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의 대찬정분지
(The Great Artesian Basin, Australia)
by Tas Walker, Ph.D.
이제 성서적 지질학 모델이 개발됨에 따라, 우리는 현장에서 지층암석들을 구분하는 데에 하나의 위치를 가지게 되었다. 지구상의 모든 지층 암석들의 형성은 성서적 모델 안에서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왜냐하면 그 모델은 최초의 창조에서부터 현재의 시점까지 행성의 전 지질학적 역사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층의 구분(classification)은 성서적 모델과 지질 구조의 관련 기준에 기초한, 제거 과정을 사용함으로서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격리되어 있는 한 지역의 특성 보다 오히려 넓은 지역의 특성들을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호주의 대찬정 분지의 암석들은 성서적 지질 구조틀 안에서 쉽게 구분되고 있다. 당신은 성서적 지질학 모델, 그것의 구분 기준, 그리고 아래에서 토의될 여러 단계별 특성들과 친숙해질 필요가 있다.
크기 (Scale)

.Areal extent of the Great Artesian Basin, comprising the following sub-basins: (1) Eromanga Basin; (2) Surat Basin; (3) Moreton Basin; (4) Clarence Basin; (5) Carpentaria Basin (6) Laura Basin. Section along line A–A’ is shown in Figure 4.
우리는 첫째 대찬정 분지의 물리적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그것은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엄청난 크기이다. 주변의 몇몇 연합된 분지들과 함께, 그것은 호주 대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말로 그러한 종류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찬정 분지이다.
위로 불침투성의 셰일층에 의해서 덮여진 채로 공극성 사암 대수층(porous sandstone aquifers)에 들어있는 찬정 물(artesian water, 피압지하수)은 압력 하에 놓여져 있다. 드릴로 셰일층에 구멍을 뚫었을 때, 뜨거운 찬정 물은 지표면으로 엄청난 양이 쏟아져 나온다. 물을 함유하고 있는 사암층은 노출되어 있는 호주 동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분지를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깊은 부분에서 사암층은 지표면 아래로 2,000m 이상이나 된다. 대찬정 분지를 구성하는 층서학적 단위는 서로 서로 정합적 관계로 놓여져 있다. 그러나 전체 지층 순서(sequence)는 위 아래가 부정합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분지의 거대한 크기는 퇴적물들이 퇴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시기를 좁혀주고 있다. 창조 사건 시에 거대한 스케일의 지각변동이 예상될 수 있는 시기가 있었다. 특별히 창조 3일째에 바다로부터 대륙이 드러나는 단계 동안이 그러하다. 전 지구가 물들로 덮였던 홍수의 범람기(Inundatory stage) 또한 대찬정 분지가 퇴적되었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시기일 수 있다. 그리고 홍수의 초기 후퇴기(early Recessive stage, Abative phase) 동안에도 대륙 크기의 지층 구조들의 형성이 또한 예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퇴적은 종이장처럼 퇴적층이 쌓여진 육지에서 물들이 빠져나가는 대륙의 가장자리에서나 기대될 것이다.
대찬정 분지와 같은 거대한 크기의 구조는 홍수의 소멸기(Dispersive phase) 동안에는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감소된 물의 양은 국소적이며 지역적 스케일로 물의 경로에 따라 퇴적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대찬정 분지와 같은 거대한 크기의 퇴적은 노아 홍수 이전이나 노아 홍수 이후의 시기에 퇴적되었을 것이라고는 기대되지 않는다. 오늘날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난 지질학적 과정들은 너무도 미미해 보이기 때문이다.

