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Finding Adam—in Ancient Egypt)
by Gavin Cox
나는 이집트에서 생활하고 일하면서 석유와 가스를 탐사하는 특권을 가졌었다(1999~2000; 2006~2007). 나는 카이로에 살면서 이집트의 역사에 매료되었다. 나는 대피라미드(Great Pyramid, 외부와 내부)와 다른 유적지들을 수십 차례 방문했다. 그들의 규모와 웅장함은 경외심을 불러일으켰다.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이집트 역사가 창세기의 초기 장들과 관련이 있는지 발견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인들은 아담과 하와 또는 노아와 대홍수에 대해 알고 있었을까?
<Credit: Authorthree snapshots from Egypt>
2개의 석사 학위(성경학 2014, 이집트학 2015)를 포함하여 10년이 넘는 연구 끝에, 나는 이집트인들이 비록 왜곡되고 이교적 방식이긴 하지만, 그것들을 알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1]
성경의 역사는 실제의 역사이다.
많은 고대 문화에는 창세기 1~11장의 사건 및 인물들과 유사한 기록들이 있다.[2, 3] 이러한 기록은 비록 훼손되었고 종종 혼란스럽지만, 성경적 진리의 측면은 여전히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문화들은 약 4,500년 전 방주에 있었던 가족으로부터 생겨났기 때문에,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들은 대홍수의 목격자였으며, 노아가 “의를 전파하는”(베드로후서 2:5) 사람이었으므로, 그들 또한 아담과 하와와 그들의 타락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홍수 이후 증가하는 인구로 인해, 사람들은 바벨에서 분산될 때까지 기껏해야 2~3세기 동안 함께 머물러 있었다.[4] 여기에는 방주의 탑승자들이 포함되었는데, 그들은 대홍수 이후 수세기 동안 살아있었기 때문에, 존경받는 ‘조상 현자(ancestor sages)’로서 정기적으로 자문을 구했을 수도 있다.
또한, 창세기의 구조[5]는 역사의 기록된 버전(written version)이 가능했으며, 나중에 모세가 편집할 때까지 셈의 계보(line of Shem)를 통해 보존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것은 초기 창세기 역사의 ‘기억(memory)’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 다음 하나님은 바벨에서 백성들을 흩으셨고(벨렉의 때에, 역대상 1:19), 창세기 1~11장의 주요 내용들은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수백 개의 대홍수 이야기(전설)들은 종종 창세기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2]
분산 이후 비교적 바벨과 가까웠던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일부 그룹은 그들의 문명 수준을 매우 빠르게 재수립할 수 있었다.[6]
함과 이집트의 연관
노아의 아들 함(Ham)에게는 네 아들이 있었다. 그들 중 미스라임, 붓, 구스(창세기 10:6, KJV) 세 명은 이집트 및/또는 그 이웃 국가들과 성경적 및/또는 성경 외적 연관성을 갖고 있다. 특히 미스라임(Mitsrayim, מִצְרַיִם)은 구약 전체에 걸쳐 이집트(Egypt)의 히브리어식 이름이다. 이집트에 대한 고전적인 아랍어 이름은 미스르(Misr)이며, 현대 이집트인들 스스로가 사용하고 있다.
함과 미스라임은 이집트 초기의 주요 인사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그 둘 혹은 한 명은 이집트의 건국에 주요 인물이었다.
시편에서 이집트는 “함의 땅”(land of Ham, 105:23,27, 106:22)과 “함의 장막”(tents of Ham, 78:51)으로 불려지고 있다. 성경적 증거들에 의하면, 그 지역에 ‘함과 아들들’이 정착했다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함과 미스라임은 이집트 초기의 주요 인사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그 둘 혹은 한 명은 이집트의 건국에 주요 인물이었다. 물론 이집트 건국 인구의 일부가 된 비-함족 그룹이나 개인이 초기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노아에게서 자라나고, 대홍수를 직접 목격했던 함의 존재는 남아있는 초기 이집트 기록에서 ‘창세기 연결’ 가능성을 크게 높여준다.
요컨대, 우리는 고대 이집트에서 초기 창세기에 대한 성경 외적 증거를 찾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은 바벨 이주민들이 도착한 시기와 가장 가까운 최초의 비문에 들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는 초기(Old Kingdom, 구왕국) 피라미드에서 그러한 증거를 발견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러한 이야기는 점점 더 훼손되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매우 이교적이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만 명의 신들과 여신들을 추가했다.)[7]
이집트인들의 창조 신앙
고대 이집트인들은 창조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신앙을 갖고 있었는데, 그것은 각각 자기들의 사원이 있었던 세 곳에 분산되어 남아있다. 그곳들은 그리스식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헬리오폴리스(Heliopolis, 오늘날 카이로 내, 아래를 보라), 멤피스(Memphis, 카이로 남쪽 20km), 헤르모폴리스(Hermopolis, 카이로 남쪽 322km)이다. 각각의 곳에서 ‘원초의 대양’(primordial ocean, Nu/Nun, 아래 글 ‘노아에 대한 기억?’을 보라)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아이디어들을 공유하고 있는데, 그 원초의 대양에서 최초의 창조된 땅이 솟아올랐다는 것이다.[8] 이것은 뭍(마른 땅)이 드러난(창세기 1:9) 창조주간의 제3일을 연상시킨다. 그것은 또한 산들의 봉우리가 보인(창세기 8:5) 대홍수의 끝을 떠올리게 한다.
