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강화한다.
: 면역학자 나탈리 베넷 박사와의 인터뷰
(Science reinforces faith in God.
Don Batten interviews immunologist Dr Natalie Bennett)
Don Batten
나탈리 베넷(Natalie Bennett) 박사는 호주의 모나쉬(Monash) 대학에서 면역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앨라배마 대학에서 정해진 기간의 박사후 과정을 수행한 후, 캘리포니아의 DNA 분자와 세포생물학 연구소에서 염증성 장 질환을 연구했다. 그녀는 한동안 전업 주부로 지냈으며, 지금은 호주 대학에서 생명과학(인체해부학 및 생리학)을 가르친다. 그녀는 Creation 지와 Journal of Creation을 정기적으로 읽고 즐기고 있다.
나탈리는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나는 특권을 가졌다. 그녀의 아버지는 성경을 토론하고 분석하는 것을 좋아했으며, 하나님은 뜻하신 것을 말씀하셨으며, 말씀하신 것을 뜻하셨다는 것을 확고히 믿었다. 나탈리는 이렇게 말한다.
“저는 말씀이 옳으므로 말씀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이 핵심 믿음을 항상 가지고 있었습니다. 저는 12살 때, 나 자신이 개인적으로 예수님께 응답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그때 저는 정말로 기독교인이 되었습니다.”
타고난 호기심이 과학을 직업으로 인도하였다.
“저는 사물이 작동하는 방식에 대해 항상 궁금해 하고 있었는데, 11살이 되었을 때 과학에 대한 저의 열정이 전면에 드러났습니다. 학교가 휴일일 때 우리 가족은 종종 Gippsland에 있는 친구의 농장에서 야영을 하곤 했습니다. 이 특별한 여름에, 우리는 양을 잡는 것을 돕고 있었고, 저는 내장 기관을 조사하도록 허락을 받았습니다. 저는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저는 내장 안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궁금해 하며, 장의 길이를 따라 ‘파고들었던’ 때를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심장을 잡고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며, 어떻게 혈액 응고가 일어나는지 궁금해 하고, 폐가 스폰지 같다는 것을 느끼며 완전히 매료되었습니다. 그때 저는 과학자가 되어, 신체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모든 것을 배우기로 결심했습니다. 나중에 보니까 시편 139:14이 내가 어떻게 느꼈는지를 완벽하게 요약하고 있었습니다. ”내가 주께 감사하옴은 나를 지으심이 심히 기묘하심이라 주께서 하시는 일이 기이함을 내 영혼이 잘 아나이다.“ 과학 분야의 직업은 1970년대에 소녀에게 있어서 전형적인 선택은 아니었지만, 네 꿈을 따르라고 저를 격려해 주시는 부모를 가졌다는 것은 제게 축복이었습니다.”
과학과 믿음은 충돌하는가?
나는 베넷 박사에게 과학과 그녀의 신앙 사이에 약간의 투쟁이라도 있었는지 물었다.
“정말로 없었습니다. 제가 과학에 관해 배운 모든 것은 성경의 참된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강화시켰습니다. 제가 믿음과 ‘과학’(예를 들어 ‘입증된’ 지구의 오랜 나이)을 조화시킬 수 없는 때가 있었지만, 저는 항상 성경이 옳았으며, 과학은 다소 틀린 가정들에 기초했거나, 올바른 결론을 내리기에 충분한 정보가 아직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존 애쉬튼(John Ashton) 박사의 책 <6일 동안에: 50명의 과학자들이 창조를 믿는 이유>[1]를 읽고 저는 정말로 고무되었는데, 많은 과학자들이 널리 유행하는 진화론적 세계관에 찬성하지 않으면서도, 과학에 성공적인 경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실감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저는 <Creation Ministries>라는 잡지를 발견했는데, 그것은 창조론과 진화론에 대해 제가 믿고 있는 것을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하나님의 말씀의 신뢰성에 대한 저의 믿음을 방어하는 방법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연구
나탈리 박사의 논문은 T 림프구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T 림프구는 질병과 싸우는데 있어서, 면역체계의 효과적인 기능을 위해 중요한 세포 유형이다. 이 세포의 중요성은 바이러스가 T 세포를 죽이는 AIDS 환자에서 강조되는데, 그 환자는 치료되지 않으면, 보통은 건강한 면역계에 의해서 쉽게 극복될 수 있는 감염이나 질병으로도 사망하고 말 것이다. 베넷 박사는 이렇게 설명한다.
