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하나님께 박테리아에 대해 감사한 적이 있는가?
(Have You Thanked God for Bacteria Today?)
by Jerry Bergman, PhD
많은 연구들은 박테리아가 건강에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수십 년 동안 박테리아들은 대체로 해롭다는 인식이 팽배해져 있다. 박테리아의 99.9%를 죽인다고 주장하는 항균 비누가 판매되고 있고, 한 광고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상쾌한 향이 나는 비누"라고 선전하고 있다.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에 순하면서 99.9% 이상의 박테리아를 죽인다는 것이다.[1] 박테리아로 인해 발생하는 몸 냄새에 대한 우려는 타당하지만, 박테리아가 우리 몸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이 더 많이 알려지면서, 박테리아를 살균하려는 노력은 실수라는 것을 깨닫고 있다.
.화학물질로 박테리아와 싸우는 것보다, 야외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더 건강에 좋을 수 있다.
비누(soaps)에서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죽이는 데 사용되는 주요 성분은 헥사클로로펜(hexachlorophene)과 3,4,4′-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3,4,4′-trichlorocarbanilide)이다.[2] 문제는 항진균제 및 항균제인 헥사클로로펜이 실험실에서 쥐, 토끼, 고양이, 돼지에게 마비를 일으키고, 양에게 실명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이다.[3] 그리고 소량의 헥사클로로펜이 동물과 사람 모두에서 피부를 통해 흡수된다는 점이다. 헥사클로로펜은 신경학적 영향 외에도 산화적 인산화를 방해하여, 체온 상승을 유발하는 신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4]
1972년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헥사클로로펜이 1% 이상 함유된 제품의 생산과 유통을 중단했다. 현재 헥사클로로펜이 1% 이상 함유된 대부분의 제품은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구입할 수 있다. 또한 3,4,4′-트리클로로카바닐라이드(Triclocarban or TCC)는 박테리아 및 곰팡이 성장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항균제이다. 일반적으로 비누, 바디워시, 세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3,4,4′-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는 소량으로도 독성이 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5] 문제는 이러한 독성 화학물질을 단기간 동안만 소량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평생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이 함유된 다양한 제품들에 피부가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익 대 위험
박테리아들은 해롭다는 인식이 이러한 제품의 장기 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이것은 위험-이익 비율(risk-benefit ratio)이라고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많은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박테리아는 해롭고, 이러한 화학물질이 수반하는 작은 위험(독성)은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위험-이익 비율을 근거로 박테리아 살균제 사용을 지지하는 결론을 내려왔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1,10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른 결론을 내리고 있다 :
나중에 알레르기나 천식이 발병하는 아기의 장내미생물은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는 아기의 장내미생물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1,100명 이상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유아의 장 내에 특정 무해한 박테리아의 존재는 다른 유익한 박테리아들이 장에 서식할 수 있도록 장내 환경을 조성한다. 생후 첫해에 장내미생물 군집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면, 5세가 되었을 때 습진, 음식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또는 천식 진단을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7]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Wikimedia Commons>
다른 연구자들도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예를 들어, 갈레아나(Galeana-Cadena) 등은 장내미생물 군집에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피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의 존재가 천식 예방과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8]
질분만(vaginal birth)과 모유수유가 아기의 장내미생물 군집에 많은 필수 박테리아들을 전달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아기와 키스하는 일반적인 행위와 같이, 생후 첫해에 세균에 정상적으로 노출되면,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아이에게 전달된다. 또한 형제가 있거나, 탁아소에 다니거나, 농장에서 생활하거나, 애완동물을 키우는 등 박테리아에 노출되는 것은 모두 알레르기 예방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노출은 모두 습진, 음식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및 천식 발생 확률을 낮춘다.
