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생물학적 생물분류체계
(Baraminology)
창조시 종류(The baramin).
성경에서 이미 언급되었듯이, 모든 생물은 ”각기 그 종류대로(after their kinds)” 창조되었다 (창세기 1:12, 21, 24-25). 노아의 방주에 들어간 생물들도 ”그 종류대로” (창세기 6:20, 7:14) 였으며, 그리고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의 구분도 ”그 종류대로” (레위기 11:14-16, 19, 22, 29; 신명기 14: 13-15, 18)였다. 그러나 '그 종류'란 의미는 성경에서 다른 의미도 함께 내포하므로, 성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성경적 종류(biblical kind)”는 창조생물학적인 견지에서 다른 단어로 대체되어야 바람직하다고 보겠다. 1941년 Frank Marsh는 현재 성경에서 사용되는 종류란 단어를 창조생물학적으로 좀더 근접하기 위해 '바라민(Baramin)'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 바라민은 히브리어로 된 성경의 창세기 1장에서 두 단어를 차용하여 합성한 단어인데, bara는 '창조(create)'를 의미하며, min은 '종류(kind)'를 뜻한다.
창조종류학 (Baraminology)
Baraminology는 과학에 있어서 새로운 분야인데, 이는 바라민, 즉 창조될 당시의 '종류'에 관해서 연구하는 과학이다. Baraminology는 궁극적으로는 바라민의 확인, 분류체계, 그리고 확인된 바라민의 명명법 등을 다루게 될 것이다. 현 시점에서는 어떻게 바라민을 확인하느냐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분류와 명명에 관한 연구는 차후에 계속 이어질 것이다.
바라민은 창조 당시의 종에서 분화된 어느 특정 그룹이 되겠는데, 현존하는 생물들의 숫자보다는 당연히 적은 그룹이 되겠고, 현존하는 하나의 종(species)보다도 거의 적은 그룹이 될 것이다. 창조 당시의 종류에 합당한 바라민 그룹(holobaramin)을 확인하려면, 우선 피라미드 형식의 종의 분류 체계를 염두에 둘 때, 위에서 접근하는 방식과 아래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있을 것이다. 위에서 접근하는 방식의 분류에는 많은 종을 몇 개의 대그룹(apobaramin)으로 묶을 수 있겠는데, 그 그룹 상호간에는 생물학적으로 서로 관련성이 적을 것이다. 그렇게 분류된 대그룹들은 창조 당시에 생겨난, 즉 생물학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바라민 그룹(holobaramin)까지 세분화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holobaramin은 다시 서로 보다 연관된 종들을 묶어 더욱 세분화하여 monobaramin 까지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현존하는 많은 종들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당연히 성경을 근거로 우선 분류를 시작해야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날에 창조된 생물들은 서로 연관성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 점을 근거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분류를 시작하고자 한다.
1) 셋째 날 창조된 생물들 (육상식물들),
2) 다섯째 날 창조된 생물들 (바다생물들과 새종류들),
3) 여섯째 날 창조된 생물들 (육상동물들과 사람).
이렇게 크게 분류된 생물들은 창세기 1장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각기 종류대로' 다음과 같이 더욱 세분화 할 수 있다.
1a) 과실을 맺는 나무들 (trees bearing fruit),
1b) 씨 맷는 채소들 (herbs bearing fruit),
1c) 풀 종류들 (grass),
2a) 큰 고래들 (great whales),
2b) 바다생물들 (every living creature in the sea),
2c) 모든 새들 (fowl),
3a) 육축들 (cattle),
3b) 땅에 기는 생물들 (creeping things on the land),
3c) 육상 짐승류들 (beasts of the earth) ,
3d) 사람 (man).
