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대 빅뱅이론

미디어위원회
2022-11-30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대 빅뱅이론

(James Webb Telescope vs. the Big Bang)

by Jake Hebert, PH.D.  


   천문학자들은 새로운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이 보내오는 우주 먼 곳 은하들의 멋진 사진들로 흥분하고 있지만, 예비 데이터는 빅뱅이론(Big Bang)의 예측과 모순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이해하려면, 몇 가지 배경 정보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 나는 우주론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본적 문제를 명확히 해줄 수 있는, 창조론자들이 수행할 필요가 있는 한 과학적 테스트를 제안한다.


은하의 적색편이

먼 은하에서 오는 빛의 세부 사항은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적색 부분으로 "이동"된다(그림 1). 천문학자들은 이 적색편이(redshift)의 값을 나타내기 위해서, z라는 문자를 사용한다. 은하의 적색편이(galaxy redshifts)는 대략적으로 거리(distance)에 대한 대역(proxy or stand-in, 대용품)으로 사용된다. 은하의 적색편이는 보통 우주 자체가 팽창하고 있다는 증거로 해석되며, z가 증가함에 따라 후퇴 속도는 증가되어, 은하는 우리로부터 빠르게 멀어진다.

그림 1. 은하단으로부터의 어두운 흡수선은 태양 스펙트럼의 동일한 흡수선과 비교할 때, 전자기 스펙트럼의 적색 부분으로 이동한다. <Image credit: Georg Wiora. CC BY-SA 3.0. Derivative work Kes47>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은 가시광선보다 적외선(infrared radiation)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제작되었다. 매우 먼 은하로부터 온 빛은 스펙트럼의 적외선 부분으로 적색편이 되기 때문에,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제공하는 이미지보다 더 좋은 멋진 이미지를 제공한다.


성숙한 먼 은하 문제

빅뱅 이론가들은 먼 별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 데 수십억 년이 걸렸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비록 그것이 합리적으로 보일지라도, 창조론자들은 이 가정이 도전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1] 빅뱅이론에 의하면, 빅뱅이 일어난 직후에는 은하들은 볼 수 없을 것으로 예측한다. 이러한 이유로, 이론가들은 매우 먼 은하들은 극도로 미성숙하고 진화되지 않은 상태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허블 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에 의하면, 이러한 예상은 완전히 틀렸다.[2]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예비 데이터는 이 문제를 훨씬 더 치명적으로 만들고 있다.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우주의 가장 초기, 가장 오래된 은하계는 작고, 약간 무질서하고, 뒤틀린 시스템일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그러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이미지는 균형 잡힌 형태임은 말할 것도 없고, 이 은하들은 충격적으로 거대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 발견은 우리의 우주 기원에 대한 오랜 이해에 도전하는 것이고, 다시 쓰여질 가능성을 높게 만들고 있다.[3]

이제 진화론자들은 최초의 별들은 빅뱅 후 1억에서 2억5천만 년 사이에 형성되었고, 그후 몇 억 년 후에 최초의 은하들이 형성되었다고 말한다.[4, 5] 그러나 약 10년 전까지만 해도, 그들은 최초의 별들이 형성되기까지 4억 년이 걸렸다고 말했었다.[6] 그래서 빅뱅 이후 단지 4억 년 만에 (별들이 아니라) 은하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은 빅뱅이론에 많은 의구심을 갖게 한다. 그러나 허블 우주망원경은 이미 z = 11의 적색편이를 가진 먼 은하를 촬영했었다(그림 2). 이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새로운 데이터로, 천문학자들은  z = 16에서 20까지 높은 적색편이의 은하들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높은 적색편이 값은 은하가 빅뱅 직후인 2억5천만 년(또는 그 이하) 후에도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빅뱅이론에 명백히 위배된다.[4]

