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빙핵은 창조의 증거를 갖고 있을 것이 예상된다.

미디어위원회
2021-12-08

새로운 빙핵은 창조의 증거를 갖고 있을 것이 예상된다.
(New Ice Core Expected to Contain Creation Evidence)

by Jake Hebert, PH.D.


     세속적 과학자들은 남극 동부의 빙상을 굴착하여 세 개(EPICA Dome C, Vostok, and Dome Fuji cores)의 긴 빙핵(ice cores, 얼음 코어)을 추출하였다. 그들은 이들 빙핵 바닥의 연대에 대해 각각 80만 년, 40만 년, 72만 년의 연대를 부여하고 있었다. 현재 국제 연구팀은 네 번째 얼음 코어를 남극 동쪽에 뚫기를 희망하고 있었는데, 그곳 바닥의 얼음은 150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들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려 때문에, 얼음 속의 기포로부터 과거 선사시대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양에 대한 정보를 얻기를 희망하고 있었다.[1]

물론, 창조론자들은 이러한 할당된 연대는 크게 부풀려졌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래에 설명된 이유로 창조론자들은 과학자들이 적어도 한 개의 더 긴 남극 빙핵을 성공적으로 얻기를 기원해야 한다.

빙핵을 굴착하기 위한 이상적인 장소는 ice divide (or ice dome)이 불리는 지리적 특성이 있는 곳이다. 이 분할의 한쪽에 있는 얼음은 그쪽으로 흐르고, 다른 쪽에 있는 얼음은 다른 쪽으로 흐른다. 이론적으로, 분할 장소의 얼음은 오른쪽으로도 왼쪽으로도 움직이지 않고, 아래로 쭉 쌓여질 것이다. 얼음 속의 압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음 속의 층들을 얇게 만든다. 만약 한 핵에서 층들이 보여진다면, 그것들은 단순한 층 케이크나 팬케이크 같은 패턴을 보여줄 것이고, 이것은 빙핵의 분석을 더 쉽게 만들 것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 분석을 어렵게 만드는 얼음의 접힘과 같은 복잡한 것들이 때때로 있다.

남극 대륙은 강한 바람과 상대적으로 낮은 강설량으로 인해 얼음에 명확한 층이 잘 형성되지 않는다.[2, 3] 이러한 이유로, 세속적 과학자들은 이들 빙핵의 연대를 추정하기 위해서 이론적 연령 모델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그들의 모델은 암묵적으로 얼음이 수백만 년 된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밀란코비치(Milankovitch, 또는 천문학적) 빙하기 이론을 사용하여 모델을 보정한다.[4, 5] 

물론, 창조과학자들은 남극 얼음에서의 연층(annual layers)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 깊은 남극의 얼음층이 단지 몇 천 년에 걸쳐 쌓여진 것인지, 아니면 수십만 년인지 혹은 수백만 년에 걸쳐 쌓여진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그렇다. 있다. 폭발적인 화산 분출로 인한 화산재와 테프라(tephra, 화산쇄설물)와 같은 물리적 표지자(markers)들을 통해 창조 모델이 더 적합한지, 세속적 모델이 더 적합한지를 알아낼 수 있다. 창조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만약 빙핵에 장구한 시간을 부여하는 동일과정설 모델이 맞는다면, 그 모델은 깊은 빙핵 내의 테프라 층들은 터무니없이 오랜 시간 동안 축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Dome Fuji 코어의 세속적 모델은 약 5년 동안에 걸쳐 하나의 테프라 층(약 3천 마일 떨어진 화산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되는)이 얼음 위에 퇴적됐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화산 폭발로 하나의 화산재 층이 형성되는 데에 5년이나 걸렸을까? 

또한 동일과정설적 연대 모델은 추정하는 연대의 거의 모든 시간(약 85%)을 빙핵의 하반부에 할당하고 있다. 그래서 세속적 시간 틀이 남극 빙핵의 위쪽과 아래쪽 모두에서 부풀려져 있지만, 특히 아래쪽 부분에서 더 부풀려져 있는 것이다. 이렇게 부풀려진 바닥 쪽의 연대는 빙핵 깊숙한 곳에 있는 테프라 사건의 빈도를 지속적으로 극적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그러한 패턴은 다른 세 개의 남극 동부의 빙핵에서 이미 관찰됐었다.[4, 7] 그러한 빈도 감소는 "현재가 과거의 열쇠"라면 매우 놀라운 것이지만, 세속적 시간 틀이 엄청나게 부풀려졌다는 것은 논리적이고 예측 가능한 결과이다.

남극 대륙에서 또 다른 긴 빙핵의 존재 가능성은 창조론자들을 흥분시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에게 오래된 지구 시간 틀이 합리적인지, 아니면 젊은 지구 시간 틀이 더 합리적인지를 시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만약 연구팀들이 다른 세 개의 빙핵과 비슷하거나 더 오래된 연대를 갖는 네 번째 긴 남극 빙핵을 얻는데 성공한다면, 그 빙핵에서도 테프라 빈도의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나는 예측한다.

세속적인 과학자들은 과거의 기후 변화와 미래의 기후 변화에 대한 예측을 위해, 깊은 빙핵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내가 "빙하기와 기후 변화: 창조론적 관점"에서 논했던 것처럼, 이러한 예측들은 결함이 있다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만약 빙핵의 시간 틀이 완전히 틀렸다면, 이들의 예측은 시작부터 잘못됐을 수 있다. 이것은 기원 논쟁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오늘날의 많은 논쟁적 이슈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과거에 대해 당신이 믿고 있는 것은 당신이 미래를 보는 방법에 확실히 영향을 미친다.

References
1. Voosen, P. Hunt begins for ancient Antarctic ice—and clues to Earth’s response to rising temperatures. Science. Posted on science.org October 20, 2021, accessed October 28, 2021.
2. Palerme, C. et al. 2014. How much snow falls on the Antarctic ice sheet? The Cryosphere Discussions. 8 (4): 1577-1587.
3. Dating by forward and inverse modelling. Centre for Ice and Climate. Niels Bohr Institute. Posted on iceandclimate.nbi.ku.dk, accessed October 28, 2021.
4. Hebert, J. 2019. Earth’s Thick Ice Sheets Are Young. Acts & Facts. 48 (2).
5. Hebert, J. 2020. Physics Today Article Ignores Monster Milankovitch Problem.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May 24, 2020, accessed October 28, 2021.
6. Fujii, Y., et al. 1999. Tephra layers in the Dome Fuji (Antarctica) deep ice core. Annals of Glaciology. 29: 126-130.
 7. Narcisi, B. et al. 2010. Extended East Antarctic ice-core tephrostratigraphy. Quaternary Science Reviews. 29: 21-27.

 *Dr. Hebert is Research Associate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physics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출처 : ICR, 2021. 11. 18.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new-ice-core-contain-creation-evidence/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