그림 1. 크눔 신(god Khnum)이 흙으로 사람을 만들고 있다(도공의 물레) <All images Wikipedia unless otherwise indicatedthe-god-khnum>
아스완의 엘레판틴(Elephantine, 카이로 남쪽 870km)에 있는 네 번째 사원에는 도공의 물레(potter’s wheel)를 사용하여 흙으로 인류를 창조하는 크눔(Khnum)이라는 신이 그려져 있다(그림 1). 이것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라는 창세기 2:7절을 연상시킨다.
헬리오폴리스, 아툼, 그리고 성경
헬리오폴리스(Heliopolis, ‘태양의 도시(city of the sun)’를 뜻하는 그리스어)는 처음부터 아툼((Re)-Atum)이라 불리는 신(태양의 신이자, 창조의 신)을 숭배하던 지역의 중심지였다. 남아있는 유일한 증거는 알-마살라 오벨리스크(Al-Masalla Obelisk)이다(그림 2). 이것은 카이로 교외 아인샴스(Ain Shams)에 있는, 헬리오폴리스 부지 위에 건설되었다. 아인샴스는 이 고대 도시의 아랍어 이름(‘태양의 눈(eye of the sun)이라는 뜻’)이다. 제12왕조의 세누스레트 1세(Senusret I, BC 1926 사망)가 오벨리스크를 세웠다. 그것은 붉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약 21m(70ft) 높이에, 무게는 120톤이다.
그림 2. 고대 헬리오폴리스 부지에 있는 알-마살라 오벨리스크(Al-Masalla Obelisk).
헬리오폴리스와 아툼의 숭배는 성경에 모두 등장한다. 기둥/오벨리스크가 있는 헬리오폴리스는 예레미야 43:13절과 이사야 19:18절에서 우상숭배로 심판을 받는다.[9] 헬리오폴리스의 이집트식 이름은 ‘기둥’(pillar, 또는 오벨리스크)을 의미하는 ‘이우누(Iunu)’이다. 콥트어로는[10] ‘온(On)’으로써 에스겔 30:17절에서 심판을 받는다. 요셉의 아내는 보디베라(Potiphera)의 딸이었다. (보디베라라는 이름은 ‘라(Ra, 태양신)가 보낸 사람’을 의미하며, “온의 제사장”(창세기 41:45,50; 46:20)이었다).[11] 따라서 보디베라는 아마도 아툼을 숭배했을 것이다. 또한, 이스라엘 노예들은 ‘비돔(Pithom)’(출애굽기 1:11)에서 파라오를 위한 곡물 저장고를 지었다. 비돔은 이집트어로 ‘아툼의 큰 집(Great House of Atum)’(pr-jtm.w)을 의미한다.[9] 아툼이라는 이름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텍스트에 나와 있으며, 제5왕조 피라미드 내부의 매장실 벽과 복도에 새겨져 있다. 아툼은 ‘원초의 물’에서 나와, ‘원초의 땅’(최초의 땅)에 올라, 자신의 창조 작업을 시작한 최초의 창조의 신(creator god)으로 기술되고 있다.[12]
아툼은 ‘재채기’ 또는 ‘뱉어내기’를 통해, 아들 슈(Shu, 공기의 신)와 딸 테프누트(Tēfnut, 습기, 이슬, 비의 여신)를 만들었다. 다른 신들은 아툼으로부터 자연 출산에 의해 후손된 것으로 믿어졌다.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아홉 신(때로는 열)들을 생각했으며, 이들을 공동으로 그레이트 엔네아드(Great Ennead, 구신/九神)라고 불렀다.
아툼은 ‘원초의 물’에서 나와, ‘원초의 땅’에 올라, 자신의 창조 작업을 시작한 최초의 창조의 신으로 기술되고 있다.
제19왕조 튜린 캐논(Turin Canon, Turin King List, 튜린(토리노) 왕의 목록) 파피루스에는(그림 3), 이집트의 통치자들과 그들의 통치 기간이 나열되어 있다. 비록 매우 손상되었지만, 여러 신화적인 초기 통치자들 사이에서 그레이트 엔네아드(구신)의 이름이 두드러지며, 그들 각각은 수백 년 동안 통치했다.[13] 이것은 창세기 5장에 기술된 매우 장수했던 족장들에 대한 사라진 기억을 연상시킨다.[14] 저명한 조상이 죽은 후에 ‘신격화’ 되는 것은 잘 알려져있는 현상이다.
그림 3. 튜린 캐논(Turin Canon) 파피루스에는 수백 년 동안 통치했던 통치자들의 목록이 있다.<akhenatenator/wikimediaturin-canon-papyrus>
아툼은 아담의 기억에서 나온 것일까?
