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쯔진산-아틀라스 혜성과 태양계의 나이

미디어위원회
2024-11-29

쯔진산-아틀라스 혜성과 태양계의 나이

(The next great comet :

Comet Tsuchinshan-Atlas and the age of the solar system)

by Donna Mullenax


    당신은 1986년에 핼리 혜성(Halley’s Comet)을 보았는가? 아니면 1996년에 햐쿠타케 혜성(Comet Hyakutake)은? 1997년에 헤일-밥 혜성(Comet Hale–Bopp)은? 2007년에 맥노트 혜성(2007)은? 그렇지 않다면, 이제 다가올 혜성을 한번 관측해보라. 이미 많은 매체들이 앞으로 10년 동안 다가올 혜성들을 예고하고 있다.[1]

처음에는 C/2023 A3 혜성으로 분류되었지만, 이 혜성은 2023년 1월 9일 중국의 퍼플 마운틴 천문대(Purple Mountain Observatory, Nanjing)에서 처음 관측되었다. 안타깝게도 확인을 위한 다른 관측은 없었다. 며칠 후인 2월 22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ATLAS는 몇 가지 확인 결과를 발표했다.[2] 두 그룹에서 확인되자, 국제천문연맹은 이 혜성을 쯔진산-아틀라스(Tsuchinshan–ATLAS, T–A) 혜성이라고 명명했다.[3] 헤일-밥(Hale-Bopp) 혜성, 와일드(Wild) 혜성, 그릭-스키옐럽(Grigg–Skjellerup) 혜성과 같이, 혜성들은 자주 발견자의 이름이 붙여지는 경우가 많다.[4]


앞으로 몇 달 동안 황도(ecliptic, 행성들이 공전하는 평면)에 매우 기울어진 궤도를 가진 이 혜성에 대해 많은 것들이 예측, 관찰 및 측정될 것이다.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시점은, 태양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고 몇 주 후인 2024년 10월 12일경으로(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예상된다. 이 혜성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천체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몇몇 과학자들은 이 혜성이 태양 주위를 지난 후에 살아남을 수 있을지 확신하지 못한다. 혜성들은 태양에 충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혜성 쯔진산-아틀라스에 대해서는 많은 것들이 알려져 있다. 현재 그 주기에 대한 추정치(하나의 완전한 궤도를 도는 데 걸리는 이론적 시간)는 다양하지만 수천 년이므로, 장주기 혜성(long-period comets, 주기가 200년 이상인 혜성) 중 하나이다.

과학자들과 언론은 이미 그들의 오래된 연대-진화론 세계관을 뒷받침하기 위해,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여기서 인용하고 있는 첫 번째 기사는 "45억 년 만에 처음 방문하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했다.[1]


단주기 혜성은 10,000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태양계는 아직도 이러한 혜성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표면상으로는 10,000년 미만이다.


혜성들은 장구한 연대와 모순된다

45억 년 전은 태양계가 모든 혜성들과 함께 형성된 시기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연대는 혜성의 제한된 수명에 대한 사실과 모순된다. 태양을 통과할 때마다 이 '더러운 눈덩이(dirty snowballs)'는 얼음과 먼지를 일부 잃게 된다. 단주기 혜성(short-period comets, 주기가 200년 미만인 혜성)은 10,000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태양계는 여전히 이러한 혜성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표면상으로는 10,000년 미만이다.

장주기 혜성도 또한 제한된 수명을 갖고 있다. 그러나 태양을 자주 지나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론적 수명은 최대 수백만 년이지만, 필요한 45억 년에 훨씬 못 미친다. 장주기 혜성들은 오래 전에 모두 사라졌어야 했다.[6]


혜성들은 전지 전능하신 창조주와 젊은 태양계의 증인이 되고 있다.


