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너구리의 생체형광은 창조주를 가리킨다.

미디어위원회
2020-12-03

 오리너구리의 생체형광은 창조주를 가리킨다.

(Glow-in-the-Dark Platypuses Illuminate the Creator)

by Jeffrey P. Tomkins, PH.D.


      오리너구리(platypus)는 아마도 지구상에서 가장 진화론을 거부하는 생물일 것이다. 오리너구리는 알을 낳고, 오리 같은 부리를 갖고 있으며, 비버처럼 꼬리를 갖고 있고, 수달처럼 빽빽한 털, 수영할 수 있는 물갈퀴 발, 전기자극을 감지하여 눈을 감고도 물속에서 사냥을 하며, 독이 있는 발톱을 휘두르는 포유류이다. 이제 이 놀라운 특성 목록에 새로운 것이 추가되게 되었다. 새로 밝혀진 사실에 의하면, 오리너구리는 “어둠 속에서 빛이 난다”는 것이다.[1] 

생체형광(biofluorescence, 생물형광)은 생물이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현상으로, 머리카락, 피부, 비늘, 깃털 등에 짧은 파장의 빛이 흡수된 후, 더 긴 파장의 빛이 특별한 생물물리학적 특성에 따라 다시 방출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생체형광은 어류, 파충류, 양서류, 조류 등 다양한 생물들에서 보고되어왔다.[2~7] 포유류에서, 털(fur)이 자외선에 노출되었을 때의 생체형광은 유대류인 주머니쥐(opossums)와 태반류인 날다람쥐(flying squirrels)를 포함하여 여러 야행성 생물군에서 보고되어왔다.[8, 9] 이제 포유류에 대한 새로운 연구 논문에서, 과학자들은 자외선 아래에서 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us) 모피의 형광을 보고했다. 이것은 단공류 포유류의 생체형광에 대한 최초의 보고이다.

연구자들은 두 다른 박물관에 있는 세 개의 다른 오리너구리 표본들을 자외선과 가시광선 아래에서 분석했다. 이전 연구에서 다른 포유류의 살아있는 표본과 박물관 표본에서 모피의 형광 사이에 차이가 없음을 발견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그들의 결과가 살아있는 오리너구리에서도 적용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자외선 아래에서 동물의 윗면(등쪽)은 강한 형광 파란색을 보였고, 밑면(배쪽)은 녹색과 파란색의 혼합을 나타냈다. 가시광선 아래에서 모피는 갈색이었다. 자외선을 인식하는 시각적 능력은 포유류 사이에 널리 퍼져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이러한 유형의 생체형광은 다른 동물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10]

그렇다면 생체형광 모피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생체형광 특성은 오리너구리와 같이 저조도(어두운) 조건에서 활동하는 생물들에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오리너구리는 황혼과 야간에 먹이 활동을 한다. 그리고 오리너구리는 물속에서 눈을 감고, 선천적인 기계적 감각과 전기적 감각 시스템을 기반으로 먹이를 구하기 때문에, 이 특성은 물속에서 다른 오리너구리를 시각화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육지에서 그리고 어둠 속에서 생체형광은 오리너구리가 다른 오리너구리와 상호작용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 특성은 다른 종류의 생물과 시각적 상호작용을 하는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점에서 우리가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이 하나 있다. 오리너구리는 진화론이 생물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설명하는데 실패했음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라는 것이다. 오리너구리는 매우 독특하기 때문에, 진화론자들은 오리너구리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당황하고 있고, 신화적인 진화계통나무에서 그 위치를 배정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오리너구리와 다른 모든 동식물들은 공통조상에서 진화된 것이 아니라, 초월적 지혜의 창조주가 창조하셨음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이전 자료 발췌> 생물형광 물고기 : 실제로 어둠 속에서 빛을 내는 물고기는 많다. Live Science(2014. 1. 8) 지의 보도에 의하면, 11목(orders) 180종의 물고기들이 생물형광(biofluorescence)을 보여주고 있는데, 어떤 것들은 자신의 몸체 전체가, 심지어 내부까지 그러하다는 것이다. 생물형광은 한 파장의 빛을 흡수하여 다른 파장의 빛으로 방출하는 과정으로, 효소 반응을 통하여 빛을 만들어내는 생물발광(bioluminescence)과는 다르다. 물고기는 태양의 푸른빛을 흡수하여, 녹색, 빨강, 오렌지색으로 다시 방출한다. 그것은 푸른빛이 필터로 제거됐을 경우에 볼 수 있다. 그 기사와 Science Now(2014. 1. 8) 지의 또 다른 글은 다른 종의 형광물고기들의 사진을 보여주고 있었다. 4분짜리 비디오는 연구자가 우연히 자신의 연구를 시작하게 됐던 계기를 설명하고 있었다. ”그곳 아래에는 빛을 내는 생물들이 있지만, 사람들은 그것을 결코 볼 수 없다”고 PLoS ONE(2014. 1. 8) 지 논문의 저자는 말했다.


