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1장
: 시베리아에 얼어붙은 매머드 사체들
(Frozen in Time, Chapter 1. Frozen mammoth carcasses in Siberia)
by Michael J. Oard, Ph.D.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냉동 매머드 사체는 수세기 동안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해 왔다. 매머드의 사체에는 때로 피부, 머리카락, 심장을 포함하는 내장기관들이 남아있었다.[1]
이러한 발견에 대한 보고들은 이유는 다르지만 성인과 아이들에게 모두 흥미롭게 다가온다. 북극해 연안에 있는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의 한 섬은 대부분 매머드 뼈로 덮여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년 동안 수천 톤의 아이보리 상아가 시베리아에서 발굴되고 수출되면서, 수익성 있는 상아 무역이 발달했다. 과학자들은 왜 이 동물들이 시베리아에 살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죽었는지, 이해하려고 애쓴다. 아이들은 먹을 수 있을 만큼 신선한 고기가 붙어있는 상태로 냉동된 동물 사체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림 1.1
이러한 이상한 발견으로 많은 질문들이 생겨난다. 털북숭이 매머드, 들소, 털북숭이 코뿔소, 말은 왜 시베리아에 이끌렸을까? 오늘날 시베리아는 황량하고,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황량한 지역이다. 동물들은 극도로 추운 겨울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일까? 그들은 무엇을 먹었을까? 짐승이 눈과 얼음 속에 고립되었을 때, 그들이 필요로 하는 엄청난 양의 물을 어디에서 구할 수 있었을까? 겨울마다 강조차도 몇 피트의 얼음으로 덮여 있다. 모든 것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은 매머드와 그 동료들이 어떻게 한꺼번에 죽었으며, 어떻게 영구동토층에 갇혀 있을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망 당시의 환경에 대한 다양한 단서들이 발견되고 연구되었다. 과학자들은 일부 사체의 위장 내에 부분적으로 보존된 식물들을 발견했고, 털북숭이 매머드의 마지막 식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의 미스터리를 풀고 나면, 다른 미스터리를 만나게 된다. 과학자들은 동물들이 얼어붙는 동안, 위장 내용물이 어떻게 해서 반만 부패된 채 남아있는지 궁금해 했다. 코끼리처럼 거대한 동물이 동결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식물이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었다는 것은 빠른 동결을 의미하는 것이다. Birds Eye Frozen Foods Company는 계산을 해본 결과 –150℉(–100℃)라는 엄청나게 낮은 온도를 산출해냈다. 다시 한 번 과학자들은 의아해했다. 급속 냉동 이전의 지구 온도는 명백히 온난했을 텐데, 어떻게 그러한 낮은 온도에 도달할 수 있었을까?
많은 이론들이 가정되었다. 가장 인기 있는 이론 중 하나는 그 털북숭이 매머드가 풀과 목초지가 있는 지역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다가, 갑자기 북극해에서 날아오는 거대하고 차가운 폭풍에 의해 수백만 마리가 즉시 얼어붙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빠른 동결은 관찰된 적이 없으므로, 일부 특별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다. 언제나 한 가지 질문은 다른 질문들을 낳는 것과 같다. 이 이야기는 오토 헤르츠(Otto Herz)와 파이젠메이어(E. Pfizenmayer)가 이끌었던 영웅적인 탐사팀에 의해 발굴되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겨진 베레소브카(Beresovka) 매머드를 기반으로 한다. 이 탐사는 1901년 늦은 봄에 시작하여 1902년 2월 18일에 끝났다. 시베리아의 추운 가을과 겨울기간 동안 매머드 사체를 운반하기 위해 썰매로 6,000km를 여행해야 했다.[2]
우리는 이 책에서 이 질문들을 탐구하고, 빙하기를 바탕으로 또 다른 이론을 제시할 것이다. 이 빙하기는 시베리아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의 이주와 멸종에 관한 질문에 답을 준다. 빙하기의 원인은 여전히 주류 과학자들에게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그래서 빙하기에 대한 이론을 성경에 기록된 창세기 홍수에 기초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림 1.2 베레소브카(Beresovka) 매머드
털북숭이 매머드는 정확하게 어떤 동물인가?
털북숭이 매머드(Mammuthus primigenius)는 본질적으로 커다란 어깨 혹, 경사진 등, 작은 귀와 꼬리, 독특한 이빨, 끝부분에서 두 개의 손가락 같은 돌출부를 갖는 작은 코 등을 갖고 있는, '털 많은 코끼리(hairy elephant)”이다. 그들은 보통 3.3m 길이의 나선형 커브의 어금니(tusks)를 갖고 있다. 세계 기록의 어금니는 길이가 4.11m이고, 아마도 무게는 약 100kg이다.[3] 털북숭이 매머드는 세 가지 유형의 털로 덮여있었다: (1)결이 거칠고 길이가 90cm가 넘는 바깥쪽 보호털, (2)다소 얇고 길이가 약 25~30cm인 솜털, (3)솜털 아래에 길이가 약 2~8cm인 두꺼운 모직 층.[4] 다 자란 매머드의 이빨은 다리 길이 보다 길며, 일련의 평행한 에나멜 능선이 있다. 아마도 긴 털, 작은 귀, 작은 꼬리는 추운 기후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다.

그림 1.3 털북숭이 매머드의 두개골, 턱, 그리고 어금니.
털북숭이 매머드(woolly mammoth)는 매머드 속(genus Mammuthus)의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매머드 중 하나이다. 콜럼비아 매머드(Columbian mammoth)는 두 번째 유형이다. 콜럼비아 매머드는 섰을 때, 약 4m 높이로, 약 3m 정도인 털북숭이 매머드에 비해 더 컸다.[5] 둘 다 생물학적 분류 체계에서 장비목(order Proboscidea)에 속해 있으며, 현대의 코끼리와 멸종된 코끼리가 여기에 포함된다. 코끼리와 매머드의 분류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부록 1 참조).
