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네 날개와 비행 깃털을 가진 생물이 새가 아니라 공룡으로 이름 붙여지는 이유는?

네 날개와 비행 깃털을 가진 생물이 

새가 아니라 공룡으로 이름 붙여지는 이유는?

(Four-Winged Dinosaur Definition Doesn't Fly)

Brian Thomas Ph. D.


      어떤 생물이 공룡(dinosaur)이라고 말해지는 것일까? 이전 세대의 사람들은 공룡을 악어와 도마뱀처럼 다리가 옆으로 나와 뒤뚱거리는 보행 대신에, 다리가 똑바로 아래로 향하는 엉덩이 구조를 가진 파충류로서 이해했다. 공룡에서 깃털이 자란다고 과학자들이 주장하리라고는 이전 사람들은 결코 상상하지 못했다. 현대 과학자들은 공룡에 대한 더 넓은, 더 느슨한 정의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이제 공룡과 조류 사이의 애매한 모습으로 한 화석이 발견됐다는 것이다. 그것은 정말로 공룡일까?

Nature Communications 지에서 한 팀의 국제 과학자들은 깃털 공룡으로 유명한 중국 퇴적층에서 발굴된 새로운 화석에 대해 기술하고 있었다.[1] 중국 북동부 랴오닝 성에서 발굴된 이 화석은 1억2500만 년 전쯤에 살았던 칠면조 정도 크기의 생물로 ‘창유랩터 양기’(Changyuraptor yangi)로 명명되었다. 이전의 몇몇 발견처럼, 이 새로운 표본은 분명히 네 날개(four wings)를 가지고 있었다. 화석 인상은 앞날개뿐만 아니라, 한 쌍의 뒷날개에도 비행 깃털이 확장되어있었고, 지금까지 발견된 네 날개를 가진 가장 큰 생물로 여겨진다.

그 생물은 뒷다리를 다리 또는 날개의 이중 기능으로 사용함으로서, 달리거나, 걷거나, 날 수 있는 독특한 생물인 것처럼 보인다. 이제 진화 생물학자들은 이 생물을 공룡-조류 진화 이야기에 적합시키기 위해 신이 나 있었다.

만약 이 고대 생물이 정말로 공룡과 조류 사이의 진화적 전이형태라면, 그 세부 해부학적 구조는 일부분은 공룡, 일부분은 조류처럼 보여야만 한다. 예를 들어, 아마도 그 생물이 공룡의 특성을 일부 가지고 있다면, (비행에 필요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없는 깃털 앞다리를 보여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연구의 저자들은 창유랩터를 공룡-조류의 전이형태라고 주장하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그 생물은 독특하지만 완전한 비행을 할 수 있는 생물로 설명하고 있었다.

그들은 썼다. ”비행 깃털의 전체 세트가 뒷날개에 광범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동물은 전체 세트의 깃털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깃털은 원시깃털 섬유가 아니라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었다. 연구의 저자들은 또한 썼다. ”그것들(대칭적 깃털)에는 강한 우축(羽軸, rachises)과 깃털의 종축으로 깃이 남아있는 날개를 보여주고 있다.”[1]

창유랩터는 작동되고 있는 독특한 특성들의 조합을 가지고 있었다. 그 특성들은 의도적으로 설계된 것처럼 함께 적합되어 있었다. 연구의 저자들은 창유랩터의 긴 깃털 꼬리를 분석했다. 그리고 비행에 필요한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었음을 주목했다. 꼬리는 날개가 작은 조정을 하는 동안 그 생물의 비행을 유지하기 위해 적합되어 있는 것처럼 보였다. 그들은 창유랩터를 급속 하강을 제어할 수 있는 고도로 적응된 생물로 불렀다.[1]

이러한 독특한 특성은 진화론이 예상하는 전이형태와 적합한 것일까? 날개, 비행 깃털, 비행 제어 동력학 등에 대한 설명은 공룡이라는 단어와는 매우 멀어 보인다. 창유랩터는 조류와 같은 종류의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완전히 형성된 깃털과 적절한 비율의 꼬리를 가진 네 날개의 새를 ‘공룡’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일까? 그들은 사실적 증거를 따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믿고 있는 진화론을(공룡이 진화하여 새가 되었다는) 따르고 싶어 하는 것처럼 보인다. 

아마도 오랫동안 조류의 증거를 가지고 있던 화석을 공룡으로 이름 붙였던 최근의 진화론자처럼[2], 이들 진화론 연구자들은 창유랩터를 네 날개를 가진 공룡으로 이름 붙였던 것을 후회할 수 있을 것이다. 창유랩터는 공룡이 조류로 진화하면서 보여주어야 하는 모습을 조금도 보여주지 않고 있다. 사실, 그 생물은 오늘날의 친숙한 조류와는 같지 않지만, 오리(duck)처럼 깃털을 가지고 있는, 꽥꽥 소리를 낸다면 오리처럼 보일 수도 있는 생물이다. 이 경우에서 날개와 깃털은 공룡으로 말해지기보다 새로 말해져야하는 특성이다. 창유랩터는 공룡처럼 이름 붙여졌지만, 정교하고 멋진 네 날개를 가진 새인 것이다.



References

1. Han, G. et al. A new raptorial dinosaur with exceptionally long feathering provides insights into dromaeosaurid flight performance. Nature Communications. Published online before print, July 15, 2014.
2. Thomas, B. Second Look Causes Scientist to Reverse Dino-Bird Claim. Creation Science Update. Posted on icr.org July 18, 2014, accessed July 29, 2014.


*관련기사 : 날개 넷 달린 고대 새 ‘조류 진화의 열쇠’ -네이처紙 (2014. 7. 16. 나우뉴스)
http://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140716601009

날개 4개 달린 '창위랍토르', 공룡-조류 진화 단서될까 (2014. 7. 17. 경향신문)
http://bizn.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407171137491&code=970100&med_id=khan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icr.org/article/8222/ 

출처 - ICR News, 2014. 7. 30.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