그러한 신격화(deification)가 아담의 경우에서 일어났을 것이다. 아툼(Atum)은 아담(Adam)처럼 들리며, 언뜻 보기보다 훨씬 비슷할 수 있다. 첫째, 모음은 상형문자 비문에 거의 표시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새겨진 것들은 자음이었기 때문에, 현대 이집트학 학자들은 단어가 어떤 소리인지 추론할 수 있다. 모음은 합의된 관례에 따라 제공되며, 단어가 발음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아툼은 ‘아탐(Atam)’이라고 발음될 수 있었다. 또한 자음 ‘t’는 이집트어로 ‘d’로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확고한 사실이다.[1] 다시 말해서 창세기에 있는 아담의 원래 이름은 잘 이해된 문자 소리의 변환을 통해, 이집트어에서 ‘아탐/아툼’으로 쉽게 발음될 수 있다.
아툼은 지식의 나무 아래에서 뱀과 싸우고 있다.
아툼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믿음은 초기 창세기와의 연관성에 대한 더 많은 단서들을 제공한다. 아툼의 형상은 제20왕조 무덤(BC 1189~1077 년경)에 나타나있다. 거기서 그는 이세트 나무(Ished tree)라 불리는 나무(그림 4) 앞에서, 아포피스(Apophis)라 불리는 거대한 뱀(serpent, 악마)과 싸우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툼은 뱀의 천적으로 간주되는 고양잇과 동물(cat)로 묘사되어 있다. 그러한 형상은 BC 약 1280년경, 죽은 사람과 함께 묻힌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라고 불리는 종교적 주문을 적은 파피루스 수집품에 등장한다. 아툼은 한 발로 아포피스의 머리를 부수고, 다른 발로는 칼을 사용하여 목을 베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믿음과 관련되어 이집트 사제들은 사탄(뱀)의 악을 물리치기 위해, 짓밟히고, 칼에 찔리고, 불에 타는 아포피스의 모형을 만들었다.[1]
그림 4. 아툼이 이세트 나무 앞에서 뱀 아포피스와 싸우고 있다.
아담과 하와가 죄를 지었을 때, 저주에 대한 선포의 일환으로 하나님은 바울이 ‘마지막 아담’(고린도전서 15:45)이라 칭한 ‘오실 씨(coming Seed, 여자의 후손)’에 의해 뱀의 머리가 상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창세기 3:15). 그러나 이집트 버전은 이미 뱀을 이기고 그의 머리를 부수는 아툼을 가지고 있다.
에덴의 나무들
창세기 2:9절은 에덴동산에 ‘생명 나무(the Tree of Life)’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라는 두 나무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세트 나무(Ished tree)는 이집트 비문에서 명확하게 인간의 지식 및 수명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테베(Thebes)에 있는 파라오 람세스 2세 사원(Pharaoh Ramesses II temple)의 벽에 새겨진 비문에는(BC 1300년경) 아툼과 토트(Thoth)라는 신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세트 나무의 잎사귀에 즉위한 왕이 다스렸던 통치 기간을 기록하고 있다(그림 5).
그림 5. 테베의 비문(Inscription at Thebes) ; 아툼 신(왼쪽)과 토트 신이 이세트 나무의 잎에 즉위한 왕의 통치 기간을 기록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Ished(원래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ish-d-et’로 발음됨)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지식의 나무(tree of knowledge)’인 ets-ha-da-at 처럼 발음된다. (히브리어에서 ‘tree’ = ets, ‘the knowledge of’ = ha-da-at). 그러므로, 창세기 에덴동산의 나무 이름들의 소리(발음)와 의미가 이집트 종교에 일부 혼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결론
예상대로, ‘창세기의 메아리’는 실제로 초기 이집트의 기록에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된 진리인 성경으로 시작하면, 우리는 진정한 발견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아담과 아툼의 이름 안에 있는 것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비슷한 발음을 가진 단어들의 관계를 통해 이름이 의미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자들은 아담(Adam)이 히브리어에서 ‘붉은’, ‘흙/점토’, ‘인간/인류’, ‘피’와 비슷하게 발음되는 것을 오랫동안 알고 있었다. 소위 아담의 ‘음성학적 어근(phonetic root)’인 ‘dm’은 이러한 히브리어 단어들에서 발생되어 있다. 즉, 이들의 개념은 신학적으로 아담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패러노메이저(paronomasia, 언어유희)’로 불려지는데, 한 단어에 여러 뜻을 곁들어 표현하는 말재간(puns, word-play)으로, 여러 의미를 나타내는 수사법이다.
비슷한 사례가 아툼(Atum)에 대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Atum에 대한 음성학적 어근(tm/dm)은 이집트 단어에서, ‘붉은’, ‘모든 사람/인간’, ‘혈액 응고’, ‘붉은 황토’와 연결된다. 더욱이 Atum의 여성형 이름(tm.t)은 ‘조상 어머니(ancestress mother)’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하와(Eve)의 이름의 의미인 “모든 산 자의 어머니(mother of all living)”(창세기 3:20)와 비슷하다.
.Cox, G., The search for Adam, Eve and creation in ancient Egypt, J. Creation 35(1):61–69, 2021.