“T 세포의 발달은 특정한 세포의 상호작용이 일어나야하고, 특정한 유전자가 켜지거나 꺼져 있어야하는 다중 체크 포인트를 포함하는, 매우 복잡하고 단계적인 과정입니다. 그것은 자기와 비자기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지만, 오직 비자기에만 반응을 하는 T 세포의 선택을 포함합니다. 이런 식으로, 면역계는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과 같은 외래 침입자만을 공격하고, 우리 몸의 세포는 공격하지 않습니다. 선택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T 세포는 파괴되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쇠약해지거나, 심지어 치명적인 자가면역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극도로 복잡한 효소 시스템이 함께 작용해야 하는 발달 과정의 복잡성과, 개인의 건강과 생존을 위해 그것을 바르게 얻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면역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진화했을 것이라는 주장은 가능성이 없어 보입니다. 기능적인 면역계는 ‘한 요소도 제거 불가능한 복잡성(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으로 보입니다.” (즉,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구성 요소들이 모두 함께 나타나야하고, 함께 작동해야하므로, 아직 기능하지 않는 작은 단계들이 점진적으로 추가되어 면역계가 개발(진화)될 수 없다.)
가정 생활
베넷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연구는 매우 힘든 직업이며, 종종 실험실에서 오랜 시간을 지내야 하며, 밤과 주말에도 일해야 합니다. 그것은 매우 가족 친화적이지 않습니다. 아들 매튜(Matthew)가 태어났을 때, 저는 아들과 가능한 한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연구에서 물러났습니다. 과학에 대한 열정을 충족시키기 위해, 저는 가르치는 일을 하게 되었고, 관심 있는 학생들이 우리가 얼마나 훌륭하게 창조되었는지에 대해 감사하는 마음을 갖도록 도울 수 있었습니다. 저는 때때로 실험실에서 일하던 때를 그리워하지만, 그 시간을 저의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과 바꾼 것에 대해 후회하지 않습니다.”
“현재 저는 학생들에게 기본 해부학 및 생리학을 가르칩니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기원에 대한 논의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며, 진화론은 이 과목과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대부분의 제 학생들은 인체의 놀라운 복잡성에 대해 경외심을 갖고 있으며, 제가 많은 도움을 주지 않더라도, 분명한 설계를 볼 수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장기 시스템의 복잡한 기능적 통합이 어떻게 진화할 수 있었는지에 관해 질문하곤 했는데, 이것은 저에게 창조에 관해 이야기를 해주고, 그들의 질문을 격려하여, 비판적 사고와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것이 학생들이 정말로 흥미롭게 과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드는 이유일 것입니다.”
진화론이 과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저는 진화론을 가르치는 것이 과학적 방법론을 훼손시켰다고 생각합니다. 고전적인 과학적 방법론은 작동적(operational)인 것이었습니다. 즉, 자연 세계의 어떤 면을 관찰하고, 그 관찰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사용하여 예측을 하고, 실험을 통해 그러한 예측을 테스트합니다. 실험 결과는 그 가설을 지지할 수도 있고, 아니면 그 가설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그 가정이 충분히 지지를 받으면, 우리의 관찰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됩니다. 또한 이 이론은 부정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실험이나 발견이 그 이론을 반증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합니다.”
