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돌과 알파고, 영혼 vs 물질 싸움 아니다
하주헌
약 2500여 년 전, 중국에서 유래된 바둑은 오늘날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 보드 게임 중 가장 오래된 게임이다. 바둑 시합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분석하면, 10에 0이 360개가 붙는 수를 가진다고 하니, 바둑이야말로 현존하는 보드 게임 중에서 가장 복잡하며, 끊임없이 다음 경우의 수를 추론해야하는 고도의 집중을 요구하는 게임이다. 바로 이 바둑 시합이 세계 최강자인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자회사인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 지능 컴퓨터 ‘알파고’ 사이에서 올 3월 총 5회 진행되어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인공지능이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론과 학습 능력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 대국에서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깨고 알파고가 압승함으로써, 인공지능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우려가 함께 표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가지는 막연한 우려는 ‘이제 인공지능을 가진 컴퓨터가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현재 알파고는 바둑이라는 특정 분야에만 한정된 인공지능을 가졌지만, 이 프로그램에 더 많은 분야의 데이터를 집어넣고 학습시킬 수 있다면 모든 분야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기계가 만들어질까? 이러한 우려의 배경으로 진화론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즉 생물 진화 이론의 영향력으로 인해, 기계 또한 인공지능을 통해 스스로 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게 걱정할 필요는 전혀 없다.
인간의 뇌는 과학자들에게도 아직 신비의 세계일뿐이다. 앞으로도 뇌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막대한 연구비와 연구 인력이 투입될 전망이다. 미국의 경우, 향후 10여 년간 뇌 연구만을 위해 3조원 정도의 연구비가 사용될 계획이라고 한다. 뇌는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서 과학자들은 신경세포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 전기적 변화, 신경 세포들이 분비하는 물질의 종류와 역할 등을 겨우 조금씩 이해하고 있다. 사람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뇌로 보고, 귀로 듣는 것이 아니라 뇌로 듣는다. 눈으로 들어온 빛을 신경세포가 전기신호로 변형시켜 뇌에 전달함으로써 뇌가 보게 된다는 사실은 너무 신비롭다. 소리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이런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과학자들이 인지하고 탐색할 수 있는 부분은 오직 신경세포의 물리적인 변화뿐인데, 이런 물리적인 변화가 어떻게 보고, 듣고, 느끼고, 기억하는 등의 지각 개념으로 변화될 수 있는가? 이 질문에는 답이 아니라 어떠한 힌트도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공지능이란 사람이 결정하고 생각하는 과정을 일부 모방하여 만든 프로그램인데, 사람이 아직 사람의 뇌에 대해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데 사람을 이길 수 있는 컴퓨터 개발이 가능하겠는가?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이 대국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이제 사람들이 상당히 우수한 프로그램을 만들었구나’가 될 뿐, 기계 자체가 사람을 이겼다는 결론은 아니다. 인공지능은 상당히 많은 경우의 수를 파악하고 결론을 빠르게 찾아가는 프로그램 일뿐이지, 사람이 가지는 지각 능력을 절대로 흉내 낼 수 없다.
이제 다시 이 대국의 본질과 승자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이 대국은 사람과 기계의 시합이 아니다. 영혼이 없는 물질과 영혼이 있는 존재의 시합 등으로 확대 해석할 필요도 전혀 없다. 더 나아가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어지럽히는 사건으로 바라볼 필요도 없다. 이 대국은 대중을 상대로 펼치는 회사 경영진의 우수한 마켓팅 일뿐이다. 필자뿐 아니라 많은 일반인들에게 알파고는 생소한 단어가 분명했다. 그러나 이 대국이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결로 이슈화되면서 국내에서도 벌써 수많은 뉴스거리가 만들어지면서 일반인들도 알파고에 대해 많이 친숙해진 듯하다. 다시 말하면 이 바둑 대국을 통해 적어도 한국에서 구글 딥마인드 회사의 홍보는 기대 이상으로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대국의 승자는 승패와 관련 없이 이 회사의 영리한 경영진일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우리가 진정으로 우려할 바는, 인공지능이 사람을 능가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아니라, 인공지능에 관한 한국의 기술력이 구글 딥마인드의 기술력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왜 한국에서는 이렇게 창의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더딘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이세돌과 알파고, 영혼 vs 물질 싸움 아니다