털북숭이 매머드는 콜럼비아 매머드보다 두꺼운 털을 갖는 등, 추운 날씨에 대해 몇 가지 독특한 적응 특성을 갖고 있다. 털북숭이 매머드는 추운 날씨 때문에 이러한 적응이 발달되었는가, 아니면 털북숭이 매머드가 항상 그런 특징을 갖고 있어서 그들에게는 북쪽으로 이주하는 것이 유리한 것이었을까? 나는 앞의 설명을 선호하지만,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추위에의 적응을 선호하는 이유는 그러한 적응이 오늘날 많은 포유류와 사람들의 유전자와 염색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겨울 온도에 적응하는 것은 피가 진해지는 것과 같은 우리 몸의 생리적 변화를 통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진화와는 아무런 관련 없이, 생물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유전자를 조절하는 특정 유전자는 환경 신호에 의해 발동된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털북숭이 매머드의 경우에도 동일하다고 믿는다. 추위가 휴면상태의 특정한 유전자를 발동시켜, 긴 털 및 추위에 적응된 형질을 만들어냈다.
시베리아에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가 묻혀 있는가?
많은 사람들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매장되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것이 사실일 수 있을까, 아니면 큰 과장일까? 패런드(Farrand)는 죽어서 매장되어 있는 매머드들의 추정치를 줄여서 약 5만 마리로 보았다.[6] 시베리아와 같이 광활하고 거주 밀도가 낮은 영토에서 살고 있는 동물들의 수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더군다나 죽어서 묻혀 있을만한 매머드의 숫자는 말할 것도 없다. 영구동토층에 얼마나 많은 사체가 남아있을 것인지 추정하는 것은 더 복잡한 문제이다.[7] 단지 매몰된 매머드가 얼마나 많은지가 시베리아 환경과 멸종에 관한 우리의 이론에 영향을 미친다.

그림1.4 북극해의 시베리아 및 근해에 대한 지도. 해발 고도가 표시되어 있다. 북서쪽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평원인 반면 남쪽과 동쪽에는 산맥이 있음을 주목하라.
매머드 뼈, 엄니, 사체의 수에 대해 언급할 때 연구자들은 흔히 발견된 뼈의 숫자가 많다는 것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발렌티나(Valentina Ukraintseva)는 수많은 잔존물을 바탕으로 시베리아의 매머드 개체가 정말 많았다고 말한다.[8] 페어뱅크 알래스카 대학의 데일 구스리(Dale Guthrie)는 수십만 마리의 포유류 뼈들이 알래스카 내륙의 강들을 따라 집중되어 있다고 추정했다.[9] 물론 한 동물도 많은 뼈를 가지고 있지만, 구스리의 추정치에는 아직 계곡의 퇴적물에서 씻겨나오지 않은 뼈나, 고지대에 묻혀있는 뼈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레나 드브로보(Irena Dubrovo)는 시베리아에 엄청난 수의 매머드들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10] 탐험가들은 항상 그 잔존물이 풍부하다고 보고했다.[11]
시베리아의 털복숭이 매머드에 대한 최고 전문가는 거의 반세기 동안 매머드 동물상을 연구해 온 니콜라이 베레시차긴(Nikolai Vereshchagin)이다. 그는 1940년 이래로 유라시아의 영구동토층에서 발견된 여러 종류의 동물들에서 대략 1백만 개의 뼈 조각들을 식별하였다.[12] 그는 시베리아에 수많은 잔해들이 있는 것에 놀랍다고 말했다.[13] 시베리아에는 수십만 마리의 대형 포유류들과[14], 수백만 개의 뼈들이 묻혀있다.[15]
북극 해안의 침식은 해마다 1~7m로 다양하게 진행되어[16], 바다 절벽에서 엄청난 수의 털복숭이 매머드 뼈들이 쏟아져 내린다. Smithsonian 지에 실린 한 보고서에서, 스튜워트(Stewart)는 야나 강(Yana rivers)과 콜리마 강(Kolyma rivers) 사이의 북극 해안을 따라 있는 한 지역에 대해, 베레시차긴이 평가했던 부분을 언급하고 있었다[17] :
이러한 원인을 통해 1660년에서 1915년 사이에 시베리아에서 거의 50,000개의 매머드 어금니가 발견되어, 엄청난 양의 상아 거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아직도 묻혀있는 양에 비하면 비교가 되지 않는다. 베레시차긴에 따르면 북극 해안의 심한 침식은 해마다 수천 개의 어금니와 매몰된 수만 개의 뼈들을 매년 바다로 쏟아내고 있고, 야나 강과 콜리마 강 사이의 960km 연안에는 얕은 곳을 따라 50만 톤 이상의 매머드 어금니가 놓여있고, 연안 평지의 호수 바닥에도 또 다른 15만 톤이 놓여있다.
각 어금니의 무게를 45kg 정도로 계산하면, 합리적인 추산을 할 수 있는데[18], 그러면 베레시차긴이 언급한 어금니의 양은 500만 마리의 매머드가 이 지역에 묻혀 있음을 나타낸다. 그가 과장했던 것일까? 그가 과장을 했다면 그렇게까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이 지역에는 비옥한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Novosibirskye Ostrova)가 근해에 있기 때문에 매머드 잔존물의 밀도가 가장 높을 수 있다. 베레시차긴이 추정했던 서쪽 지역을 포함하는, 랍테프 해(Laptev Sea) 연안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매머드 묘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그림 1.5 북부 중앙 시베리아와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 Novosibirskye Ostrova).
털북숭이 매머드의 개체 수는 북 시베리아에 더 많이 집중되어 있다.[20, 21] 매머드 잔존물은 본토에서 북쪽으로 230km 떨어진 라호프 제도(Lyakhov Islands)와[22], 뉴시베리안 제도에 놀라울 정도로 풍부하다.[23, 24] 뉴시베리안 제도 중 한 섬은 완전히 뼈로 이루어져 있다는 초기 보고서는 지나친 과장이다. 이 섬들에서 발견된 많은 뼈들은 시베리아 및 그 섬들과 함께 인접한 대륙붕이 한때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로 가득한 광대한 평원이었음을 나타낸다. 베레시차긴과 쿠즈미나(Kuz'mina)는 이렇게 말한다[25] :
(북극 대륙붕을 따라) 랍테프 해(Laptev Sea)와 동시베리아 해(East Siberian Seas)의 대륙붕에 있는 어떤 지역은 말, 순록(reindeer), 들소(bison), 사향소(musk ox), 조류에 밀려온 매머드 등의 뼈로 뒤덮여있다. 때때로 늑대(wolf), 갈색 곰(brown bear), 동굴 사자(cave lion), (드물게) 털북숭이 코뿔소(woolly rhinoceros), 큰 사슴(moose), 사이가산양(saiga antelope)의 뼈도 발견된다.
