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태양의 분출 이론은 태양 역설을 해결할 수 있는가?

태양의 분출 이론은 태양 역설을 해결할 수 있는가? 

(Can Solar 'Belch' Theory Solve Sun Paradox?)

by Brian Thomas, Ph.D.


     지구와 우주의 나이가 수십억 년이라는 개념은 진화 과학자들에게 심각한 문제들을 야기시켜 왔다. 예를 들어, 수십억 년 전이면 태양은 희미하게 빛났을 것이고, 지구는 완전히 얼어붙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지구 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없었을 것인데, 어떻게 생명체는 진화될 수 있었으며, 어떻게 화석이 될 수 있었을까?

이러한 수수께끼는 '희미한 젊은 태양 역설(faint young sun paradox)'이라고 불려져 왔다. 그리고 25년의 연구 후에도 그것은 여전히 문제로 남아있다. 과학자들은 (태양은 희미했지만) 지구를 따뜻하게 유지했을지 모르는 대기에 관한 모델만을 어설프게 만들어내곤 했다. 먼저, 지구의 대기는 1천배 정도나 많은 암모니아(ammonia, 열을 가두는 가스)를 가졌었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암모니아는 태양 빛에 의해 빠르게 파괴된다. 그 외에도 암모니아는 쉽게 물에 녹기 때문에, 대양이 독성을 가지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또 하나는  한때 지구의 대기는 많은 열을 가두는 이산화탄소를 오늘날 보다 1 천배나 많이 가지고 있었다고 가정했다. 그러나 이것을 지지하는 어떠한 증거도 없었고, 지상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은 과거 대기에 온실 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지배적이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자들은 행성적 지구물리학을 통해서는 희미한 젊은 태양 역설에 대한 어떤 해결책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이제 몇몇 연구자들은 태양의 진화 역사를 변경하여 해결책을 찾으려하고 있다. NASA 우주생물학 프로그램에 의해서 연구비를 지원받는 연구팀은 태양의 새로운 모델을 시험해볼 계획을 세웠다. 새로운 모델은 수십억 년 전에도 태양은 충분히 커서, 지구를 충분히 따뜻하게 가열시킬 수 있었을 것이라는 모델이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의 스테인(Steinn Sigurdsson)은 초기 태양을 모델링하기 위한 고성능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연구팀을 이끌고 있다. 그는 Astrobiology Magazine에서 말했다. ”태양적 제한을 넘지 않고 행성에 충분히 따뜻한 열을 제공하기 위해서, 태양은 최초 수억 년 동안 많은 질량을 잃어야만 했다...그것은 현재 관측되는 것보다 약 1,000 배나 더 빠른 태양풍을 의미한다.”[1] 스테인과 그의 연구팀은 그러한 엄청난 태양풍에 의해서 남겨진 ‘늘어난 흔적(stretch marks)’를 조사할 계획이다. 

태양물리학이 제대로 잘 작동되기 위해서, 연구팀은 태양이 좁은 시간 범위 내에서 자체 질량의 엄청난 양을 배출하는 방법을 발명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그렇지 않으면, 초기 태양이 지구의 생명체에게 너무 희미했었을 것이라는 의문이, 오늘날의 태양은 왜 지구를 익혀버리지 않는가라는 의문으로 대체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연구자들이 물리학에 적합하도록 고대의 사건들을 엉성하게 끼워 맞춘다할 지라도, 그 사건이 실제로 발생했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만약 거대한 태양 분출(belch, 트림)로 인해 초기 태양이 지구에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충분한 열을 보내 줄 수 있었다할지라도, 그것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을 가지게 될 것이다. 그것은 단지 ”어떻게 그렇게 젊은 태양이 희미하지 않았는가?”, 아니면 ”젊은 태양에서 그렇게 많은 물질들을 그렇게 빠르게 분출시킨 힘은 무엇이었는가?”라는 질문으로 바뀌는 것일 뿐이다.

그러나 성경적 모델인 젊은 지구 모델은 이러한 수수께끼로부터 고통당하지 않는다. 희미한 젊은 태양 역설은 수십억 년의 오래된 지구 연대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만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있는 것이다. 그리고 성경적 모델은 자연주의적(진화론적) 견해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준다.

지구와 태양이 단지 수천 년 전 창조주간 동안에 창조되었다는 개념은, 태양은 생명체를 지탱해주기 위한 빛을 즉각적으로 비추기 시작했다는 창세기 기록과 함께, 과학적 관측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이다.[2]


References

1. Schirber, M. 'Baby Fat' on the Young Sun? Astrobiology Magazine News. Posted on astrobio.net February 13, 2012, accessed February 15, 2012.
2. Coppedge, D. 2007. More Than a Rising Star. Acts & Facts. 36 (11): 15.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6742/

출처 - ICR News, 2012. 3. 21.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