“생물학적 진화론은 과학적 방법론에 의하면 적절하지 않습니다. 진화는 우리의 시간 틀 안에서 관찰 할 수 없습니다. 진화는 과거에 있었던 역사적 사건이라고 주장되는 것입니다. 진화(미생물에서 사람으로)는 실험적 조사로 확인할 수 없으며, 실험해볼 수 없는 가정들에 의존합니다. 진화론자들은 진화론에 반대되는 수많은 증거들에도 불구하고, 수정을 거부하고, 그 가설에 들어맞도록 사실을 해석합니다. 즉, 진화론을 믿는 사람들에게는 어떠한 관측도 사실상 그 이론을 부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진화론은 제가 연구했던 면역계의 기원과 같이 자연세계에서의 많은 관찰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이론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진화론은 과학적 방법론에 의하면 우스꽝스러운 이론이지만, 학생들은 그것을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서 받아들이도록 강요받고 있습니다. 이것은 좋은 과학이 아닙니다.”[2]
과학 분야의 직업을 가지려는 젊은 기독교인들에 대한 조언
“과학 분야에서 직업을 가지려는 열정이 있다면, 그 꿈을 따르십시오. 그것은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놀라운 발견을 포함할 수 있는, 흥미롭고 도전적인 직업입니다. 제 자신의 직업에 있어서, 저는 사람 몸을 쇠약하게 하는 질병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복을 받았고, 해외로 이주하여 살아봤으며, 정말로 재미있는 사람들을 많이 만났습니다. 그것은 위대한 모험이었습니다. 과학계를 지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널리 퍼져있는 진화론적 세계관으로 인해 낙심하지 마십시오. 모든 과학 분야에서 많은 기독교인들이 훌륭한 일을 하고 있으며, 하나님과 함께라면 모든 일이 가능하다는 것을 기억하십시오!” (마태복음 19:26).
-----------------------------------------------------------
면역과 잘못된 주장

몇몇 진화론자들은 진화론을 믿을 수 있도록 선전하기 위해서, 무작위적 돌연변이가 새로운 유전정보를 생산할 수 있다는 증거로서, 생물체에서 항체가 생성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들은 면역계가 돌연변이와 같은 과정을 이용하여, 생물체가 이전에 한 번도 접해본 적이 없는 침입자를 특별하게 공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항체의 일부를 생성한다고 주장한다. 나탈리 베넷(Natalie Bennett) 박사는 이 사고가 왜 잘못되었는지 설명한다 :
“항체(antibodies)는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침입자(항원이라고도 함)에 결합할 수 있는, B 림프구에 의해 생성되는 단백질입니다. 항체는 침입자에 달라붙어 파괴시킴으로써, 질병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합니다. 이 단백질들은 3개의 분리된 계열로부터 유전자의 재조합을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으로 생산됩니다. 이 재조합 과정은 각각의 계열에서 특정한 항체를 만드는 데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유전자들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그러면 특정한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는 체세포 과돌연변이(somatic hypermutation)라 불리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것은 항체 암호화 유전자의 재배치가 항원에 대한 항체의 친화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항체가 병원체에 달라붙는 데에 보다 효과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돌연변이’는 무작위적이 아니라, 특정한 ‘핫스팟’에서 발생하며, 재조합이 발생한 후에야 발생합니다. 이것은 항체 분자의 기능적 완전성이 유지되도록 합니다. 진화는 무작위적 돌연변이에 의해 생기는 것이지만, 우리가 항체 생산에서 보는 것은 무작위적인 것이 아니라, 엄청나게 정교한 설계를 보여주는 어떤 지시에 따르는 과정입니다.”
