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슬리핑베어 모래언덕 국립 호숫가 : 빙하기의 전시장

미디어위원회
2024-01-08

슬리핑베어 모래언덕 국립 호숫가 

: 빙하기의 전시장

(Sleeping Bear Dunes National Lakeshore

: Showcase for the Ice Age)

by Tim Clarey, PH.D.


     해안선을 따라 있는 하얀 감겨진 리본처럼, ‘슬리핑베어(잠자는 곰) 모래언덕 국립 호숫가(Sleeping Bear Dunes National Lakeshore)’의 모래언덕(dunes, 사구, 沙丘)은 미시간 호수의 물 위로 수백 피트 위로 올라가 있다. 이 가파른 사구면은 미시간 로어반도(Lower Peninsula)의 북서쪽 해안선을 따라 96km 이상을 뻗어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긴 담수 사구(freshwater dune) 시스템이다.[1]

50,000에이커, 몇 개의 내륙 호수, 두 개의 섬을 포함하는 이 공원은 85m의 듄 클라임(Dune Climb)으로 유명하다. 1970년에 국립공원이 된 이후, 전 세계에서 온 여행객들은 이 모래 언덕들에 감탄해왔다.

굿모닝 아메리카(Good Morning America)의 시청자들에 의해 "미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선정되기도 했던, 그 공원의 지형은 빙하, 물살(water currents), 바람, 그리고 융기됐던 지표면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 과정들은 홍수 이후 빙하기(post-Flood Ice Age) 동안 시작되었고, 슬리핑베어 모래언덕 국립 호숫가에 각각의 지문들을 남기며,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빙하기가 있었다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그 공원과 그 주변 지역을 방문해보면, 두꺼운 빙상(ice sheets)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는 몇 가지 관찰을 하게 된다.


빙하기의 많은 증거들

빙하기는 노아 홍수 직후에 시작되었고, 아마도 약 500년에서 700년 동안 지속되었을 것이다. [3] 증거들은 이것이 지구 역사에서 유일한 빙하기였음을 나타낸다.[3] 기반암의 자국(scars), 분류되지 않은 암석, 모래 및 점토 더미는 모두 거대한 빙상이 한때 오대호 지역을 가로질러 확장되어있었음을 보여준다. 심지어 미시간 주의 주 암석(state rock)인 페토스키 스톤(Petoskey stone)은 공원 내의 빙하 퇴적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페토스키 스톤은 이동하는 빙상에 의해서 북쪽에서 남쪽으로 운반된, 빙하에 의해서 홍수 지층에서 뽑혀진 화석 산호(fossil corals)이다.

다른 관찰로 화성암이나 변성암과 같은 어울리지 않은 암석들이 존재하는데, 이 암석들은 빙하 얼음에 의해서 먼 곳에서부터 옮겨져 온 것이다. 이 암석들은 빙하가 녹으면서 남겨진 것으로 빙하 표석(glacial erratics)이라고 알려져 있다. 페토스키 스톤 또한 빙하 표석이다.

빙하가 한때 이 지형을 덮고 있었다는 또 다른 단서는 빙퇴석(moraines, 빙하에 의해 운반된 빙하퇴적물)이라고 알려진, 분류되지 않은 물질들의 길고 선형적인 언덕의 존재이다. 빙퇴석은 빙하가 빠르게 전진하는 만큼 빠르게 녹았을 때 형성되며, 때때로 수백 피트 높이의 잔해들의 능선을 퇴적시켜 놓았다. 빙하기 동안 빙상은 슬리핑베어 모래언덕(잠자는 곰 모래언덕) 국립 호숫가를 포함하여, 미시간의 로어반도의 많은 지역에 걸쳐 표류물(drift)이라고 불리는 느슨한 퇴적물의 두꺼운 담요를 남겨놓았다. 표류물은 얼음 안에서 운반됐던 많은 점토, 모래 및 암석의 일반적인 이름이다.

빙퇴구(drumlins, 빙하가 이동하면서 쌓은 퇴적물로 만들어진 유선형의 구릉)는 슬리핑베어 모래언덕 근처에서 관찰될 수 있는 또 다른 빙하 지형이다. 이 반 마일 길이의 빙하 표류물 언덕들은 빙하가 흐르는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고, 떼지어 발견되기도 한다. 그것들이 정확히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그것들 중 일부는 공원의 바로 동쪽에 위치해 있다. 그것들은 이 지역의 북쪽에서 남쪽으로 빙하 얼음이 이동했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슬리핑베어 모래언덕은 리라노 반도(Leelanau Peninsula)의 기저부 근처에 위치해 있는데, 리라노 반도는 공원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진 곳에 있는 삼각형 모양의 땅으로, 본질적으로 미시간 주 "장갑(mitten)"의 작은 손가락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얼음은 남쪽으로 흘러서, 신선한 홍수 퇴적물 속의 깊은 골(troughs)들을 파내고, 많은 반도에 나있는 들쭉날쭉한 해안선을 남겼다. 빙하기 이후 바람과 물살은 모래를 이 만의 여러 곳에 걸쳐 운반했고, 해안선을 매끄럽게 만들고, 글렌 호수(Glen Lake)와 노스 바 호수(North Bar Lake)와 같은 더 작은 호수들을 미시건 호수로부터 봉쇄했다.