-----------------------------------------
노아에 대한 기억?
성경은 노아와 그의 세 아들 부부가(모두 여덟 명) 전 지구적 홍수 심판을 피하기 위해 방주에 탔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도 이것에 대해 알고 있었을까?
이집트 학자들은 오그도아드(Ogdoad, ‘8’을 뜻하는 그리스어)라고 불리는, 여덟 신의 무리(a group of eight gods)를 잘 알고 있다. 네 명의 남성 신들과 그들의 아내 신들은 이집트 대홍수, 또는 원초 바다(Nun/Nu)와 연결되어 있다. 그들의 이름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비문인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 나와 있다. 주신은 누(Nu)이고, 노아처럼 들인다. 그의 아내는 누트(Nu.t)이다.
이들 여덟 신들은 피라미드 텍스트에 언급되어 있는 케메누(Khemenu, 그리스어로 ‘헤르모폴리스’)에서 숭배되었다. 케메누는 카이로 남쪽 322km 떨어진 곳에 있는, 현대의 엘-아슈무네인(EI Ashmunein, 콥틱어로 ‘8개 도시’라는 뜻) 내에 남아있다. 한때 그곳에 있던 한 사원은 그들을 숭배하기 위해 세워졌다.
.누(Nu)가 혼돈의 물속에 서서, 다른 일곱 신이 들어있는 태양의 돛단배(barque of the sun)를 들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8명’이 결국 죽었고, 묻혔다고 믿고 있었다.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663km 떨어진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있는 작은 제18왕조 사원은 그들의 무덤을 표시하고 있다. 비문에는 그들의 이름이 나와 있으며, 그들이 미라로 매장되었다는 것과 대홍수가 있었다는 두 가지를 기술해놓고 있다.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s 1, parts 2, J. Creation 33(3):94–108, 2019.
--------------------------------------------------------
Related Articles
▶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 Time fears the pyramids?
▶ Horus—the deified Ham: part 1
▶ Horus—the deified Ham: part 2
Further Reading
▶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References and notes
1. For more details see: Cox, G., The search for Adam, Eve and creation in ancient Egypt, J. Creation 35(1):61–69, 2021.
2. Conolly R., and Grigg, R., Flood! Creation 23(1):26–30, 2000; creation.com/many-flood-legends.
3. Wieland, C., chap. 9, ‘Echoes of Genesis’ in: One Human Family; creation.com/ohf.
4. This event was in the days of Peleg (Genesis 10:25), who was born about 100 years post-Flood, dying at the age of 239.
5. DeRemer, F., Structure, toledoths, and sources of Genesis, J. Creation 28(1):53–58, 2014; creation.com/toledoth.
6. Isolated groups that did not include those with certain ‘know-how’ for e.g. metal extraction and use would have had to rely on stone tools until this was rediscovered.
7. Mark, J.J., Egyptian Gods–The Complete List, 14 April 2016; worldhistory.org.
8. Cox, G., What’s the point of the pyramids? J. Creation 34(1):16–18, 2020; creation.com/why-pyramids.
9. Where several translations have ‘Heliopolis’ in Jeremiah 43:13, the KJV has Bethshemesh (= ‘house of the sun’, per Strong’s Concordance). Isaiah 19:18 is commonly understood among scholars to involve a word-play on the ‘city of the sun’ (Heliopolis) which will be known as ‘city of destruction’.
10. The latest stage of the Egyptian language still spoken today.
11.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entries 244 and 7490.
12. Currid, J.D., Ancient Egypt and the Old Testament, Baker Books, Michigan, p. 57, 1997.
13. Cox, G.,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creation.com/adam-egypt, 13 Feb 2021.
14. There are other ancient cultures whose records likewise list ten original rulers who seem to correspond to the pre-Flood biblical patriarchs. See López, R.E., The antediluvian patriarchs and the Sumerian King List, J. Creation 12(3):347–357, 1998; creation.com/sumerian.
*Gavin M. Cox has two master’s degrees, one in biblical studies from Exeter University, the other in Egyptology from Birmingham University, an honours degree in theology from London Bible College, and a Higher National Diploma of minerals engineering from Camborne School of Mines. He now works full time for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 (UK) as a speaker/ writer since June of 2018. Prior to this, his work included 10 years in the seismic industry as a geophysicist and topographic land surveyor both on land and marine in Africa, the Middle East, Europe, and the UK.
*참조 : 아담에 대해 당신이 모를 수 있는 5가지
https://creation.kr/Genesis/?idx=14499553&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두 개의 시작 : 아담과 노아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96&bmode=view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알파벳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5639096&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Creation 43(3):52–55, July 2021
주소 : https://creation.com/finding-adam-ancient-egypt
번역 : 이종헌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Finding Adam—in Ancient Egypt)
by Gavin Cox
나는 이집트에서 생활하고 일하면서 석유와 가스를 탐사하는 특권을 가졌었다(1999~2000; 2006~2007). 나는 카이로에 살면서 이집트의 역사에 매료되었다. 나는 대피라미드(Great Pyramid, 외부와 내부)와 다른 유적지들을 수십 차례 방문했다. 그들의 규모와 웅장함은 경외심을 불러일으켰다.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이집트 역사가 창세기의 초기 장들과 관련이 있는지 발견하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고대 이집트인들은 아담과 하와 또는 노아와 대홍수에 대해 알고 있었을까?
