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식물 화석 : 공룡들 주변에 어떤 식물이 있었을까?

식물 화석 : 공룡들 주변에 어떤 식물이 있었을까? 

(Fossil Plants. The Fossil Evidence)


     당신은 공룡 주변에 어떤 종류의 식물이 있었는지 궁금해 한 적이 있는가? 그 답은 당신을 놀라게 할 수 있다. 공룡은 참나무, 버드나무, 목련, 사사프라스(sassafras), 야자수, 기타 일반적 현화식물 등 친숙한 식물들 사이를 돌아다니고 있었다.


지질주상도에서 현화식물(flowering plants)은 백악기(공룡 위쪽) 지층에서 갑자기 그리고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윈은 그 상황을 알고 있었고, 이 현화식물의 기원을 ”끔찍한 미스터리(an abominable mystery)”라고 불렀다. 나의 친구인 고식물학(paleobotany) 교수가 요약했던 것처럼, 지난 세기 동안 이 수수께끼는 조금도 해결되지 않았다. 화석 증거들에 의하면, 오늘날의 식물과 동일한 종류의 변종만이 발견될 뿐이며, 많은 경우 퇴화됐거나, 멸종되었음을 보여줄 뿐이다.


진화론자들은 모든 화석들마다 다른 과학적 이름(속명-종명)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한 예로, 서로 다른 5개의 속(genus) 이름들이 붙여졌던 화석 표본들이 있었는데, 나중에 그 표본들은 모두 동일한 나무인 인목(Lepidodendron)으로 판명된 적이 있었다. 대부분의 현화식물들은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동일한 학명을 사용하여 쉽게 분류된다.


다른 화석 식물들도 현화식물처럼 쉽게 분류가 된다. 양치류와 양치류의 동류들은 오늘날보다 훨씬 더 다양한 형태로 실루리아기/데본기(Silurian/Devonian) 지층암석에서 갑자기 그리고 동시에 나타난다.(그림 24). 그러나 이들 화석 식물들 중 어느 것도 오늘날 살아있는 식물 중에서 관찰되는 해부학, 형태학 또는 번식적 특징과 다른 특징을 갖고 있지 않으며, 구별하기도 어렵다. 차이가 있다면, 과거에는 오늘날 지구상에 존재하는 양치류와 양치류 동류보다 훨씬 더 많은 종류가 있었다는 것뿐이다. 일부는 소나무(Lycopodium)와 속새(horsetail, Equisetum)와 같이 작고 눈에 띄지 않는 것들이었고, 레피도덴드론(Lepidodendron, 석송류)과 칼라미테스(Calamites, 고대 양치류)와 같이 거대한 나무로 자라는 것들의 일부 잔해도 화석으로 발견되고 있다. 이들 식물의 구조적 설계와 분류는 창조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크기와 다양성의 감소 경향은 아담의 범죄로 인한 타락과 뒤이은 대격변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림 1. 화석 식물들은 오늘날 사용되는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쉽게 분류되는데, 아마도 노아 홍수 이후에 멸종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화석 식물들은 오늘날 보다 훨씬 큰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조류(algae) 조차도 오늘날 살아있는 동일한 그룹인 녹색, 청록색, 적색, 갈색, 황갈색과 같은 일련의 모습으로 처음부터 화석으로 나타난다.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화석은 스트로마톨라이트(stromatolites)라고 불리는 암석 구조를 형성하는 남조류(blue-green algae), 또는 선캄브리아기의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이다. (나는 호주의 서부 및 남부 해안에서 동일한 모습으로 살아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들을 조사하고 촬영할 수 있는 특권을 누렸다.) 이것은 진화론자들이 발견하기를 바라는 '단순한' 형태의 생명체인가? 아니다. 정확히 그 반대이다! 생화학적 활동성으로 살펴볼 때, 그 '단순한' 유기체는 우리보다 더 복잡하다. 그들은 태양광을 에너지로 사용하여, 해수를 취해 살아있는 세포로 바꿀 수 있다. 이것은 광합성(photosynthesis)이라고 불리는, 생화학적 공학의 환상적인 업적이다. (우리도 단지 물, 공기, 햇빛만을 가지고 움직일 수 있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또한 남조류는 ”오래되었다”는 선캄브리아기 화석과 동일한 모습으로 오늘날에도 살아있다. 이 ”가장 오래되었다”는 식물 화석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진화인가? (단순한 생명체가 복잡하고 다양한 종류로 변화된 것?) 전혀 아니다! ”가장 오래되었다”는 식물 화석이 주는 교훈은 가장 오래되었다는 동물 화석이 주는 교훈과 동일하다. 즉 살아있는 생물들은 그 종류대로 이미 복잡하고, 잘 번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것이다.


