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창조된 종류와 방주에 탄 종류에 대한 고찰

미디어위원회
2024-03-18

창조된 종류와 방주에 탄 종류에 대한 고찰

(Ruminating on Created Kinds and Ark Kinds)

Chad Arment


요약 :


    창조된 종류(created kinds)와 방주에 탄 종류(Ark kinds)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창조과학에서 핵심적인 문제이며, 특히 노아 홍수 전/후의 경계(Flood/post-Flood boundary)가 어디인지에 관한 논쟁과 관련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창조론자들의 바라민(baramin) 개념을 나타내는 분류학적 용어가 구약성경에 있는지를 먼저 살펴본다. 그런 다음 노아 방주에 탄 종류가 창조된 종류와 관련될 수 있는 세 가지 가능한 방법을 생물연대학적 데이터를 통해 평가하고 있다. 화석 기록의 증거들은 방주에 탄 종류에 대한 이해의 폭을 좁혀주고, 홍수 전/ 후의 경계 논쟁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에 빛을 비춰주고 있다.


  이 논문의 서론은 창조생물학(creation biology)에서 중요한 질문 중 하나인 성경 내에 창조에서 현재까지 이어지는 끊임없는 유전적 계통을 나타내는 분류학적 용어의 존재 여부를 탐구한다. 창조생물학에서 이러한 별도로 창조된 계통은 '바라민'(baramins, 창조된 종류)으로 불려지며, 각각은 주어진 잠재력, 지역, 또는 초기바라민(archaebaramin) 내에서 원래 창조된 생물들의 완전한 계통과 현재까지의 다양한 후손들을 포함하고 있다. 논문은 성경에서 생물학적 분류 자체가 존재하는지를 묻고 있다. 성경 내에서 “종류대로'(mîn)”라는 표현은 창조 단위를 나타내는 분류학적 용어로 제안되었으나, 현대과학의 분류와 직접적으로 동일하지는 않다. 성경에 나타난 동물들의 분류는 식용/비식용, 청결/부정, 혐오/비혐오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이는 식품법에서 사용된 분류 체계와도 일치한다. 이러한 분류는 생물학적 관점에서 봤을 때, 종류의 대표로서 각각의 동물이 지닌 다양한 형태와 종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논문은 레위기 11장의 깨끗한 곤충 목록을 예로 들어, 성경의 '종류대로'가 단순히 전체 바라민을 나타내지 않음을 주장한다. 대신, 이 표현은 한 종류의 추가적인 유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며, 먹을 수 있는 곤충의 종류를 예시로 들어 설명한다. 논문은 또한 노아 방주에 대해 논의하며, 방주에 탑승한 동물(방주에 탄 종류)들이 창조 때 만들어진 종류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홍수 전에 창조된 종류들이 홍수 후 다양화되었을 수 있는 여러 가능성들을 제시한다. 또한, 방주의 종류가 성경에 나타난 창조의 종류와 어떻게 다를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차이가 홍수 이후의 지질학적 경계선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다. 전반적으로, 이 논문은 창조생물학에서 '종류대로'라는 표현의 의미와 이것이 현대 생물학적 분류 체계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이것이 성경 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을 제공한다.


논문의 연구자들은 창조된 종류와 노아의 방주에 탑승한 종류(방주의 종류) 간의 관계에 대한 세 가지 가능성이 있는 해석을 고려하였다. 

옵션 1 : 방주의 종류는 창조된 종류와 본질적으로 같다. 

옵션 2 : 방주의 종류는 각 창조된 종류 내에서 중요한 모든 분기(최소한 속(genus) 수준)를 대표한다. 

옵션 3 : 방주의 종류는 각 창조된 종류 내에서 임의적으로 선택된 중요한 분기(최소한 속 수준)를 대표한다.


논문은 라이트너(Lightner)의 주장, 즉 "다수의 속(genus)이 제안된 홍수 전/후 경계를 넘나들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 부정확하다고 결론짓는다. 화석 기록 내에서, 노아의 방주에 홍수 전 생물들의 속이 탔을 가능성은 배제된다. 제안된 홍수 전/후 경계의 신생대 후기 모델(Upper Cenozoic Flood/post-Flood boundary models)에서 경계를 가로지르는 속들의 현저한 증가는 옵션 1과 옵션 3과 맞지 않는다. 홍수 전/후 경계의 신생대 후기 모델 찬성자들은 그들의 모델이 방주의 종류가 속 수준, 또는 그 이하일(옵션 2)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배치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다른 생물층서학적 주장도 있다(Arment 2020a; 2020b; Ross 2012; 2014). 논의를 위해서, 홍수 전/후 경계를 안전하게 백악기-팔레오기 경계(Cretaceous-Paleogene boundary)라고 가정할 경우, 옵션 1이 방주의 종류에 대한 가장 타당한 해석으로 남는다. 이 경우에, 바라민의 계통은 창세기 6장과 7장에서 민(mîn)으로 의도된 것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설명이다. 그렇다고 해서 구약성경에서 민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모든 경우를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할 필요는 없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들은 생물층서학이 홍수 이전의 세계, 방주에서 살아남은 생물들, 홍수 후 지형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필수적인 도구를 계속 제공한다고 결론짓는다.


논문 전문 바로가기 :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noahs-flood/ruminating-created-kinds-and-ark-kinds/


*참조 : 창조생물학적 생물분류체계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337&bmode=view

모든 곰 종들은 한 쌍의 곰 종류에서 유래했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71&bmode=view

코끼리와 매머드는 모두 한 종류였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78&bmode=view

뿔 달린 공룡들은 한 종류로 창조되었다 : 각룡류가 다양한 뿔과 주름을 가진 이유는?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79&bmode=view

개들의 다양한 품종과 변화의 한계 : 창조된 ‘종류(kind)’ 내에서의 다양성은 진화가 아니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73&bmode=view

릴리거(Liligers) : 창조된 종류에 대한 증거

https://creation.kr/Variation/?idx=1757459&bmode=view

종키(얼룩나귀), 지프(양염소), 그리고 노아의 방주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52&bmode=view

양배추의 다양한 종들에 진화는 없었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43&bmode=view

생명체의 종류와 종, 그리고 다양성

https://creation.kr/Variation/?idx=1290437&bmode=view

형질 변이와 종 분화는 무작위적 돌연변이가 아니라, 내장된 대립유전자에 의해서 일어난다.

https://creation.kr/Variation/?idx=17316410&bmode=view

도마뱀의 색깔 변화는 사전에 구축되어 있었다. : 1주일 만에 일어나는 변화는 진화론적 설명을 거부한다.

https://creation.kr/NaturalSelection/?idx=1757451&bmode=view

어떻게 아담은 단 하루 만에 모든 동물들의 이름을 지었을까? 

https://creation.kr/Topic502/?idx=13862684&bmode=view

그 많은 동물이 다 방주 안에?

https://creation.kr/Ark/?idx=1288306&bmode=view


출처 : ARJ 2022 Volume 15: pp. 391–404, 

요약 및 교정 : ChatGPT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