<Credit: Authorthree snapshots from Egypt>
2개의 석사 학위(성경학 2014, 이집트학 2015)를 포함하여 10년이 넘는 연구 끝에, 나는 이집트인들이 비록 왜곡되고 이교적 방식이긴 하지만, 그것들을 알고 있었다고 결론지었다.[1]
성경의 역사는 실제의 역사이다.
많은 고대 문화에는 창세기 1~11장의 사건 및 인물들과 유사한 기록들이 있다.[2, 3] 이러한 기록은 비록 훼손되었고 종종 혼란스럽지만, 성경적 진리의 측면은 여전히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문화들은 약 4,500년 전 방주에 있었던 가족으로부터 생겨났기 때문에, 이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들은 대홍수의 목격자였으며, 노아가 “의를 전파하는”(베드로후서 2:5) 사람이었으므로, 그들 또한 아담과 하와와 그들의 타락에 대해서도 알고 있었을 것이다.
홍수 이후 증가하는 인구로 인해, 사람들은 바벨에서 분산될 때까지 기껏해야 2~3세기 동안 함께 머물러 있었다.[4] 여기에는 방주의 탑승자들이 포함되었는데, 그들은 대홍수 이후 수세기 동안 살아있었기 때문에, 존경받는 ‘조상 현자(ancestor sages)’로서 정기적으로 자문을 구했을 수도 있다.
또한, 창세기의 구조[5]는 역사의 기록된 버전(written version)이 가능했으며, 나중에 모세가 편집할 때까지 셈의 계보(line of Shem)를 통해 보존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것은 초기 창세기 역사의 ‘기억(memory)’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 다음 하나님은 바벨에서 백성들을 흩으셨고(벨렉의 때에, 역대상 1:19), 창세기 1~11장의 주요 내용들은 전 세계로 퍼져 나갔다. 예를 들어,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진 수백 개의 대홍수 이야기(전설)들은 종종 창세기와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2]
분산 이후 비교적 바벨과 가까웠던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일부 그룹은 그들의 문명 수준을 매우 빠르게 재수립할 수 있었다.[6]
함과 이집트의 연관
노아의 아들 함(Ham)에게는 네 아들이 있었다. 그들 중 미스라임, 붓, 구스(창세기 10:6, KJV) 세 명은 이집트 및/또는 그 이웃 국가들과 성경적 및/또는 성경 외적 연관성을 갖고 있다. 특히 미스라임(Mitsrayim, מִצְרַיִם)은 구약 전체에 걸쳐 이집트(Egypt)의 히브리어식 이름이다. 이집트에 대한 고전적인 아랍어 이름은 미스르(Misr)이며, 현대 이집트인들 스스로가 사용하고 있다.
함과 미스라임은 이집트 초기의 주요 인사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그 둘 혹은 한 명은 이집트의 건국에 주요 인물이었다.
시편에서 이집트는 “함의 땅”(land of Ham, 105:23,27, 106:22)과 “함의 장막”(tents of Ham, 78:51)으로 불려지고 있다. 성경적 증거들에 의하면, 그 지역에 ‘함과 아들들’이 정착했다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함과 미스라임은 이집트 초기의 주요 인사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그 둘 혹은 한 명은 이집트의 건국에 주요 인물이었다. 물론 이집트 건국 인구의 일부가 된 비-함족 그룹이나 개인이 초기 역사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노아에게서 자라나고, 대홍수를 직접 목격했던 함의 존재는 남아있는 초기 이집트 기록에서 ‘창세기 연결’ 가능성을 크게 높여준다.
요컨대, 우리는 고대 이집트에서 초기 창세기에 대한 성경 외적 증거를 찾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것은 바벨 이주민들이 도착한 시기와 가장 가까운 최초의 비문에 들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실제로 우리는 초기(Old Kingdom, 구왕국) 피라미드에서 그러한 증거를 발견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러한 이야기는 점점 더 훼손되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매우 이교적이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만 명의 신들과 여신들을 추가했다.)[7]
이집트인들의 창조 신앙
고대 이집트인들은 창조에 대한 세 가지 주요 신앙을 갖고 있었는데, 그것은 각각 자기들의 사원이 있었던 세 곳에 분산되어 남아있다. 그곳들은 그리스식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헬리오폴리스(Heliopolis, 오늘날 카이로 내, 아래를 보라), 멤피스(Memphis, 카이로 남쪽 20km), 헤르모폴리스(Hermopolis, 카이로 남쪽 322km)이다. 각각의 곳에서 ‘원초의 대양’(primordial ocean, Nu/Nun, 아래 글 ‘노아에 대한 기억?’을 보라)을 포함하여, 기본적인 아이디어들을 공유하고 있는데, 그 원초의 대양에서 최초의 창조된 땅이 솟아올랐다는 것이다.[8] 이것은 뭍(마른 땅)이 드러난(창세기 1:9) 창조주간의 제3일을 연상시킨다. 그것은 또한 산들의 봉우리가 보인(창세기 8:5) 대홍수의 끝을 떠올리게 한다.