또 다른 생물분류 근거로는 이들 그룹 간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차이점들인 유전자정보, 염색체, 세포구조, 대사, 조직세포구성, 발생학 등을 기반으로 바라민을 구분짓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초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고, 그렇게 함으로 보다 새로운 방법들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바라민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준들이 사용될 것이고, 여러 연관된 종들이 하나의 holobaramin으로 그룹 짖게 될 것이다. 린네의 생물분류체계 이후로, 창조생물학자들은, 어느 다른 두 종이 교배하여 자손을 낳을 수 있고, 그 자손이 계속 살아있다면, 그 다른 두 종은 같은 바라민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분류체계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그룹들은 하나의 바라민에 속하게 될 것이다. 개과류(개, 코요테, 여우, 늑대), 소과류 (소, 영양, 양, 염소), 오리류(오리, 백조, 거위), 말류 (말, 제브라).
또 다른 바라민 분류 방법으로는 각 개체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겠는데, 그 기준으로는 완전 성장체의 외형, 염색체 구조, 분자생물학적 구성 등을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초연구가 수행되어 여러 가지 기준들이 추가 발견되어야 할 것이다.
Discussion
새로운 생물분류 체계인 창조종류학(baraminolgy)은 너무나 새로운 분야이기에, 아직은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이 많고,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창조생물학적 분류체계를 확립하고자하는 창조종류학은 기존의 학계에서 이미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생물정체성 이론이나 현재 생물학에서 팽배한 진화론보다도, 훨씬 설득력 있게 현존하는 생물체의 속성을 반영하게 될 것이다. 우선 생물체는 변한다. 개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16세기의 유럽에서는 개의 종류가 몇 안 되었으나, 400년이 지난 지금은 그 당시 개들의 변종이 무려 200 가지가 넘게 되었다. 이러한 빠른 변화는 신진화론자의 모델에 따른 변화라기 보다는, 현존하는 많은 변종이 발생될 수 있는 잠재력을 이미 400년 전 당시의 개들의 유전정보 내에 이미 있었고, 그 동안의 사람들에 의한 인위적인 교배로 말미암아 나타난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비둘기나, 꿩, 장미, 과실나무 등 수많은 현존하는 생물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겠다. 이는 또 다시 말하자면, 같은 바라민 내에서는 굉장히 빠르게 변하여 변종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상위그룹 분류에 속하는 생물들 [예를 들면, 계(kingdoms), 문(phyla)] 상호간에는 그 차이가 너무 심하여 어떤 방법으로든 어떤 종을 한 그룹에서 다른 그룹으로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 상호간의 교배능력을 기반으로 분류하고자하는 노력도 그 한계성을 분명히 드러낼 것이다. 화석증거를 보더라도 상위그룹에 속하는 생물체들 간에는 소위 진화론자들이 주장하는 중간형태의 생물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 중간형태의 생물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인간의 어떤 노력도 모두 수포로 돌아간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같은 바라민 내에서는 빠른 속도로 개체변종이 발생한다는 사실과, 바라민 보다 상위그룹에 속하는 생물 상호간에는 그러한 변화를 찾아 볼 수 없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바라민적 생물관이 큰 설득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지금은 이러한 바라민적 생물학에 기반한 연구사례가 몇 안 되지만, 그래도 좀 이른 결론을 내자면, 바라민은 평균적으로 볼 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생물분류체계에 있어서의 과(family) 정도에 - 종(species)보다는 2 단계 상위이며, 계(Kingdoms)보다 4단계 하위 - 해당된다고 할 수 있겠다.
*참조 : The Current Status of Baraminology.
https://www.creationresearch.org/crsq-2006-volume-43-number-3_current-status-of-baraminology
Bara-What?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am/v3/n4/bara-what
Identification of species within the cattle monobaramin (kind)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6113
Identification of species within the sheepgoat kind (Tsoan monobaramin)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5973/
A baraminology tutorial with examples from the grasses (Poaceae)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6_1/j16_1_15-25.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kerberg.com/Articles/_PDFArchives/science/SC2W0799.pdf
창조생물학적 생물분류체계
(Baraminology)
창조시 종류(The baramin).