현대 사회에서 박테리아에 대한 노출 감소
오늘날 항균 비누, 크림, 로션의 광범위한 사용, 외부 활동시간의 감소, 항생제 사용 증가, 제왕절개수술 증가 등은 모두 어린아이들의 장에 박테리아가 자연스럽게 축적되는 것을 방해한다.[9] 또한, 생애 초기에 특정 무해한 박테리아들이 존재하면, "다른 유익한 박테리아들은 예측 가능한 물결로 따라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10] 만약 첫 번째 '키스톤(keystone)' 박테리아를 잃어버리면, 후속 장내미생물 서식이 지연되거나 방해받게 된다.[10] 요컨대, 생애 초기의 미생물 노출은 면역계를 조절하여 평생동안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면역계를 조절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덴워스(Denworth)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 "생후 첫해에 중요한 건강 증진 박테리아를 잃어버린 어린이는 알레르기 발생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11]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나쁜' 박테리아는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유익한 박테리아가 잘못 대체된 것이다.
해로운 박테리아는 돌연변이가 일어났거나, 한 박테리아에서 다른 박테리아로 부적절한 플라스미드 전달(plasmid transfer)로 인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흔한 피부 박테리아인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Wikimedia Commons>
세균성 질환의 또 다른 중요한 원인으로는 약해진 면역계(60세의 면역력은 20세의 절반), 또는 손상된 면역계(AIDS에 원인된 것과 같은)가 있다. 박테리아에 의한 다른 질병은 박테리아(및 바이러스)가 숙주가 아닌 생물에 침입할 때에 발생한다. 예로, AIDS 바이러스가 원숭이 숙주로부터 사람으로 이동될 때(원숭이 고기를 섭취), 원래 속해 있던 생물체 장기에서 다른 부분으로 침입하는 경우(예로 피부에 있던 황색 포도상구균이 체강내, 혈류, 관절, 뼈, 폐, 심장으로 들어간 경우)에 발생하기도 한다.
.현미경으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생물을 최초로 발견한, 안토니 반 레벤후크(1632-1723).
요약
이 연구는 하나님께서 생물들을 창조하셨을 때,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고 선언하셨고, 이 선언에는 박테리아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수많은 박테리아들은 유익한 존재이다. 안토니 반 레벤후크(Antony van Leeuwenhoek)가 박테리아를 발견했을 때, 그는 그것들도 "우주의 주인이신 창조주께 영광을 돌린다"고 믿었다.
References
[1] https://www.dialsoap.com/products/hand-soap/liquid/antibacterial/spring-water-liquid-hand-soap.html.
[2] Jungermann, Eric,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bacterial soap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44(4):232-234; https://aoc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7/BF02639264, 1967.
[3] Kimbrough, Renate. “Hexachlorophene: Toxicity and use as an antibacterial agent.” Essays in Toxicology. 7:99-120, 1966.
[4] Kimbrough, Renate. “Review of recent evidence of toxic effects of hexachlorophen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51(2):391-394, 1973.
[5] Minnesota Pollution Control Agency. “Triclocarban (3,4,4′-trichlorocarbanilide): Aquatic toxicity profile”, 2023.
[6] He, Liting, et al. “Evaluation of 3,4,4,9-trichlorocarbanilide to zebrafish developmental toxicity based on transcriptomics analysis.” Chemosphere 278:130349, September 2021.
[7] Sharma, Pankaj. Today in science: Good bacteria can prevent allergies in kids. Scientific American; https://scientistpankaj.blogspot.com/2024/02/today-in-science-good-bacteria-can.html, 27 February 2024.
[8] Galeana-Cadena, David. “Winds of change a tale of: Asthma and microbiome.” Frontiers of Microbiology DOI 10.3389/fmicb.2023.1295215, 11 December 2023.
[9] Denworth, Lydia. “Babies’ Gut Bacteria Predict Allergy Risk.” Scientific American Magazine 330(3):72-73, March 2024. Denworth, Lydia. Helpful gut bacteria seem to reduce allergic disease in kids. Scientific American;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helpful-gut-bacteria-seem-to-reduce-allergic-disease-in-kids/, 1 March 2024.
[10] Denworth, 2024, p. 73.
[11] Denworth, 2024, p. 73.
