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몇 사람들이 귀를 움직일 수 있는 이유
(Why You Can Wiggle Your Ears)
by Jerry Bergman, PhD
사람의 귀 근육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보통 발달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기능을 갖고 있을까? 아니면, 쓸모없는 흔적기관인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진화론자들은 사람의 귀 근육(human ear muscles)은 쓸모없는 기관이라고 주장했다. 한 예로 "소수의 사람들은 의지적으로 귀를 움직일 수 있지만, 이 근육은 오늘날 실용적 용도가 거의 없는 진화의 잔재로 간주된다"고 말했다.[1]
독일 자르브뤼켄(Saarbrücken)에 있는 자를란트 대학(Saarland University)의 새로운 연구에서 제기된 질문은 "사람의 귀 근육은 희미한 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약간 움직일 수 있는가?"였다.[2] 안드레아 슈뢰어(Andreas Schroeer) 등에 의해 수행된 이 연구는, 귓바퀴 지향 시스템(pinna-orienting system)을 기반으로 한 귀 근육의 근전도(EMG) 신호가 사람의 공간적 청각 초점(spatial auditory focus)을 나타내는 한 지표라는 것을 밝혀냈다.[3] 그들의 결론은 귀 근육이 소리 수신을 개선하기 위해 귓바퀴(pinna, 이개)를 조정한다는 것이었다.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었다 :
실험 참가자들이 여러 떠드는 사람들 사이에서 대상(target) 소리에 집중하는 동안, 좌우에 있는 상이개근(superior auricular muscles, SAM) 및 후이개근(posterior auricular muscles, PAM)의 근전도(EMG) 신호가 기록되었다. 방해자들의 수, 소리 크기, 잡음비율 등을 변화시켜, 각각 더 어렵고,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도록 하는, 세 조건을 만들었다... 그러나 평균 이개근의 움직임은 쉬운 조건하에 비해, 가장 어려운 조건(가장 많은 노력이 필요한) 하에서 현저히 컸지만, 자극 방향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4]

.인간의 주요 귀 근육.(Wikimedia Commons)
이 연구를 숙고해보면, 귀 근육들은 쓸모없다기 보다는, 서구 사회에서 발달하지 않았다는 것이 더 정확한 설명이 될 것이다. 좋은 예로, 특정 스포츠나 신체 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게 특정 근육은 고도로 발달되어 있지만, 많은 사람들에게는 발달되어 있지 않다. 사실, "서구 문화권의 많은 사람들은 앉아 지내는 생활 방식으로 인해, 신체 활동을 많이 하지 않는다. 이는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수십 년 동안 경고해왔던 일이다.“[5]
게다가, 운동선수들 특히 고강도 스포츠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일반인보다 총 골밀도와 사지 근육량이 현저히 높다.[6] 이러한 결과는 특정 스포츠 활동이 더 높은 사지 근육량을 달성하는 데 중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강도 스포츠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동선수보다 사지 근육량이 현저히 낮을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발견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비교적 작은 방에서 대화를 하며, 소리를 증폭시키는 음향 기계들을 사용하는 현대 사회를 고려할 때, 일반 사람들은 이러한 귀 근육을 사용하는 능력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이 없는 사회에서, 예로 사냥꾼들 사이에서(동물을 사냥하는데는 좋은 청력이 매우 중요하다), 귀 근육이 훨씬 더 발달할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울창한 숲에서 동물의 움직임과 같이 희미한 소리가 중요한 문화에서는, 희미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우리 문화의 사람들보다 더 발달할 것이 예상될 수 있다.[7] 이것이 바로 과학자들이 발견한 것이다.[8] 내가 아는 한, 귀 근육 발달에 대한 연구는 20세기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렵생활 방식이 오늘날의 우리와 비교하여, 초기 인류가 뛰어난 청력을 갖게 했던 한 이유일 수 있다고 결론짓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9]
또 다른 예는 아주 어린 나이부터 심각한 난청 문제를 겪은 사람이다. 과거에 이러한 사람은 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귀 근육을 사용하여 귓바퀴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연습함으로써 발달했을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이 보청기와 기타 방법을 사용했다면, 이러한 능력은 발달됐을 가능성이 적었을 것이다. 하지만 저개발 사회와 고대 사회에서는, 귀 근육이 발달했을 것이 예상될 수 있다.
