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에서 손이 자라나게 할 수 있었는가?
(Did Scientists Make Fish Grow Hands?)
최근의 한 뉴스 기사는 ”유전학 실험으로 물고기에서 ‘손’이 자라났다”는 진화과학자들의 선전 이야기를 반복 보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선정적인 이야기는 Developmental Cell 지에 발표된 한 유전학 논문을 설명하면서 시도된 것이었다.[1] 그러나 사실 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진화론적 오류를 명백히 드러내는 것이었다.
먼저, 연구 중인 유전적으로 변형된 제브라피시(zebrafish)의 배아(embryo)에는 전혀 손(hands)이 없었다. New Scientist 지가 연구자 중 한 사람인 페르난도(Fernando Casaves)에게 이러한 주장에 대해 질문했을 때, 그는 ”물론 우리는 손을 자라게 할 수는 없었다”라고 대답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르난도와 그의 동료들은 그들의 데이터는 물고기의 지느러미가 마술적으로 다리, 팔, 손, 발로 형태가 변화되는데 필요한 진화론적 변화를 암시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신화적 과정(mythical process)은 물고기가 육상동물로 진화하는데 필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화론의 주장과는 달리, 화석기록은 어떠한 실제적 전이형태 화석도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3]
제브라피시는 배발생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모델 생물이 되어왔다. 왜냐하면 제브라피시는 그 DNA를 변경함으로서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발달하는 배아에서 그 영향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적 조작은 투명한 물고기의 배아에서 쉽게 관찰 가능하며, 그것은 배발달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일종의 창문을 제공해주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한 조절 요소(유전자 스위치)를 생쥐의 DNA로부터 제브라피시 안으로 삽입시켰다. 그 유전자 스위치는 hoxd13 이라 불리는 제브라피시 주요 발달 유전자의 발현을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이것은 발달중인 물고기 지느러미 조직에서 hoxd13 유전자가 만드는 생산물을 다양하게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면 hoxd13 유전자의 과도한 발현이 주는 영향은 무엇일까? 그 물고기는 손이나 혹은 어떤 다른 새로운 진화적으로 유리한 부속기관을 발달시켰는가? 아니다. 오히려 그 물고기의 정상적 지느러미의 발달이 완전히 그리고 기괴하게 방해되었던 것이다. 그 결과 배아는 (진화적 과정의 성공으로 볼 수 없는) 평균 4일 이내에 죽어버렸다.
그 돌연변이 연구의 결과는 hoxd13 유전자의 정상적인 발현 조직 부위가 잘 구획된 정상적 경계를 넘어서서 현저하게 확장된다는 것이었다. 그것은 전반적으로 비틀어지고 길어진 교란된 조직을 만들어냈다. 사실, 그러한 비틀어진 생장은 비대칭적인 비통제적 발달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진화론에 우호적인 언론 매체들은 실험실에서 물고기의 손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는 이야기로 왜곡하여 재빠르게 선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실제의 실험결과는 그 반대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것이었다. 단 하나의 유전자 발현만을 변경시켜도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을 가진 발달 유전자 네트워크 내에서 미세 조절된 수많은 유전자 상호작용 시스템들을 변경시켜, 결국 생물체의 죽음을 초래한다는 사실이었다.
이 연구는, 어떻게 지느러미에서 팔이 만들어질 수 있을까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유전체(genome)가 얼마나 놀랍게 미세-조절되며 구축되어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References
1. Freitas, R. et al. 2012. Hoxd13 Contribution to the Evolution of Vertebrate Appendages. Developmental Cell. 23 (6): 1219-1229.
2. Zebrafish made to grow pre-hands instead of fins. New Scientist. Posted on newscientist.com December 15, 2012, accessed December 26, 2012.
3. See Chapters 8 and 9 in Morris, J. D. and F. J. Sherwin. 2010. The Fossil Record: Unearthing Nature's History of Life. Dallas, TX: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 Dr. Tomkins is a Research Associate and received his Ph.D. in Genetics from Clemson University.
번역 - 문흥규
링크 - http://www.icr.org/article/7202/
출처 - ICR News, 2013. 1. 7.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5593
참고 : 5544|5524|5456|5162|3727|5169|4477|4648|5095|5535|5510|5416|5469
물고기에서 손이 자라나게 할 수 있었는가?