화석들 (Fossils)
화석들의 존재는 암석들이 성서적 모델과 더욱 적합하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광대한 석탄 퇴적물들은 잎, 나무, 화분, 포자, 작은 홀씨 등 거대한 양의 식물 물질들을 증거하고 있다. 확인된 종들은 우산이끼류(liverworts), 석송류(lycopods), 속새류(horsetails), 양치류(ferns), 소철류(cycads)와 침엽수(conifers)들을 포함한다. 많은 다른 화석들이 보고되었는데, 유공충(foraminifers), 염색식물(dinoflagellates), acritarchs, 이끼벌레(bryozoa), 완족류(brachiopods), 바다 및 민물 쌍각조개들(bivalves), 복족동물(gastropod, 달팽이 등), scaphopods, 암모나이트(ammonites), 벨렘나이트(belemnites), 갑각류(crustacea), 불가사리(starfish), 물고기(fish), 상어 이빨(shark teeth), 거북(turtles), 레이비린토돈트(labyrinthodont, 양서류 일종)의 턱 조각 등을 포함하고 있다.
화석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명체가 창조되지 않았던 창조 주간의 시기(창조 3일째)는 배제될 수 있다. (단지 미세한 바다 플랑크톤과 같은 유기체들은 생명 단계에서 예상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종류의 생명체들은 실제 존재하지 않았다). 남게 되는 것은 홍수의 범람기와 후퇴기 이다.
발자국들 (Footprints)
화석 발자국들은 대찬정분지의 생성 시점에 대해서 중요하고 강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일련의 공룡발자국들이 (몇은 50cm 이상) 브리즈번(Brisbane) 서부의 왈룬(Walloon) 석탄 매장지에 있는 다수의 석탄 광산 지층면에서 발견되어 왔다. 발자국들은 탄층 윗부분의 땅 속에 위치하였고, 셰일(shale)로 채워져 있었는데, 탄층이 광산에서 채굴되면서 나타났다. 대부분 세 발가락을 가진 이족보행 공룡들이었고, 자주 발톱 흔적도 포함되어 있었다. 작고 폭이 넓은 네 발가락의 발자국 하나가 또한 보고되었다.
잘 보존된 공룡발자국들이 중부 퀸즈랜드의 윈톤(Winton) 남서쪽 120km 지점의 Lark Quarry에 있는 윈톤 층(Winton Formation)의 지층 윗부분에서 또한 보고되었다. 1976년의 발굴에서 많은 자원봉사자들은 수천의 발자국들을 찾아내었는데, 이들 중 100개 이상이 이족보행의 공룡발자국들이었고, 다수가 분명히 닭보다도 크지 않았다.
살아 있는 동물 발자국들의 존재는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홍수의 후퇴기를 배제시키기 때문이다. 홍수가 절정에 도달한 후, ”육지에 있어 코로 생물의 기식을 호흡하는 것은 다 죽었더라 (창7:22)” 라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 죽은 동물은 발자국을 만들지 못한다. 그러므로 대찬정 분지는 홍수의 범람기 동안에 퇴적되었음이 틀림없다.

.Part of a plan of dinosaur footprints at Lark Quarry, near Winton, central Queensland. (A) Large tracks attributed to a carnosaur—a large representative of the Theropoda. (B) Tracks attributed to an ornithopod. (C) Tracks attributed to a coelurosaur—a small representative of the Theropoda.
교란(Disturbance)
대찬정 분지를 구성하고 있는 퇴적물들은 단지 최소한의 교란을 나타내고 있고, 부드러운 침하(dips)에 의해 특성된다. 유달리 가파른 침하들은 나중에 관입암들의 위치에 의해서 원인된 붕괴(disruption), 또는 퇴적후 구단층면을 따라 발생한 정상적인 단층들에 의한 것들과 관련이 있다. 변형되지 않고 거의 수평적으로 놓여있다는 것은, 대부분의 지층 구조를 가로지르는 분명한 지층들을 쉽게 대비해 볼 수 있게 한다. 최소한의 교란은 깊음의 샘들이 터진 초기 단계의 절정기가 지나간 후 지각 운동이 감소되었던 시기인 홍수 말기의 퇴적을 선호하게 한다. 최소한의 교란은 홍수의 분출기를 배제하게 한다. 상승기 동안의 퇴적은 가능할 수도 있으나, 그럴 것 같지가 않다. 후퇴기는 화석 발자국들의 존재로 배제되기 때문에, 분지가 퇴적되었을 수 있는 가장 가능성 있는 시기는 홍수 절정기(Zenithic phase) 가 되는 것이다.
