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더 많은 살아있는 화석들

더 많은 살아있는 화석들 

(More Living Fossils)


       또 다른 실러캔스의 무리들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것은 진화론자들에게 더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었다. 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서, 진화론자들이 지층 암석들을 어떻게 해석하는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암석(rocks)은 지층(layers)에 존재하는데, 그 지층들은 최초로 연구되었던 장소로부터 이름이 유래되었다. 이 지층들은 '표준화석(index fossils)”이라 불리는, 어떤 중요한 화석들에 의해서 확인되는데, 이들 표준화석들은 다른 지층에는 존재하지 않고 그들 지층에서만 나타나는 것들이다. 그것은 사실이다. 진화론자들은 암석 지층들이 어떤 시대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한다. 지층들은 지층 속에 들어있는 화석들의 추정되는 나이에 기초하여 연대가 추정된다. 여러 화석들의 나이는 진화가 진행된 방법과, 진화가 진행된 속도에 대한 가정(assumptions)들에 의존하고 있다.


예를 들면, 캄브리아기 지층은 삼엽충(trilobite) 화석을 포함하고 있다. 진화론자들은 삼엽충은 5억4천4백만 년에서 5억1천만 년 전의 캄브리아기 동안에 살았었다고 믿고 있다. 데본기 지층은 어떤 물고기의 화석들을 포함하고 있는데, 진화론자들은 이들이 4억9백만 년에서 3억6천3백만 년 전인 데본기 동안에 살았었다고 믿고 있다. 쥐라기 지층은 어떤 공룡들의 화석을 포함하고 있는데, 진화론자들은 이들이 2억2백만 년에서 1억4천1백만 년 전인 쥐라기 동안에 살았었다고 믿고 있다. 진화론적 고생물학자들은 한때 실러캔스(coelacanth)는, (또는 상당히 그와 비슷한 물고기가) 최초의 양서류(amphibian)로 진화한 물고기(fish)였다고 믿고 있었다. 왜냐하면 대게 실러캔스는 지질주상도 상에서 그 시점에 나타났기 때문이었다.


세로 코소 대학(Cerro Coso Community College)에서 사용하는 생물학 교과서에는 아직도 다음과 같은 시작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었다.


양서류는 엽상지느러미(lobefin) 물고기들로부터 진화됐고, 폐들을 발달시켰다.

대략 4억 년 전에, ‘lobefins’ 으로 불리는 일련의 그룹들이 담수(fresh water)에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Lobefins들은 육상 생활을 위해 두 가지의 중요한 선적응(pre-adaptations)을 하였다. 그들은 튼튼하고 살이 많은 지느러미(fins)로 얕은 여울의 바닥을 기어 다녔고, 원시 폐(lung)와 같은, 공기로 가득 채워질 수 있는 소화기관의 자루를 가지게 되었다. 그림 24-33d에 있는 실러캔스는 1939년에 발견되기 전까지 오래 전에 멸종된 것으로 믿어졌던 하나의 lobefin 이다.1


그리고 그 책은 계속해서 lobefin의 폐가 어떻게 호흡을 하도록 적응되어 갔는지, 어떻게 지느러미가 다리들이 되었는지에 대한 동화같은 이야기들이 계속해서 쓰여져 있었다.


그러나 진화론자들은 살아있는 실러캔스가 발견되어서, 실러캔스의 폐는 단지 부력을 위해 사용되며, 호흡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들은 실러캔스는 담수성 물고기가 아니라 바다 물고기며, 얕은 물에서 사는 것이 아니라 깊은 물에서 산다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 그들은 실러캔스의 지느러미가 바닥을 걷기 위해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지 않는다. 그들은 실러캔스가 더 이상 물고기와 양서류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로 간주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지 않고 있다.


비록 생물학 교과서가 진화를 명백하게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일반 학생들은 실러캔스의 발견으로부터, 진화론자들이 믿고 있는 최초의 양서류로 진화된 물고기가 확인된 듯한 인상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혹자는 말할 수 있다. 만약 학생들이 부정확한 인상을 받았다면 그것은 그 학생의 잘못이다. 왜냐하면 교수에게 정확한 질문을 하지 않았으며, '~이다(is)”의 정의가 무엇인지를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살아있는 실러캔스의 발견은 진화론자들이 실러캔스의 폐와 지느러미의 사용에 대한 잘못된 추론을 하였다는 것뿐만 아니라, 또한 그들이 살았던 시기에 대해서도 잘못된 추론을 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지질주상도 연대의 부정확성은 진화론자들에게 진정한 문제이다. 인도네시아 근해에서의 두 번째 실러캔스의 발견은2, 적어도 '멸종된, 선사시대의' 생물종이 8,000 만년 동안 어떠한 흔적도 없이 여러 지역에서 존재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만일 생물종이 수천만년 동안 어떠한 흔적(화석 기록)도 남기지 않고 존재할 수 있다면, 그들은 또한 수억년 동안도 어떠한 흔적 없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생물종들이 지질주상도에서 멸종되었다는 시점도 말해질 수 없다. 더군다나 생물종들은 최초의 화석을 남기기 전에 이미 수억년 동안을 살아왔을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떤 생물종이 최초로 진화되어 나타났다고 하는 시점도 어떠한 확실성을 가지고 말해질 수 없는 것이다. 


만약 화석기록에서 어떤 생물종의 기원 시점이 확실성을 가지고 말해질 수 없다면, 그리고 그것이 언제 멸종했는지 확실하지 않다면, 어떻게 진화론적 진보(evolutionary progression)를 그려내기 위해서 화석기록을 사용할 수 있단 말인가?



Footnotes:

1 Audesirk & Audesirk, Biology 4th edition, 1996, page 374 (Ev)

2 'Second Group of Living Fossils Reported', Science News, September 26, 1998, page 196 (Ev)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

출처 - http://www.ridgenet.net/~do_while/sage/v3i1n.htm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2119

참고 : 5151|2009|3714|4342|5083|4189|4588|4393|4064|4494|3182|3747|2013|2086|2137|1257|2010|2300|2036|1518|1445|1002|2462|2406|2210|2127|2023|1505|1421|698|475|447|1939|2091|2077|2627|2110|4143|4174|4107|4094|4060|3631|3371|2047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