*참조 : 건강은 좋은 바이러스와 미생물에 달려있다.
https://creation.kr/Topic502/?idx=13866869&bmode=view
당신의 소화기관과 장내 세균과의 동맹
https://creation.kr/Human/?idx=1291483&bmode=view
모유는 산모와 아기 모두를 위해 설계되었다.
https://creation.kr/Human/?idx=16408957&bmode=view
지구에는 막대한 수의 박테리아들이 존재한다.
https://creation.kr/Topic101/?idx=13855897&bmode=view
전 세계에 유익을 주고 있는 작은 바다생물들 : 동물성 플랑크톤은 바닷물의 혼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ttps://creation.kr/Ecosystem/?idx=1876346&bmode=view
다람쥐의 장내 미생물과 동면 : 겨울잠을 자는 동안 쇠퇴되지 않는 근력
https://creation.kr/animals/?idx=10614276&bmode=view
박테리아의 편모 : 분자 모터들은 경이로운 설계를 보여준다.
https://creation.kr/LIfe/?idx=16861623&bmode=view
박테리아 - 나침반 제작의 대가 : 자기장을 감지하는 박테리아는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LIfe/?idx=15382885&bmode=view
바이러스는 바다를 좋게 만들 수 있다.
https://creation.kr/Topic101/?idx=13856395&bmode=view
가장 오래된 결핵이라는 주장 : 결핵도 보시기에 심히 좋으셨던 창조의 한 부분인가?
https://creation.kr/Topic502/?idx=13862618&bmode=view
흑사병 : 살인자의 탄생 : 페스트 균도 하나님이 창조하셨는가?
https://creation.kr/Mutation/?idx=1289820&bmode=view
하나님이 에볼라 바이러스도 만드셨는가?
https://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90&bmode=view
미생물의 세계를 열었던 레벤후크
https://creation.kr/Peoples/?idx=1293712&bmode=view
▶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원생생물
https://creation.kr/Topic1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05292&t=board
▶ 성경의 모순으로 주장되는 것들 - 병원균과 질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615&t=board
▶ 성경의 모순으로 주장되는 것들 - 생물 독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628&t=board
출처 : CEH, 2024. 2024. 3. 6.
https://crev.info/2024/03/bergman-bacteria/
번역 : 미디어위원회
당신은 하나님께 박테리아에 대해 감사한 적이 있는가?
(Have You Thanked God for Bacteria Today?)
by Jerry Bergman, PhD
많은 연구들은 박테리아가 건강에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수십 년 동안 박테리아들은 대체로 해롭다는 인식이 팽배해져 있다. 박테리아의 99.9%를 죽인다고 주장하는 항균 비누가 판매되고 있고, 한 광고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상쾌한 향이 나는 비누"라고 선전하고 있다.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피부에 순하면서 99.9% 이상의 박테리아를 죽인다는 것이다.[1] 박테리아로 인해 발생하는 몸 냄새에 대한 우려는 타당하지만, 박테리아가 우리 몸에서 하는 중요한 역할이 더 많이 알려지면서, 박테리아를 살균하려는 노력은 실수라는 것을 깨닫고 있다.
.화학물질로 박테리아와 싸우는 것보다, 야외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더 건강에 좋을 수 있다.
비누(soaps)에서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죽이는 데 사용되는 주요 성분은 헥사클로로펜(hexachlorophene)과 3,4,4′-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3,4,4′-trichlorocarbanilide)이다.[2] 문제는 항진균제 및 항균제인 헥사클로로펜이 실험실에서 쥐, 토끼, 고양이, 돼지에게 마비를 일으키고, 양에게 실명을 유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것이다.[3] 그리고 소량의 헥사클로로펜이 동물과 사람 모두에서 피부를 통해 흡수된다는 점이다. 헥사클로로펜은 신경학적 영향 외에도 산화적 인산화를 방해하여, 체온 상승을 유발하는 신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4]
1972년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헥사클로로펜이 1% 이상 함유된 제품의 생산과 유통을 중단했다. 현재 헥사클로로펜이 1% 이상 함유된 대부분의 제품은 의사의 처방이 있어야만 구입할 수 있다. 또한 3,4,4′-트리클로로카바닐라이드(Triclocarban or TCC)는 박테리아 및 곰팡이 성장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항균제이다. 일반적으로 비누, 바디워시, 세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3,4,4′-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는 소량으로도 독성이 있다는 증거도 존재한다.[5] 문제는 이러한 독성 화학물질을 단기간 동안만 소량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평생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이 함유된 다양한 제품들에 피부가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익 대 위험