그림 2. 진화론적 계산에 따르면, 은하는 빅뱅 4억 년 후에 형성되었다. <Image credit: NASA and ESA>


물론, 이러한 결과는 예비적인 것이지만, 초기 보고서조차도 빅뱅이론가들에게 불안을 야기시키고 있다. 런던 대학의 우주론자 리처드 엘리스(Richard Ellis)는 "처음 몇 장의 사진에서, 이 괴물(은하)들을 발견된 것은 약간 걱정스럽다"고 말했다.[7] 캘리포니아 대학의 천문학자 가스 일링워스(Garth Illingworth)는 수사학적으로 물었다. "이렇게 이른 시간에 우주에서 어떻게 이런 일을 일어날 수 있었을까? 어떻게 그렇게 많은 별들을 그렇게 빨리 형성되었을까?"[3] 그리고 캔자스 대학의 천문학자 앨리슨 커크패트릭(Allison Kirkpatrick)은 "지금 나는 내가 해왔던 모든 말들이 잘못된 것인지 고민하며, 새벽 3시에 깨어있는 나 자신을 발견한다"라고 말했다.[4]

아주 멀리 있는 "성숙한(mature)" 은하의 존재는 빅뱅이론의 실패한 긴 예측 목록에 하나 더 추가될 뿐이다.[8, 9] 몇몇 과학 뉴스들은 이제 이러한 문제들을 지적하는 것이 "과학 부인(science denial)"에 해당될 정도의 량이라고 주장한다.[10] 빅뱅 과학자들이 이러한 결과에 크게 불안해하는 것을 보기 위해서는, 초기 보고서를 읽어보면 된다.[11]


먼 곳의 예상외로 밝은 은하

이것은 빅뱅이론의 또 다른 실패한 예측을 떠올리게 한다. 천체물리학자 마이클 디즈니(Michael J. Disney)는 허블 우주망원경을 위한 카메라 제작을 도왔다. 그는 개인 블로그에서, 제임스웹 팀이 우주망원경을 성공적으로 배치한 것을 축하하고, 허블 우주망원경 팀에서 일했던 경험을 회상했다.

그들이 렌즈나 회로를 설계하기 전에, 우주 카메라 팀은 20년을 앞서 과학을 깊이 들여다봐야 하며, 우리 팀은 나에게 높은 적색편이 값을 보이는 은하들을 들여다보라고 요청했다. 그 당시에 나는 그 주제에 대해 잘 몰랐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진짜 전문가들에게 물어보기 위해 돌아다녔다. 그들은 만장일치로 말했다: "톨만 효과(Tolman effect) 때문에 그것들을 절대 볼 수 없을 것이니, 그것들에 신경 쓰지 마세요."[12]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에 대한 미술가의 컨셉. <Image credit: NASA>


톨먼 효과(Tolman effect)는 물리학자 리처드 톨먼(Richard Tolman)이 팽창하는 우주를 위해 고안해낸 표면 밝기 테스트이다. 그것은 단순히 점과 같은 별이 아닌, 우주에서 "확장되는" 물체의 밝기를 포함한다.[13] 은하의 표면 밝기(galaxy’s surface brightness)는 은하의 밝기를 하늘에서 그것이 차지하고 있는 측정된 각도 영역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정적이고, 팽창하지 않는 우주에서, 표면 밝기는 (1+z)의 값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14] 그러나 팽창하는 우주에서 표면 밝기는 높은 (1+z)의 값으로 급격히 감소해야 한다. 만약 은하 표면의 밝기 데이터가 톨먼 실험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이것은 적색편이가 팽창하는 우주가 아닌, 다른 것에 의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디즈니는 계속했다:

은하와 같은 확장되는 물체는 팽창하는 우주에서 적색편이에 의해 극적으로 어두워지며, 실제로는 어떤 상당한 우주 카메라에서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어두워진다. 1993년에 우리가 처음으로 정말 심우주의 허블 이미지를 받았을 때의 충격을 상상해 보라. 그것은 아주 멀리 떨어져 있었지만, 전혀 어둡지 않은 꽤 뚜렷한 은하들로 온통 도배되어 있었다. 그것은 톨먼 효과를 따르지 않고, 우주가 팽창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내가 이것을 지적했을 때, 새로운 자칭 전문가들은 이렇게 말했었다. "아니다; 그것은 단지 먼 과거의 어린 은하들이 오늘날 은하들보다 본질적으로 훨씬 더 밝았다는 것을, 과거에는 더 밝은 어린 별들을 만들어냈음을 의미할 뿐이다".[12]

빅뱅 이론가들은 은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한다고 믿고 있기 때문에, 적색편이가 증가함에 따라 은하의 밝기가 체계적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래서 이론가들은 원칙적으로 더 오래되고 먼 은하들이 본질적으로 더 밝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디즈니는 이 설명은 너무도 많은 미세 조정을 필요로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한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고 믿고 있고, 이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한 자신의 한 설명을 제안했다.[15]


톨먼 실험 : 모순된 결과

고 앨런 샌디지(Allan Sandage)를 포함하여 전통적인 천문학자들은 은하의 크기와 밝기가 적색편이와 함께 체계적으로 진화한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은하의 표면 밝기 데이터는 팽창하는 우주와 일치한다고 주장한다.[16] 그러나 빅뱅이론의 비평가 에릭 러너(Eric Lerner)는 표면 밝기 데이터는 정적 우주(static universe)와 훨씬 더 일치하며, 근처의 낮은 z 값의 은하가 분석에 포함될 때, 은하 진화의 간단한 모델과 데이터를 조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17]

나는 누가 옳은지 추정하지 않겠다. 샌디지는 유명하고 유능한 천문학자였다. 반면에, 빅뱅의 과학자들은 허블 우주망원경이 매우 먼 은하들을 볼 수 있었다는 것에 분명히 놀랐다. 그리고 한 빅뱅 천체물리학자는 레너의 결과가 비팽창 우주의 개념에 최소한 어느 정도의 지지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다.[18] 그러나 내가 보기에 창조론자들은 우리가 성경적인 창조론적 우주론을 구축하기를 원한다면, 이 문제를 확정해야 할 것 같다. 우리는 다른 사람의 말을 받아들일 여유가 없으며,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모든 은하 데이터들을 사용하여, 우리 자신의 톨만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음성의 결과는 적색편이가 팽창하는 우주가 아닌, 다른 것 때문이라는 것을 강하게 나타낼 것이다. 그런 경우에, 그것은 빅뱅이론에 반대되는 매우 강력한 증거가 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창조과학자들이 할 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데, 우리가 지금까지 이해하기 어려운 은하들의 적색편이에 대한 실행 가능한 대안적 설명을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성경적 우주론에서 적색편이

하지만 기존의 천문학자들이 맞았고, 데이터가 팽창하는 우주와 일치한다면 어떻게 될까? 이것은 빅뱅이론이 분명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가? 아니다. 만약 적색편이가 정말로 우리로부터 멀어지는 은하의 속도를 나타낸다면, 이것은 우리 은하가 우주의 중심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는데, 이는 고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조차도 그 가능성을 인정했던 것이다![19]

그러나 빅뱅이론은 우주에 중심을 포함하여 "특별한" 장소가 없다는 것을 요구한다. 게다가, 만약 우리가 우주론적 사고(폭발)의 결과라면, 설령 그것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우리가 그렇게 특별한 장소에 위치할 것이라고 믿을 이유가 전혀 없다. 그래서 빅뱅 이론가들은 이러한 가능성을 거부하고, 다른 은하에 있는 가상의 관측자도 은하들이 그들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그것은 증명될 수 없는 가정이다. 그러나 기독교인들에게 있어서, 지구와 우리의 은하가 모두 특별한 장소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은 완벽하게 일리가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하나님이 자신의 형상을 닮은 인간을 위치시키기 위해 선택하신 장소이기 때문이다."[20]