시베리아뿐만 아니라, 북반구의 다른 곳에서도 털북숭이 매머드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빙하기 환경은 거대한 초원인 ‘매머드 스텝지대(mammoth steppe)’라고 불려왔다.
많은 보고서에 기초하여,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 수백만 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들이 있었다고 추정하는 것이 옳았다. 레이스트와 바흔(Leiste and Bahn)은 일부 과학자들이 시베리아의 깊은 얼음 속에 1천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에 주목했다.[26] 이것은 그들이 수수께끼 같은 추운 지역에서, 어떻게 충분한 양의 음식과 물을 찾을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림 1.6 북반구에서 털북숭이 매머드 사체의 분포(Daniel Lewis가 유라시아를 함께 다시 그림).[27]
털북숭이의 매머드 화석은 시베리아에서 흔히 발견될 뿐만 아니라, 또한 북반구의 중위도 및 고위도의 굳지 않은 퇴적물에서도 발견된다. 때로는 그들 잔해들은 일부 지역의 대륙붕에서 준설 시에 파내지기도 했다. 매머드들은 빙하기와 관련되어 있지만, 이전에 빙하가 있던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매머드들은 주로 시베리아의 비빙하 지역(non-glaciated areas)에서 발견된다. 그들은 시베리아에서 베링 육교(Bering Land Bridge)를 경유하여, 알래스카와 유콘(Yukon)의 빙하가 없는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육지 다리는 빙하기 동안 거의 또는 전부 말라 있었다. 유콘에서 매머드들은 얼음이 없는 지역을 통해서, 서부 앨버타를 거쳐 미국 북부 전역을 통하여 남쪽으로 퍼져나갔다. 콜롬비아 매머드는 더 먼 남쪽, 즉 미국 남부, 멕시코, 중미에서도 발견된다.[28, 29] 전 세계에서 화석화된 털북숭이 매머드는 아마도 1천5백만 마리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체에 대한 수수께끼
냉동 매머드 사체의 존재뿐만 아니라, 사체의 몇 가지 측면들은 매우 불가사의하다.
몇 개의 골격뿐만 아니라, 많은 사체들이 그냥 서있는 자세로 발견되었다. 동물이 늪지에서 가라앉은 것처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시베리아의 늪지는 그런 커다란 크기의 동물이 묻힐 정도로 깊지 않다. 또한, 사체를 둘러싼 퇴적물의 대부분은 늪지 퇴적물이 아니다.[30] 헨리 호워스(Henry Howorth)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31] :
매머드의 몸과 뼈대는, 그들이 선 자세로 마치 연약한 땅 속에 가라앉은 것처럼, 때때로 똑바로 선 채로 발견되었다는 브랜트(Brandt)의 보고와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 알란스카(Alansk) 근처에서 싸리체프(Ssarytschef)가 발견했던 표본이 그 경우였는데... 판더스(Panders)가 브랜트에게 보고했던 것처럼, 페테르부르크 근처에서 약 1827개의 뼈들이 발견됐는데 그 중 한 골격은 서있는 상태였으며, 세 번째는 오비 반도(peninsula of the Obi)의 예람베이(Yerambei) 입구에서 53km 정도 떨어진 곳에서 발견된 것이고, 네 번째는 모스크바의 정부에 의해서 발견된 것으로, 이들 모두는 브랜트에 의해서 논의되었다...
베레소브카 매머드는 발견되기 전에 아마도 얼음 블록이 경사면 아래로 미끄러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앉은 자세로 발견되었다.[32] 이 매머드의 독특한 자세는 미끄러짐이 매머드가 죽을 때의 원래 자세를 변경시키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심지어 나무들조차도 언덕을 미끄러졌던 곳에서 여전히 똑바로 서 있었다.[33]
러시아 연구원 톨마초프(Tolmachoff)는 시베리아에서 몇 개의 똑바로 서 있는 매머드 사체(upright mammoth carcasses)를 보고했다. 사체 중 하나가 1839년에 인디기르카 강(Indigirka River)의 지류인 샹인 강(Shangin River)에서 똑 바로 서 있는 자세로 절벽에서 돌출된 채 발견되었다.[34] 뉴시베리안 제도의 벼랑에서 직립한 또 다른 매머드가 발견되었다.[35] 톨마초프 자신은 북극해 연안에서 매머드 뼈대의 일부를 발견했다.[36] ”... 다소 똑바로 서있는 자세로 얼어붙은 절벽에서 돌출되어 있었다.” 그는 브랜트가 이러한 똑바로 서있는 매머드에 대해 감명을 받았는지에 대한, 호워스의 말과 비슷한 말로 이야기했다 :
브랜트는 매머드의 잔해가, 사체 및 뼈대와 마찬가지로, 마치 동물들이 수렁에 빠졌던 것처럼, 똑바로 서서 죽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자세로 발견되었다는 사실에 매우 깊은 인상을 받았다.[37]
이상하게도 베레소브카 매머드를 포함하여 3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2마리의 털북숭이 코뿔소를 조사한 과학자들은 그들 모두가 질식(suffocation)으로 사망한 사실을 발견했다.[38] 살아있는 동물이 질식해서 죽기 위해서는, 그것이 빨리 파묻혔거나 익사해야 했다.