그림 1. 크눔 신(god Khnum)이 흙으로 사람을 만들고 있다(도공의 물레) <All images Wikipedia unless otherwise indicatedthe-god-khnum>
아스완의 엘레판틴(Elephantine, 카이로 남쪽 870km)에 있는 네 번째 사원에는 도공의 물레(potter’s wheel)를 사용하여 흙으로 인류를 창조하는 크눔(Khnum)이라는 신이 그려져 있다(그림 1). 이것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라는 창세기 2:7절을 연상시킨다.
헬리오폴리스, 아툼, 그리고 성경
헬리오폴리스(Heliopolis, ‘태양의 도시(city of the sun)’를 뜻하는 그리스어)는 처음부터 아툼((Re)-Atum)이라 불리는 신(태양의 신이자, 창조의 신)을 숭배하던 지역의 중심지였다. 남아있는 유일한 증거는 알-마살라 오벨리스크(Al-Masalla Obelisk)이다(그림 2). 이것은 카이로 교외 아인샴스(Ain Shams)에 있는, 헬리오폴리스 부지 위에 건설되었다. 아인샴스는 이 고대 도시의 아랍어 이름(‘태양의 눈(eye of the sun)이라는 뜻’)이다. 제12왕조의 세누스레트 1세(Senusret I, BC 1926 사망)가 오벨리스크를 세웠다. 그것은 붉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약 21m(70ft) 높이에, 무게는 120톤이다.
그림 2. 고대 헬리오폴리스 부지에 있는 알-마살라 오벨리스크(Al-Masalla Obelisk).
헬리오폴리스와 아툼의 숭배는 성경에 모두 등장한다. 기둥/오벨리스크가 있는 헬리오폴리스는 예레미야 43:13절과 이사야 19:18절에서 우상숭배로 심판을 받는다.[9] 헬리오폴리스의 이집트식 이름은 ‘기둥’(pillar, 또는 오벨리스크)을 의미하는 ‘이우누(Iunu)’이다. 콥트어로는[10] ‘온(On)’으로써 에스겔 30:17절에서 심판을 받는다. 요셉의 아내는 보디베라(Potiphera)의 딸이었다. (보디베라라는 이름은 ‘라(Ra, 태양신)가 보낸 사람’을 의미하며, “온의 제사장”(창세기 41:45,50; 46:20)이었다).[11] 따라서 보디베라는 아마도 아툼을 숭배했을 것이다. 또한, 이스라엘 노예들은 ‘비돔(Pithom)’(출애굽기 1:11)에서 파라오를 위한 곡물 저장고를 지었다. 비돔은 이집트어로 ‘아툼의 큰 집(Great House of Atum)’(pr-jtm.w)을 의미한다.[9] 아툼이라는 이름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텍스트에 나와 있으며, 제5왕조 피라미드 내부의 매장실 벽과 복도에 새겨져 있다. 아툼은 ‘원초의 물’에서 나와, ‘원초의 땅’(최초의 땅)에 올라, 자신의 창조 작업을 시작한 최초의 창조의 신(creator god)으로 기술되고 있다.[12]
아툼은 ‘재채기’ 또는 ‘뱉어내기’를 통해, 아들 슈(Shu, 공기의 신)와 딸 테프누트(Tēfnut, 습기, 이슬, 비의 여신)를 만들었다. 다른 신들은 아툼으로부터 자연 출산에 의해 후손된 것으로 믿어졌다.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아홉 신(때로는 열)들을 생각했으며, 이들을 공동으로 그레이트 엔네아드(Great Ennead, 구신/九神)라고 불렀다.
아툼은 ‘원초의 물’에서 나와, ‘원초의 땅’에 올라, 자신의 창조 작업을 시작한 최초의 창조의 신으로 기술되고 있다.
제19왕조 튜린 캐논(Turin Canon, Turin King List, 튜린(토리노) 왕의 목록) 파피루스에는(그림 3), 이집트의 통치자들과 그들의 통치 기간이 나열되어 있다. 비록 매우 손상되었지만, 여러 신화적인 초기 통치자들 사이에서 그레이트 엔네아드(구신)의 이름이 두드러지며, 그들 각각은 수백 년 동안 통치했다.[13] 이것은 창세기 5장에 기술된 매우 장수했던 족장들에 대한 사라진 기억을 연상시킨다.[14] 저명한 조상이 죽은 후에 ‘신격화’ 되는 것은 잘 알려져있는 현상이다.
그림 3. 튜린 캐논(Turin Canon) 파피루스에는 수백 년 동안 통치했던 통치자들의 목록이 있다.<akhenatenator/wikimediaturin-canon-papyrus>
아툼은 아담의 기억에서 나온 것일까?