그림 3. 먼 은하들에 대한 최초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이미지. <Image credit: NASA, ESA, and CSA>


은하의 적색편이가 팽창 때문이라고 해도, 이것이 반드시 오늘날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먼 별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해,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은 우리가 천문학적 데이터를 해석하는 방식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 시간과 공간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theory of relativity)에 얽혀 있기 때문에, 증명되지 않은(그리고 아마도 증명할 수 없는) 가정들을 하지 않고는 먼 별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1] 진화 과학자들은 먼 별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 데 수십억 년이 걸린다고 가정하고 있으며, 이것은 그들의 무신론적 세계관에서 타당해 보인다. 반면에 성경적 창조론자들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빛을 즉시로 주셨다고 가정한다. 왜냐하면 빛이 있으라고 하나님이 말씀하셨기 때문이다.(창세기 1:14-15).

최근의 한 창조론적 우주론에서, 하나님은 창조주간의 2일에서 4일 동안, 우주의 크기를 빠르게 팽창시키셨다고 보고있다.[21] 그리고 이 팽창은 느려졌고, 아마도 결국 멈추어졌다.[21] 팽창이 늦추어지거나 멈추기 전에, 이들 새로 창조된 은하들에서 4일째에 방출된 빛을 우리가 본다면 적색편이를 나타낼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이 우리에게 멀리 떨어진 별빛을 빠르게 볼 수 있도록 사용하셨던 방법에 의해, 이들 적색편이는 과거 우주 팽창의 증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그 팽창이 오늘날 더 이상 일어나지 않더라도 말이다.


결론

어떤 경우든, 제임스웹 우주망원경(그림 3)의 데이터와 이미지들은 빅뱅이론의 지지자들에게 엄청난 문제가 되고 있다. 성경을 믿는 기독교인들은 하늘이 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서 초자연적으로 창조되었다는 것을 계속해서 증언해야할 것이다. ICR 명예회장인 존 모리스(John Morris) 박사는 "지금은 성경을 믿는 기독교인들에게는 멋진 시기이다!"라고 말한다.


References

1. Hebert, J. 2022. Seeing Distant Starlight in a Young Universe. Acts & Facts. 51 (7): 13-15.

2. Hebert, J. ‘Early’ Spiral Galaxy Surprise.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May 1, 2020, accessed August 22, 2022.

3. Harrison, M. Scientists Puzzled Because James Webb is Seeing Stuff That Shouldn’t Be There. MSN.com. Posted on msn.com August 30, 2022, accessed August 30, 2022.

4. Witze, A. Four revelations from the Webb telescope about distant galaxies. Nature News. Posted on nature.com July 27, 2022, accessed August 31, 2022.

5. Bakich, M. E.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Universe: The first stars are born. Astronomy. Posted on astronomy.com January 13, 2021, accessed September 1, 2022.

6. An official NASA Big Bang timeline image from at least 10 years ago (and archived at Wikimedia Commons) states the first stars formed 400 million years ago.

7. Schilling, G. Webb Telescope Shatters Distance Records, Challenges Astronomers. Sky & Telescope. Posted on skyandtelescope.org August 10, 2022, accessed August 25, 2022.

8. Hebert, J. and B. Thomas. 2014. Does Science Support the Big Bang? Acts & Facts. 43 (7): 21.

9. Hebert, J. 2018. Does the Cosmic Microwave Background Confirm the Big Bang? Acts & Facts. 47 (6): 10-12.

10. Cooper, K. The James Webb Space Telescope never disproved the Big Bang. Here’s how that falsehood spread. Space.com. Posted on space.com September 7, 2022, accessed September 7, 2022.

11. Humorously, after Kirkpatrick’s self-doubt of her life’s work was publicized, she wrote “Allison the Big Bang happened Kirkpatrick” on her Twitter account!

12. Disney, M. J. AT THE BEGINNING OF TIME; what the James Webb telescope might see. Posted on mjdisney.org July 21, 2022, accessed September 1, 2022.