몇몇 사체들은 부러진 뼈를 갖고 있었다. 셀레리칸(Selerikan)에서 발견된 말의 윗 앞다리 뼈와 갈비뼈 중 일부가 부러져 있었다.[39] 그것의 머리는 없어졌다. 베레소브카 매머드의 골반, 갈비뼈, 오른쪽 앞다리가 부러져 있었다.[40] 매머드의 뼈를 부러뜨리려면,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부러진 뼈들로부터 추론됐던 이야기들은, 베레소브카 매머드가 잔디와 목초지에서 풀을 뜯고 있다가, 사고로 영구동토층에 있던 크레바스에 떨어져 죽었다는 것이다. 그런 다음 그것은 빠르게 덮여졌고, 질식해죽었을 것이라는 것이다.[41] 베레소브카 매머드의 입 속의 이빨과 혀 사이에서 식물 잎과 풀 뿐만 아니라, 미나리아재비(buttercups)가 발견되었다.[42]
직립 매장에 대해 설명하는 것도 어렵지만, 이들 많은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이 어떻게 해서 영구동토층 내에 죽어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더욱 더 어렵다. 사체와 뼈들 모두가 부패하기 전에 영구동토층의 여름철 용융층 아래에 빨리 매몰되어야만 했다. 호워스는 그 문제를 이렇게 설명한다[43] :
우리가 알고 있는 물리적인 과정으로는 어떻게 그런 부드러운 피부 조직이 분해되지 않고 부싯돌처럼 단단하게 동결된 채로 땅속에 묻혀 있을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우리가 커다란 코끼리의 몸 전체를 미세한 관절들을 분리시키지 않고, 단단한 얼음이나 꽁꽁 언 자갈과 진흙 속으, 마치 젤리 안으로 넣는 것처럼, 밀어 넣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 과정은 땅을 완전히 교란시켜야만 가능할 것이다.
이것은 단지 호워스 만의 의견이 아니다. 켄부시(Quackenbush)는 그의 주장을 이렇게 강조하고 있었다[44] :
그러나 만약 사체가 공기로부터 차단될 때에만 보존된다면, 사체 전체가 발견되었다는 것은 그것이 신속하고 완전하게 덮였다는 것이 분명하며, 어떤 종류의 연약하거나 습한 땅 속으로 그들이 가라앉았다는 것 말고는 달리 일어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왜 털북숭이 매머드가 시베리아에 살았고, 어떻게 죽었는지 설명하는 그럴듯한 이론들은 표 1.1에 있는 것과 같은, 사체에 대한 이러한 수수께끼들을 설명할 수 있어야만 한다.
표 1.1. 사체의 퍼즐
1. 일부 사체와 골격은 일반적으로 똑바로 선 자세로 발견된다.
2. 3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2마리의 털북숭이 코뿔소는 질식해서 숨졌다.
3. 수백만 마리의 동물이 암석처럼 단단한 영구동토층에 매몰되어 있다.
4. 포유류의 일부는 뼈가 부러져있다.
참고문헌
1. Agenbroad, L.D. and L.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Lerner Publications Company, Minneapolis, MN, p. 8, 2002.See all footnotes
2. Pfizenmayer, E.W., Siberian man and mammoth, Blackie & Sons, London, 1939.S
3.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33.
4.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42–43.
5.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40.
6. Farrand, W.R., Frozen mammoths and modern geology, Science 133:729–735, 1961.
7. Ukraintseva, V.V., Vegetation cover and environment of the 'Mammoth Epoch” in Siberia,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234, 1993.
8. Ukraintseva, V.V., Vegetation cover and environment, p. 224.
9. Guthrie, R.D.,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 The story of Blue Bab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67, 1990.
10. Dubrovo, I., The Pleistocene elephants of Siberia; in: Megafauna and man — Discovery of America’s heartland,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scientific papers, volume 1, p. 3, 1990.
11. Péwé, T.L., and D.M. Hopkins, Mammal remains of pre-Wisconsin age in Alaska; in: The Bering land bridge, D.M. Hopkins (Ed.),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 p. 266, 1967.
12. Vereshchagin, N.K., An experiment in the interpretation (visual assessment) of mammalian bones from sediments of the Quaternary Period;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and deep history: A tribute to Paul S. Martin, D.W. Steadman and J.I. Mead (Eds.),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61, 1995.
13. Vereshchagin, N.K., and G.F. Baryshnikov, Paleoecology of the mammoth fauna in the Eurasian Arctic; in: Paleoecology of Beringia, D.M. Hopkins,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New York: Academic Press, p. 267, 1982.
14. Vereshchagin, N.K., The mammoth 'cemeteries” of north-east Siberia, Polar Record 17(106), p. 3, 1974.
15. Vereshchagin, N.K., Experiment in the interpretation, p. 62.
16. Thiede, J., H. Kassens, and L. Timokhov, Laptev Sea system discussed at Russian-German workshop, EOS 81(32):361, 366–367, 2000.
17. Stewart, J.M., Frozen mammoths from Siberia bring the ice ages to vivid life, Smithsonian 8, p. 68, 1977.
18.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33.
19. Thiede, Laptev Sea system, p. 367.
20.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0–561, 1880.
21.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14, 1926.
22. Baryshnikov, G., G. Haynes, and J. Klimowicz, Mammoths and the mammoth fauna: Introduction to the studies of an extinct ecosystem; in: Mammoths and the mammoth fauna: Studies of an extinct ecosystem, G. Haynes, J. Klimowicz, and J.W.F. Reumer (Ed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Mammoth Conference, Jaarbericht Van Het Natuurmuseum, Rotterdam, p. 5, 1999.
23.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0–561, 1880.
24. Nordenskiöld, A.E., The voyage of the Vega round Asia and Europe, MacMillan and Co., London, p. 149, 155, 1883.
25. Vereshchagin, N.K., and I.Y. Kuz’mina, I, Late Pleistocene mammal fauna of Siberia;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of the Soviet Union, A.A. Velichko (E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p.219, 1984.
26. Lister, A., and P. Bahn, Mammoths, Macmillan, New York, p. 115, 1994.
27. From Kahlke, R.D., The history of the origin, evolution and dispersal of the Late Pleistocene Mammuthus-Coelodonta faunal complex in Eurasia (large mammals),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Hot Springs, SD, 1999; figure 13.
28. Fagen, B.M., The great journey — The peopling of ancient America, Thames and Hudson, London, 1987.
29. Siebe, C., P. Schaaf, and J. Urrutia-Fucugauchi, Mammoth bones embedded in a late Pleistocene lahar from Popocatépetl volcano, near Tocuila, central Mexi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11:1550–1562, 1999.
