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기독교

배아 줄기세포 연구, 병든 사람을 위한 기쁜 소식인가?

미디어위원회
2005-06-27

배아 줄기세포 연구, 병든 사람을 위한 기쁜 소식인가?

이은일 


      인간복제, 배아복제실험, 줄기세포 등 어려운 과학용어들이 일반사람들도 많이 사용할 정도로 유명해졌다. 최근 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다고 자랑하고 있고, 이 연구에 대하여 윤리적 문제가 있다는 지적에 대하여는 국민들의 감정이 좋지 않은 것 같다. 기독교인들도 기독교윤리위원회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국가적 연구에 발목 잡기를 하지 말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런 상황은 기독교인들이 줄기세포 연구 자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 같다.

줄기세포에는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배아 줄기세포 연구’인데 사람들은 이 두 가지를 구분 못하는 경우가 많다. 줄기세포라는 것은 다른 세포들을 계속 만들어 낼 수 있는 “세포 공장”같은 세포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세포가 많이 손상된 환자들에게 줄기세포를 주어서 새로운 세포들이 생기게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성체 줄기세포’라는 것은 우리 몸의 골수를 비롯하여 피부 등 각 조직에 있는데,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가 주사기로 뽑아내기 가장 쉽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심장세포, 뼈 등의 손상된 부위에서 세포가 자라도록 해서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동물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끝내고 직접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는 자기 몸에 있는 줄기세포를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윤리적인 문제가 없고, 거부반응도 일어나지 않는다.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 과학자들도 세계 과학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열심히 연구 성과를 내고 있는 중이다.

‘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환자를 치료하는 연구와 달리 ‘배아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구는 윤리적인 문제가 있다고 비난을 받고 있다. ‘배아’라는 것은 인간의 모습을 갖추기 전 단계의 인간 생명의 진행과정에서의 한 모습이다.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누구나 수정란이 분열하여 배아가 되고, 계속 성장하여 태아가 되고, 아기로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연속적인 과정으로 어디까지는 실험할 수 있고 어디부터는 인간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이다. “배아 줄기세포” 실험을 위해서는 배아에 있는 줄기세포를 꺼내야하기 때문에 배아는 죽고만다. 사람이 될 수 있는 배아를 죽이는 것이기 때문에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인간 배아를 죽이면서 연구를 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인간이 될 수 있는 배아를 연구목적으로 죽이는 것을 허용한 것도 참 안타까운 일이지만, 기독교인으로서 더 마음이 아픈 것은 많은 사람들이, 심지어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환자들을 위해서, 국가 경쟁력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배아를 죽이고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것을 적극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처럼 인간 생명의 존엄성이 무시되고 있는 나라도 참 드물다. 이미 완전한 사람을 모습을 갖춘 태아들도 낙태 수술을 통해 쉽게 죽일 수 있는 것이 우리나라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낙태수술을 하기 때문에 큰 죄의식도 없는 것 같다. 태아들도 쉽게 죽이는 나라에서 배아들을 죽이면서 실험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것이 설득력이 없어 보이는 것이다. 인간 생명은 태어난 후부터 존엄한 것이 아니라, 태어나기 전부터 존엄한 것이다. 인간 생명을 희생하는 낙태나 배아 줄기세포 실험이 우리나라에서 속히 중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독교계가 앞장서서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무엇보다 그동안의 생명을 죽인 행위에 대하여 교회적인 회개가 있어야 할 것이다.

많은 유럽 국가들과 미국 등이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윤리적인 문제 때문에 금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영국과 같은 나라들은 국가경쟁력을 발전시키기 위해 가장 먼저 법적으로 허용하였지만, 국민들이 이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지는 않는 것 같다.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이런 연구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은 선진 외국에서 볼 때는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일 것이다. 또한 이런 연구의 윤리적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국가 발전을 가로막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도 너무나 좁은 시각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이미 세계적으로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문제를 우리나라에서 제기되지 않고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비웃음을 살 수 밖에 없는 나라가 될 것이다.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배아줄기세포 연구보다는 성체 줄기세포연구를 국가적으로 더 지원해야하는데 성체 줄기세포 연구는 별로 각광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와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지 않은 “성체 줄기세포 연구”는 어떤 것이 더 좋을까? 여러 가지 면에서 성체 줄기세포가 좋다. 성체 줄기세포는 사람 몸에서 주사기로 바로 뽑으면 되기 때문에 배아 줄기세포를 얻는 것보다 훨씬 쉽다. 배아 줄기세포는 여성의 난자를 제공받아야 하거나 사람의 수정란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이 단계부터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고 또한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수정란이 발생과정에 들어가도록 해야 하고, 이중에서 일부만이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기 때문에 대단히 복잡하고 돈이 많이 드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일부 성체 줄기세포 연구는 이미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 들어간 단계이어서 실용화가 빨리 될 가능성이 높고, 배아 줄기세포는 아직도 동물실험 단계이기 때문에 사람에게 적용하여 실용화되기까지는 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그렇다면 왜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계속 하는 것일까? 그것은 성체 줄기세포에 비해 배아 줄기세포는 다른 세포로 될 수 있는 능력이 훨씬 좋기 때문이다. 성체 줄기세포는 원래 자신이 갈 길이 정해져 있는 세포들이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제한되어 있지만, 배아 줄기세포는 모든 세포로 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가 제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런 장점은 동시에 단점이 되기도 한다. 성체 줄기세포의 경우는 자신이 갈 길로 가기 때문에 암세포로 되는 경우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지만, 배아 줄기세포의 경우는 억지로 어떤 세포가 되도록 하다 보면, 암세포가 만들어지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배아 줄기세포 연구보다 성체 줄기세포 연구를 발전시키는 것이 윤리적으로도 문제가 없고, 값싸게 적용할 수 있고, 과학적으로도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처음 줄기세포 연구가 시작되었을 때 과학자들은 성체줄기세포보다 배아줄기세포에 더 많은 기대를 걸었었다. 왜냐하면 배아 줄기세포가 다른 세포로 전환될 능력이 훨씬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성체 줄기세포 연구가 배아 줄기세포 연구보다 더 각광을 받을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 우리나라 정부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와 성체 줄기세포 연구 모두를 지원하고 있지만, 배아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지원을 더 중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한 국가가 연구를 지원함에 있어 쉽게 빠른 길을 선택하는 것보다, 어렵지만 정당한 길을 선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인간 생명의 존엄성은 과학기술의 발전보다 더 높은 가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하고, 과학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의 이유가 바로 한 명 한 명의 인간이 너무나 귀하기 때문인데,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파괴하는 배아 줄기세포 연구를 정당화하는 것은 인간 스스로의 존엄성을 깨뜨리는 것이다. 국가도 그렇고 개인도 그렇고 어떤 길을 선택할 때 무엇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두느냐가 미래의 모습을 결정할 것이다. 인간 존엄성을 지키면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좁은 문”을 선택 할 때 하나님께서 기뻐하시고 그런 선택을 한 나라와 민족과 개인을 축복하실 것이라고 믿는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