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천문학

젊어보이는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

미디어위원회
2021-08-26

젊어보이는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

(Does Ganymede Look Young?)

by Brian Thomas, PH.D.  


     2021년 6월 7일, NASA의 주노 우주탐사선(Juno spacecraft)은 그 어느 우주탐사선보다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Ganymede)에 가까이 날아갔다. 가니메데는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으로, 수성보다 더 큰 천체이다. 가니메데의 얼어붙은 표면은 먼 곳의 수원(water source)으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분석가들은 아직도 가니메데의 세 가지 독특한 특징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이제 처음 관측된 것이다. 만약 다른 천체들의 젊은 모습이 교훈을 준다면, 오래된 지구 연대론자들은 이 위성의 젊어 보이는 모습에 대해 다시 한 번 씨름해야할 것이다.

주노가 새로 공개한 사진은 NASA가 스펙트럼의 녹색 부분을 회색조로 처리했다. 빨간색과 파란색은 진행 중이며, 처리 후 가니메데 표면의 전체 컬러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다. 하지만 이 녹색 보정 사진도 균열(fissures)처럼 보이는 것을 드러내기에 충분하다.

주노의 새로운 사진과 함께 NASA의 한 웹 게시물은 "구조적 단층(tectonic faults)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는 긴 구조적 지형"에 주목했다.[1] 단층들은 지질 활동을 의미하며, 이는 물론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만약 이러한 단층들이 최근에 형성된 지형으로 입증된다면, 동일과정설 추종자들은 극도로 추운 곳에 있는 이 위성이 수십억 년 동안 지질 활동을 유지해오기 위한 추정 이야기를 만들어내야 한다. 그것은 지구의 달과[2] 명왕성에서 일어났던 일이다.[3] 만약 가니메데의 나이가 40억 년을 넘었다면, 이 천체는 지질학 활동을 완전히 멈췄어야 했다.

또한 NASA 과학자들은 허블망원경(Hubble telescope)을 가니메데에 맞추어왔다. 1998년 관측에 대한 새로운 분석은 가니메데의 대기에 수증기(water vapor)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들의 2021년 Nature Astronomy 보고는 가니메데의 적도에 햇빛이 비추어 표면 얼음이 증발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었다.[4] 선임저자인 로렌츠 로스(Lorenz Roth)는 "이제 우리가 측정한 수증기는 따뜻한 얼음 지역에서 수증기의 열 방출에 의해 원인된 얼음 승화에서 비롯된다"고 말했다.[5] 얼음이 위성 표면에서 수십억 년 동안 계속 승화될 수 있었을까? 다른 태양계 천체들도 우주로 상당량의 물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그러한 천체들의 연대가 젊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6, 7]

그리고 태양계의 행성과 위성들에서 예기치 않게 여전히 활발한 자기장이 발견되고 있다. 1998년 스펙트럼은 "가니메데가 약한 자기장을 가지고 있다는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하는, 전기화된 가스 밴드가 나타났다."[3] 그러나 가니메데가 수십억 년의 나이를 갖고 있다면, 자기장은 조금도 남아 있지 않아야 한다!

2015년 기사는 가니메데의 자기장은 수성의 자기장 보다 커다란 "미스터리"라고 언급했는데, 이는 "(내부의) 유체 운동이 더 이상 불가능할 정도로 충분히 냉각됐어야 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8] 1세기 전에 동일과정설 과학자들은 행성과 위성들의 자기장이 어떻게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될 수 있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 발전기(dynamo) 이론을 제안했다.[9] 이 이론은 천체들이 (내부에 발전기를 돌릴 수 있는) 녹은(유체의) 핵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핵은 수성이나 가니메데와 같은 천체에서는 오래 전에 냉각되고 얼어붙었을 것이고, 더 이상 발전기는 돌아가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천체들은 자기장을 갖고 있었다!

팽이의 회전력처럼, 자기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든다. 이들 자기장은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될 수 없다. 발전기가 돌아가지 않는다면, 자기장은 수천 년 동안 지속될 수 없다. 그러나 창조주가 수천 년 전에 이들 천체들을 창조하셨다면, 아직도 남아있는 자기장은 예측되는 것이고, 미스터리는 사라진다.

자기장, 승화, 구조적 단층들은 가니메데가 젊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 세 가지 특징은 오래된 지구 연대론자들에게는 당혹스러운 일이지만, 최근 창조 모델과는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이다.


References 

1. See the First Images NASA’s Juno Took As It Sailed by Ganymede. NASA. Posted on nasa.gov June 8, 2021, accessed August 2, 2021.

2. Watters, T. R. et al. 2010. Evidence of Recent Thrust Faulting on the Moon Revealed by the Lunar Reconnaissance Orbiter Camera. Science. 329 (5994): 936-940.

3. At Pluto, New Horizons Finds Geology of All Ages, Possible Ice Volcanoes, Insight into Planetary Origins. New Horizons News Center. Posted on pluto.jhuapl.edu November 9, 2015, accessed August 2, 2021.

4. Roth, L. et al. A sublimated water atmosphere on Ganymede detected from Hubble Space Telescope observations. Nature Astronomy. Posted online before print, July 26, 2021.

5. Hubble finds first evidence of water vapor at Jupiter’s moon Ganymede. NASA. Posted on hubblesite.org July 26, 2021, accessed August 2, 2021.

6. Cassini Spacecraft Reveals 101 Geysers and More on Icy Saturn Moon. Jet Propulsion Laboratory. Posted on jpl.nasa.gov July 28, 2014, accessed August 3, 2014.

7. Bauer, M. Rosetta Arrives at Comet Destination. European Space Agency. Posted on esa.int August 6, 2014, accessed August 6, 2014.

8. Williams, M. Jupiter's moon Ganymede. Physorg. Posted on phys.org/news October 15, 2015, accessed August 3, 2021.

9. Humphreys, D. R. 2013. Planetary Magnetic Dynamo Theories: A Century of Failure. Proceedings of the Sev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ism. Pittsburgh, P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Dr. Brian Thomas is Research Scientist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Ph.D. in paleobiochemistry from the University of Liverpool.


*관련기사 : "목성의 달 '가니메데'에서 표면 얼음 승화된 수증기 포착" (2021. 7. 27.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10727114000009?input=1195m

목성 위성 가니메데에서 수증기 발견 (2021. 7. 28.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07280551581453

지하에 바다가?…적외선으로 본 ‘얼음 위성’ 가니메데 (2021. 8. 7. 나우뉴스)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807601003&wlog_tag3=naver


*참조 : 가니메데의 자기장은 수십억 년의 태양계 나이를 거부한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10&bmode=view

간헐천을 분출하고 있는 유로파와 가니메데의 자기장은 수십억 년의 태양계 나이와 모순된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544&bmode=view

목성의 위성 '가니메데'에 소금물의 지하 바다가 존재한다 : 그러나 연대 문제는 언급되지 않고 있었다.

http://creation.kr/YoungEarth/?idx=1289492&bmode=view

지구 자기장의 붕괴가 중요한 이유

http://creation.kr/Earth/?idx=2530262&bmode=view

지구 자기장은 생각했던 것보다 지속될 수 없다.

http://creation.kr/Earth/?idx=1294097&bmode=view

수성의 자기장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148&bmode=view

수성의 자기장이 전하고 있는 메시지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30&bmode=view

달에 최근까지 존재했던 자기장 미스터리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78&bmode=view

무엇이 달에 자기장을 갖게 했는가? 

http://creation.kr/SolarSystem/?idx=1294266&bmode=view


출처 : ICR, 2021. 8. 23.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ganymede-looks-young/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