13. Tolman, R. C. 1930. On the Estimation of Distances in a Curved Universe with a Non-Static Line Ele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6 (7): 511-520.

14. That is, assuming the test is performed using what astronomers call AB magnitudes.

15. Disney, M. J. and R. H. Lang. 2012. The galaxy ancestor problem.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26 (3): 1731-1749.

16. Sandage, A. 2010. The Tolman Surface Brightness Test for the Reality of the Expansion. V. Provenance of the Test and a New Representation of the Data for Three Remote Hubble Space Telescope Galaxy Clusters. The Astronomical Journal. 139 (2): 728-742.

17. Lerner, E. J. 2018. Observations contradict galaxy size and surface brightness predictions that are based on the expanding universe hypothesi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77 (3): 3185-3196.

18. Koberlein, B. The Latest Webb Observations Don’t Disprove the Big Bang, But They Are Interesting. Universe Today. Posted on universetoday.com August 23, 2022, accessed September 26, 2022.

19. Hawking, S. 1998. A Brief History of Time, 10th anniversary ed. New York: Bantam Books, 44-45.

20. Morris, J. 2007. Earth: A Special Place. Acts & Facts. 36 (11): 13.

21. Humphreys, D. R. 2022. A more biblical cosmology. Journal of Creation. 36 (3): 1-9. In press.

* Dr. Hebert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physics from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Cite this article: Jake Hebert, Ph.D. 2022. James Webb Telescope vs. the Big Bang. Acts & Facts. 51 (11).


*참조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놀라운 발견들

https://creation.kr/Cosmos/?idx=12609379&bmode=view

가장 먼 은하의 비밀 : 131억 년 전의 성숙한 은하?

http://creation.kr/Cosmos/?idx=1293983&bmode=view

빅뱅 4억 년 후인 134억 년 전 은하 발견과 10억 광년 크기의 거대한 은하들의 벽.

http://creation.kr/Cosmos/?idx=1294024&bmode=view

초기의 거대 은하는 빅뱅 이론의 점검을 요구한다 : 빅뱅 후 단지 10억 년 정도에 574개의 거대 은하들 발견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7&bmode=view

빅뱅이론의 딜레마 : 초기 우주에 갑자기 등장하는 은하들 ; 빅뱅 후 약 1억5천만 년이 지난 시점에 은하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32&bmode=view

빅뱅이론과 모순된 관측과 진화우주론자의 변명 : 초기 우주(빅뱅 후 12억 년)에 성숙한 은하의 발견

http://creation.kr/Cosmos/?idx=5942264&bmode=view

성숙하게 보이는 초기의 어린 은하 : 진화에 실패한 은하? 우주탄생 과정의 재현? 

http://creation.kr/Cosmos/?idx=1293993&bmode=view

성숙한 은하들의 갑작스런 출현과 위기에 처한 빅뱅 우주 진화론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0&bmode=view

허블망원경은 초기 거대 은하들을 발견했다 : 120억 광년 이상 떨어진 은하들의 발견

http://creation.kr/Cosmos/?idx=1293985&bmode=view

먼 은하들은 너무도 성숙하게 보였다. : 한 감마선 폭발이 빅뱅설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64&bmode=view

은하수를 닮은 초기 우주의 거대 나선 은하

http://creation.kr/Cosmos/?idx=1293915&bmode=view

초기 거대 은하들은 우주론자들을 기절시키고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52&bmode=view

즉석 은하? : 초기 우주에서 발견된 성숙한 은하들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163&bmode=view

성숙한 은하들의 갑작스런 출현과 위기에 처한 빅뱅 우주 진화론.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0&bmode=view

출생 시부터 성숙한 은하 : 우주는 진화론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17&bmode=view

우주의 먼 곳에서 성숙한 은하 성단이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59&bmode=view

우주의 젊은 시기에 늙은 은하가 발견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58&bmode=view