30. 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p. 61, 185, 1887. Pfizenmayer,Siberian man and mammoth, p. 7.
31.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 p. 551–552, 1880.
32.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86.
33. Guthrie, Frozen fauna, p. 7.
34. Tolmachoff, I.P., The carcasses of the mammoth and rhinoceros found in the frozen ground of Siberi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3, p. 26, 1929.
35.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32.
36.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36.
37.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56.
38.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54, 1926. Tolmachoff,Carcassesofthemammoth. Farrand,W.R.,Frozenmammothsandmoderngeology,p.734.
39. Guthrie, R.D.,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 The story of Blue Bab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31, 1990.
40.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1926. Pfizenmayer,E.W.,Siberian man and mammoth, Blackie & Sons, London, 1939.
41.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90.
42.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39. Guthrie,R.D.,Frozen fauna, p. 4.
43.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p. 95, 1887.
44. Quackenbush, L.S., Notes on Alaskan mammoth expedition of 1907 and 1908,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5:87–130, 1909.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xtinct-animals/ice-age/frozen-mammoth-carcasses-in-siberia/
출처 - AiG
빙하기 탐구 - 멈춰버린 시간. 1장
: 시베리아에 얼어붙은 매머드 사체들
(Frozen in Time, Chapter 1. Frozen mammoth carcasses in Siberia)
by Michael J. Oard, Ph.D.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냉동 매머드 사체는 수세기 동안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해 왔다. 매머드의 사체에는 때로 피부, 머리카락, 심장을 포함하는 내장기관들이 남아있었다.[1]
이러한 발견에 대한 보고들은 이유는 다르지만 성인과 아이들에게 모두 흥미롭게 다가온다. 북극해 연안에 있는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의 한 섬은 대부분 매머드 뼈로 덮여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수년 동안 수천 톤의 아이보리 상아가 시베리아에서 발굴되고 수출되면서, 수익성 있는 상아 무역이 발달했다. 과학자들은 왜 이 동물들이 시베리아에 살았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죽었는지, 이해하려고 애쓴다. 아이들은 먹을 수 있을 만큼 신선한 고기가 붙어있는 상태로 냉동된 동물 사체 이야기를 좋아한다.
그림 1.1
이러한 이상한 발견으로 많은 질문들이 생겨난다. 털북숭이 매머드, 들소, 털북숭이 코뿔소, 말은 왜 시베리아에 이끌렸을까? 오늘날 시베리아는 황량하고,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황량한 지역이다. 동물들은 극도로 추운 겨울을 어떻게 견뎌낼 수 있었던 것일까? 그들은 무엇을 먹었을까? 짐승이 눈과 얼음 속에 고립되었을 때, 그들이 필요로 하는 엄청난 양의 물을 어디에서 구할 수 있었을까? 겨울마다 강조차도 몇 피트의 얼음으로 덮여 있다. 모든 것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것은 매머드와 그 동료들이 어떻게 한꺼번에 죽었으며, 어떻게 영구동토층에 갇혀 있을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망 당시의 환경에 대한 다양한 단서들이 발견되고 연구되었다. 과학자들은 일부 사체의 위장 내에 부분적으로 보존된 식물들을 발견했고, 털북숭이 매머드의 마지막 식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나의 미스터리를 풀고 나면, 다른 미스터리를 만나게 된다. 과학자들은 동물들이 얼어붙는 동안, 위장 내용물이 어떻게 해서 반만 부패된 채 남아있는지 궁금해 했다. 코끼리처럼 거대한 동물이 동결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식물이 부분적으로 보존되어 있었다는 것은 빠른 동결을 의미하는 것이다. Birds Eye Frozen Foods Company는 계산을 해본 결과 –150℉(–100℃)라는 엄청나게 낮은 온도를 산출해냈다. 다시 한 번 과학자들은 의아해했다. 급속 냉동 이전의 지구 온도는 명백히 온난했을 텐데, 어떻게 그러한 낮은 온도에 도달할 수 있었을까?
많은 이론들이 가정되었다. 가장 인기 있는 이론 중 하나는 그 털북숭이 매머드가 풀과 목초지가 있는 지역에서 평화롭게 살고 있다가, 갑자기 북극해에서 날아오는 거대하고 차가운 폭풍에 의해 수백만 마리가 즉시 얼어붙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빠른 동결은 관찰된 적이 없으므로, 일부 특별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디어가 제안되었다. 언제나 한 가지 질문은 다른 질문들을 낳는 것과 같다. 이 이야기는 오토 헤르츠(Otto Herz)와 파이젠메이어(E. Pfizenmayer)가 이끌었던 영웅적인 탐사팀에 의해 발굴되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옮겨진 베레소브카(Beresovka) 매머드를 기반으로 한다. 이 탐사는 1901년 늦은 봄에 시작하여 1902년 2월 18일에 끝났다. 시베리아의 추운 가을과 겨울기간 동안 매머드 사체를 운반하기 위해 썰매로 6,000km를 여행해야 했다.[2]
우리는 이 책에서 이 질문들을 탐구하고, 빙하기를 바탕으로 또 다른 이론을 제시할 것이다. 이 빙하기는 시베리아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의 이주와 멸종에 관한 질문에 답을 준다. 빙하기의 원인은 여전히 주류 과학자들에게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그래서 빙하기에 대한 이론을 성경에 기록된 창세기 홍수에 기초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림 1.2 베레소브카(Beresovka) 매머드
털북숭이 매머드는 정확하게 어떤 동물인가?
털북숭이 매머드(Mammuthus primigenius)는 본질적으로 커다란 어깨 혹, 경사진 등, 작은 귀와 꼬리, 독특한 이빨, 끝부분에서 두 개의 손가락 같은 돌출부를 갖는 작은 코 등을 갖고 있는, '털 많은 코끼리(hairy elephant)”이다. 그들은 보통 3.3m 길이의 나선형 커브의 어금니(tusks)를 갖고 있다. 세계 기록의 어금니는 길이가 4.11m이고, 아마도 무게는 약 100kg이다.[3] 털북숭이 매머드는 세 가지 유형의 털로 덮여있었다: (1)결이 거칠고 길이가 90cm가 넘는 바깥쪽 보호털, (2)다소 얇고 길이가 약 25~30cm인 솜털, (3)솜털 아래에 길이가 약 2~8cm인 두꺼운 모직 층.[4] 다 자란 매머드의 이빨은 다리 길이 보다 길며, 일련의 평행한 에나멜 능선이 있다. 아마도 긴 털, 작은 귀, 작은 꼬리는 추운 기후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다.