“또한, 항체 분자는 새로운 기능을 얻지 못했습니다. 그것은 항원에 달라붙어 파괴하는 항체로 남아 있습니다. 이 과정은 새로운 유형의 효소 또는 단백질을 생산하지 못하고, 항체만을 생산하므로, ‘큰 그림’의 진화를 지지하지 못합니다.”[1]
References and notes
1. See also Bergman, J. and O’Sullivan, N., Did immune system antibody diversity evolve?J. Creation 22(2):92–96, 2008; creation.com/antibody-evolve (technical).
---------------------------------------------------------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References and notes
1. Available from CMI bookstores (creation.com/s/10-2-117).
2. Dr Bennett recently read The Scientific Approach to Evolution: What They Didn’t Teach You in Biology, by Rob Stadler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ers, 2016). She remarked, “The discussion on high vs low confidence science described the issue beautifully.” See the review by Brian Thomas, J. Creation 31(1):28–29, 2017.
*DON BATTEN, B.Sc.Agr.(Hons.), Ph.D.
Dr Batten worked as a research scientist and consultant plant physiologist and is now the Managing Director of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 in Brisbane, Australia. For more: creation.com/batten.
번역 : 이종헌
출처 : Creation magazine Vol. 40(2018), No. 1 pp. 40-43
링크 : https://creation.com/immunologist-natalie-bennett
과학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강화한다.
: 면역학자 나탈리 베넷 박사와의 인터뷰
(Science reinforces faith in God.
Don Batten interviews immunologist Dr Natalie Bennett)
Don Batten
나탈리 베넷(Natalie Bennett) 박사는 호주의 모나쉬(Monash) 대학에서 면역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앨라배마 대학에서 정해진 기간의 박사후 과정을 수행한 후, 캘리포니아의 DNA 분자와 세포생물학 연구소에서 염증성 장 질환을 연구했다. 그녀는 한동안 전업 주부로 지냈으며, 지금은 호주 대학에서 생명과학(인체해부학 및 생리학)을 가르친다. 그녀는 Creation 지와 Journal of Creation을 정기적으로 읽고 즐기고 있다.
나탈리는 기독교 가정에서 자라나는 특권을 가졌다. 그녀의 아버지는 성경을 토론하고 분석하는 것을 좋아했으며, 하나님은 뜻하신 것을 말씀하셨으며, 말씀하신 것을 뜻하셨다는 것을 확고히 믿었다. 나탈리는 이렇게 말한다.
타고난 호기심이 과학을 직업으로 인도하였다.
과학과 믿음은 충돌하는가?
나는 베넷 박사에게 과학과 그녀의 신앙 사이에 약간의 투쟁이라도 있었는지 물었다.
연구
나탈리 박사의 논문은 T 림프구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T 림프구는 질병과 싸우는데 있어서, 면역체계의 효과적인 기능을 위해 중요한 세포 유형이다. 이 세포의 중요성은 바이러스가 T 세포를 죽이는 AIDS 환자에서 강조되는데, 그 환자는 치료되지 않으면, 보통은 건강한 면역계에 의해서 쉽게 극복될 수 있는 감염이나 질병으로도 사망하고 말 것이다. 베넷 박사는 이렇게 설명한다.
가정 생활
베넷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진화론이 과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가?
과학 분야의 직업을 가지려는 젊은 기독교인들에 대한 조언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References and notes
1. Available from CMI bookstores (creation.com/s/10-2-117).
2. Dr Bennett recently read The Scientific Approach to Evolution: What They Didn’t Teach You in Biology, by Rob Stadler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ers, 2016). She remarked, “The discussion on high vs low confidence science described the issue beautifully.” See the review by Brian Thomas, J. Creation 31(1):28–29, 2017.
*DON BATTEN, B.Sc.Agr.(Hons.), Ph.D.
Dr Batten worked as a research scientist and consultant plant physiologist and is now the Managing Director of Creation Ministries International in Brisbane, Australia. For more: creation.com/batten.
번역 : 이종헌
출처 : Creation magazine Vol. 40(2018), No. 1 pp. 40-43
링크 : https://creation.com/immunologist-natalie-benne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