초기 우주의 회전하는 원반은하는 빅뱅이론에 도전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3926383&bmode=view

나선은하는 우주론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흐릿해지도록 감겨지고 있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370&bmode=view


연결되어 있는 은하-퀘이사는 우주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 서로 다른 적색편이를 보이는 두 천체가 연결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5&bmode=view

바이-바이 빅뱅? : 진화론적 천문학에서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적색편이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3&bmode=view

모은하와 퀘이사의 물리적 연관성이 확증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3142398&bmode=view

높은 적색편이 퀘이사들은 빅뱅설과 충돌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66&bmode=view

빅뱅설을 거부했던 거장이 우리 곁을 떠났다. 은하들의 거리 지표인 적색편이에 의문을 제기했던 핼튼 아프

http://creation.kr/Cosmos/?idx=1293984&bmode=view

적색편이 수수께끼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141&bmode=view

퀘이사들은 다시 한번 빅뱅을 거부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68&bmode=view 

거대 퀘이사 그룹은 우주론적 원리를 거부한다. : 40억 광년의 지름을 가진 우주 구조의 존재?

http://creation.kr/Cosmos/?idx=1293977&bmode=view


우리는 우주의 어디에 위치하는가? : 우리 은하는 우주의 중심부 근처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52&bmode=view

양자화 된 적색편이 값은 우리 은하가 우주의 중심부에 위치함을 가리킨다. 1, 2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9&bmode=view

http://creation.kr/Cosmos/?idx=1294050&bmode=view

우주 중심에 대한 논쟁 

http://creation.kr/Cosmos/?idx=1293890&bmode=view

우주 중심에 대한 논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67&bmode=view


별빛-시간 문제에 내재된 7가지 가정들 : 수십억 광년의 별빛은 성경적 창조론을 부정하는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36&bmode=view

젊은 우주에서 수십억 광년의 별빛 보기

https://creation.kr/Cosmos/?idx=12644405&bmode=view

멀리 있는 별빛은 우주가 오래되었음을 증명하는가? 1

http://creation.kr/Cosmos/?idx=1293949&bmode=view

http://creation.kr/Cosmos/?idx=1293950&bmode=view

별빛-거리 문제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6&bmode=view

별빛과 시간 1, 2

http://creation.kr/Cosmos/?idx=1293897&bmode=view

http://creation.kr/Cosmos/?idx=1293898&bmode=view

시간 팽창 우주론과 성경적 창조론 : 화이트홀 안쪽에 시간이 흐르지 않던 지역의 존재

http://creation.kr/Cosmos/?idx=1294038&bmode=view

수십억 광년 떨어진 별빛을 보기 때문에, 우주의 나이는 수십억 년 된 것이 아닌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3880&bmode=view

빅뱅설의 커다란 문제점들 : 별빛과 시간, 그리고 블랙홀과 화이트홀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4&bmode=view

먼 거리의 별빛과 빅뱅 이론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2&bmode=view

빛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 현대 물리학과 우주론의 근본이 흔들리고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96&bmode=view

과학적 혁명은 아직도 가능하다 : 빛의 속도, 중력 상수 등은 변할 수도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8&bmode=view

과학자들이 빛의 속도를 깨뜨리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884&bmode=view

시간이 팽창된 우주의 겉보기 나이. 구상성단에서 잃어버린 은하단내부매질이 가리키는 것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22&bmode=view

우주 거리 측정의 기본 잣대가 흔들리고 있다 : 1a형 초신성의 광도는 일정하지 않았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08&bmode=view

우주의 나이는 측정될 수 없다. 별빛-시간에 대한 새로운 개념 : 일방향의 빛의 속도는 측정할 방법이 없다.

http://creation.kr/Cosmos/?idx=5747719&bmode=view

별빛, 시간, 그리고 새로운 물리학 (youtube 동영상)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6&bmode=view


빅뱅이론에 반대되는 증거들 목록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2&bmode=view