그림 1.3 털북숭이 매머드의 두개골, 턱, 그리고 어금니.
털북숭이 매머드(woolly mammoth)는 매머드 속(genus Mammuthus)의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매머드 중 하나이다. 콜럼비아 매머드(Columbian mammoth)는 두 번째 유형이다. 콜럼비아 매머드는 섰을 때, 약 4m 높이로, 약 3m 정도인 털북숭이 매머드에 비해 더 컸다.[5] 둘 다 생물학적 분류 체계에서 장비목(order Proboscidea)에 속해 있으며, 현대의 코끼리와 멸종된 코끼리가 여기에 포함된다. 코끼리와 매머드의 분류에 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다(부록 1 참조).
털북숭이 매머드는 콜럼비아 매머드보다 두꺼운 털을 갖는 등, 추운 날씨에 대해 몇 가지 독특한 적응 특성을 갖고 있다. 털북숭이 매머드는 추운 날씨 때문에 이러한 적응이 발달되었는가, 아니면 털북숭이 매머드가 항상 그런 특징을 갖고 있어서 그들에게는 북쪽으로 이주하는 것이 유리한 것이었을까? 나는 앞의 설명을 선호하지만,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추위에의 적응을 선호하는 이유는 그러한 적응이 오늘날 많은 포유류와 사람들의 유전자와 염색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겨울 온도에 적응하는 것은 피가 진해지는 것과 같은 우리 몸의 생리적 변화를 통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진화와는 아무런 관련 없이, 생물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유전자를 조절하는 특정 유전자는 환경 신호에 의해 발동된다. 그래서, 나는 그것이 털북숭이 매머드의 경우에도 동일하다고 믿는다. 추위가 휴면상태의 특정한 유전자를 발동시켜, 긴 털 및 추위에 적응된 형질을 만들어냈다.
시베리아에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가 묻혀 있는가?
많은 사람들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 수백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매장되어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것이 사실일 수 있을까, 아니면 큰 과장일까? 패런드(Farrand)는 죽어서 매장되어 있는 매머드들의 추정치를 줄여서 약 5만 마리로 보았다.[6] 시베리아와 같이 광활하고 거주 밀도가 낮은 영토에서 살고 있는 동물들의 수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데, 더군다나 죽어서 묻혀 있을만한 매머드의 숫자는 말할 것도 없다. 영구동토층에 얼마나 많은 사체가 남아있을 것인지 추정하는 것은 더 복잡한 문제이다.[7] 단지 매몰된 매머드가 얼마나 많은지가 시베리아 환경과 멸종에 관한 우리의 이론에 영향을 미친다.
그림1.4 북극해의 시베리아 및 근해에 대한 지도. 해발 고도가 표시되어 있다. 북서쪽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평원인 반면 남쪽과 동쪽에는 산맥이 있음을 주목하라.
매머드 뼈, 엄니, 사체의 수에 대해 언급할 때 연구자들은 흔히 발견된 뼈의 숫자가 많다는 것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발렌티나(Valentina Ukraintseva)는 수많은 잔존물을 바탕으로 시베리아의 매머드 개체가 정말 많았다고 말한다.[8] 페어뱅크 알래스카 대학의 데일 구스리(Dale Guthrie)는 수십만 마리의 포유류 뼈들이 알래스카 내륙의 강들을 따라 집중되어 있다고 추정했다.[9] 물론 한 동물도 많은 뼈를 가지고 있지만, 구스리의 추정치에는 아직 계곡의 퇴적물에서 씻겨나오지 않은 뼈나, 고지대에 묻혀있는 뼈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레나 드브로보(Irena Dubrovo)는 시베리아에 엄청난 수의 매머드들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10] 탐험가들은 항상 그 잔존물이 풍부하다고 보고했다.[11]
시베리아의 털복숭이 매머드에 대한 최고 전문가는 거의 반세기 동안 매머드 동물상을 연구해 온 니콜라이 베레시차긴(Nikolai Vereshchagin)이다. 그는 1940년 이래로 유라시아의 영구동토층에서 발견된 여러 종류의 동물들에서 대략 1백만 개의 뼈 조각들을 식별하였다.[12] 그는 시베리아에 수많은 잔해들이 있는 것에 놀랍다고 말했다.[13] 시베리아에는 수십만 마리의 대형 포유류들과[14], 수백만 개의 뼈들이 묻혀있다.[15]
북극 해안의 침식은 해마다 1~7m로 다양하게 진행되어[16], 바다 절벽에서 엄청난 수의 털복숭이 매머드 뼈들이 쏟아져 내린다. Smithsonian 지에 실린 한 보고서에서, 스튜워트(Stewart)는 야나 강(Yana rivers)과 콜리마 강(Kolyma rivers) 사이의 북극 해안을 따라 있는 한 지역에 대해, 베레시차긴이 평가했던 부분을 언급하고 있었다[17] :
각 어금니의 무게를 45kg 정도로 계산하면, 합리적인 추산을 할 수 있는데[18], 그러면 베레시차긴이 언급한 어금니의 양은 500만 마리의 매머드가 이 지역에 묻혀 있음을 나타낸다. 그가 과장했던 것일까? 그가 과장을 했다면 그렇게까지 많지는 않을 것이다. 이 지역에는 비옥한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Novosibirskye Ostrova)가 근해에 있기 때문에 매머드 잔존물의 밀도가 가장 높을 수 있다. 베레시차긴이 추정했던 서쪽 지역을 포함하는, 랍테프 해(Laptev Sea) 연안 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큰 매머드 묘지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그림 1.5 북부 중앙 시베리아와 뉴시베리안 제도(New Siberian Islands, Novosibirskye Ostrova).
