타블러처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을 제공했고, 용암을 빠르게 냉각시켰다. 그리고 자연적 댐에 갇혀있던 빙하기 호수의 격변적 배수는 용암을 통과하여 협곡을 절단하는데 필요한 침식력을 제공했고, 현대적인 풍경을 만들었다. 전통적인 지질학에 문제가 있을 때, 창세기는 그 해결책을 갖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Oard, M. J. 2004. The Missoula Flood Controversy and the Genesis Flood. Chino Valley, AZ: Creation Research Society Books; Morris, J. 2011. The Channeled Scablands. Acts & Facts. 40 (10): 15.
2. Baker, V. R. 1973. Paleohydrology and Sedimentology of Lake Missoula Flooding in Eastern Washingto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144. Boulder, 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3. O’Conner, J. E. and V. R. Baker. 1992. Magnitudes and implications of peak discharges from glacial Lake Missoul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4 (3): 267-279.
4. Reidel, S. P. et al. 2013. The Columbia River flood basalt province: stratigraphy, areal extent, volume, and physical volcanology. The Columbia River Flood Basalt Provinc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497. S. P. Reidel et al, eds. Denver, 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43.
5. Reidel, S. P. et al. 1989. The Grand Ronde Basalt, Columbia River Basalt Group: Stratigraphic descriptions and correlations in Washington, Oregon, and Idaho. Volcanism and Tectonism in the Columbia River Flood-Basalt Provinc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239. S. P. Reidel and P. R. Hooper, eds. Denver, 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1-52.
6. The hexagonal fractures produce a uniform vertical fracture texture called columnar jointing. This is what is observed at Devil’s Tower in Wyoming.
7. Clarey, T. 2020. Carved in Stone: Geological Evidence of the Worldwide Flood. Dallas, TX: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312-353.
* Dr. Clarey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geology from Western Michigan University.
* Cite this article: Tim Clarey, Ph.D. 2022. Entablature Reveals Flooding of Columbia River Basalts. Acts & Facts. 51 (11).
*참조 : 미졸라 호수의 홍수 : 노아 홍수의 실마리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73&bmode=view
말해지지 않을 이야기 : 계획된 미졸라 호수의 홍수에 대한 해석 방법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56&bmode=view
하렌 브레츠 1 : 그리고 거대한 화산용암지대(scabland)에 대한 논쟁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78&bmode=view
하렌 브레츠 2 : 그리고 거대한 화산용암지대(scabland)에 대한 논쟁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79&bmode=view
워싱턴 주 화산용암지대와 미졸라 호수의 홍수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98&bmode=view
악마의 탑(데블스타워)과 성경적 해석 : 거대한 현무암 기둥들은 성경적 시간틀과 모순되는가?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80&bmode=view
마그마는 빠르게 이동했다 : 커다란 마그마 방은 몇 달 만에 형성될 수 있었다.
https://creation.kr/Sediments/?idx=13014371&bmode=view
지구 최대의 화산은 격변적으로 분출했다.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69&bmode=view
최근에 폭발한 거대한 해저 화산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70&bmode=view
바다 아래에 숨어있던 세계 최대 화산의 발견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3941764&bmode=view
화산체는 초대형으로 나타나는가? : 과거 거대한 화산들이 분출했던 증거들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05&bmode=view
옐로스톤 국립공원 1부 : 홍수 슈퍼화산
https://creation.kr/Sediments/?idx=12110719&bmode=view
옐로스톤 국립공원 2부 : 협곡과 격변
https://creation.kr/Sediments/?idx=12140265&bmode=view
심해 화산폭발은 노아 홍수 동안의 분출을 엿볼 수 있게 한다.