성경에서 이미 언급되었듯이, 모든 생물은 ”각기 그 종류대로(after their kinds)” 창조되었다 (창세기 1:12, 21, 24-25). 노아의 방주에 들어간 생물들도 ”그 종류대로” (창세기 6:20, 7:14) 였으며, 그리고 정결한 동물과 부정한 동물의 구분도 ”그 종류대로” (레위기 11:14-16, 19, 22, 29; 신명기 14: 13-15, 18)였다. 그러나 '그 종류'란 의미는 성경에서 다른 의미도 함께 내포하므로, 성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성경적 종류(biblical kind)”는 창조생물학적인 견지에서 다른 단어로 대체되어야 바람직하다고 보겠다. 1941년 Frank Marsh는 현재 성경에서 사용되는 종류란 단어를 창조생물학적으로 좀더 근접하기 위해 '바라민(Baramin)'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 바라민은 히브리어로 된 성경의 창세기 1장에서 두 단어를 차용하여 합성한 단어인데, bara는 '창조(create)'를 의미하며, min은 '종류(kind)'를 뜻한다.
창조종류학 (Baraminology)
Baraminology는 과학에 있어서 새로운 분야인데, 이는 바라민, 즉 창조될 당시의 '종류'에 관해서 연구하는 과학이다. Baraminology는 궁극적으로는 바라민의 확인, 분류체계, 그리고 확인된 바라민의 명명법 등을 다루게 될 것이다. 현 시점에서는 어떻게 바라민을 확인하느냐 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분류와 명명에 관한 연구는 차후에 계속 이어질 것이다.
바라민은 창조 당시의 종에서 분화된 어느 특정 그룹이 되겠는데, 현존하는 생물들의 숫자보다는 당연히 적은 그룹이 되겠고, 현존하는 하나의 종(species)보다도 거의 적은 그룹이 될 것이다. 창조 당시의 종류에 합당한 바라민 그룹(holobaramin)을 확인하려면, 우선 피라미드 형식의 종의 분류 체계를 염두에 둘 때, 위에서 접근하는 방식과 아래에서 접근하는 방식이 있을 것이다. 위에서 접근하는 방식의 분류에는 많은 종을 몇 개의 대그룹(apobaramin)으로 묶을 수 있겠는데, 그 그룹 상호간에는 생물학적으로 서로 관련성이 적을 것이다. 그렇게 분류된 대그룹들은 창조 당시에 생겨난, 즉 생물학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바라민 그룹(holobaramin)까지 세분화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holobaramin은 다시 서로 보다 연관된 종들을 묶어 더욱 세분화하여 monobaramin 까지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현존하는 많은 종들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당연히 성경을 근거로 우선 분류를 시작해야 될 것이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날에 창조된 생물들은 서로 연관성이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 점을 근거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분류를 시작하고자 한다.
1) 셋째 날 창조된 생물들 (육상식물들),
2) 다섯째 날 창조된 생물들 (바다생물들과 새종류들),
3) 여섯째 날 창조된 생물들 (육상동물들과 사람).
이렇게 크게 분류된 생물들은 창세기 1장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각기 종류대로' 다음과 같이 더욱 세분화 할 수 있다.
1a) 과실을 맺는 나무들 (trees bearing fruit),
1b) 씨 맷는 채소들 (herbs bearing fruit),
1c) 풀 종류들 (grass),
2a) 큰 고래들 (great whales),
2b) 바다생물들 (every living creature in the sea),
2c) 모든 새들 (fowl),
3a) 육축들 (cattle),
3b) 땅에 기는 생물들 (creeping things on the land),
3c) 육상 짐승류들 (beasts of the earth) ,
3d) 사람 (man).