침식 (Erosion)
퇴적물들이 홍수의 절정기 동안에 퇴적되었다는 것에 대해, 퇴적후 침식(post-depositional erosion)이 상대적인 시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대찬정 분지의 매우 광대한 지역에 걸쳐서 일어나있는 퇴적에 뒤따른 현저한 침식은, 많은 지역에서 보고되었던 특성이다. 퇴적암석들이 퇴적된 후에 바다가 물러났고, 육지표면은 광범위하게 경사져서, 깊게 파여졌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침식의 영향은 대찬정 분지에 대한 다음의 단면도에서 설명된다. 분지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의 동쪽으로 지층들은 밀려 올라가 있다. 층서학은 현재의 육지 표면을 형성하도록 침식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왜냐하면 그림에서 지층이 잘려진 곳에서의 각도는 수직적으로 매우 과장되었기 때문에 왜곡되어 보인다. 실제, 육지 표면의 교차 각도는 매우 작다). 퇴적물질들은 전체 지형을 가로질러 거대한 면상으로 제거되었다. 분지의 서쪽과 중앙 부분에서, 가장 윗 지층인 윈톤층(Winton Formation)은 넓은 면상 침식(sheet erosion)의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제거된 퇴적물질의 양은 알려져 있지 않다. 브리즈번(Brisbane) 지역에서 동쪽으로, 침식은 퇴적물을 1,000 m 이상을 제거함으로서 지층 구조의 아래 부분을 노출시켰다. 여기에서 침식은 지역에 국한되어 있지만, 깊게 확장되어 있다.
그러한 대찬정 분지의 경사는 물러가는 홍수 물에 의한 퇴적물의 침식과 일치한다. 처음 홍수의 후퇴기(Abative phase) 동안, 침식은 넓고, 평탄한 면상으로 발생했을 것이며, 이것은 단면도에서 서부와 중앙부에 나타나 있다. 후에, 점차 물의 양이 감소된 홍수의 소멸기(Dispersive phase) 동안에, 침식은 잘 확립된 수로들에서만 한정되어 일어났다. 그러한 수로 하나가 단면도의 동쪽 부분인 투움바(Toowoomba)와 브리즈번(Brisbane) 사이에서 보여진다. 그곳에서 브리즈번 강(Brisbane River)은 오늘날 넓고 깊은 계곡을 따라 흐르고 있다. 홍수의 소멸기 동안에 땅을 판 그러한 물의 흐름들은 배수 망으로 계곡들을 형성했고, 오늘날까지 존재하고 있다.
그 지층 구조는 그렇게 침식되었기 때문에, 홍수의 초기 후퇴기나 소멸기 동안에 퇴적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들 단계들 동안에 퇴적된 침전물들은 후퇴되는 홍수 물에 의한 광범위한 침식에 노출되지 않았다. 침식은 또한 절정기의 정상 부분이 보존되지 않았으며, 적어도 침식된 그들 침전물들에서는 아니었음을 가리키고 있다. 퇴적은 아마도 상승기 동안에 또는 초기 절정기 동안에 발생하였을 것이다. 관찰되는 침식 특성들은 홍수의 분출기 동안의 퇴적과 일치하지 않는다.

평탄한 상층부 지형 (Flat Topped Landforms)
홍수의 후퇴 단계와 관련이 있는 침식 패턴의 또 하나의 결과는, 같은 층위의 지층들이 수평적으로 남아있는 고원(plateaus), 메사(mesas), 뷰트(buttes)와 같은 평탄한 상층부 구조의 지층이다.