박테리아들은 해롭다는 인식이 이러한 제품의 장기 사용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 이것은 위험-이익 비율(risk-benefit ratio)이라고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많은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박테리아는 해롭고, 이러한 화학물질이 수반하는 작은 위험(독성)은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일반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위험-이익 비율을 근거로 박테리아 살균제 사용을 지지하는 결론을 내려왔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1,100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다른 결론을 내리고 있다 :
나중에 알레르기나 천식이 발병하는 아기의 장내미생물은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는 아기의 장내미생물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1,100명 이상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유아의 장 내에 특정 무해한 박테리아의 존재는 다른 유익한 박테리아들이 장에 서식할 수 있도록 장내 환경을 조성한다. 생후 첫해에 장내미생물 군집이 중단되거나 지연되면, 5세가 되었을 때 습진, 음식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또는 천식 진단을 받을 확률이 높아진다.[7]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Wikimedia Commons>
다른 연구자들도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예를 들어, 갈레아나(Galeana-Cadena) 등은 장내미생물 군집에 비피더스균(Bifidobacteri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피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의 존재가 천식 예방과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8]
질분만(vaginal birth)과 모유수유가 아기의 장내미생물 군집에 많은 필수 박테리아들을 전달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아기와 키스하는 일반적인 행위와 같이, 생후 첫해에 세균에 정상적으로 노출되면,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아이에게 전달된다. 또한 형제가 있거나, 탁아소에 다니거나, 농장에서 생활하거나, 애완동물을 키우는 등 박테리아에 노출되는 것은 모두 알레르기 예방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노출은 모두 습진, 음식 알레르기, 알레르기 비염 및 천식 발생 확률을 낮춘다.
현대 사회에서 박테리아에 대한 노출 감소
오늘날 항균 비누, 크림, 로션의 광범위한 사용, 외부 활동시간의 감소, 항생제 사용 증가, 제왕절개수술 증가 등은 모두 어린아이들의 장에 박테리아가 자연스럽게 축적되는 것을 방해한다.[9] 또한, 생애 초기에 특정 무해한 박테리아들이 존재하면, "다른 유익한 박테리아들은 예측 가능한 물결로 따라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10] 만약 첫 번째 '키스톤(keystone)' 박테리아를 잃어버리면, 후속 장내미생물 서식이 지연되거나 방해받게 된다.[10] 요컨대, 생애 초기의 미생물 노출은 면역계를 조절하여 평생동안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면역계를 조절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덴워스(Denworth)는 다음과 같이 결론지었다 : "생후 첫해에 중요한 건강 증진 박테리아를 잃어버린 어린이는 알레르기 발생 위험이 매우 높아진다."[11]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나쁜' 박테리아는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유익한 박테리아가 잘못 대체된 것이다.
해로운 박테리아는 돌연변이가 일어났거나, 한 박테리아에서 다른 박테리아로 부적절한 플라스미드 전달(plasmid transfer)로 인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흔한 피부 박테리아인 황색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Wikimedia Commons>
세균성 질환의 또 다른 중요한 원인으로는 약해진 면역계(60세의 면역력은 20세의 절반), 또는 손상된 면역계(AIDS에 원인된 것과 같은)가 있다. 박테리아에 의한 다른 질병은 박테리아(및 바이러스)가 숙주가 아닌 생물에 침입할 때에 발생한다. 예로, AIDS 바이러스가 원숭이 숙주로부터 사람으로 이동될 때(원숭이 고기를 섭취), 원래 속해 있던 생물체 장기에서 다른 부분으로 침입하는 경우(예로 피부에 있던 황색 포도상구균이 체강내, 혈류, 관절, 뼈, 폐, 심장으로 들어간 경우)에 발생하기도 한다.
.현미경으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는 생물을 최초로 발견한, 안토니 반 레벤후크(1632-1723).
요약
이 연구는 하나님께서 생물들을 창조하셨을 때, 하나님이 보시기에 좋았더라고 선언하셨고, 이 선언에는 박테리아도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사실 수많은 박테리아들은 유익한 존재이다. 안토니 반 레벤후크(Antony van Leeuwenhoek)가 박테리아를 발견했을 때, 그는 그것들도 "우주의 주인이신 창조주께 영광을 돌린다"고 믿었다.