털북숭이 매머드의 개체 수는 북 시베리아에 더 많이 집중되어 있다.[20, 21] 매머드 잔존물은 본토에서 북쪽으로 230km 떨어진 라호프 제도(Lyakhov Islands)와[22], 뉴시베리안 제도에 놀라울 정도로 풍부하다.[23, 24] 뉴시베리안 제도 중 한 섬은 완전히 뼈로 이루어져 있다는 초기 보고서는 지나친 과장이다. 이 섬들에서 발견된 많은 뼈들은 시베리아 및 그 섬들과 함께 인접한 대륙붕이 한때 털북숭이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로 가득한 광대한 평원이었음을 나타낸다. 베레시차긴과 쿠즈미나(Kuz'mina)는 이렇게 말한다[25] :
시베리아뿐만 아니라, 북반구의 다른 곳에서도 털북숭이 매머드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빙하기 환경은 거대한 초원인 ‘매머드 스텝지대(mammoth steppe)’라고 불려왔다.
많은 보고서에 기초하여,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 수백만 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들이 있었다고 추정하는 것이 옳았다. 레이스트와 바흔(Leiste and Bahn)은 일부 과학자들이 시베리아의 깊은 얼음 속에 1천만 마리의 매머드들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는 것에 주목했다.[26] 이것은 그들이 수수께끼 같은 추운 지역에서, 어떻게 충분한 양의 음식과 물을 찾을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그림 1.6 북반구에서 털북숭이 매머드 사체의 분포(Daniel Lewis가 유라시아를 함께 다시 그림).[27]
털북숭이의 매머드 화석은 시베리아에서 흔히 발견될 뿐만 아니라, 또한 북반구의 중위도 및 고위도의 굳지 않은 퇴적물에서도 발견된다. 때로는 그들 잔해들은 일부 지역의 대륙붕에서 준설 시에 파내지기도 했다. 매머드들은 빙하기와 관련되어 있지만, 이전에 빙하가 있던 지역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매머드들은 주로 시베리아의 비빙하 지역(non-glaciated areas)에서 발견된다. 그들은 시베리아에서 베링 육교(Bering Land Bridge)를 경유하여, 알래스카와 유콘(Yukon)의 빙하가 없는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육지 다리는 빙하기 동안 거의 또는 전부 말라 있었다. 유콘에서 매머드들은 얼음이 없는 지역을 통해서, 서부 앨버타를 거쳐 미국 북부 전역을 통하여 남쪽으로 퍼져나갔다. 콜롬비아 매머드는 더 먼 남쪽, 즉 미국 남부, 멕시코, 중미에서도 발견된다.[28, 29] 전 세계에서 화석화된 털북숭이 매머드는 아마도 1천5백만 마리를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체에 대한 수수께끼
냉동 매머드 사체의 존재뿐만 아니라, 사체의 몇 가지 측면들은 매우 불가사의하다.
몇 개의 골격뿐만 아니라, 많은 사체들이 그냥 서있는 자세로 발견되었다. 동물이 늪지에서 가라앉은 것처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시베리아의 늪지는 그런 커다란 크기의 동물이 묻힐 정도로 깊지 않다. 또한, 사체를 둘러싼 퇴적물의 대부분은 늪지 퇴적물이 아니다.[30] 헨리 호워스(Henry Howorth)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31] :
베레소브카 매머드는 발견되기 전에 아마도 얼음 블록이 경사면 아래로 미끄러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앉은 자세로 발견되었다.[32] 이 매머드의 독특한 자세는 미끄러짐이 매머드가 죽을 때의 원래 자세를 변경시키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심지어 나무들조차도 언덕을 미끄러졌던 곳에서 여전히 똑바로 서 있었다.[33]
러시아 연구원 톨마초프(Tolmachoff)는 시베리아에서 몇 개의 똑바로 서 있는 매머드 사체(upright mammoth carcasses)를 보고했다. 사체 중 하나가 1839년에 인디기르카 강(Indigirka River)의 지류인 샹인 강(Shangin River)에서 똑 바로 서 있는 자세로 절벽에서 돌출된 채 발견되었다.[34] 뉴시베리안 제도의 벼랑에서 직립한 또 다른 매머드가 발견되었다.[35] 톨마초프 자신은 북극해 연안에서 매머드 뼈대의 일부를 발견했다.[36] ”... 다소 똑바로 서있는 자세로 얼어붙은 절벽에서 돌출되어 있었다.” 그는 브랜트가 이러한 똑바로 서있는 매머드에 대해 감명을 받았는지에 대한, 호워스의 말과 비슷한 말로 이야기했다 :
이상하게도 베레소브카 매머드를 포함하여 3마리의 털북숭이 매머드와 2마리의 털북숭이 코뿔소를 조사한 과학자들은 그들 모두가 질식(suffocation)으로 사망한 사실을 발견했다.[38] 살아있는 동물이 질식해서 죽기 위해서는, 그것이 빨리 파묻혔거나 익사해야 했다.
몇몇 사체들은 부러진 뼈를 갖고 있었다. 셀레리칸(Selerikan)에서 발견된 말의 윗 앞다리 뼈와 갈비뼈 중 일부가 부러져 있었다.[39] 그것의 머리는 없어졌다. 베레소브카 매머드의 골반, 갈비뼈, 오른쪽 앞다리가 부러져 있었다.[40] 매머드의 뼈를 부러뜨리려면, 상당한 힘이 필요하다. 부러진 뼈들로부터 추론됐던 이야기들은, 베레소브카 매머드가 잔디와 목초지에서 풀을 뜯고 있다가, 사고로 영구동토층에 있던 크레바스에 떨어져 죽었다는 것이다. 그런 다음 그것은 빠르게 덮여졌고, 질식해죽었을 것이라는 것이다.[41] 베레소브카 매머드의 입 속의 이빨과 혀 사이에서 식물 잎과 풀 뿐만 아니라, 미나리아재비(buttercups)가 발견되었다.[42]
직립 매장에 대해 설명하는 것도 어렵지만, 이들 많은 매머드와 다른 동물들이 어떻게 해서 영구동토층 내에 죽어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더욱 더 어렵다. 사체와 뼈들 모두가 부패하기 전에 영구동토층의 여름철 용융층 아래에 빨리 매몰되어야만 했다. 호워스는 그 문제를 이렇게 설명한다[43] :
이것은 단지 호워스 만의 의견이 아니다. 켄부시(Quackenbush)는 그의 주장을 이렇게 강조하고 있었다[44] :
왜 털북숭이 매머드가 시베리아에 살았고, 어떻게 죽었는지 설명하는 그럴듯한 이론들은 표 1.1에 있는 것과 같은, 사체에 대한 이러한 수수께끼들을 설명할 수 있어야만 한다.