https://creation.kr/Sediments/?idx=11057291&bmode=view
지질학적 과정은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 : 해저 화산폭발, 사해 소금축적, 지열, 절벽붕괴
http://creation.kr/Sediments/?idx=2420956&bmode=view
현무암 마그마의 빠른 상승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63&bmode=view
엄청난 원인 : 북아일랜드의 자이언트 코즈웨이 - 노아 홍수 동안의 거대한 화산분출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97&bmode=view
화산 폭발로 파묻혀버린 고대 숲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97&bmode=view
노아홍수 이후 화산 분출력의 쇠퇴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70&bmode=view
빠르게 형성된 화산섬과 생태계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8&bmode=view
하와이의 소규모 침식은 젊은 연대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8&bmode=view
새롭게 밝혀진 한 화산의 연대 : 크리스천이 오래된 연대로 인해 신앙을 잃어버리는 과정!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71&bmode=view
크레이터 호수 국립공원 : 화산 분출 이후의 고요한 아름다움
https://creation.kr/Sediments/?idx=9427791&bmode=view
통가 화산 폭발과 빙하기
https://creation.kr/IceAge/?idx=10444111&bmode=view
성경적 모델과 적합한 격렬했던 빙하기 화산 활동
https://creation.kr/IceAge/?idx=11099493&bmode=view
세인트 헬렌산의 폭발 40주년 : 동일과정설 지질학의 실패를 보여준 살아있는 실험실
http://creation.kr/Geology/?idx=4177330&bmode=view
세인트 헬렌산의 7 가지 경이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41&bmode=view
격변설을 입증한 세인트 헬렌 산의 현장 탐사.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78&bmode=view
격변적 판구조론과 노아의 홍수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62&bmode=view
전 지구적 대홍수, 격변적 판구조론, 그리고 지구의 역사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83&bmode=view
지질학적 미스터리들을 풀 수 있는 격변적 판구조론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793718&bmode=view
성경적 시간 틀로 지질주상도 이해하기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79&bmode=view
지질주상도는 많은 예외들을 가지는 전 지구적 홍수의 일반적 순서이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5&bmode=view
성경적 지질학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01&bmode=view
현대 지질학의 패러다임인 동일과정설이 붕괴되고 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9&bmode=view
오래된 연대 상징물의 가면을 벗기다 1, 2 : 현대 지질학의 탄생지 식카 포인트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10&bmode=view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11&bmode=view
동일과정설 지질학자들도 이제는 증거에 직면해야 한다 : 노아 홍수를 비판하는 지질학적 주장에 대한 답변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88&bmode=view
격변적 사건들을 과소평가해왔던 지질학자들 : 한 번의 폭풍우가 수천 년에 해당하는 침식을 일으켰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7&bmode=view
지구의 변화는 역사적 시간 내로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6&bmode=view
남극대륙의 빠른 융기 속도는 기존 지질학과 모순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1&bmode=view
북미 대륙의 지질학은 완전히 틀렸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46&bmode=view
검은 셰일 층이 드러낸 동일과정설의 문제점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49&bmode=view
초고압 광물들은 동일과정설에 이의를 제기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37&bmode=view
선캄브리아기 암석이 신생대 홍적세 암석으로 승진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22&bmode=view
세속적 지질학은 다윈의 시간 틀에 적합하도록 늘어난다.
http://creation.kr/Sediments/?page=1#1288600
다윈의 첫 번째 실수 : 산타크루즈 강의 계곡에 대한 그의 동일과정설적 설명은 틀렸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38&bmode=view
동일과정설의 수수께끼인 산꼭대기의 평탄면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89&bmode=view
지질학 : 자기-기만의 대담한 걸음들
http://creation.kr/Sediments/?idx=3816589&bmode=view
지질학 : 지속적으로 번복되고 있는 과학.
http://creation.kr/Sediments/?idx=2830143&bmode=view
하트산 이동과 같은 초대형 사태가 가리키는 것은? : 대홍수로 쉽게 설명되는 거대한 땅덩어리들의 이동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83&bmode=view
4200만 년 동안 동일한 바람이 불 수 있는가? : 중국 황토(loess, 뢰스)에 대한 새로운 동일과정설적 해석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4&bmode=view
진흙 퇴적 실험은 오랜 지질학적 신념을 뒤엎어버렸다. : 이암 퇴적층들의 이전 모든 해석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가 요구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36&bmode=view
북미 대륙의 지질학은 완전히 틀렸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46&bmode=view
화산의 연대측정은 3,000%나 틀렸다.
