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사람의 목소리, 눈의 깜박거림, 머리카락의 경이로움

사람의 목소리, 눈의 깜박거림, 머리카락의 경이로움 

(Learn Your Body Toolkit)

David F. Coppedge


     자동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모를 수도 있는 인체의 기술들이 있다.


눈의 깜박거림. 당신이 깜박일 때, 어떻게 시야가 사라지지 않을까? 그것에 대해 생각해보라. 세상은 어둡게 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계속 깜박거리면서도, 시야를 계속 가지고 있다.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의 과학자들은 이것을 조사했다. ”우리가 깜박거릴 때, 빛이 희미해지지 않은 이유는?”이라는 질문에 그들은, ”깜박거리는 눈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뇌는 우리의 시야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추가로 열심히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자세한 내용은 Current Biology(2017. 2. 6) 지에 게재되어 있다. ”깜박이는 동안 시선 방향의 자동적 보정”을 살펴보라.


사람의 발성. 사람의 목소리는 놀랍도록 다양하다. 이야기하는 동안에 낼 수 있는 모든 소리들을 생각해보라. 성악가나 가수의 노래를 생각해보라. 사람이 내는 음성의 범위와 유연성은 정말로 훌륭하다. The Conversation(2017. 1. 19) 지에서, 노엘 한나(Noel Hanna)는 흥미로운 사실들을 보고하고 있었다. 첫째, 그는 5가지(4개의 성조와 경성)의 음색 규칙이 있는, 중국어를 말하는 사람은 840개의 구별된 소리를 낼 수 있지만, 사실 그 중 절반만이 말하는 데에 사용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발음 시스템을 사용하면, 실제로 2,000 × 2,000개인, 4백만 개의 고유한 단어들을 발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다음 그러한 단어들이 복잡한 문장으로 함께 묶여져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도 단지 한 개국의 언어일 뿐이다. 각 언어들마다 다른 소리가 있다. 다른 언어들과 겹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해부학적 수업과 오페라 가수의 노래를 포함한 3개의 흥미로운 영상물을 보여준 후에, 한나는 발성 메커니즘에 대한 여러 질문들에 대답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람이 어떻게 이러한 경이로운 발성기관을 갖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고 있었다.


머리카락의 힘. 머리카락은 매우 강하고, 잘 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자들은 몸의 갑옷을 만들기 위해서 모방하려고 하고 있다. 여기에 당신이 매일 빗질을 하는 소재에 대한 몇 가지 사실이 있다 :

머리카락은 강철과 무게 대비로 비교해볼 때 강인함을 갖고 있다. 그것은 늘어나기도 하는데, 끊어지기 전에 원래 길이의 1.5배까지 늘어날 수 있다. ”우리는 이 특별한 성질 뒤에 있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기를 원했다”고 수석 저자인,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대학의 나노공학 교실의 박사 연구원인 양유(Yang (Daniel) Yu)는 말했다.

”자연은 매우 천재적인 방법으로 흥미로운 소재들과 구조물들을 다양하게 만들고 있다. 우리는 새로운 신물질과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 존재하는 어떤 것보다 우수한, 자연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물질의 구조와 성질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캘리포니아 대학 제이콥 공학부의 기계공학 교수이며, 연구의 선임자인 마크 메이어(Marc Meyers)는 말했다.

머리카락은 흔한 재료임에도 불구하고 매혹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Structure and mechanical behavior of human hair.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C

Volume 73, 1 April 2017, Pages 152-163.



머리카락, 눈, 목소리 - 우리는 계속해서 제시할 수 있지만, 오늘은 이만큼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것들이 무작위적인 자연적 과정들에 의해서 모두 우연히 생겨났는가? 머리를 빗으면서, 눈을 깜박이면서, 노래를 불러 보라. 그리고 생각하여 보라.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crev.info/2017/01/learn-your-body-toolkit/ 

출처 - CEH, 2017. 1. 25.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