거의 완벽하게 수평적이거나 준수평적인 지층을 가진 평탄한 지형들은 가장 두꺼운 지층 순서를 가지고 있는 수랏 분지(Surat Basin) 지역의 대찬정 분지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잔존지형들이 주요한 수계(river systems)들 사이에서 높게 나뉘어 있는 것은 중요하다. 평탄한 상층부 덮개가 심한 풍화작용에 의해 벗겨져 나간 지역에서, 오르내리는 기복을 가진 지형은 발달되었다.
수라트 분지(Surat Basin) 지역에서의 평탄한 상층부 지형의 존재는, 이 표면들이 홍수의 절정기에서 가장 꼭대기였음을 나타내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대찬정 분지의 어디서나 지층 순서의 최상층 퇴적물들은 후퇴되는 홍수 물에 의해 침식되어서 이전 퇴적 지층을 드러내고 있으며, 물결치는 듯한 완만한 기복을 가진 지형을 형성하였다.
요약 (Summary)
대찬정 분지가 대륙적인 크기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그것의 형성 시기를 창조 사건, 또는 홍수 사건으로 제한시키고 있다. 그러나 창조 사건은 화석화된 식물들과 동물들의 존재로 인해 배제된다. 홍수 사건의 후퇴기는 대찬정 분지를 형성하고 있는 지층들에서 공룡발자국들이 여러 군데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배제된다. 이제 이것은 범람기 중에서 세 가지, 즉 분출기, 상승기, 절정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남겨놓고 있다.
지층 구조에는 관측상 최소한의 교란만 일어나 있기 때문에, 퇴적은 범람기 말에 지각운동이 감소되었던 시기에 일어났음이 틀림없다. 이것은 상승기, 또는 절정기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지층 구조의 표면에 걸쳐있는 퇴적후 침식의 존재는 유사하게 범람기 말의 퇴적을 가리킨다. 침식 후에 남아있는 지층 구조의 그러한 부분들은 절정기의 최정상에서 퇴적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수랏 분지 지역에서, 두터운 지층 순서들을 가지고 있는 고원, 메사, 뷰트와 같은 평탄한 상층부 지형의 존재는 평탄한 상층부 육지 표면이 절정기의 가장 꼭대기였음을 나타내고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대찬정 분지의 지층 순서에서 최상층의 지층은 홍수의 절정기에서의 꼭대기와 일치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나머지 구조들은 절정기의 초기에 퇴적되었을 것이다.
논평 (Comments)
나는 당신이 호주의 대찬정 분지가 성서적 지질 모델로 비교적 쉽게 구분될 수 있다는 데에 동의한다. 이 모델은 여러 가지 분류 기준들을 조화롭게 반영하는 적합성이 우수한 매우 뛰어난 그리고 우리를 고무시키는 모델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대찬정 분지가 홍수의 범람기와 적합하다는 데에 놀랐다. 나는 호주의 지층 구조들의 주요한 부분들은 홍수의 절정 후인 후퇴기 동안에 퇴적되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러나 대찬정 분지가 범람기의 절정과 적합하다는 발견은 호주 대륙의 지질층의 대부분이 홍수가 절정에 도달하기 이전에 퇴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 지질주상도에서 대찬정 분지는 초기 쥐라기에서 백악기 말기까지로 구분된다. 그 모델은 백악기 말에 공룡들이 멸종했다는 간단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홍수가 절정에 도달하여 전 지구를 덮었을 때, 표준 지질주상도는 파괴되었던 것이다.
* 참조 : The Great Artesian Basin, Australia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0_3/j10_3_379-390.pdf
Sediment transport and the Genesis Flood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0_3/j10_3_358-372.pdf
The basement rocks of the Brisbane Area, Australia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0_2/j10_2_241-257.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creation.com/great-artesian-basin
출처 - Journal of Creation 10(3):379–390, December 1996.
호주의 대찬정분지
(The Great Artesian Basin, Australia)
by Tas Walker, Ph.D.