http://creation.kr/IsotopeClock/?idx=1289215&bmode=view
데스 밸리에서 지질학자들의 추정 연대는 750%나 틀렸다.
http://creation.kr/IsotopeClock/?idx=1289213&bmode=view
선캄브리아기 암석이 신생대 홍적세 암석으로 승진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22&bmode=view
남극대륙의 빠른 융기 속도는 기존 지질학과 모순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1&bmode=view
호주 블랙 마운틴의 기원과 노아의 홍수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757334&bmode=view
지형학은 노아 홍수의 풍부한 증거들을 제공한다. : 산, 평탄면, 도상구릉, 표석, 수극, 해저협곡의 기원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70&bmode=view
화강암의 격변적 형성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06&bmode=view
화강암의 빠른 형성
http://creation.kr/Geology/?idx=1290496&bmode=view
화강암이 냉각되는데 수백만 년이 필요하지 않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05&bmode=view
출처 : ICR, 2022. 10. 31.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Entablature-Flooding-Colombia-River/
번역 : 미디어위원회
거대한 용암 분출로 형성된 컬럼비아 고원에서
흔히 관측되는 엔타블러처는 노아 홍수로 더 잘 설명된다.
(Entablature Reveals Flooding of Columbia River Basalts)
by Tim Clarey, PH.D.
많은 창조론자들은 워싱턴주 동부의 '수로가 있는 화산용암 지대(Channeled Scabland, 수로를 가진 딱지 땅)'에 대한 빙하댐의 붕괴(breached-dam) 설명에 익숙하다.[1] 빙하기 동안, 몬태나주 서부에 있었던 빙하 호수였던 미졸라 호수(Lake Missoula)가 터졌다. 이것은 스포캔 밸리(Spokane Valley)을 통해, 컬럼비아강 아래로 초당 7억4천만 입방피트로 흘러가며, 단 3일 만에 540입방마일의 물을 모두 배수시켰다.[2, 3] 격변적 물흐름에 의해서 노출된 현무암 용암(basalt lavas)은 또한 노아의 홍수를 들여다볼 수 있는 창을 제공해준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컬럼비아 강(Columbia River)은 컬럼비아 고원(Columbia Plateau)의 중앙을 통과하여 흐르고 있다. 이 넓고 평탄한 지역은 워싱턴, 오리건, 아이다호 주에 걸쳐 81,000 평방마일을 뒤덮었던 거대한 용암 분출로 형성되었다. 홍수 현무암(flood basalt)으로 알려진[4] 이들 용암은 하와이 현무암보다 더 약한 점성을 갖고 있다(쉽게 흐른다). 개별 용암은 최대 750km까지 확장되어 있다.[5] 인도의 데칸고원(Deccan Plateau)에 있는 것과 유사한 홍수 현무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된다.
많은 현무암 용암은 수직적 육각형 모양의 기둥들을 만든 주상절리(columnar joint)와 같은 특별한 냉각 결(textures, 구조)을 갖고 있다. 일부 결은 용암이 물속에서 분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절연성 증기 기포의 얇은 막이 냉각으로부터 용암류를 보호할 경우, 용암은 물속에서 먼 거리를 흐를 수 있다.[4]
.그림 1. (주상절리는 분화구에서 흘러온 용암이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 수직으로 쪼개지면서 만들어지는데, 대체로 5각형이나 6각형의 기둥 형태가 흔하다. 가지런한 기둥들의 묶음을 콜로네이드(Colonade)라고 하며,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을 엔타블러처(Entablature)라고 한다).
