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탁월한 방법으로 물을 모으고 있는 사막식물 대황 : 이 식물을 모방하여 건조지역의 지면피복재를 개발한다.

탁월한 방법으로 물을 모으고 있는 사막식물 대황 

: 이 식물을 모방하여 건조지역의 지면피복재를 개발한다. 

(Desert Rhubarb—Three-Foot Oasis)

Don DeYoung 


     유대인 과학자들은 넒은 잎 위에 있는 발전된 관개 시스템(irrigation system)을 통해서, ”자체 물을 끌어대고 있는” ‘대황(rhubarb, 장군풀)’이라는 한 놀라운 식물 종을 발견했다. 엔지니어들은 이스라엘의 사막화를 개선하기 위해, 그 식물로부터 물을 모으고 보존하는 방법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배우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사막식물인 대황은 이스라엘의 건조한 네게브(Negev) 지역과 맞지 않게 낯설어 보인다. 그것의 넓은 녹색의 잎은 주변의 노출된 바위 및 선인장과 뚜렷한 대조를 보인다. 대황의 잎은 사방 1m 이상으로 자라며, 깊은 주름이 있어, 주위의 산등성이 및 계곡과 다소 흡사하게 보인다.

.이러한 주름이 있는 패턴(furrowed pattern)은 실제로 이 식물의 생존에 중요한 열쇠인데, 물이 소중한 인근의 정착촌 사람들에게 가르침을 줄 수 있다.


연간 강수량이 250mm 이하인 곳은 일반적으로 사막으로 정의된다. 연간 강수량이 75mm에 불과한 네게브 사막 지역은 지구상에서 가장 건조한 곳 중 하나이다. 그렇다면 이 커다란 사막식물인 대황은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 것일까?

이 식물은 물이 제한된 곳에서, 물을 수확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었다. 저녁에 습기나 가끔 비가 잎에 떨어지면, 작은 물의 흐름이 잎의 골(valleys)을 따라 하향으로 흘러 내려가며, 그곳에서 중앙의 뿌리와 만나게 된다. 왁스로 코팅된 잎은 물이 물방울이 되어 쉽게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하는데, 이것은 주변 언덕에서 협곡 쪽으로 배수되도록 만들어놓은, 일종의 소형 관개 시스템과 같은 것이다.

이 식물이 어떻게 그렇게 잘 자라는지를 궁금해 하던 연구원들은, 강우(rain)를 시뮬레이션 하여 자체 급수 능력을 시험해보기로 결정했다. 놀랍게도 그 식물은 예상보다 적어도 16배 이상의 물을 모으고 있었다. 물의 연간 공급량을 1200mm (75×16)로 늘림으로써, 대황은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푸르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었던 것이다.[1]

이 발견 이전에, 한 이스라엘 회사의 엔지니어들은 건조한 지역에서 물을 모으고 보존하기 위해 유사한 시스템을 이미 실험하고 있었지만, 그들의 설계는 훨씬 효율적이지 못했다 (물의 사용량을 기껏해야 50% 줄였을 뿐이다).

그들은 거꾸로 된 피라미드와 비슷한, 표면 홈이 있는, 얕은 플라스틱 깔대기(funnel)를 설계한 다음, 자라는 식물 위에 깔때기를 놓았다. 비 또는 이슬이 식물의 중심부로 흘러들어 가서, 땅으로 떨어지도록 했다. 이 물 수집기(water collectors)는 Tal-Ya, 히브리어로 ”하나님의 이슬(God’s dew)”이라고 불린다.[2]

미래에 엔지니어들은 사막식물인 대황의 설계를 모방하여, 더 우수한 지면피복 직물(ground cover fabrics)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명한 소재”는 매일 저녁 이슬로부터 소중한 물을 공급해줄 수 있는, 사막 기후의 농장을 위한 표준 지면피복재가 될 수 있다.

식물은 창조주간의 3일째 처음 나타났다(창세기 1:9-13). 이 원래의 식물 내에, 하나님은 놀라운 다양성으로 설계를 하셔서, 식물들이 전 세계로 쉽게 퍼지고, 동물과 인간에게 풍성한 음식, 의약품, 아름다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셨다.

사막식물 대황(rhubarb)의 예에서 보듯이, 우리는 건조한 지역에서도 농업을 하며 살아가는 데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방법을 배울 수 있다. 모든 나무와 식물, 심지어 사막의 대황 조차도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침묵의 증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 스스로 물 주는 식물 발견 (2009. 5. 15. 디지털타임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51502019922601041


*참조 : 생체모방공학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487906&t=board


번역 - 문흥규

링크 - https://answersingenesis.org/biology/plants/three-foot-oasis/ 

출처 - AiG, 2014. 10. 26.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