빅뱅 이론에 도전하는 제임스웹 망원경 데이터

https://creation.kr/Cosmos/?idx=12819381&bmode=view

빅뱅 이론을 부정하는 별들의 발견

https://creation.kr/Cosmos/?idx=12368756&bmode=view

천문학 지가 보도하고 있는 빅뱅이론의 위기 

http://creation.kr/Cosmos/?idx=3937185&bmode=view

빅뱅 이론은 정말 과학적인가?

http://creation.kr/Cosmos/?idx=2965866&bmode=view

빅뱅이론의 딜레마 : 초기 우주에 갑자기 등장하는 은하들 ; 빅뱅 후 약 1억5천만 년이 지난 시점에 은하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32&bmode=view

빅뱅의 특이점 - '암흑'의 시작 : 우주는 ‘무’에서부터 자연적으로 형성되었는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7&bmode=view

빅뱅 이론에 의하면, 우주는 존재해서는 안 된다. : 물질과 반물질의 비대칭 문제는 더 심각해졌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56&bmode=view

‘영원한 빅뱅 우주’를 주장하는 새로운 빅뱅이론

http://creation.kr/Cosmos/?idx=1294028&bmode=view

새로운 우주 지도는 빅뱅설을 더욱 손상시키고 있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60&bmode=view

빅뱅 이론은 정말 과학적인가?

http://creation.kr/Cosmos#2965866

빅뱅 우주론이 맞는다면, 왜 새로운 중력이론을 찾고 있는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43&bmode=view

빅뱅은 없었다고 한 새로운 연구는 주장한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04&bmode=view

빅뱅 우주론은 붕괴 직전에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9&bmode=view

급팽창 이론은 곤경에 처해있는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3942&bmode=view

모든 것이 암흑인 급팽창 이론. 힉스 입자는 우주의 급팽창 빅뱅 이론을 기각시키고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03&bmode=view

과대 선전되고 있는 우주 급팽창의 증거

http://creation.kr/Cosmos/?idx=1293989&bmode=view

빅뱅 후 급팽창의 '증거'로 주장됐던 중력파 패턴은 우주 먼지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99&bmode=view

2014년 3월 언론 매체들이 대대적으로 보도했던 우주 급팽창의 증거는 틀렸을 수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94&bmode=view

우주의 급팽창 : 정말 있었나? 

http://creation.kr/Cosmos/?idx=1294021&bmode=view

궁지에 몰려있는 우주 급팽창의 증거 

http://creation.kr/Cosmos/?idx=1293995&bmode=view

빅뱅 우주론은 기적을 필요로 한다. : 급팽창 빅뱅이론은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킨다.

http://creation.kr/Cosmos/?idx=1757530&bmode=view

천문학 이론들은 지속적으로 틀리고 있다 : 목성, 외계행성, 백색왜성, 우주 팽창율의 관측은 예상과 달랐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4060&bmode=view

주요 우주론적 질문들은 아직도 대답되지 못하고 있다.

http://creation.kr/Cosmos/?idx=1293980&bmode=view

빅뱅 : 하나님이 선택하신 창조의 방법인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3940&bmode=view

빅뱅인가 창조인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4014&bmode=view

빅뱅이론, 창조의 질서인가?

http://creation.kr/Cosmos/?idx=1293991&bmode=view

빅뱅이론과 성경

http://creation.kr/BiblicalChronology/?idx=1289280&bmode=view

빅뱅을 제거하고 하나님의 우주를 재발견하자.

http://creation.kr/Cosmos/?idx=1293929&bmode=view

▶ 빅뱅 이론의 허구성과 젊은 우주의 증거들 (youtube 동영상)

http://creation.kr/Cosmos/?idx=1294005&bmode=view

▶ Bob Enyart Live : Evidence Against the Big Bang Theory

https://kgov.com/evidence-against-the-big-bang


출처 : ICR, 2022. 10. 31.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JW-Telescope-vs-Big-Bang/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