이제 성서적 지질학 모델이 개발됨에 따라, 우리는 현장에서 지층암석들을 구분하는 데에 하나의 위치를 가지게 되었다. 지구상의 모든 지층 암석들의 형성은 성서적 모델 안에서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 왜냐하면 그 모델은 최초의 창조에서부터 현재의 시점까지 행성의 전 지질학적 역사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층의 구분(classification)은 성서적 모델과 지질 구조의 관련 기준에 기초한, 제거 과정을 사용함으로서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격리되어 있는 한 지역의 특성 보다 오히려 넓은 지역의 특성들을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호주의 대찬정 분지의 암석들은 성서적 지질 구조틀 안에서 쉽게 구분되고 있다. 당신은 성서적 지질학 모델, 그것의 구분 기준, 그리고 아래에서 토의될 여러 단계별 특성들과 친숙해질 필요가 있다.
크기 (Scale)
.Areal extent of the Great Artesian Basin, comprising the following sub-basins: (1) Eromanga Basin; (2) Surat Basin; (3) Moreton Basin; (4) Clarence Basin; (5) Carpentaria Basin (6) Laura Basin. Section along line A–A’ is shown in Figure 4.
우리는 첫째 대찬정 분지의 물리적 크기를 고려해야 한다. 그것은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엄청난 크기이다. 주변의 몇몇 연합된 분지들과 함께, 그것은 호주 대륙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말로 그러한 종류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찬정 분지이다.
위로 불침투성의 셰일층에 의해서 덮여진 채로 공극성 사암 대수층(porous sandstone aquifers)에 들어있는 찬정 물(artesian water, 피압지하수)은 압력 하에 놓여져 있다. 드릴로 셰일층에 구멍을 뚫었을 때, 뜨거운 찬정 물은 지표면으로 엄청난 양이 쏟아져 나온다. 물을 함유하고 있는 사암층은 노출되어 있는 호주 동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분지를 가로질러 이어져 있다. 깊은 부분에서 사암층은 지표면 아래로 2,000m 이상이나 된다. 대찬정 분지를 구성하는 층서학적 단위는 서로 서로 정합적 관계로 놓여져 있다. 그러나 전체 지층 순서(sequence)는 위 아래가 부정합으로 경계를 이루고 있다.
분지의 거대한 크기는 퇴적물들이 퇴적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시기를 좁혀주고 있다. 창조 사건 시에 거대한 스케일의 지각변동이 예상될 수 있는 시기가 있었다. 특별히 창조 3일째에 바다로부터 대륙이 드러나는 단계 동안이 그러하다. 전 지구가 물들로 덮였던 홍수의 범람기(Inundatory stage) 또한 대찬정 분지가 퇴적되었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시기일 수 있다. 그리고 홍수의 초기 후퇴기(early Recessive stage, Abative phase) 동안에도 대륙 크기의 지층 구조들의 형성이 또한 예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퇴적은 종이장처럼 퇴적층이 쌓여진 육지에서 물들이 빠져나가는 대륙의 가장자리에서나 기대될 것이다.
대찬정 분지와 같은 거대한 크기의 구조는 홍수의 소멸기(Dispersive phase) 동안에는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감소된 물의 양은 국소적이며 지역적 스케일로 물의 경로에 따라 퇴적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대찬정 분지와 같은 거대한 크기의 퇴적은 노아 홍수 이전이나 노아 홍수 이후의 시기에 퇴적되었을 것이라고는 기대되지 않는다. 오늘날 짧은 기간 동안 일어난 지질학적 과정들은 너무도 미미해 보이기 때문이다.
