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효모 DNA의 인트론은 결국 쓰레기가 아니었다 : 정크 DNA 개념이 오류였음이 다시 한 번 밝혀졌다.

효모 DNA의 인트론은 결국 쓰레기가 아니었다. 

: 정크 DNA 개념이 오류였음이 다시 한 번 밝혀졌다. 

(Yeast Introns Not Junk After All)

by Jeffrey P. Tomkins Ph.D.


      정크(junk, 쓰레기) DNA 개념은 진화론이 얼마나 잘못된 이론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상징물이 되고 있다. 생물의 DNA가 어떻게 작동되는지가 점점 더 많이 알려지면서, DNA에 쓸모없는 쓰레기(정크) 부분이 있다는 진화론자들의 주장은 정말로 무식했던 잘못된 주장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제 정크 DNA를 주장하던 사람들이 자주 예를 들던, 인트론(intron, intervening noncoding pieces of genes)이 쓸모없는 부분이라는 주장도 완전히 쓰레기통에 들어갔다.


과학자들이 처음으로 유전자 구조를 밝히기 시작했을 때, 박테리아(원핵생물이라고 불려짐)와 같이 겉보기에 단순한 것처럼 보이는, 단일의 환상염색체(circular chromosomes)에 간결하고 연속적인 메시지를 갖고 있는 생물체로부터 연구를 시작했다. 그 후에 연구자들은 핵이라 불리는 구획 안에 들어있는, 더 복잡한 선형염색체(linear chromosomes)를 가진 생물체(진핵생물로 불려짐)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연구자들을 놀라게 만들었던 것은, 단세포 효모(yeast)에서부터 동식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진핵생물의 유전자들은 여러 개의 조각들 속에 나뉘어져 들어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유전자의 어떤 부분은 단백질을 만드는 아미노산들의 특정 순서와 접힘에 관한 암호를 갖고 있었는데, 이것은 엑손(exons)이라고 불린다. 반면에 인트론(introns)이라 불리는, 사이에 있는 부분(intervening segments)은 어떠한 암호도 갖고 있지 않은 것처럼 보였고, 유전자에서 복사된 RNA 메시지로부터 분리되어 있었다.

처음에, 인트론은 한 유전자로부터 복사된 RNA 주형으로부터 생성되는, 최종 단백질 생성물에 기여하지 않는, 쓸모없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진화론의 중립모델 이론에서, 어떻게든 미스터리하게 새롭고 유용한 DNA 염기서열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유전체(genome)에 돌연변이 재료들을 제공할 수 있는 많은 정크들이 필요했기 때문에, 인트론을 중성 DNA, 또는 정크 DNA로 신속하게 간주했다.[1] 사실, 일부 진화론자들은 이 인트론은 유전체에 대한 부정적인 짐이 된다고 추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과학적 발견이 계속되고, 더 많은 DNA의 숨겨진 기능들과 고도 복잡성이 밝혀짐에 따라, 인트론은 유전자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다른 많은 암호들이 들어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4] 몇몇 경우에서, 인트론은 작은 유전자 내부에 파묻혀서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일부 인트론은 유전자 활동을 조절하는 RNA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유전자 복제 및 스플라이싱(splicing, 인트론이 제거되고 엑손끼리 연결되는 과정) 후에 순환되는(circularized)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인트론이 엑손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발견된 것이다. 그래서 단일 유전자가 말 그대로 수십 수백 가지의 서로 다른 RNA 및 단백질들을 최종산물로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식물과 동물 유전자의 인트론에 관한 놀라운 발견에도 불구하고, 일부 진화론자들은 아직도 단순한 것처럼 보이는 단세포 진핵생물의 인트론이, 불필요하고 무작위적인 진화의 쓸모없는 산물이라고 여전히 추정하고 있다. 이제 효모 세포에 대한 한 새로운 연구는 이 자연주의적 사고가 얼마나 어리석은 지를 다시 한 번 드러내고 있었다.[5]


효모(yeast)의 작고 조밀한 유전체는 단지 약 295개의 인트론을 갖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 인트론을 하나씩 체계적으로 제거한 다음, 그것이 효모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적인 실험 조건 하에서, 영양소가 풍부한 최적의 배지에서 성장하는 효모는 악영향을 받지 않았다. 하지만 자연에서는 그렇게 좋은 환경에서 자라기 어렵다. 효모는 열악한 환경에서 제한된 영양소에 적응해야만 한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여러 인트론 제거 효모 균주들을 영양소가 결핍된 스트레스 환경에서 성장시켰다. 그 결과 인트론은 생존의 핵심 열쇠임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았다. 연구자들은 ”인트론이 숙주-유전자 기능에 관계없이, 영양 결핍에 반응하여 세포 성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5]

과학적 발견이 증가됨에 따라, 진화론의 증거들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되고, 창조주의 천재적인 설계들을 보여주는 경이로운 공학적 구조들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효모 유전자들의 전체 인트론 시스템은 유전체(genome) 내에서 공학적 적응력의 독창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무의식중에 하나님의 창조적인 천재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우리의 연구는 인트론이 기아(starvation) 동안 유전자 억제를 강화하는 인자로서, 안정적 성장을 위한 영양분의 감지 및 적응을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임을 밝혀냈다.”


과학적 발견이 증가됨에 따라, 진화론의 증거들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되고, 창조주의 천재적인 설계들을 보여주는 경이로운 공학적 구조들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시편 104:24절은 이렇게 말씀하고 있다. ”여호와여 주께서 하신 일이 어찌 그리 많은지요 주께서 지혜로 그들을 다 지으셨으니 주께서 지으신 것들이 땅에 가득하니이다.”

 


References
1. Tomkins, J. and J. Bergman. 2017. Neutral Model, Genetic Drift and The Third Way - A Synopsis Of The Self-Inflicted Demise Of The Evolutionary Paradigm. Journal of Creation. 31 (3): 94-102.
2. Tomkins, J. P. 2013. Circular Intronic RNAs Defy Junk DNA Dogma.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October 9, 2013, accessed January 17, 2019.
3. Tomkins, J. P. 2014. Gene Complexity Eludes a Simple Definition. Acts & Facts. 43 (6): 9.
4. Tomkins, J. P. 2014. Mind-Boggling Complexity in the Fruit Fly Transcriptome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on March 26, 2014, accessed January 17, 2019.
5. Parenteau, J. et al. 2019. Introns are mediators of cell response to starvation. Nature. doi.org/10.1038/s41586-018-0859-7.

*Dr. Jeffrey Tomkins is Director of Life Sciences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genetics from Clemson University.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s://www.icr.org/article/11130/

출처 - ICR, 2019. 1. 29.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