그러한 신격화(deification)가 아담의 경우에서 일어났을 것이다. 아툼(Atum)은 아담(Adam)처럼 들리며, 언뜻 보기보다 훨씬 비슷할 수 있다. 첫째, 모음은 상형문자 비문에 거의 표시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새겨진 것들은 자음이었기 때문에, 현대 이집트학 학자들은 단어가 어떤 소리인지 추론할 수 있다. 모음은 합의된 관례에 따라 제공되며, 단어가 발음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아툼은 ‘아탐(Atam)’이라고 발음될 수 있었다. 또한 자음 ‘t’는 이집트어로 ‘d’로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확고한 사실이다.[1] 다시 말해서 창세기에 있는 아담의 원래 이름은 잘 이해된 문자 소리의 변환을 통해, 이집트어에서 ‘아탐/아툼’으로 쉽게 발음될 수 있다.
아툼은 지식의 나무 아래에서 뱀과 싸우고 있다.
아툼에 대한 이집트인들의 믿음은 초기 창세기와의 연관성에 대한 더 많은 단서들을 제공한다. 아툼의 형상은 제20왕조 무덤(BC 1189~1077 년경)에 나타나있다. 거기서 그는 이세트 나무(Ished tree)라 불리는 나무(그림 4) 앞에서, 아포피스(Apophis)라 불리는 거대한 뱀(serpent, 악마)과 싸우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툼은 뱀의 천적으로 간주되는 고양잇과 동물(cat)로 묘사되어 있다. 그러한 형상은 BC 약 1280년경, 죽은 사람과 함께 묻힌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라고 불리는 종교적 주문을 적은 파피루스 수집품에 등장한다. 아툼은 한 발로 아포피스의 머리를 부수고, 다른 발로는 칼을 사용하여 목을 베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믿음과 관련되어 이집트 사제들은 사탄(뱀)의 악을 물리치기 위해, 짓밟히고, 칼에 찔리고, 불에 타는 아포피스의 모형을 만들었다.[1]
그림 4. 아툼이 이세트 나무 앞에서 뱀 아포피스와 싸우고 있다.
아담과 하와가 죄를 지었을 때, 저주에 대한 선포의 일환으로 하나님은 바울이 ‘마지막 아담’(고린도전서 15:45)이라 칭한 ‘오실 씨(coming Seed, 여자의 후손)’에 의해 뱀의 머리가 상할 것이라고 말씀하셨다.(창세기 3:15). 그러나 이집트 버전은 이미 뱀을 이기고 그의 머리를 부수는 아툼을 가지고 있다.
에덴의 나무들
창세기 2:9절은 에덴동산에 ‘생명 나무(the Tree of Life)’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라는 두 나무가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세트 나무(Ished tree)는 이집트 비문에서 명확하게 인간의 지식 및 수명과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테베(Thebes)에 있는 파라오 람세스 2세 사원(Pharaoh Ramesses II temple)의 벽에 새겨진 비문에는(BC 1300년경) 아툼과 토트(Thoth)라는 신이 묘사되어 있으며, 이세트 나무의 잎사귀에 즉위한 왕이 다스렸던 통치 기간을 기록하고 있다(그림 5).
그림 5. 테베의 비문(Inscription at Thebes) ; 아툼 신(왼쪽)과 토트 신이 이세트 나무의 잎에 즉위한 왕의 통치 기간을 기록하고 있다.
흥미롭게도 Ished(원래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ish-d-et’로 발음됨)라는 이름은 히브리어로 ‘지식의 나무(tree of knowledge)’인 ets-ha-da-at 처럼 발음된다. (히브리어에서 ‘tree’ = ets, ‘the knowledge of’ = ha-da-at). 그러므로, 창세기 에덴동산의 나무 이름들의 소리(발음)와 의미가 이집트 종교에 일부 혼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결론
예상대로, ‘창세기의 메아리’는 실제로 초기 이집트의 기록에 여러 형태로 존재한다. 역사에 대한 하나님의 계시된 진리인 성경으로 시작하면, 우리는 진정한 발견을 할 수 있는 것이다.
------------------------------------------
아담과 아툼의 이름 안에 있는 것은?
히브리어 성경에서, 비슷한 발음을 가진 단어들의 관계를 통해 이름이 의미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학자들은 아담(Adam)이 히브리어에서 ‘붉은’, ‘흙/점토’, ‘인간/인류’, ‘피’와 비슷하게 발음되는 것을 오랫동안 알고 있었다. 소위 아담의 ‘음성학적 어근(phonetic root)’인 ‘dm’은 이러한 히브리어 단어들에서 발생되어 있다. 즉, 이들의 개념은 신학적으로 아담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은 ‘패러노메이저(paronomasia, 언어유희)’로 불려지는데, 한 단어에 여러 뜻을 곁들어 표현하는 말재간(puns, word-play)으로, 여러 의미를 나타내는 수사법이다.
비슷한 사례가 아툼(Atum)에 대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Atum에 대한 음성학적 어근(tm/dm)은 이집트 단어에서, ‘붉은’, ‘모든 사람/인간’, ‘혈액 응고’, ‘붉은 황토’와 연결된다. 더욱이 Atum의 여성형 이름(tm.t)은 ‘조상 어머니(ancestress mother)’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하와(Eve)의 이름의 의미인 “모든 산 자의 어머니(mother of all living)”(창세기 3:20)와 비슷하다.