컬럼비아 고원의 용암 또한 평평한 상부와 하부를 갖고 있으며, 흐름 사이에 침식의 징후나 오랜 시간이 지나갔음을 나타내지 않는다.[4] 많은 흐름의 꼭대기에는 가스 구멍들이 나있고, 종종 유리처럼 보인다. 일부 흐름은 특히 가장자리에서 베개용암(pillow lava)을 보게 된다. 베개 구조(둥근 구형 구조)는 용암이 물속에서 분출되어, 빠르게 냉각되었을 때 형성되는 것으로, 물이 땅을 덮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엔타블러처(entablature)라고 불리는 또 다른 중요한 구조는, 많은 용암 흐름이 활발한 홍수에 의해 냉각되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엔타블러처는 불규칙한 곡선 기둥 또는 물결 모양의 왜곡된 파쇄 패턴을 갖고 있다(그림 1).[4] 컬럼비아 고원에서 대부분의 용암은 엔타블러처로 구성되어 있다.[4] 그것은 식기 시작한 신선한 용암 표면에 물이 범람하면서 형성된다.[6] 틈새로 물이 스며들어, 나머지 흐름을 빠르게 억제하면서, 엔타블러처 특유의 혼란스런 결(chaotic textures)을 만든다.
엔타블러처는 홍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통적 지질학자들은 용암이 건조한 땅을 가로질러 흘렀고, 지역적 강을 막아서, 용암 위로 물이 넘치게 되어 형성되었다고 주장한다.[4] 문제는 용암류가 강이나 수원을 만나, 용암 위로 물이 넘친 경우가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 시나리오에 비해 엔타블러처는 컬럼비아 고원에서 너무도 흔하다.
홍수 지질학자들은 더 나은 설명을 할 수 있다. 컬럼비아 고원의 용암은 홍수가 물러가는 단계(마이오세)의 말기에 분출하였다.[7] 홍수 물은 이 지역에서 완전히 배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해양지각의 급속한 생성으로 인해, 거대한 지진과 쓰나미들이 발생했다. 이 거대한 쓰나미들은 여전히 오리건과 워싱턴주를 가로질러, 그리고 신선한 용암 흐름의 꼭대기 위로 흘렀고, 용암 중심부를 냉각시켰고, 엔타블러처를 형성했다.
전 지구적 홍수와 뒤이은 빙하기는 컬럼비아 고원의 지질학에 대한 가장 좋은 설명을 제공한다. 홍수의 후퇴 단계(receding phase)는 엔타블러처를 만드는데 필요한 물을 제공했고, 용암을 빠르게 냉각시켰다. 그리고 자연적 댐에 갇혀있던 빙하기 호수의 격변적 배수는 용암을 통과하여 협곡을 절단하는데 필요한 침식력을 제공했고, 현대적인 풍경을 만들었다. 전통적인 지질학에 문제가 있을 때, 창세기는 그 해결책을 갖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Oard, M. J. 2004. The Missoula Flood Controversy and the Genesis Flood. Chino Valley, AZ: Creation Research Society Books; Morris, J. 2011. The Channeled Scablands. Acts & Facts. 40 (10): 15.
2. Baker, V. R. 1973. Paleohydrology and Sedimentology of Lake Missoula Flooding in Eastern Washington.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144. Boulder, 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3. O’Conner, J. E. and V. R. Baker. 1992. Magnitudes and implications of peak discharges from glacial Lake Missoula.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4 (3): 267-279.
4. Reidel, S. P. et al. 2013. The Columbia River flood basalt province: stratigraphy, areal extent, volume, and physical volcanology. The Columbia River Flood Basalt Provinc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497. S. P. Reidel et al, eds. Denver, 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43.
5. Reidel, S. P. et al. 1989. The Grand Ronde Basalt, Columbia River Basalt Group: Stratigraphic descriptions and correlations in Washington, Oregon, and Idaho. Volcanism and Tectonism in the Columbia River Flood-Basalt Provinc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239. S. P. Reidel and P. R. Hooper, eds. Denver, 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1-52.