새로 발견된 화석은 대개 진화론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도되고 있지만, 자주 그 반대의 경우가 사실이다. 현화식물은 '백악기의 폭발'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 아래 지층인 쥐라기 지층에서 처음 현화식물의 화석을 발견했을 때, ”끔찍한 미스터리”인 현화식물의 기원을 풀 수 있는 돌파구로 여겨지면서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과대 선전이 끝난 후에, 진화론자들은 그 수수께끼가 단지 한 지층 아래로 내려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창조론자들은 그 증거가 여전히 창조를 가리킨다고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 최초의 현화식물은 여전히 그 종류대로 잘 설계된 채로 갑자기 등장하며, 오늘날처럼 때때로 소철류와 침엽수 사이에서 함께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식물의 진화를 나팔을 불며 선전해왔지만, 호주에서 살아있는 채로 발견된 쥐라기의 울레미 소나무(wollemi pine)는 살아있는 공룡을 발견하는 것만큼 그들에게는 충격적이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울레미 소나무는 공룡들과 함께 오래 전에 멸종됐다고 주장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소나무는 동일한 모습으로, 살아있었던 것이다. 그 나무는 진화론이 틀렸으며, 창조론이 옳았음을 강력하게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1]


울레미 '공룡 소나무'는 은행나무(Gingko biloba)와 메타세쿼이아(dawn redwood)와 같이 또 하나의 ‘살아있는 화석(living fossil)’의 예이다. 한 때는 광범위하게 분포했고, 번성했던, 식물 그룹의 변하지 않은 극히 드문 생존자인 것이다. 이것이 주는 교훈은 진화가 아니라, 창조(그 종류대로)이며, 식물들은 잘 설계된 채로 창조되었다가, 노아 홍수 이후 전 세계 서식지가 파괴되고, 기후가 변화되면서, 쇠퇴되었음을 보여준다.


진화론자인 한 고식물학(paleobotany) 교수는 식물의 진화에 대해 알아보자며 수업을 시작했다. 그 다음 그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알고 있는 것은 현대의 식물 그룹들이 장구한 화석 역사로 거슬러 올라가 먼 과거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것이었다. 화석 식물들이 갖고 있는 구조들은, 살아있는 식물에서 볼 수 있는 익숙한 구조들인 것이다. 물론, 분류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어려움이 있지만, 그것은 오늘날 살아있는 식물들 사이에서도 부딪칠 수 있는 동일한 종류의 것이다. 화석식물 연구로부터 얻은 증거들을 요약하며, 케임브리지 대학의 식물학 교수인 코너(E.J.H. Corner)는 이렇게 말했다 (그는 진화론을 믿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편견을 갖고 있지 않는 사람들에게 식물 화석의 기록은 특별 창조를 지지한다.”[2]

 

Footnotes
1. Andrew Snelling, 'Wollemia nobilis: A Living Fossil and Evolutionary Enigma,” Acts and Facts (Impact #394) (April 2006).
2. E.J.H. Corner, 'Evolution,” in A.M. MacLeod and L.S. Cobley, editors, Contemporary Botanical Thought (Chicago, IL: Quadrangle Books, 1961), p. 97. See also Duane T. Gish, Creation Scientists Answer Their Critics (Santee, CA: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1993).


번역 - 문흥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fossils/types-of-fossils/plants/

출처 - AiG, 2016. 3. 28.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6751

참고 : 5823|1257|2210|6057|4796|4756|5764|5249|4748|4113|6303|6020|2248|2025|3581|4639|5059|6574|6263|6449|4821|6018|6128|6096|5465|5904|5901|5222|5946|6399|6741|6747|6721|6683|6588|4569|6236|6200|6056|6114|6734|6738|6743|6733|6729|6650|6050|5774|2110|5992|5790|5738|5697|5683|5574|5490|5475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