오대호 북부에서 빙하기 이후 빙상의 무게가 사라지면서, 수백 피트의 땅이 반동(rebound)하며 지반이 융기했다. 미시간주 북부의 많은 곳들에는 현대 호수의 높이보다 15m 이상 높은 곳에 파도가 조각한 테라스(wave-carved terraces, 계단식 지형)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그러한 반동을 증거하고 있다.[4]

북동쪽으로 136km 떨어진 미시간주 매키낙 섬(Mackinac Island)에서도 비슷한 호수 테라스가 존재한다.[5] 슬리핑베어 지역은 약 52m의 반동이 관찰되며, 북쪽으로 먼 곳은 훨씬 더 반동하였다.[4] 이러한 관찰들은 두꺼운 대륙 빙하가 약 4,000년 전 슬리핑베어 모래언덕 지역을 뒤덮고 있었음을 나타낸다.[3]


두 종류의 모래언덕

슬리핑베어 모래언덕에는 해안사구와 절벽꼭대기 사구(perched dune, cliff-top dunes)를 모두 갖고 있다.[6] 해안사구는 바람에 날려온 모래에 의해서 해안가에 형성된 것이다. 이것들은 전 세계 해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슬리핑베어 모래언덕에는 또한 절벽꼭대기에 사구가 있기 때문에 독특하다. 그 사구는 공원의 해안선을 가로질렀던 빙하의 빙퇴석 위에 위치해 있다. 그것들은 바람이 빙퇴석 바닥으로부터 모래를 키질하여(winnows) 꼭대기에 퇴적시키면서 형성되었다. 공원의 일부 빙퇴석은 미시간 호수 위 135m 위로 올라와 있어서, 이 모래언덕을 상당히 높여놓았다. 또한 빙하의 반동도 그들의 현재 높이에 기여했다.

.빙퇴석 꼭대기에 자리잡은 사구(perched dunes). <Image credit: Tim Clarey>


전 지구적 홍수와의 연관성

무엇이 빙하기를 일으켰는가? 전통적 과학자들은 빙하기는 수백만 년에 걸쳐 지구의 기울기, 공전궤도, 그리고 흔들림(wobble)의 우연한 변화에 의해 일어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은 요인들의 수십 가지의 이론화된 조합들은 모두 주요 빙상들을 설명하는데 실패했다.[7]

그러나 창조과학자들은 전 지구적 홍수의 영향으로 빙하기가 어떻게 촉발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더 나은 모델을 개발했다.

HEAT이라는 약자는 우리가 이 모델을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7]

1)뜨거운 바다(Hot oceans). 노아 홍수 동안의 빠른 지각판들의 이동은 뜨거운 새로운 해저를 노출시켰고, 바다를 따뜻하게 만들었다.

2)증발(Evaporation). 따뜻한 바다는 막대한 증발을 유발했고, 지구에 엄청난 강우와 강설을 일으켰다.

3)에어로졸(Aerosols). 오래된 해양지각의 폭주 섭입(runaway subduction) 또한 광범위한 화산 활동을 촉발했다. 에어로졸이라고 불리는 분출된 화산재가 대량으로 뿜어져 나왔고, 이것들은 햇빛을 차단하여 지구를 냉각시키고, 지표면 온도를 낮추는 원인이 되었다.

4)시간(Time). 따뜻한 바다가 냉각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고, 지속적인 화산 분출을 통해 에어로졸은 계속 공급되면서, 막대한 증발과 대륙의 냉각은 내린 폭설이 여름에 녹지 않고 계속 축적되게 하였다. 

이들 빙상은 오대호의 지형을 상당 부분 깎으면서 육지를 쓸고 지나갔고, 슬리핑베어 모래언덕 지역을 가로질러 잔해들을 운반하였고, 모래언덕, 빙퇴석, 빙퇴구, 빙하 표석들을 퇴적시켰던 것이다.


