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망은 도시 전력망을 닮았다.
(Cell Feature Resembles Power Grid)
by Brian Thomas
분명, 생물학 및 해부학 교과서는 개정되어야할 시점이 되었다. 우리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에는 훨씬 더 많은 것들이 들어 있었다. 연구자들은 세포 내의 이 작은 발전소가 효율적으로 ATP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고도로 조직화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미토콘드리아들은 근육세포들에 걸쳐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초거대 미토콘드리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 놀라운 발견을 Nature 지에 보고하면서, 그것을 "미토콘드리아 세망(mitochondrial reticulum)“이라 부르고 있었다.[1]
상호 연결된 미토콘드리아 그물(mitochondrial net)은 근육을 움직일 수 있도록 세포 내부에서 수축하는, 긴 관으로 된, 단백질 다발 주위를 감싸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효율적으로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장소에, 정확한 량으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해준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더 많은 것들을 발견했다.
선임저자인 국립 건강연구소의 로버트 발라반(Robert Balaban)에 의하면, 모세혈관 옆에 위치하는 미토콘드리아 그물 지역은 미토콘드리아 막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최적화되어 있고, 근육 내에 상호 연결된 미토콘드리아의 깊이도 ATP 생산에 필요한 전압 사용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다는 것이다.[2]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되고 있는 가변성의 전압은 ATP를 발생시키는 미토콘드리아 기계에 연료를 공급하고 있다. 다른 말로 해서, 탄수화물의 화학에너지가 공급원 근처의 미토콘드리아 세망으로 들어가, 근육세포 내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근육 단백질이 그것을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서 정확하게 ATP 화학에너지로 변환시킨다. 그것은 도시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망과 너무도 유사한 멋진 구조특성 및 분포배열을 갖고 있다.“[2]
사람들이 도시에서 전력망을 설계하고 구축했다면, 어떤 지적 설계자가 사람이 설계한 공학적 시스템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엄격하게 조절되는, 근육세포 내에 있는 초소형 미세 미토콘드리아 전력망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론은 합리적인 것이다.
References
1.Glancy, B. et al. 2015. Mitochondrial reticulum for cellular energy distribution in muscle. Nature. 523 (7562): 617-620.
2.High-resolution 3D images reveal the muscle mitochondrial power grid. National Institutes for Health News. Posted on nig.gov July 30, 2015, accessed August 6, 2015.
*Mr. Thomas is Science Writer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출처 : ICR News, 2015. 8. 20.
주소 : http://www.icr.org/article/8953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세망은 도시 전력망을 닮았다.
(Cell Feature Resembles Power Grid)
by Brian Thomas
분명, 생물학 및 해부학 교과서는 개정되어야할 시점이 되었다. 우리가 지금까지 생각했던 것보다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에는 훨씬 더 많은 것들이 들어 있었다. 연구자들은 세포 내의 이 작은 발전소가 효율적으로 ATP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고도로 조직화되어 있음을 밝혀냈다. 미토콘드리아들은 근육세포들에 걸쳐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초거대 미토콘드리아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 놀라운 발견을 Nature 지에 보고하면서, 그것을 "미토콘드리아 세망(mitochondrial reticulum)“이라 부르고 있었다.[1]
상호 연결된 미토콘드리아 그물(mitochondrial net)은 근육을 움직일 수 있도록 세포 내부에서 수축하는, 긴 관으로 된, 단백질 다발 주위를 감싸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효율적으로 정확한 시간에, 정확한 장소에, 정확한 량으로 연료를 공급하도록 해준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더 많은 것들을 발견했다.
선임저자인 국립 건강연구소의 로버트 발라반(Robert Balaban)에 의하면, 모세혈관 옆에 위치하는 미토콘드리아 그물 지역은 미토콘드리아 막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최적화되어 있고, 근육 내에 상호 연결된 미토콘드리아의 깊이도 ATP 생산에 필요한 전압 사용을 위해 최적화되어 있다는 것이다.[2]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되고 있는 가변성의 전압은 ATP를 발생시키는 미토콘드리아 기계에 연료를 공급하고 있다. 다른 말로 해서, 탄수화물의 화학에너지가 공급원 근처의 미토콘드리아 세망으로 들어가, 근육세포 내 깊은 곳으로 이동하는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는 것이다. 그리고 근육 단백질이 그것을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서 정확하게 ATP 화학에너지로 변환시킨다. 그것은 도시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망과 너무도 유사한 멋진 구조특성 및 분포배열을 갖고 있다.“[2]
사람들이 도시에서 전력망을 설계하고 구축했다면, 어떤 지적 설계자가 사람이 설계한 공학적 시스템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엄격하게 조절되는, 근육세포 내에 있는 초소형 미세 미토콘드리아 전력망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론은 합리적인 것이다.
References
1.Glancy, B. et al. 2015. Mitochondrial reticulum for cellular energy distribution in muscle. Nature. 523 (7562): 617-620.
2.High-resolution 3D images reveal the muscle mitochondrial power grid. National Institutes for Health News. Posted on nig.gov July 30, 2015, accessed August 6, 2015.
*Mr. Thomas is Science Writer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출처 : ICR News, 2015. 8. 20.
주소 : http://www.icr.org/article/8953
번역 : 미디어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