참고문헌
1. Agenbroad, L.D. and L.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Lerner Publications Company, Minneapolis, MN, p. 8, 2002.See all footnotes
2. Pfizenmayer, E.W., Siberian man and mammoth, Blackie & Sons, London, 1939.S
3.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33.
4.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42–43.
5.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40.
6. Farrand, W.R., Frozen mammoths and modern geology, Science 133:729–735, 1961.
7. Ukraintseva, V.V., Vegetation cover and environment of the 'Mammoth Epoch” in Siberia,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234, 1993.
8. Ukraintseva, V.V., Vegetation cover and environment, p. 224.
9. Guthrie, R.D.,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 The story of Blue Bab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67, 1990.
10. Dubrovo, I., The Pleistocene elephants of Siberia; in: Megafauna and man — Discovery of America’s heartland,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scientific papers, volume 1, p. 3, 1990.
11. Péwé, T.L., and D.M. Hopkins, Mammal remains of pre-Wisconsin age in Alaska; in: The Bering land bridge, D.M. Hopkins (Ed.),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 p. 266, 1967.
12. Vereshchagin, N.K., An experiment in the interpretation (visual assessment) of mammalian bones from sediments of the Quaternary Period;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and deep history: A tribute to Paul S. Martin, D.W. Steadman and J.I. Mead (Eds.), The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 Hot Springs, SD, p. 61, 1995.
13. Vereshchagin, N.K., and G.F. Baryshnikov, Paleoecology of the mammoth fauna in the Eurasian Arctic; in: Paleoecology of Beringia, D.M. Hopkins, J.V. Matthews Jr., C.E. Schweger, and S.B. Young (Eds.), New York: Academic Press, p. 267, 1982.
14. Vereshchagin, N.K., The mammoth 'cemeteries” of north-east Siberia, Polar Record 17(106), p. 3, 1974.
15. Vereshchagin, N.K., Experiment in the interpretation, p. 62.
16. Thiede, J., H. Kassens, and L. Timokhov, Laptev Sea system discussed at Russian-German workshop, EOS 81(32):361, 366–367, 2000.
17. Stewart, J.M., Frozen mammoths from Siberia bring the ice ages to vivid life, Smithsonian 8, p. 68, 1977.
18. Agenbroad & Nelson, Mammoths: Ice Age giants, p. 33.
19. Thiede, Laptev Sea system, p. 367.
20.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0–561, 1880.
21.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14, 1926.
22. Baryshnikov, G., G. Haynes, and J. Klimowicz, Mammoths and the mammoth fauna: Introduction to the studies of an extinct ecosystem; in: Mammoths and the mammoth fauna: Studies of an extinct ecosystem, G. Haynes, J. Klimowicz, and J.W.F. Reumer (Eds.),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Mammoth Conference, Jaarbericht Van Het Natuurmuseum, Rotterdam, p. 5, 1999.
23.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550–561, 1880.
24. Nordenskiöld, A.E., The voyage of the Vega round Asia and Europe, MacMillan and Co., London, p. 149, 155, 1883.
25. Vereshchagin, N.K., and I.Y. Kuz’mina, I, Late Pleistocene mammal fauna of Siberia; in: Late Quaternary environments of the Soviet Union, A.A. Velichko (Ed.),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p.219, 1984.
26. Lister, A., and P. Bahn, Mammoths, Macmillan, New York, p. 115, 1994.
27. From Kahlke, R.D., The history of the origin, evolution and dispersal of the Late Pleistocene Mammuthus-Coelodonta faunal complex in Eurasia (large mammals), Mammoth Site of Hot Springs South Dakota, Inc.,Hot Springs, SD, 1999; figure 13.
28. Fagen, B.M., The great journey — The peopling of ancient America, Thames and Hudson, London, 1987.
29. Siebe, C., P. Schaaf, and J. Urrutia-Fucugauchi, Mammoth bones embedded in a late Pleistocene lahar from Popocatépetl volcano, near Tocuila, central Mexi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11:1550–1562, 1999.
30. 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p. 61, 185, 1887. Pfizenmayer,Siberian man and mammoth, p. 7.
31. Howorth, H.H., The mammoths in Siberia, Geological Magazine 7, p. 551–552, 1880.
32.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86.
33. Guthrie, Frozen fauna, p. 7.
34. Tolmachoff, I.P., The carcasses of the mammoth and rhinoceros found in the frozen ground of Siberia,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3, p. 26, 1929.
35.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32.
36.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36.
37. Tolmachoff, Carcasses of the mammoth, p. 56.
38.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p. 54, 1926. Tolmachoff,Carcassesofthemammoth. Farrand,W.R.,Frozenmammothsandmoderngeology,p.734.
39. Guthrie, R.D., Frozen fauna of the mammoth steppe — The story of Blue Bab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31, 1990.
40. Digby, B., The mammoth and mammoth-hunting in north-east Siberia, H.F. & G. Witherby, London, 1926. Pfizenmayer,E.W.,Siberian man and mammoth, Blackie & Sons, London, 1939.
41.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90.
42. Pfizenmayer, Siberian man and mammoth, p. 39. Guthrie,R.D.,Frozen fauna, p. 4.
43.Howorth, H.H., The Mammoth and the flood — An attempt to confront the theory of uniformity with the facts of recent geology, Sampson Low, Marston, Searle, & Rivington, London (reproduced by The Sourcebook Project, Glen Arm, Maryland), p. 95, 1887.
44. Quackenbush, L.S., Notes on Alaskan mammoth expedition of 1907 and 1908, Bulletin of the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5:87–130, 1909.
번역 - 강기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extinct-animals/ice-age/frozen-mammoth-carcasses-in-siberia/
출처 - A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