과거에 귀 근육이 더 발달했었다는 이러한 견해에 대해 한 평론가는 이렇게 말했다 : "귀의 특정 근육을 활성화하는 메커니즘은 우리 조상들이 생존을 위해 청각에 더 의존하던 시절의 잔재이다."[10] 이것은 바로 "현대 인류의 귀 근육은 작고 약하지만, 먼 조상들에게는 이 근육들을 사용하여 귀를 앞뒤로 움직여서, 소리를 더 효과적으로 포착하여 청각을 개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11]
요약 및 결론
한때 쓸모없다고 선언되었던 인간의 귀 근육이 귀를 기울여 들으려 할 때,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2] SciMex 지는 자를란트 대학(Saarland University)의 연구 결과를 정확하게 요약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나의 결론과 일치한다 :
먼 조상들은 귀 근육을 사용하여 귀를 움직이고 더 잘 들었지만, 지금까지 현대 인류에서는 이 근육이 기능을 잃은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독일 과학자들은 우리가 여전히 이 근육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람들의 머리 옆에 전극을 부착하고 방해가 있든 없든 오디오북을 자세히 들어보라고 요청했다. 과학자들은 참가자들이 오디오북을 듣기 어려울수록, 마치 개나 고양이가 귀를 쫑긋거리는 것처럼, 상이개근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참가자 뒤에서 소리가 나면, 귀를 그 방향으로 가리키려는 것처럼 후이개근이 수축했다. 당신이 당신의 귀를 움직일 수 있다면, 이 근육들을 사용하여 고막에 소리가 잘 전달되도록 했을 것이다.[13]

.야외에서 살아가야 했던 우리의 조상들은 앉아 지내는 현대인들보다 확실히 귀 근육을 더 많이 움직였을 것이다. <Image by Mauro Cutrona>
사실은 "이 귀 근육의 본능적 움직임은 단순히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소리를 고막 쪽으로 전달하여, 소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의 많은 작은 근육들은 덜 필요하게 되었지만, 현대 사회의 해부학자들은 이 근육이 쓸모없는 흔적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 현대 서구 사회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소리에 반응하여 귀를 움직인다... 시끄러운 방에서 누군가의 말에 집중하기 위해서 애를 쓰면, 예를 들어 상이개근이라는 외이의 작은 근육이 우리의 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동하게 된다."[14]
귀 근육은 작지만, 특히 소음 속에서 특정 소리에 집중하려고 할 때, 청각 능력이 조금만 향상된다면, 사람이 한 말을 효과적으로 듣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뢰어의 연구는 보청기 기술을 개선하는 데, 실용적인 응용 분야가 될 수 있다.
'쓸모없는 장기'라는 개념의 해로움
진화로 남겨진 쓸모없는 ‘흔적기관(vestigial organs)’이라는 주장의 문제점은 "어떤 장기의 진정한 기능을 배우기 전에, 과학자들에게 그 중요성을 과소평가하게 만든다. 하지만 우리가 더 많이 알게 될수록, 그 ‘쓸모없는’ 부분들 중 많은 부분이 실제로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15] 이 '쓸모없는 장기'라는 주장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1890년대에 해부학자 로베르트 비더스하임(Robert Wiedersheim)은 원래의 생리적 중요성을 잃어버린 86개의 ‘흔적’, 또는 신체 부위의 목록을 발표했다. 이 목록은 그의 책에 기술되어 있다.[16] 그는 오늘날 ‘정맥의 판막, 흉선, 뇌하수체, 송과선’ 등을 흔적기관에 포함시켰다.[17] 오늘날 한때 흔적기관과 구조들로 알려졌던 것들은 종종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8]
References
[1] Brincat, C., ’Vestigial’ human ear-wiggling muscle actually flexes when we’re straining to hear, Live Science, 31 January 2025.
[2] Brincat, C. 2025.
[3] Schroeer, A., Electromyographic correlates of effortful listening in the vestigial auriculomotor system, Frontiers in Neuroscience, Volume 18, 30 January 2025.
[4] Schroeer, 2025.
[5] Seefeldt, V., et al., Factors affecting levels of physical activity in adults, Sports Medicine 32(3):143-168, 2 November 2012.
[6] Seefeldt, et al., 2012.
[7] Adams, R., (ed.), Into the Night: Tales of Nocturnal Wildlife Expeditions.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Boulder, CO., 2013.
[8] Bruner, F.G., The Hearing of Primitive Peoples, pp. 5-10, 40-50. The Science Press, New York, NY, 1908.
[9] Bruner, F.G., 1908.
[10] Brincat, 2025.
[11] Brincat, 2025.