화석들 (Fossils)
화석들의 존재는 암석들이 성서적 모델과 더욱 적합하다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광대한 석탄 퇴적물들은 잎, 나무, 화분, 포자, 작은 홀씨 등 거대한 양의 식물 물질들을 증거하고 있다. 확인된 종들은 우산이끼류(liverworts), 석송류(lycopods), 속새류(horsetails), 양치류(ferns), 소철류(cycads)와 침엽수(conifers)들을 포함한다. 많은 다른 화석들이 보고되었는데, 유공충(foraminifers), 염색식물(dinoflagellates), acritarchs, 이끼벌레(bryozoa), 완족류(brachiopods), 바다 및 민물 쌍각조개들(bivalves), 복족동물(gastropod, 달팽이 등), scaphopods, 암모나이트(ammonites), 벨렘나이트(belemnites), 갑각류(crustacea), 불가사리(starfish), 물고기(fish), 상어 이빨(shark teeth), 거북(turtles), 레이비린토돈트(labyrinthodont, 양서류 일종)의 턱 조각 등을 포함하고 있다.
화석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명체가 창조되지 않았던 창조 주간의 시기(창조 3일째)는 배제될 수 있다. (단지 미세한 바다 플랑크톤과 같은 유기체들은 생명 단계에서 예상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종류의 생명체들은 실제 존재하지 않았다). 남게 되는 것은 홍수의 범람기와 후퇴기 이다.
발자국들 (Footprints)
화석 발자국들은 대찬정분지의 생성 시점에 대해서 중요하고 강한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일련의 공룡발자국들이 (몇은 50cm 이상) 브리즈번(Brisbane) 서부의 왈룬(Walloon) 석탄 매장지에 있는 다수의 석탄 광산 지층면에서 발견되어 왔다. 발자국들은 탄층 윗부분의 땅 속에 위치하였고, 셰일(shale)로 채워져 있었는데, 탄층이 광산에서 채굴되면서 나타났다. 대부분 세 발가락을 가진 이족보행 공룡들이었고, 자주 발톱 흔적도 포함되어 있었다. 작고 폭이 넓은 네 발가락의 발자국 하나가 또한 보고되었다.
잘 보존된 공룡발자국들이 중부 퀸즈랜드의 윈톤(Winton) 남서쪽 120km 지점의 Lark Quarry에 있는 윈톤 층(Winton Formation)의 지층 윗부분에서 또한 보고되었다. 1976년의 발굴에서 많은 자원봉사자들은 수천의 발자국들을 찾아내었는데, 이들 중 100개 이상이 이족보행의 공룡발자국들이었고, 다수가 분명히 닭보다도 크지 않았다.
살아 있는 동물 발자국들의 존재는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홍수의 후퇴기를 배제시키기 때문이다. 홍수가 절정에 도달한 후, ”육지에 있어 코로 생물의 기식을 호흡하는 것은 다 죽었더라 (창7:22)” 라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 죽은 동물은 발자국을 만들지 못한다. 그러므로 대찬정 분지는 홍수의 범람기 동안에 퇴적되었음이 틀림없다.
.Part of a plan of dinosaur footprints at Lark Quarry, near Winton, central Queensland. (A) Large tracks attributed to a carnosaur—a large representative of the Theropoda. (B) Tracks attributed to an ornithopod. (C) Tracks attributed to a coelurosaur—a small representative of the Theropoda.
교란(Disturbance)
대찬정 분지를 구성하고 있는 퇴적물들은 단지 최소한의 교란을 나타내고 있고, 부드러운 침하(dips)에 의해 특성된다. 유달리 가파른 침하들은 나중에 관입암들의 위치에 의해서 원인된 붕괴(disruption), 또는 퇴적후 구단층면을 따라 발생한 정상적인 단층들에 의한 것들과 관련이 있다. 변형되지 않고 거의 수평적으로 놓여있다는 것은, 대부분의 지층 구조를 가로지르는 분명한 지층들을 쉽게 대비해 볼 수 있게 한다. 최소한의 교란은 깊음의 샘들이 터진 초기 단계의 절정기가 지나간 후 지각 운동이 감소되었던 시기인 홍수 말기의 퇴적을 선호하게 한다. 최소한의 교란은 홍수의 분출기를 배제하게 한다. 상승기 동안의 퇴적은 가능할 수도 있으나, 그럴 것 같지가 않다. 후퇴기는 화석 발자국들의 존재로 배제되기 때문에, 분지가 퇴적되었을 수 있는 가장 가능성 있는 시기는 홍수 절정기(Zenithic phase) 가 되는 것이다.