하주헌
약 2500여 년 전, 중국에서 유래된 바둑은 오늘날 사람들이 즐기고 있는 보드 게임 중 가장 오래된 게임이다. 바둑 시합에서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를 분석하면, 10에 0이 360개가 붙는 수를 가진다고 하니, 바둑이야말로 현존하는 보드 게임 중에서 가장 복잡하며, 끊임없이 다음 경우의 수를 추론해야하는 고도의 집중을 요구하는 게임이다. 바로 이 바둑 시합이 세계 최강자인 이세돌 9단과 구글의 자회사인 구글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 지능 컴퓨터 ‘알파고’ 사이에서 올 3월 총 5회 진행되어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인공지능이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론과 학습 능력이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이 대국에서 많은 사람들의 예상을 깨고 알파고가 압승함으로써, 인공지능에 대한 지대한 관심과 우려가 함께 표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가지는 막연한 우려는 ‘이제 인공지능을 가진 컴퓨터가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현재 알파고는 바둑이라는 특정 분야에만 한정된 인공지능을 가졌지만, 이 프로그램에 더 많은 분야의 데이터를 집어넣고 학습시킬 수 있다면 모든 분야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기계가 만들어질까? 이러한 우려의 배경으로 진화론의 영향력을 무시할 수 없다. 즉 생물 진화 이론의 영향력으로 인해, 기계 또한 인공지능을 통해 스스로 진화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렇게 걱정할 필요는 전혀 없다.
인간의 뇌는 과학자들에게도 아직 신비의 세계일뿐이다. 앞으로도 뇌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막대한 연구비와 연구 인력이 투입될 전망이다. 미국의 경우, 향후 10여 년간 뇌 연구만을 위해 3조원 정도의 연구비가 사용될 계획이라고 한다. 뇌는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어서 과학자들은 신경세포의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신경세포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변화, 전기적 변화, 신경 세포들이 분비하는 물질의 종류와 역할 등을 겨우 조금씩 이해하고 있다. 사람은 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뇌로 보고, 귀로 듣는 것이 아니라 뇌로 듣는다. 눈으로 들어온 빛을 신경세포가 전기신호로 변형시켜 뇌에 전달함으로써 뇌가 보게 된다는 사실은 너무 신비롭다. 소리도 마찬가지이다. 이제 이런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다. 과학자들이 인지하고 탐색할 수 있는 부분은 오직 신경세포의 물리적인 변화뿐인데, 이런 물리적인 변화가 어떻게 보고, 듣고, 느끼고, 기억하는 등의 지각 개념으로 변화될 수 있는가? 이 질문에는 답이 아니라 어떠한 힌트도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인공지능이란 사람이 결정하고 생각하는 과정을 일부 모방하여 만든 프로그램인데, 사람이 아직 사람의 뇌에 대해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데 사람을 이길 수 있는 컴퓨터 개발이 가능하겠는가?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이 대국을 통해서 얻은 결론은 ‘이제 사람들이 상당히 우수한 프로그램을 만들었구나’가 될 뿐, 기계 자체가 사람을 이겼다는 결론은 아니다. 인공지능은 상당히 많은 경우의 수를 파악하고 결론을 빠르게 찾아가는 프로그램 일뿐이지, 사람이 가지는 지각 능력을 절대로 흉내 낼 수 없다.
이제 다시 이 대국의 본질과 승자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이 대국은 사람과 기계의 시합이 아니다. 영혼이 없는 물질과 영혼이 있는 존재의 시합 등으로 확대 해석할 필요도 전혀 없다. 더 나아가 하나님의 창조 질서를 어지럽히는 사건으로 바라볼 필요도 없다. 이 대국은 대중을 상대로 펼치는 회사 경영진의 우수한 마켓팅 일뿐이다. 필자뿐 아니라 많은 일반인들에게 알파고는 생소한 단어가 분명했다. 그러나 이 대국이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결로 이슈화되면서 국내에서도 벌써 수많은 뉴스거리가 만들어지면서 일반인들도 알파고에 대해 많이 친숙해진 듯하다. 다시 말하면 이 바둑 대국을 통해 적어도 한국에서 구글 딥마인드 회사의 홍보는 기대 이상으로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대국의 승자는 승패와 관련 없이 이 회사의 영리한 경영진일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우리가 진정으로 우려할 바는, 인공지능이 사람을 능가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아니라, 인공지능에 관한 한국의 기술력이 구글 딥마인드의 기술력과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왜 한국에서는 이렇게 창의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더딘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