.Cox, G., The search for Adam, Eve and creation in ancient Egypt, J. Creation 35(1):61–69, 2021.
-----------------------------------------
노아에 대한 기억?
성경은 노아와 그의 세 아들 부부가(모두 여덟 명) 전 지구적 홍수 심판을 피하기 위해 방주에 탔다고 기록하고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도 이것에 대해 알고 있었을까?
이집트 학자들은 오그도아드(Ogdoad, ‘8’을 뜻하는 그리스어)라고 불리는, 여덟 신의 무리(a group of eight gods)를 잘 알고 있다. 네 명의 남성 신들과 그들의 아내 신들은 이집트 대홍수, 또는 원초 바다(Nun/Nu)와 연결되어 있다. 그들의 이름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비문인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 나와 있다. 주신은 누(Nu)이고, 노아처럼 들인다. 그의 아내는 누트(Nu.t)이다.
이들 여덟 신들은 피라미드 텍스트에 언급되어 있는 케메누(Khemenu, 그리스어로 ‘헤르모폴리스’)에서 숭배되었다. 케메누는 카이로 남쪽 322km 떨어진 곳에 있는, 현대의 엘-아슈무네인(EI Ashmunein, 콥틱어로 ‘8개 도시’라는 뜻) 내에 남아있다. 한때 그곳에 있던 한 사원은 그들을 숭배하기 위해 세워졌다.
.누(Nu)가 혼돈의 물속에 서서, 다른 일곱 신이 들어있는 태양의 돛단배(barque of the sun)를 들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8명’이 결국 죽었고, 묻혔다고 믿고 있었다.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663km 떨어진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있는 작은 제18왕조 사원은 그들의 무덤을 표시하고 있다. 비문에는 그들의 이름이 나와 있으며, 그들이 미라로 매장되었다는 것과 대홍수가 있었다는 두 가지를 기술해놓고 있다.
.Cox, G.,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s 1, parts 2, J. Creation 33(3):94–108, 2019.
--------------------------------------------------------
Related Articles
▶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 Time fears the pyramids?
▶ Horus—the deified Ham: part 1
▶ Horus—the deified Ham: part 2
Further Reading
▶ History Questions and Answers
References and notes
1. For more details see: Cox, G., The search for Adam, Eve and creation in ancient Egypt, J. Creation 35(1):61–69, 2021.
2. Conolly R., and Grigg, R., Flood! Creation 23(1):26–30, 2000; creation.com/many-flood-legends.
3. Wieland, C., chap. 9, ‘Echoes of Genesis’ in: One Human Family; creation.com/ohf.
4. This event was in the days of Peleg (Genesis 10:25), who was born about 100 years post-Flood, dying at the age of 239.
5. DeRemer, F., Structure, toledoths, and sources of Genesis, J. Creation 28(1):53–58, 2014; creation.com/toledoth.
6. Isolated groups that did not include those with certain ‘know-how’ for e.g. metal extraction and use would have had to rely on stone tools until this was rediscovered.
7. Mark, J.J., Egyptian Gods–The Complete List, 14 April 2016; worldhistory.org.
8. Cox, G., What’s the point of the pyramids? J. Creation 34(1):16–18, 2020; creation.com/why-pyramids.
9. Where several translations have ‘Heliopolis’ in Jeremiah 43:13, the KJV has Bethshemesh (= ‘house of the sun’, per Strong’s Concordance). Isaiah 19:18 is commonly understood among scholars to involve a word-play on the ‘city of the sun’ (Heliopolis) which will be known as ‘city of destruction’.
10. The latest stage of the Egyptian language still spoken today.
11. Hebrew and Aramaic Lexicon of the Old Testament, entries 244 and 7490.
12. Currid, J.D., Ancient Egypt and the Old Testament, Baker Books, Michigan, p. 57, 1997.
13. Cox, G., The search for Adam, Eve, Noah and the Flood—in Ancient Egypt? creation.com/adam-egypt, 13 Feb 2021.
14. There are other ancient cultures whose records likewise list ten original rulers who seem to correspond to the pre-Flood biblical patriarchs. See López, R.E., The antediluvian patriarchs and the Sumerian King List, J. Creation 12(3):347–357, 1998; creation.com/sumerian.
*Gavin M. Cox has two master’s degrees, one in biblical studies from Exeter University, the other in Egyptology from Birmingham University, an honours degree in theology from London Bible College, and a Higher National Diploma of minerals engineering from Camborne School of Mines. He now works full time for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 (UK) as a speaker/ writer since June of 2018. Prior to this, his work included 10 years in the seismic industry as a geophysicist and topographic land surveyor both on land and marine in Africa, the Middle East, Europe, and the UK.
*참조 : 아담에 대해 당신이 모를 수 있는 5가지
https://creation.kr/Genesis/?idx=14499553&bmode=view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두 개의 시작 : 아담과 노아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8996&bmode=view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알파벳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5639096&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Creation 43(3):52–55, July 2021
주소 : https://creation.com/finding-adam-ancient-egypt
번역 : 이종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