[12] Saarland University (Germany), Ear muscle we thought was useless activates when listening hard, Scimex, 31 January 2013.
[13] Saarland University, 2013.
[14] Brincat, 2025.
[15] Lanese, N., 10 body parts that are useless in humans (or maybe not), Live Science, 27 January 2023.
[16] Wiedersheim, R., The Structure of Man: An Index to His Past History. (This is a translation of the original 1887 German edition, Der Bau der Menschen.) The 1895 English edition which is in my library was published by Macmillan & Co., London, UK, and New York, NY.
[17] Lanese, 2023.
[18] Bergman, J., Useless Organs: The Rise and Fall of a Central Claim of Evolution, revised version (332 pp.). Bartlett Publishing, Tulsa, Oklahoma, 2024.

*참조 : 다윈이 믿었던 것처럼, 귓바퀴는 쓸모가 없을까? : 귓바퀴 기능의 재조명
https://creation.kr/Human/?idx=18127839&bmode=view
흔적기관 : 그것들은 무엇을 증거하는가?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06&bmode=view
흔적기관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593&bmode=view
사랑니, 진화론자들을 어리석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28&bmode=view
미골(꼬리뼈), 진화론자들을 어리석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41&bmode=view
흔적기관으로 주장되던 맹장의 기능이 발견되었다.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40&bmode=view
충수돌기 : 기능적인데도 여전히 진화의 증거인가?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88&bmode=view
남성의 젖꼭지에 대한 두 가지 견해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38&bmode=view
▶ 폐기되고 있는 진화론의 상징물들 - 흔적기관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76393&t=board
▶ 경이로운 인체 구조 - 귀
https://creation.kr/Topic104/?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
▶ 나쁜 설계? : 망막의 배선, 되돌이후두신경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59709&t=board
▶ 창조-진화 논쟁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59749&t=board
출처 : CEH, 2025. 2. 12.
주소 : https://crev.info/2025/02/why-you-can-wiggle-your-ears/
번역 : 미디어위원회
몇몇 사람들이 귀를 움직일 수 있는 이유
(Why You Can Wiggle Your Ears)
by Jerry Bergman, PhD
사람의 귀 근육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보통 발달되어 있지 않다. 그것은 기능을 갖고 있을까? 아니면, 쓸모없는 흔적기관인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진화론자들은 사람의 귀 근육(human ear muscles)은 쓸모없는 기관이라고 주장했다. 한 예로 "소수의 사람들은 의지적으로 귀를 움직일 수 있지만, 이 근육은 오늘날 실용적 용도가 거의 없는 진화의 잔재로 간주된다"고 말했다.[1]
독일 자르브뤼켄(Saarbrücken)에 있는 자를란트 대학(Saarland University)의 새로운 연구에서 제기된 질문은 "사람의 귀 근육은 희미한 소리를 듣기 위해 귀를 약간 움직일 수 있는가?"였다.[2] 안드레아 슈뢰어(Andreas Schroeer) 등에 의해 수행된 이 연구는, 귓바퀴 지향 시스템(pinna-orienting system)을 기반으로 한 귀 근육의 근전도(EMG) 신호가 사람의 공간적 청각 초점(spatial auditory focus)을 나타내는 한 지표라는 것을 밝혀냈다.[3] 그들의 결론은 귀 근육이 소리 수신을 개선하기 위해 귓바퀴(pinna, 이개)를 조정한다는 것이었다. 연구자들은 이 연구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었다 :
실험 참가자들이 여러 떠드는 사람들 사이에서 대상(target) 소리에 집중하는 동안, 좌우에 있는 상이개근(superior auricular muscles, SAM) 및 후이개근(posterior auricular muscles, PAM)의 근전도(EMG) 신호가 기록되었다. 방해자들의 수, 소리 크기, 잡음비율 등을 변화시켜, 각각 더 어렵고,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도록 하는, 세 조건을 만들었다... 그러나 평균 이개근의 움직임은 쉬운 조건하에 비해, 가장 어려운 조건(가장 많은 노력이 필요한) 하에서 현저히 컸지만, 자극 방향에 의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4]
.인간의 주요 귀 근육.(Wikimedia Commons)
이 연구를 숙고해보면, 귀 근육들은 쓸모없다기 보다는, 서구 사회에서 발달하지 않았다는 것이 더 정확한 설명이 될 것이다. 좋은 예로, 특정 스포츠나 신체 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에게 특정 근육은 고도로 발달되어 있지만, 많은 사람들에게는 발달되어 있지 않다. 사실, "서구 문화권의 많은 사람들은 앉아 지내는 생활 방식으로 인해, 신체 활동을 많이 하지 않는다. 이는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건강 결과를 초래한다. 이것은 수십 년 동안 경고해왔던 일이다.“[5]
게다가, 운동선수들 특히 고강도 스포츠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일반인보다 총 골밀도와 사지 근육량이 현저히 높다.[6] 이러한 결과는 특정 스포츠 활동이 더 높은 사지 근육량을 달성하는 데 중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람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리 사회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고강도 스포츠에 적극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동선수보다 사지 근육량이 현저히 낮을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바로 이것이 발견된 것이다.