침식 (Erosion)
퇴적물들이 홍수의 절정기 동안에 퇴적되었다는 것에 대해, 퇴적후 침식(post-depositional erosion)이 상대적인 시기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대찬정 분지의 매우 광대한 지역에 걸쳐서 일어나있는 퇴적에 뒤따른 현저한 침식은, 많은 지역에서 보고되었던 특성이다. 퇴적암석들이 퇴적된 후에 바다가 물러났고, 육지표면은 광범위하게 경사져서, 깊게 파여졌다는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침식의 영향은 대찬정 분지에 대한 다음의 단면도에서 설명된다. 분지의 가장자리에서 중앙부의 동쪽으로 지층들은 밀려 올라가 있다. 층서학은 현재의 육지 표면을 형성하도록 침식된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왜냐하면 그림에서 지층이 잘려진 곳에서의 각도는 수직적으로 매우 과장되었기 때문에 왜곡되어 보인다. 실제, 육지 표면의 교차 각도는 매우 작다). 퇴적물질들은 전체 지형을 가로질러 거대한 면상으로 제거되었다. 분지의 서쪽과 중앙 부분에서, 가장 윗 지층인 윈톤층(Winton Formation)은 넓은 면상 침식(sheet erosion)의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제거된 퇴적물질의 양은 알려져 있지 않다. 브리즈번(Brisbane) 지역에서 동쪽으로, 침식은 퇴적물을 1,000 m 이상을 제거함으로서 지층 구조의 아래 부분을 노출시켰다. 여기에서 침식은 지역에 국한되어 있지만, 깊게 확장되어 있다.
그러한 대찬정 분지의 경사는 물러가는 홍수 물에 의한 퇴적물의 침식과 일치한다. 처음 홍수의 후퇴기(Abative phase) 동안, 침식은 넓고, 평탄한 면상으로 발생했을 것이며, 이것은 단면도에서 서부와 중앙부에 나타나 있다. 후에, 점차 물의 양이 감소된 홍수의 소멸기(Dispersive phase) 동안에, 침식은 잘 확립된 수로들에서만 한정되어 일어났다. 그러한 수로 하나가 단면도의 동쪽 부분인 투움바(Toowoomba)와 브리즈번(Brisbane) 사이에서 보여진다. 그곳에서 브리즈번 강(Brisbane River)은 오늘날 넓고 깊은 계곡을 따라 흐르고 있다. 홍수의 소멸기 동안에 땅을 판 그러한 물의 흐름들은 배수 망으로 계곡들을 형성했고, 오늘날까지 존재하고 있다.
그 지층 구조는 그렇게 침식되었기 때문에, 홍수의 초기 후퇴기나 소멸기 동안에 퇴적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들 단계들 동안에 퇴적된 침전물들은 후퇴되는 홍수 물에 의한 광범위한 침식에 노출되지 않았다. 침식은 또한 절정기의 정상 부분이 보존되지 않았으며, 적어도 침식된 그들 침전물들에서는 아니었음을 가리키고 있다. 퇴적은 아마도 상승기 동안에 또는 초기 절정기 동안에 발생하였을 것이다. 관찰되는 침식 특성들은 홍수의 분출기 동안의 퇴적과 일치하지 않는다.
평탄한 상층부 지형 (Flat Topped Landforms)
홍수의 후퇴 단계와 관련이 있는 침식 패턴의 또 하나의 결과는, 같은 층위의 지층들이 수평적으로 남아있는 고원(plateaus), 메사(mesas), 뷰트(buttes)와 같은 평탄한 상층부 구조의 지층이다.
