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저장소에 충분하지 않은 혜성들 : 카이퍼 벨트는 거의 비어있었다.

저장소에 충분하지 않은 혜성들

: 카이퍼 벨트는 거의 비어있었다.

(Not Enough Comets in the Cupboard)


     혜성들이 부족하다. 허블 천체 망원경[1] 이 카이퍼 벨트(Kuiper Belt, 혜성들의 근원으로 알려져 있는)를 자세히 관측하였는데, 그곳은 거의 비어있는 (예상 공급량의 단지 4%) 것으로 발견되었다. 천문학자들은 현재 태양계에 존재하는 단주기(short-period) 혜성들의 수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큰 저장장소(storehouse)가 필요했다. 카이퍼 벨트는 해왕성 너머의 작은 얼음체들을 가지고 있는 지역으로, 200년 보다 적은 궤도 주기를 갖는 혜성들의 주 근원처가 되는 것으로 추정하여 왔다. 그러나 Astrophysical journal에 보고된 새로운 측정치들은 관측되고 있는 혜성들의 수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그 저장소에서 85개의 해왕성 너머의 (trans-Neptunian) 물체들을 발견할 것으로 천문학자들이 예상하였으나, 단지 3개만이 발견되었다.


Science News 지[2]는 이것을 수수께끼라고 부르고 있다. 그 지역이 존속 가능한 혜성의 근원처가 되기 위해서, 그곳에는 실제 발견되는 것의 수백 내지 수천 배의 많은 물체들이 발견되어야만 한다. 아마도 예상했던 물체들은 충돌에 의해 먼지로 부서져 버렸을지 모른다. 그 관측들은 카이퍼 벨트의 외부 가장자리에 또 다른 가능한 근원처도 단주기 혜성을 방출해 낼 정도로 충분하게 크지 않음을 나타내었다.


Sky and Telescope 지[3]는, 이것은 우리 태양계가 뚜렷한 가장자리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며, 예상했었던 잃어버린 물체들이 스스로 파괴되었는지 의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Science Now 지[4]의 보고에서 인용됐던 것처럼, ”한 사람의 연구자가 그러한 발견을 어떻게 설명하겠는가?”  ”이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진정한 과학자라면 한 가설이 진실임이 판명될 때처럼, 거짓으로 밝혀지는 것에 대해서도 관심이 있어야 한다. 즉, 과학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모호함(ambiguity)이다. 불행하게도 자연주의적 행성 과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태양계가 수십억년 전에 비방향성이면서 맹목적인 자연적인 힘에 의해서 생성되었다 라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어떠한 증거도 발견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흥미로운 일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그런 과학자들의 좌절과 실망, 나아가 단서가 없다는 것에 대한 완곡한 표현일 뿐이다. 정말로 흥미로운 것은 행성 과학자들은 태양계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가정에 대해 어떠한 의구심도 가지지 않은 채 그러한 자료들을 따르고 있는 것을 보는 것이다.


이 경험적인 관측은 행성 과학자들을 난관에 빠지게 하였다. 단지 수천년 내에 혜성들이 타서 없어진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 45억 년이라고 생각하는 태양계에 아직도 혜성들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헤드라인 뉴스에서 최근에 보고된 혜성들에 대한 이야기들은 선택의 폭을 점점 축소시켜가고 있다.

.혜성들은 원시의 물체들이 아니다 (Comets are not pristine objects. Aug. 12, 2003)[5]

.혜성들은 빠르게 사라진다 (Comets fizzle fast. March 27, 2003)[6]

.나노다이아몬드는 너무 낮게 측정된다 (Nanodiamond counts too low. Jul. 12, 2002)[7] 

.혜성 부족의 수수께끼 (Comet deficit puzzling. June 21, 2002)[8]

.혜성들은 자살한다 (Comets commit suicide. Feb. 26, 2001)[9]

.이론의 단지 10%인 오르트 구름 (Oort cloud only 10% of theory. Jan 31, 2001)[10]


혜성의 충분한 근원처가 없다. 그리고 혜성은 너무 빨리 타서 없어져 버리기 때문에 45억년을 버틸 수 없다. 이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1) http://hubblesite.org/newscenter/archive/2003/25/

2) Science News Week of Sept. 6, 2003 (164:10): Ron Cowen, 'Hubble Highlights a Riddle: What's the source of quick-return comets?”  

3) http://skyandtelescope.com/news/article_1051_1.asp

4) http://sciencenow.sciencemag.org/cgi/content/full/2003/902/1

5)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0803.htm#solsys93

6)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0303.htm#solsys74

7)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0702.htm#solsys57

8)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0602.htm#solsys55

9)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02.htm#comet2

10)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01.htm#solsys18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creationsafaris.com/crev0903.htm

출처 - CEH, 2003. 9. 3.

구분 - 4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1393

참고 : 3972|3955|3943|3941|3937|3933|3910|3904|3903|3896|3846|3824|3823|3798|3792|3741|3716|3703|3686|3625|3430|3404|3363|3365|3294|3296|3280|3235|3222|3121|3147|3006|3004|2994|2950|2948|2904|2878|2870|2858|2725|2704|2692|2656|2631|2581|2411|2327|2294|2100|1936|1879|1881|1589|702|627|524|434|322|4196|4186|4129|4014|4015|4002|3992|3748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