6. The hexagonal fractures produce a uniform vertical fracture texture called columnar jointing. This is what is observed at Devil’s Tower in Wyoming.
7. Clarey, T. 2020. Carved in Stone: Geological Evidence of the Worldwide Flood. Dallas, TX: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312-353.
* Dr. Clarey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geology from Western Michigan University.
* Cite this article: Tim Clarey, Ph.D. 2022. Entablature Reveals Flooding of Columbia River Basalts. Acts & Facts. 51 (11).
*참조 : 미졸라 호수의 홍수 : 노아 홍수의 실마리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73&bmode=view
말해지지 않을 이야기 : 계획된 미졸라 호수의 홍수에 대한 해석 방법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56&bmode=view
하렌 브레츠 1 : 그리고 거대한 화산용암지대(scabland)에 대한 논쟁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78&bmode=view
하렌 브레츠 2 : 그리고 거대한 화산용암지대(scabland)에 대한 논쟁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79&bmode=view
워싱턴 주 화산용암지대와 미졸라 호수의 홍수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98&bmode=view
악마의 탑(데블스타워)과 성경적 해석 : 거대한 현무암 기둥들은 성경적 시간틀과 모순되는가?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80&bmode=view
마그마는 빠르게 이동했다 : 커다란 마그마 방은 몇 달 만에 형성될 수 있었다.
https://creation.kr/Sediments/?idx=13014371&bmode=view
지구 최대의 화산은 격변적으로 분출했다.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69&bmode=view
최근에 폭발한 거대한 해저 화산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70&bmode=view
바다 아래에 숨어있던 세계 최대 화산의 발견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3941764&bmode=view
화산체는 초대형으로 나타나는가? : 과거 거대한 화산들이 분출했던 증거들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05&bmode=view
옐로스톤 국립공원 1부 : 홍수 슈퍼화산
https://creation.kr/Sediments/?idx=12110719&bmode=view
옐로스톤 국립공원 2부 : 협곡과 격변
https://creation.kr/Sediments/?idx=12140265&bmode=view
심해 화산폭발은 노아 홍수 동안의 분출을 엿볼 수 있게 한다.
https://creation.kr/Sediments/?idx=11057291&bmode=view
지질학적 과정은 빠르게 일어날 수 있다 : 해저 화산폭발, 사해 소금축적, 지열, 절벽붕괴
http://creation.kr/Sediments/?idx=2420956&bmode=view
현무암 마그마의 빠른 상승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63&bmode=view
엄청난 원인 : 북아일랜드의 자이언트 코즈웨이 - 노아 홍수 동안의 거대한 화산분출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97&bmode=view
화산 폭발로 파묻혀버린 고대 숲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97&bmode=view
노아홍수 이후 화산 분출력의 쇠퇴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570&bmode=view
빠르게 형성된 화산섬과 생태계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8&bmode=view
하와이의 소규모 침식은 젊은 연대를 가리킨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8&bmode=view
새롭게 밝혀진 한 화산의 연대 : 크리스천이 오래된 연대로 인해 신앙을 잃어버리는 과정!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71&bmode=view
크레이터 호수 국립공원 : 화산 분출 이후의 고요한 아름다움
https://creation.kr/Sediments/?idx=9427791&bmode=view
통가 화산 폭발과 빙하기
https://creation.kr/IceAge/?idx=10444111&bmode=view
성경적 모델과 적합한 격렬했던 빙하기 화산 활동
https://creation.kr/IceAge/?idx=11099493&bmode=view
세인트 헬렌산의 폭발 40주년 : 동일과정설 지질학의 실패를 보여준 살아있는 실험실
http://creation.kr/Geology/?idx=4177330&bmode=view
세인트 헬렌산의 7 가지 경이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41&bmode=view
격변설을 입증한 세인트 헬렌 산의 현장 탐사.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78&bmode=view
격변적 판구조론과 노아의 홍수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288262&bmode=view
전 지구적 대홍수, 격변적 판구조론, 그리고 지구의 역사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83&bmode=view