마찬가지로 비교적 작은 방에서 대화를 하며, 소리를 증폭시키는 음향 기계들을 사용하는 현대 사회를 고려할 때, 일반 사람들은 이러한 귀 근육을 사용하는 능력이 크게 발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이 없는 사회에서, 예로 사냥꾼들 사이에서(동물을 사냥하는데는 좋은 청력이 매우 중요하다), 귀 근육이 훨씬 더 발달할 것이 예상될 수 있다. 울창한 숲에서 동물의 움직임과 같이 희미한 소리가 중요한 문화에서는, 희미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이 우리 문화의 사람들보다 더 발달할 것이 예상될 수 있다.[7] 이것이 바로 과학자들이 발견한 것이다.[8] 내가 아는 한, 귀 근육 발달에 대한 연구는 20세기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수렵생활 방식이 오늘날의 우리와 비교하여, 초기 인류가 뛰어난 청력을 갖게 했던 한 이유일 수 있다고 결론짓는 것은 무리가 아니다.[9]
또 다른 예는 아주 어린 나이부터 심각한 난청 문제를 겪은 사람이다. 과거에 이러한 사람은 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귀 근육을 사용하여 귓바퀴를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연습함으로써 발달했을 수 있다. 오늘날과 같이 보청기와 기타 방법을 사용했다면, 이러한 능력은 발달됐을 가능성이 적었을 것이다. 하지만 저개발 사회와 고대 사회에서는, 귀 근육이 발달했을 것이 예상될 수 있다.
과거에 귀 근육이 더 발달했었다는 이러한 견해에 대해 한 평론가는 이렇게 말했다 : "귀의 특정 근육을 활성화하는 메커니즘은 우리 조상들이 생존을 위해 청각에 더 의존하던 시절의 잔재이다."[10] 이것은 바로 "현대 인류의 귀 근육은 작고 약하지만, 먼 조상들에게는 이 근육들을 사용하여 귀를 앞뒤로 움직여서, 소리를 더 효과적으로 포착하여 청각을 개선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11]
요약 및 결론
한때 쓸모없다고 선언되었던 인간의 귀 근육이 귀를 기울여 들으려 할 때, 활성화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2] SciMex 지는 자를란트 대학(Saarland University)의 연구 결과를 정확하게 요약했는데, 이는 위에서 언급한 나의 결론과 일치한다 :
먼 조상들은 귀 근육을 사용하여 귀를 움직이고 더 잘 들었지만, 지금까지 현대 인류에서는 이 근육이 기능을 잃은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독일 과학자들은 우리가 여전히 이 근육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테스트하기 위해, 사람들의 머리 옆에 전극을 부착하고 방해가 있든 없든 오디오북을 자세히 들어보라고 요청했다. 과학자들은 참가자들이 오디오북을 듣기 어려울수록, 마치 개나 고양이가 귀를 쫑긋거리는 것처럼, 상이개근이 활성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참가자 뒤에서 소리가 나면, 귀를 그 방향으로 가리키려는 것처럼 후이개근이 수축했다. 당신이 당신의 귀를 움직일 수 있다면, 이 근육들을 사용하여 고막에 소리가 잘 전달되도록 했을 것이다.[13]
.야외에서 살아가야 했던 우리의 조상들은 앉아 지내는 현대인들보다 확실히 귀 근육을 더 많이 움직였을 것이다. <Image by Mauro Cutrona>
사실은 "이 귀 근육의 본능적 움직임은 단순히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소리를 고막 쪽으로 전달하여, 소리를 정확히 파악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현대 사회에서 우리의 많은 작은 근육들은 덜 필요하게 되었지만, 현대 사회의 해부학자들은 이 근육이 쓸모없는 흔적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 현대 서구 사회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소리에 반응하여 귀를 움직인다... 시끄러운 방에서 누군가의 말에 집중하기 위해서 애를 쓰면, 예를 들어 상이개근이라는 외이의 작은 근육이 우리의 청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작동하게 된다."[14]
귀 근육은 작지만, 특히 소음 속에서 특정 소리에 집중하려고 할 때, 청각 능력이 조금만 향상된다면, 사람이 한 말을 효과적으로 듣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뢰어의 연구는 보청기 기술을 개선하는 데, 실용적인 응용 분야가 될 수 있다.