References

1. Anich, P. S. et al. 2020. Biofluorescence in the Platypus (Ornithorhynchus anatinus). Mammalia. DOI: doi.org/10.1515/mammalia-2020-0027
2. Pearn, S. M., A. T. Bennett, and I. C. Cuthill. 2001. Ultraviolet Vision, Fluorescence and Mate Choice in a Parrot, the Budgerigar Melopsittacus Undulates. Proceedings Royal Society London B. 268: 2273-2279. doi.org/10.1098/rspb.2001.1813.
3. Weidensaul, C. S., B. A. Colvin, D. F. Brinker, and J. S. Huy. 2011. Use of Ultraviolet Light as an Aid in Age Classification of Owls. Wilson Journal Ornithology. 123: 373–377. doi.org/10.1676/09-125.1.
4. Sparks, J. S., et al. 2014. The Covert World of Fish Biofluorescence: a Phylogenetically Widespread and Phenotypically Variable Phenomenon. PloS One 9:e83259. doi.org/10.1371/journal.pone.0083259.
5. Gruber, D. F. and J. S. Sparks. 2015. First Observation of Fluorescence in Marine Turtles. American Museum Novitates. 3845: 1-8.
6. Lamb, J. Y. and M. P. Davis. 2020. Salamanders and Other Amphibians are Aglow with Biofluorescence. Scientific Reports. 10: 2821. doi.org/10.1038/s41598-020-59528-9.
7. Meisner, D.H. 1983. Psychedelic Opossums: Fluorescence of the Skin and Fur of Didelphis Virginiana Kerr. Ohio Journal Science. 83:4.
8. Pine, R. H., J. E. Rice, J. E. Bucher, D. J Jr Tank, and A. M. Greenhall. 1985. Labile Pigments and Fluorescent Pelage in Didelphid Marsupials. Mammalia. 49: 249-256. doi.org/10.1515/mamm.1985.49.2.249.
9. Kohler, A. M., E. R. Olson, J. G. Martin, and P. S. Anich. 2019. Ultraviolet Fluorescence Discovered in New World Flying Squirrels (Glaucomys). Journal of Mammalogy. 100: 21-30.
10. Douglas, R. H. and G. Jeffery. 2014. The Spectral Transmission of Ocular Media Suggests Ultraviolet Sensitivity is Widespread Among MammalsProceedings Royal Society B. 281: 20132995. doi.org/10.1098/rspb.2013.2995.

*Dr. Tomkins is Director of Research at the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and earned his doctorate in genetics from Clemson University.


*관련기사 : 오리너구리는 어둠 속에서 청록색으로 빛난다. (the Science Plus. 2020. 11. 3)

http://thescienceplus.com/news/newsview.php?ncode=1065610930800007


*참조 : 오리너구리의 진화는 아직도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59&bmode=view

가시두더지 수수께끼... 그리고 오리너구리 퍼즐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347&bmode=view

바닷물에 사는 오리너구리의 놀라움!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350&bmode=view

오리너구리 게놈은 진화론자들을 놀라게 한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391&bmode=view

진화론자들을 기절시킨 오리너구리 화석 : 1억1천2백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 단공류의 출현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22&bmode=view

오리너구리는 공룡들과 함께 살았다.

http://creation.kr/Circulation/?idx=1294929&bmode=view

하나님이 설계하신 생물발광 : 발광 메커니즘이 독립적으로 수십 번씩 생겨날 수 있었는가?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54&bmode=view

생물발광은 진화론을 기각시킨다.

http://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757444&bmode=view

어둠 속에서 빛을 발하는 생물들 : 생물발광과 진화론의 실패

http://creation.kr/animals/?idx=4347816&bmode=view

계속되는 생체모방공학의 성공 : 반딧불이, 나무, 피부, DNA, 달팽이처럼 만들라.

http://creation.kr/animals/?idx=1291138&bmode=view

반딧불 속에 감추어진 창조의 비밀

http://creation.kr/animals/?idx=1290954&bmode=view

‘수렴진화’라는 도피 수단 : 유사한 구조가 우연히 여러 번 진화했다?

http://creation.kr/Variation/?idx=1290444&bmode=view

‘수렴진화’라는 마법의 단어 : 여러 번의 동일한 기적을 주장하는 진화론자들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36&bmode=view

과도한 수렴진화는 진화론을 일그러뜨리고 있다 : 말미잘, 노래기, 유제류, 판다, 발광어, 백악기 조류, 육식식물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64&bmode=view

진화론의 가시가 되어버린 맹장 : 도를 넘은 수렴진화 : 맹장은 32번 독립적으로 진화했다?

http://creation.kr/Textbook/?idx=1289667&bmode=view

박쥐와 돌고래의 음파탐지 장치는 우연히 두 번 생겨났는가? 진화론의 심각한 문제점 중 하나인 '수렴진화'

http://creation.kr/Mutation/?idx=1289805&bmode=view

갑오징어의 색깔 변화는 TV 스크린 설계에 영감을 불어넣고 있다. 

http://creation.kr/animals/?idx=1291062&bmode=view

놀랍다! 심해 물고기는 색깔을 볼 수 있다.

http://creation.kr/animals/?idx=2803410&bmode=view


출처 : ICR, 2020. 11. 16.

주소 : https://www.icr.org/article/glow-in-the-dark-platypuses-illuminate-the-creator/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