오랫동안 이 문제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다. 1950년 천문학자 얀 오르트(Jan Oort)는 태양계를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혜성 구름을 제안했다. 혜성은 가끔씩 지나가는 별이 이 혜성의 '깊은 동결'에서 깨워, 태양계 내부 궤도로 밀어넣은 후에야, 파괴의 여정이 시작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이 지금도 여전히 혜성들이 존재하는 이유라는 것이다.[7, 8]

오르트 구름(Oort Cloud)은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을 포함하여[6, 7], 모든 장주기 혜성들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혜성들의 근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오르트 구름에 대한 물리적, 또는 관측적 증거는 없다!

오늘날의 단주기 혜성들의 두 번째 공급원으로 추정되는 것은, 해왕성(Neptune) 너머의 평평한 띠를 이루며, 태양 주위를 약 55 AU의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카이퍼 벨트(Kuiper Belt)라는 곳이다. 이는 1951년 이것을 제안했던 천문학자의 이름을 따서 불려지게 되었다. 명왕성(Pluto)은 그 영역 내에서 궤도를 돌고 있다. 또 다른 제안된 혜성 공급원은 약 55~200AU의 거리에 있는 산란 원반(Scattered Disk)이다. 두 공급원의 혜성들은 파괴를 피할 수 있을 만큼 멀리 떨어져 있지만, 오르트 구름과 달리 잠재적으로 탐지될 수 있을 만큼 가까운 곳에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견된 카이퍼 벨트와 산란 원반 천체들은 진화론자들에게 커다란 실망을 안겨주었다. 대부분 너무 크고, 이론에 걸맞은 혜성 크기의 천체는 너무 적었다.[5, 9]

혜성들은 전지 전능하신 창조주와 젊은 태양계의 증인이 되고 있다.


Posted on CMI homepage: 13 November 2024


References and notes

1. Oberholtz, C., ‘Comet of a Decade’ to whiz past earth in likely first visit in 4.5 billion years, foxweather.com, 11 Mar 2023. 

2. 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 a NASA-funded robotic astronomical survey and early-warning system for near-earth objects. It currently involves two telescopes in Hawaii, one in Chile, and one in South Africa. 

3. The older (Wade–Giles) English transcription of the Chinese name of the observatory’s location, 紫金山 (pīnyīn, Zǐjīn Shān), literally ‘Purple-Gold Mountain’. 

4. Discovered by the grandfather of CMI’s Russell Grigg, see creation.com/john-grigg.

5. Gohd, C., A doomed comet just fell into the sun. Here’s the video, space.com, 16 Aug 2019. 

6. Sarfati, J., Comets—portents of doom or indicators of youth?, Creation 25(3):36–40, 2003; creation.com/comets.

7. NASA Solar System Exploration, 10 need-to-know things about the Oort Cloud, solarsystem.nasa.gov, 15 Dec 2019. 

8. Faulkner, D., More problems for the ‘Oort comet cloud’, J. Creation 15(2):11, 2001; creation.com/oort-problems. 

9. Spencer, W., The Manx comet and naturalistic assumptions, J. Creation 30(3):12–14, 2016; creation.com/manx-comet.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관련기사 : '쯔진산-아틀라스 혜성' 12일부터 서쪽 하늘서 볼 수 있다 (2024. 10. 11.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4/10/11/YEYNDOE4XZNOKG3XIOAO3G5UZY/

올해 가장 밝은 ‘쯔진산 혜성’ 왔다…12일부터 맨눈 관측 (2024. 10. 12.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1162141.html

국민고향 밤하늘 수놓은 '쯔진산-아틀라스 혜성'  (2024. 10. 18.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41018124800062

“아듀!” 떠나가는 ‘쯔진산-아틀라스 혜성’…언제 또 오나?  (2024. 10. 20. 나우뉴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41020601007


*참조 : ▶ 젊은 우주의 증거들 - 혜성

https://creation.kr/Topic3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88760&t=board


출처 : Creation 45(4):41, October 2023

주소 : https://creation.com/comet-tsuchinshan-atlas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