하나님의 손길

하나님은 항상 계획을 갖고 계셨다. 전 지구적 홍수가 끝나면서, 빙하기가 시작되었다. 빙하가 쌓이면서 해수면은 낮아지기 시작했고, 적절한 시기에 육지 다리(land bridges)들이 드러났다. 그 결과, 홍수 후 얼마 되지 않은 시기에 동물들과 인간은 방주가 도착했던 지역에서부터 먼 대륙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바다가 충분히 식어서 증발이 줄어들고, 화산 활동의 감소로 에어로졸이 줄어들기 시작하자, 얼음은 녹았고, 해수면은 다시 상승했고, 육지 다리들은 다시 바닷물로 뒤덮였다.

오늘날 전 세계에서 온 관광객들은 슬리핑베어 모래언덕 국립 호숫가의 아름다운 담수 호수와 모래사장을 즐기고 있다. 그러나 또한 그곳은 창세기의 역사적 정확성을 우리에게 상기시켜주고 있다. 전 지구적 홍수에 대한 수많은 증거들이 있다.[3] 홍수 이후의 빙하기는 미시간의 지형을 조각하고 형성했고, 하나님의 손길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References

1. Sleeping Bear Dunes National Lakeshore Michigan. National Park Service. Posted on nps.gov.

2. Sleeping Bear Dunes Voted “Most Beautiful Place in America.” ABC News. Posted on abcnews.go.com August 16, 2011, accessed September 1, 2023.

3. Clarey, T. 2020. Carved in Stone: Geological Evidence of the Worldwide Flood. Dallas, TX: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4. Lewis, C. F. M., S. M. Blasco, and P. L. Gareau. 2005. Glacial Isostatic Adjustment of the Laurentian Great Lakes Basin: Using the Empirical Record of Strandline Deformation for Reconstruction of Early Holocene Paleo-Lakes and Discovery of a Hydrologically Closed Phase. Géographie physique et Quaternaire. 59 (2-3): 187–210.

5. Clarey, T. 2022. Mackinac Island State Park: Flood, Ice Age, and...Digestion? Acts & Facts. 51 (7): 10-13.

6. Brandes, P. 2023. Michigan Rocks! A Guide to Geologic Sites in the Great Lakes State. Missoula, MT: Mountain Press Publishing Company.

7. Hebert, J. 2021. The Ice Age and Climate Change: A Creation Perspective. Dallas, TX: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 Dr. Clarey is Director of Research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geology from Western Michigan University.

* Cite this article: Tim Clarey, Ph.D. 2023. Sleeping Bear Dunes National Lakeshore: Showcase for the Ice Age. Acts & Facts. 52 (11).


*참조 : 모래 사구들의 나이는? 

https://creation.kr/Geology/?idx=1290525&bmode=view

나바호 사암층과 초거대한 홍수 : 막대한 량의 모래 지층은 노아 홍수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25&bmode=view

코코니노 사암층은 사막 모래언덕이 아니라, 물 아래서 퇴적되었다 : 노아의 홍수를 반증한다는 가장 강력한 논거가 기각됐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3612173&bmode=view

ICR과 빙하기 설명하기

https://creation.kr/IceAge/?idx=17516171&bmode=view

빙하기를 초래한 노아의 홍수

https://creation.kr/IceAge/?idx=1288341&bmode=view

물이 많았던 사막 : 노아 홍수는 빙하기의 또 다른 미스터리를 풀 수 있다.

https://creation.kr/IceAge/?idx=13826697&bmode=view

유전학과 고고학 사이의 줄다리기 : 창세기 10장, 11장의 기록과 바벨 이후 인류의 분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7149192&bmode=view

바벨탑 사건과 민족 이동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69&bmode=view

고대 인류에 대한 DNA 분석은 바벨탑의 인류 분산을 확증하고 있었다.

https://creation.kr/Genesis/?idx=1289139&bmode=view

빙하기 동안 식물과 동물들의 이상한 혼합

https://creation.kr/IceAge/?idx=13755146&bmode=view

생물이 자신의 살고 있는 곳에서 발견되는 이유는? : 동식물의 생물지리학적 분포와 전 지구적 대홍수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52&bmode=view

자연적 뗏목이 동물들을 전 세계로 분포시켰다 : 방주에서 내린 동물이 어떻게 먼 곳까지 분산될 수 있었을까?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451&bmode=view

▶ 노아 홍수가 초래한 빙하기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89788&t=board

▶ 기존 빙하기 이론의 문제점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89831&t=board

▶ 대홍수로 변화된 기후와 환경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895&t=board

▶ “빙하기 탐구- 멈춰버린 시간”

https://creation.kr/Topic202/?idx=6587688&bmode=view

▶ 대홍수 후 인류 이동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0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생물 분포, 생물지리학

https://creation.kr/Topic2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72126&t=board


출처 : ICR, 2023. 10. 31.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sleeping-bear-dunes-national-lakeshore/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