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대홍수에서 빠르게 성장한 우이드

미디어위원회
2024-03-06

대홍수에서 빠르게 성장한 우이드

(Ooids grew rapidly in the Flood)

Michael J. Oard


요약 :


    우이드(ooids)는 직경이 1~2mm 미만인 작은 구형에 가까운 층상 알갱이로, 보통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으로 이루어져 있다. 피조이드(pisoids) 또는 자이언트 우이드(giant ooids)는 우이드와 비슷하지만 2mm보다 크며, 종종 훨씬 더 큰 경우도 있다. 우이드는 오늘날 바하마나 페르시아만에서 발견되는 얕고 따뜻한 연안 지역(얕은 해양 환경)에서 형성된다. 퇴적된 후에, 우이드는 서로 응고되어, 어란석(oolite)이라는 퇴적암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글은 오늘날과 고대의 우이드(작은 구형의 탄산염 입자) 형성에 대해 다루고 있다. 우이드는 핵 주위에 일련의 동심원 껍질처럼 형성된다. 핵은 조개껍질 조각, 석영 알갱이, 또는 다른 작은 조각일 수 있다. 피질(cortex)이라 불리는 동심원 껍질들은 추가되고, 마모에 의해 둥글어진다. 길쭉한 탄산칼슘 결정은 방사형, 접선형, 또는 무작위로 배열될 수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우이드는 방해석의 다형체인 아라고나이트(aragonite)로 만들어진다. 우이드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마모 띠가 증가한다.

그림 1. 바하마 졸터 케이스(Joulter Cays) 섬 해변가의 우이드.


현대의 우이드는 주로 칼슘이 풍부한 환경에서 부유되는 동안 물기둥(water column, 수주)에서 형성되며, 입자간 그리고 입자와 바닥 사이의 마모 작용으로 인해, 둥글게 되고 얇은 어두운 마모 표면이 형성된다. 반면, 고대 우이드는 주로 방해석(calcit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생대(Proterozoic)에는 특히 크기가 커져 직경이 1cm에 달할 수 있다. 고대 우이드는 주로 방사상 결정 배열을 가지며, 현대 우이드보다 크기가 더 크고 구조적으로 다르다.

우이드의 기원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며, 고대와 현대 환경에서 우이드가 형성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고대 우이드가 칼슘 탄산염이나 이산화탄소의 고농도 환경에서 침전되었을 것이라고 제안하며, 이는 현대 우이드가 칼슘이 풍부한 환경에서 부유되는 동안 물기둥에서 형성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또한, 해저 사구 모델을 통해 우이드가 해저 사구(underwater dunes) 내외로 순환하면서 성장하고 마모되는 과정을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또 다른 모델은 우이드가 칼슘 과포화 수층에서 완전히 현탁된 상태로 성장한다는 전통적인 설명을 지지한다. 이 모델은 우이드가 더 긴 현탁 시간과 더 큰 칼슘 과포화로 인해 성장한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동일과정설 가정 하에서는 충분한 교반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성경적 대홍수 조건이 우이드 성장에 더 적합한 메커니즘을 제공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대홍수 동안의 높은 칼슘 과포화와 더 큰 난류는 우이드가 더 오랜 시간 동안 현탁 상태를 유지하고, 더 적은 마모를 경험하면서, 더 크게 성장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조건은 특히 원생대(Proterozoic) 우이드의 커다란 크기를 설명할 수 있다.

그림 2. 미국 유타주 남부의 카멜 지층(Carmel Formation)에서 나온 방해석 우이드(calcitic ooids)의 얇은 단면.


목차 :

우이드는 오날 어떻게 형성되는가?

오늘날의 우이드와 다른 고대의 우이드

일부 사람들은 우이드가 퇴적물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모래 언덕 순환 가설의 문제점

고전 모델

홍수는 더 나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원문 바로가기 : https://creation.com/ooids


Related Articles

Precambrian impacts and the Genesis Flood

Geochemical and related evidence for early Noah’s Flood year

David Attenborough: Charles Darwin and the Tree of Life

Manganese nodules and the age of the ocean floor


Further Reading

Geology Questions and Answers


*참조 : ▶ 광물들과 대홍수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36&t=board

▶ 석회암과 석회동굴

https://creation.kr/Topic2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67637&t=board

▶ 석탄

https://creation.kr/Topic2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72307&t=board

▶ 석유, 셰일오일, 천연가스

https://creation.kr/Topic2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72250&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6(1):9-10, Aprill 2022 

요약 및 교정 : ChatGPT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