References
[1] https://www.dialsoap.com/products/hand-soap/liquid/antibacterial/spring-water-liquid-hand-soap.html.
[2] Jungermann, Eric,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antibacterial soap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44(4):232-234; https://aoc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7/BF02639264, 1967.
[3] Kimbrough, Renate. “Hexachlorophene: Toxicity and use as an antibacterial agent.” Essays in Toxicology. 7:99-120, 1966.
[4] Kimbrough, Renate. “Review of recent evidence of toxic effects of hexachlorophen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51(2):391-394, 1973.
[5] Minnesota Pollution Control Agency. “Triclocarban (3,4,4′-trichlorocarbanilide): Aquatic toxicity profile”, 2023.
[6] He, Liting, et al. “Evaluation of 3,4,4,9-trichlorocarbanilide to zebrafish developmental toxicity based on transcriptomics analysis.” Chemosphere 278:130349, September 2021.
[7] Sharma, Pankaj. Today in science: Good bacteria can prevent allergies in kids. Scientific American; https://scientistpankaj.blogspot.com/2024/02/today-in-science-good-bacteria-can.html, 27 February 2024.
[8] Galeana-Cadena, David. “Winds of change a tale of: Asthma and microbiome.” Frontiers of Microbiology DOI 10.3389/fmicb.2023.1295215, 11 December 2023.
[9] Denworth, Lydia. “Babies’ Gut Bacteria Predict Allergy Risk.” Scientific American Magazine 330(3):72-73, March 2024. Denworth, Lydia. Helpful gut bacteria seem to reduce allergic disease in kids. Scientific American; https://www.scientificamerican.com/article/helpful-gut-bacteria-seem-to-reduce-allergic-disease-in-kids/, 1 March 2024.
[10] Denworth, 2024, p. 73.
[11] Denworth, 2024, p. 73.
*참조 : 건강은 좋은 바이러스와 미생물에 달려있다.
https://creation.kr/Topic502/?idx=13866869&bmode=view
당신의 소화기관과 장내 세균과의 동맹
https://creation.kr/Human/?idx=1291483&bmode=view
모유는 산모와 아기 모두를 위해 설계되었다.
https://creation.kr/Human/?idx=16408957&bmode=view
지구에는 막대한 수의 박테리아들이 존재한다.
https://creation.kr/Topic101/?idx=13855897&bmode=view
전 세계에 유익을 주고 있는 작은 바다생물들 : 동물성 플랑크톤은 바닷물의 혼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https://creation.kr/Ecosystem/?idx=1876346&bmode=view
다람쥐의 장내 미생물과 동면 : 겨울잠을 자는 동안 쇠퇴되지 않는 근력
https://creation.kr/animals/?idx=10614276&bmode=view
박테리아의 편모 : 분자 모터들은 경이로운 설계를 보여준다.
https://creation.kr/LIfe/?idx=16861623&bmode=view
박테리아 - 나침반 제작의 대가 : 자기장을 감지하는 박테리아는 설계를 가리킨다.
https://creation.kr/LIfe/?idx=15382885&bmode=view
바이러스는 바다를 좋게 만들 수 있다.
https://creation.kr/Topic101/?idx=13856395&bmode=view
가장 오래된 결핵이라는 주장 : 결핵도 보시기에 심히 좋으셨던 창조의 한 부분인가?
https://creation.kr/Topic502/?idx=13862618&bmode=view
흑사병 : 살인자의 탄생 : 페스트 균도 하나님이 창조하셨는가?
https://creation.kr/Mutation/?idx=1289820&bmode=view
하나님이 에볼라 바이러스도 만드셨는가?
https://creation.kr/BiblenScience/?idx=1288890&bmode=view
미생물의 세계를 열었던 레벤후크
https://creation.kr/Peoples/?idx=1293712&bmode=view
▶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원생생물
https://creation.kr/Topic1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05292&t=board
▶ 성경의 모순으로 주장되는 것들 - 병원균과 질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615&t=board
▶ 성경의 모순으로 주장되는 것들 - 생물 독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628&t=board
출처 : CEH, 2024. 2024. 3. 6.
https://crev.info/2024/03/bergman-bacteria/
번역 : 미디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