거의 완벽하게 수평적이거나 준수평적인 지층을 가진 평탄한 지형들은 가장 두꺼운 지층 순서를 가지고 있는 수랏 분지(Surat Basin) 지역의 대찬정 분지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잔존지형들이 주요한 수계(river systems)들 사이에서 높게 나뉘어 있는 것은 중요하다. 평탄한 상층부 덮개가 심한 풍화작용에 의해 벗겨져 나간 지역에서, 오르내리는 기복을 가진 지형은 발달되었다.
수라트 분지(Surat Basin) 지역에서의 평탄한 상층부 지형의 존재는, 이 표면들이 홍수의 절정기에서 가장 꼭대기였음을 나타내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대찬정 분지의 어디서나 지층 순서의 최상층 퇴적물들은 후퇴되는 홍수 물에 의해 침식되어서 이전 퇴적 지층을 드러내고 있으며, 물결치는 듯한 완만한 기복을 가진 지형을 형성하였다.
요약 (Summary)
대찬정 분지가 대륙적인 크기로 존재한다는 사실은 그것의 형성 시기를 창조 사건, 또는 홍수 사건으로 제한시키고 있다. 그러나 창조 사건은 화석화된 식물들과 동물들의 존재로 인해 배제된다. 홍수 사건의 후퇴기는 대찬정 분지를 형성하고 있는 지층들에서 공룡발자국들이 여러 군데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배제된다. 이제 이것은 범람기 중에서 세 가지, 즉 분출기, 상승기, 절정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남겨놓고 있다.
지층 구조에는 관측상 최소한의 교란만 일어나 있기 때문에, 퇴적은 범람기 말에 지각운동이 감소되었던 시기에 일어났음이 틀림없다. 이것은 상승기, 또는 절정기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지층 구조의 표면에 걸쳐있는 퇴적후 침식의 존재는 유사하게 범람기 말의 퇴적을 가리킨다. 침식 후에 남아있는 지층 구조의 그러한 부분들은 절정기의 최정상에서 퇴적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수랏 분지 지역에서, 두터운 지층 순서들을 가지고 있는 고원, 메사, 뷰트와 같은 평탄한 상층부 지형의 존재는 평탄한 상층부 육지 표면이 절정기의 가장 꼭대기였음을 나타내고 있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대찬정 분지의 지층 순서에서 최상층의 지층은 홍수의 절정기에서의 꼭대기와 일치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나머지 구조들은 절정기의 초기에 퇴적되었을 것이다.
논평 (Comments)
나는 당신이 호주의 대찬정 분지가 성서적 지질 모델로 비교적 쉽게 구분될 수 있다는 데에 동의한다. 이 모델은 여러 가지 분류 기준들을 조화롭게 반영하는 적합성이 우수한 매우 뛰어난 그리고 우리를 고무시키는 모델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대찬정 분지가 홍수의 범람기와 적합하다는 데에 놀랐다. 나는 호주의 지층 구조들의 주요한 부분들은 홍수의 절정 후인 후퇴기 동안에 퇴적되었을 것으로 예상했었다. 그러나 대찬정 분지가 범람기의 절정과 적합하다는 발견은 호주 대륙의 지질층의 대부분이 홍수가 절정에 도달하기 이전에 퇴적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준 지질주상도에서 대찬정 분지는 초기 쥐라기에서 백악기 말기까지로 구분된다. 그 모델은 백악기 말에 공룡들이 멸종했다는 간단한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홍수가 절정에 도달하여 전 지구를 덮었을 때, 표준 지질주상도는 파괴되었던 것이다.
* 참조 : The Great Artesian Basin, Australia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0_3/j10_3_379-390.pdf
Sediment transport and the Genesis Flood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0_3/j10_3_358-372.pdf
The basement rocks of the Brisbane Area, Australia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0_2/j10_2_241-257.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주소 - https://creation.com/great-artesian-basin
출처 - Journal of Creation 10(3):379–390, December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