또 다른 생물분류 근거로는 이들 그룹 간에 존재하는 근원적인 차이점들인 유전자정보, 염색체, 세포구조, 대사, 조직세포구성, 발생학 등을 기반으로 바라민을 구분짓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초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고, 그렇게 함으로 보다 새로운 방법들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바라민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준들이 사용될 것이고, 여러 연관된 종들이 하나의 holobaramin으로 그룹 짖게 될 것이다. 린네의 생물분류체계 이후로, 창조생물학자들은, 어느 다른 두 종이 교배하여 자손을 낳을 수 있고, 그 자손이 계속 살아있다면, 그 다른 두 종은 같은 바라민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고전적인 분류체계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그룹들은 하나의 바라민에 속하게 될 것이다. 개과류(개, 코요테, 여우, 늑대), 소과류 (소, 영양, 양, 염소), 오리류(오리, 백조, 거위), 말류 (말, 제브라).
또 다른 바라민 분류 방법으로는 각 개체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겠는데, 그 기준으로는 완전 성장체의 외형, 염색체 구조, 분자생물학적 구성 등을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기초연구가 수행되어 여러 가지 기준들이 추가 발견되어야 할 것이다.
Discussion
새로운 생물분류 체계인 창조종류학(baraminolgy)은 너무나 새로운 분야이기에, 아직은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이 많고, 보다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창조생물학적 분류체계를 확립하고자하는 창조종류학은 기존의 학계에서 이미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생물정체성 이론이나 현재 생물학에서 팽배한 진화론보다도, 훨씬 설득력 있게 현존하는 생물체의 속성을 반영하게 될 것이다. 우선 생물체는 변한다. 개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는데, 16세기의 유럽에서는 개의 종류가 몇 안 되었으나, 400년이 지난 지금은 그 당시 개들의 변종이 무려 200 가지가 넘게 되었다. 이러한 빠른 변화는 신진화론자의 모델에 따른 변화라기 보다는, 현존하는 많은 변종이 발생될 수 있는 잠재력을 이미 400년 전 당시의 개들의 유전정보 내에 이미 있었고, 그 동안의 사람들에 의한 인위적인 교배로 말미암아 나타난 결과일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비둘기나, 꿩, 장미, 과실나무 등 수많은 현존하는 생물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겠다. 이는 또 다시 말하자면, 같은 바라민 내에서는 굉장히 빠르게 변하여 변종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것은 결국, 상위그룹 분류에 속하는 생물들 [예를 들면, 계(kingdoms), 문(phyla)] 상호간에는 그 차이가 너무 심하여 어떤 방법으로든 어떤 종을 한 그룹에서 다른 그룹으로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 상호간의 교배능력을 기반으로 분류하고자하는 노력도 그 한계성을 분명히 드러낼 것이다. 화석증거를 보더라도 상위그룹에 속하는 생물체들 간에는 소위 진화론자들이 주장하는 중간형태의 생물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 중간형태의 생물체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인간의 어떤 노력도 모두 수포로 돌아간 사실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이는 결국, 같은 바라민 내에서는 빠른 속도로 개체변종이 발생한다는 사실과, 바라민 보다 상위그룹에 속하는 생물 상호간에는 그러한 변화를 찾아 볼 수 없다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바라민적 생물관이 큰 설득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비록 지금은 이러한 바라민적 생물학에 기반한 연구사례가 몇 안 되지만, 그래도 좀 이른 결론을 내자면, 바라민은 평균적으로 볼 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생물분류체계에 있어서의 과(family) 정도에 - 종(species)보다는 2 단계 상위이며, 계(Kingdoms)보다 4단계 하위 - 해당된다고 할 수 있겠다.
*참조 : The Current Status of Baraminology.
https://www.creationresearch.org/crsq-2006-volume-43-number-3_current-status-of-baraminology
Bara-What?
http://www.answersingenesis.org/articles/am/v3/n4/bara-what
Identification of species within the cattle monobaramin (kind)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6113
Identification of species within the sheepgoat kind (Tsoan monobaramin)
http://creationontheweb.com/content/view/5973/
A baraminology tutorial with examples from the grasses (Poaceae)
http://creationontheweb.com/images/pdfs/tj/j16_1/j16_1_15-25.pdf
번역 - 미디어위원회
링크 - http://www.ankerberg.com/Articles/_PDFArchives/science/SC2W0799.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