(Did Scientists Make Fish Grow Hands?)
최근의 한 뉴스 기사는 ”유전학 실험으로 물고기에서 ‘손’이 자라났다”는 진화과학자들의 선전 이야기를 반복 보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선정적인 이야기는 Developmental Cell 지에 발표된 한 유전학 논문을 설명하면서 시도된 것이었다.[1] 그러나 사실 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진화론적 오류를 명백히 드러내는 것이었다.
먼저, 연구 중인 유전적으로 변형된 제브라피시(zebrafish)의 배아(embryo)에는 전혀 손(hands)이 없었다. New Scientist 지가 연구자 중 한 사람인 페르난도(Fernando Casaves)에게 이러한 주장에 대해 질문했을 때, 그는 ”물론 우리는 손을 자라게 할 수는 없었다”라고 대답했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르난도와 그의 동료들은 그들의 데이터는 물고기의 지느러미가 마술적으로 다리, 팔, 손, 발로 형태가 변화되는데 필요한 진화론적 변화를 암시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신화적 과정(mythical process)은 물고기가 육상동물로 진화하는데 필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화론의 주장과는 달리, 화석기록은 어떠한 실제적 전이형태 화석도 존재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3]
제브라피시는 배발생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모델 생물이 되어왔다. 왜냐하면 제브라피시는 그 DNA를 변경함으로서 쉽게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발달하는 배아에서 그 영향을 쉽게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유전적 조작은 투명한 물고기의 배아에서 쉽게 관찰 가능하며, 그것은 배발달 과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일종의 창문을 제공해주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 과학자들은 한 조절 요소(유전자 스위치)를 생쥐의 DNA로부터 제브라피시 안으로 삽입시켰다. 그 유전자 스위치는 hoxd13 이라 불리는 제브라피시 주요 발달 유전자의 발현을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이것은 발달중인 물고기 지느러미 조직에서 hoxd13 유전자가 만드는 생산물을 다양하게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면 hoxd13 유전자의 과도한 발현이 주는 영향은 무엇일까? 그 물고기는 손이나 혹은 어떤 다른 새로운 진화적으로 유리한 부속기관을 발달시켰는가? 아니다. 오히려 그 물고기의 정상적 지느러미의 발달이 완전히 그리고 기괴하게 방해되었던 것이다. 그 결과 배아는 (진화적 과정의 성공으로 볼 수 없는) 평균 4일 이내에 죽어버렸다.
그 돌연변이 연구의 결과는 hoxd13 유전자의 정상적인 발현 조직 부위가 잘 구획된 정상적 경계를 넘어서서 현저하게 확장된다는 것이었다. 그것은 전반적으로 비틀어지고 길어진 교란된 조직을 만들어냈다. 사실, 그러한 비틀어진 생장은 비대칭적인 비통제적 발달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진화론에 우호적인 언론 매체들은 실험실에서 물고기의 손을 만들 수 있을 것 같다는 이야기로 왜곡하여 재빠르게 선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실제의 실험결과는 그 반대의 이야기를 전해주는 것이었다. 단 하나의 유전자 발현만을 변경시켜도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을 가진 발달 유전자 네트워크 내에서 미세 조절된 수많은 유전자 상호작용 시스템들을 변경시켜, 결국 생물체의 죽음을 초래한다는 사실이었다.
이 연구는, 어떻게 지느러미에서 팔이 만들어질 수 있을까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유전체(genome)가 얼마나 놀랍게 미세-조절되며 구축되어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었던 것이다.
References
1. Freitas, R. et al. 2012. Hoxd13 Contribution to the Evolution of Vertebrate Appendages. Developmental Cell. 23 (6): 1219-1229.
2. Zebrafish made to grow pre-hands instead of fins. New Scientist. Posted on newscientist.com December 15, 2012, accessed December 26, 2012.
3. See Chapters 8 and 9 in Morris, J. D. and F. J. Sherwin. 2010. The Fossil Record: Unearthing Nature's History of Life. Dallas, TX: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 Dr. Tomkins is a Research Associate and received his Ph.D. in Genetics from Clemson University.
번역 - 문흥규
링크 - http://www.icr.org/article/7202/
출처 - ICR News, 2013. 1. 7.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5593
참고 : 5544|5524|5456|5162|3727|5169|4477|4648|5095|5535|5510|5416|5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