지질학적 미스터리들을 풀 수 있는 격변적 판구조론
http://creation.kr/Catastrophic/?idx=1793718&bmode=view
성경적 시간 틀로 지질주상도 이해하기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79&bmode=view
지질주상도는 많은 예외들을 가지는 전 지구적 홍수의 일반적 순서이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5&bmode=view
성경적 지질학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01&bmode=view
현대 지질학의 패러다임인 동일과정설이 붕괴되고 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9&bmode=view
오래된 연대 상징물의 가면을 벗기다 1, 2 : 현대 지질학의 탄생지 식카 포인트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10&bmode=view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11&bmode=view
동일과정설 지질학자들도 이제는 증거에 직면해야 한다 : 노아 홍수를 비판하는 지질학적 주장에 대한 답변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88&bmode=view
격변적 사건들을 과소평가해왔던 지질학자들 : 한 번의 폭풍우가 수천 년에 해당하는 침식을 일으켰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7&bmode=view
지구의 변화는 역사적 시간 내로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6&bmode=view
남극대륙의 빠른 융기 속도는 기존 지질학과 모순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1&bmode=view
북미 대륙의 지질학은 완전히 틀렸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46&bmode=view
검은 셰일 층이 드러낸 동일과정설의 문제점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49&bmode=view
초고압 광물들은 동일과정설에 이의를 제기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37&bmode=view
선캄브리아기 암석이 신생대 홍적세 암석으로 승진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22&bmode=view
세속적 지질학은 다윈의 시간 틀에 적합하도록 늘어난다.
http://creation.kr/Sediments/?page=1#1288600
다윈의 첫 번째 실수 : 산타크루즈 강의 계곡에 대한 그의 동일과정설적 설명은 틀렸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38&bmode=view
동일과정설의 수수께끼인 산꼭대기의 평탄면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89&bmode=view
지질학 : 자기-기만의 대담한 걸음들
http://creation.kr/Sediments/?idx=3816589&bmode=view
지질학 : 지속적으로 번복되고 있는 과학.
http://creation.kr/Sediments/?idx=2830143&bmode=view
하트산 이동과 같은 초대형 사태가 가리키는 것은? : 대홍수로 쉽게 설명되는 거대한 땅덩어리들의 이동
http://creation.kr/Sediments/?idx=1288683&bmode=view
4200만 년 동안 동일한 바람이 불 수 있는가? : 중국 황토(loess, 뢰스)에 대한 새로운 동일과정설적 해석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64&bmode=view
진흙 퇴적 실험은 오랜 지질학적 신념을 뒤엎어버렸다. : 이암 퇴적층들의 이전 모든 해석에 대한 근본적인 재평가가 요구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36&bmode=view
북미 대륙의 지질학은 완전히 틀렸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46&bmode=view
화산의 연대측정은 3,000%나 틀렸다.
http://creation.kr/IsotopeClock/?idx=1289215&bmode=view
데스 밸리에서 지질학자들의 추정 연대는 750%나 틀렸다.
http://creation.kr/IsotopeClock/?idx=1289213&bmode=view
선캄브리아기 암석이 신생대 홍적세 암석으로 승진했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22&bmode=view
남극대륙의 빠른 융기 속도는 기존 지질학과 모순된다.
http://creation.kr/Geology/?idx=1290551&bmode=view
호주 블랙 마운틴의 기원과 노아의 홍수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757334&bmode=view
지형학은 노아 홍수의 풍부한 증거들을 제공한다. : 산, 평탄면, 도상구릉, 표석, 수극, 해저협곡의 기원
http://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70&bmode=view
화강암의 격변적 형성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06&bmode=view
화강암의 빠른 형성
http://creation.kr/Geology/?idx=1290496&bmode=view
화강암이 냉각되는데 수백만 년이 필요하지 않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05&bmode=view
출처 : ICR, 2022. 10. 31.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Entablature-Flooding-Colombia-River/
번역 : 미디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