'쓸모없는 장기'라는 개념의 해로움
진화로 남겨진 쓸모없는 ‘흔적기관(vestigial organs)’이라는 주장의 문제점은 "어떤 장기의 진정한 기능을 배우기 전에, 과학자들에게 그 중요성을 과소평가하게 만든다. 하지만 우리가 더 많이 알게 될수록, 그 ‘쓸모없는’ 부분들 중 많은 부분이 실제로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15] 이 '쓸모없는 장기'라는 주장은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1890년대에 해부학자 로베르트 비더스하임(Robert Wiedersheim)은 원래의 생리적 중요성을 잃어버린 86개의 ‘흔적’, 또는 신체 부위의 목록을 발표했다. 이 목록은 그의 책에 기술되어 있다.[16] 그는 오늘날 ‘정맥의 판막, 흉선, 뇌하수체, 송과선’ 등을 흔적기관에 포함시켰다.[17] 오늘날 한때 흔적기관과 구조들로 알려졌던 것들은 종종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8]
References
[1] Brincat, C., ’Vestigial’ human ear-wiggling muscle actually flexes when we’re straining to hear, Live Science, 31 January 2025.
[2] Brincat, C. 2025.
[3] Schroeer, A., Electromyographic correlates of effortful listening in the vestigial auriculomotor system, Frontiers in Neuroscience, Volume 18, 30 January 2025.
[4] Schroeer, 2025.
[5] Seefeldt, V., et al., Factors affecting levels of physical activity in adults, Sports Medicine 32(3):143-168, 2 November 2012.
[6] Seefeldt, et al., 2012.
[7] Adams, R., (ed.), Into the Night: Tales of Nocturnal Wildlife Expeditions.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Boulder, CO., 2013.
[8] Bruner, F.G., The Hearing of Primitive Peoples, pp. 5-10, 40-50. The Science Press, New York, NY, 1908.
[9] Bruner, F.G., 1908.
[10] Brincat, 2025.
[11] Brincat, 2025.
[12] Saarland University (Germany), Ear muscle we thought was useless activates when listening hard, Scimex, 31 January 2013.
[13] Saarland University, 2013.
[14] Brincat, 2025.
[15] Lanese, N., 10 body parts that are useless in humans (or maybe not), Live Science, 27 January 2023.
[16] Wiedersheim, R., The Structure of Man: An Index to His Past History. (This is a translation of the original 1887 German edition, Der Bau der Menschen.) The 1895 English edition which is in my library was published by Macmillan & Co., London, UK, and New York, NY.
[17] Lanese, 2023.
[18] Bergman, J., Useless Organs: The Rise and Fall of a Central Claim of Evolution, revised version (332 pp.). Bartlett Publishing, Tulsa, Oklahoma, 2024.
*참조 : 다윈이 믿었던 것처럼, 귓바퀴는 쓸모가 없을까? : 귓바퀴 기능의 재조명
https://creation.kr/Human/?idx=18127839&bmode=view
흔적기관 : 그것들은 무엇을 증거하는가?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06&bmode=view
흔적기관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593&bmode=view
사랑니, 진화론자들을 어리석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28&bmode=view
미골(꼬리뼈), 진화론자들을 어리석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41&bmode=view
흔적기관으로 주장되던 맹장의 기능이 발견되었다.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40&bmode=view
충수돌기 : 기능적인데도 여전히 진화의 증거인가?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88&bmode=view
남성의 젖꼭지에 대한 두 가지 견해
https://creation.kr/Textbook/?idx=1289638&bmode=view
▶ 폐기되고 있는 진화론의 상징물들 - 흔적기관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76393&t=board
▶ 경이로운 인체 구조 - 귀
https://creation.kr/Topic104/?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
▶ 나쁜 설계? : 망막의 배선, 되돌이후두신경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59709&t=board
▶ 창조-진화 논쟁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59749&t=board
출처 : CEH, 2025. 2. 12.
주소 : https://crev.info/2025/02/why-you-can-wiggle-your-ears/
번역 : 미디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