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 왜 하나님은 나쁜 일이 일어나도록 허용하시는가?
(Understanding death. Answering the question,
"Why does God allow bad things to happen?")
Gary Bates
우리들 대부분은 심지어 어린아이들까지도 우리가 죽어야 할 운명이라는 것을 껄끄럽게 생각한다. 우리 모두가 결국에는 죽을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매우 우울한 전망이다. 그리고 나는 개인적 경험을 통해서, 이것이 때때로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가까운 시일 내에 일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 중의 아무도 죽음을 좋아하지 않는다. 장수하시다 돌아가셨건, 너무 젊을 때 죽었건, 우리는 그들이 떠나는 것을 몹시 슬퍼한다. 상실의 고통은 우리로 하여금 아마도 ”왜?”라는 질문을 많이 하게 한다. ”결국 먼지가 될 것이라면,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그리고, ”왜 나인가?” 혹은 ”왜 우리인가?” 내 경험으로는, 대부분의 기독교인들도 이 질문과 싸우고 있다. 우리는 사랑이 많으시고 전능하신 우리의 창조주 하나님이 왜 그분의 귀한 자녀들이 고통을 겪고, 때로는 번민하다가, 결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하시는지 의아해 할 것이다.
사실상 그것은 아름다운 그림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단순히 그들이 이해할 수 없는 무서운 재앙들을 보고서, 하나님으로부터 등을 돌리는 비극적인 경우들이 있다. 그러나 죽음의 의미에 대한 이러한 갈등은 기독교인을 포함하여 사람들이 죽음을 진화론적으로 이해할 때(종종 자기가 진화론적 생각에 젖어있음을 인식하지 못한 채로) 상황은 더 악화된다. 그럴 경우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죽음은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개념을 포함하여, 약간의 틀린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한 개념으로는 다른 사람에게 만족스러운 답을 제공할 수 없다.
직설적인 간결한 해답은 창세기에서 발견할 수 있다. 성경은 진화론이 주는 잘못된 이해가 아니라, 올바른 역사에 의한 성경적 이해를 제공한다. 더욱이, 창조주 하나님이 우리의 비참한 처지를 아시고, 그에 관해 실제적으로 무언가를 행하셨다는 것을 실감할 때, 우리는 커다란 기쁨을 찾을 수 있다.
진화론에서 죽음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어느 정도까지는 세상의 진화론적 장구한 시간 개념에 영향을 받고 있다. 즉, 모든 생물들은 죽음의 곡조에 맞춰 춤을 춰왔고, 수억 수천만 년 동안 고통을 겪어 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교과서, 대학, 언론매체, 잡지, 박물관, 심지어 아이들 책을 통해서도 끊임없이 우리를 세뇌시켜 왔다. 이 ‘오랜 시간과 죽음’이라는 주제는 일종의 교리가 되어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진화론자이며 천문학자였던 칼 세이건(Carl Sagan)은 그가 진행했던 매우 유명한 TV 과학 시리즈인 ‘코스모스(Cosmos)’에서 이렇게 말했다 :
”진화의 비밀은 시간과 죽음이다. 최초 세포로부터 우리에 이르기까지 끊어지지 않은 실이 연결되어 있다.”[1]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들도 마찬가지로, 그의 진화론적 관점은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유명한 책 ‘종의 기원’이 보급시켰던 사상을 단순하게 반향하는 것일 뿐이다. 다윈은 이렇게 썼다 : ”따라서 자연의 투쟁으로부터, 기근과 죽음으로부터,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고상한 존재인 고등한 생물이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이다.”[2]
다윈에게 왕은 삶과 죽음의 권한을 가지신 예수님이 아니라, 죽음이었다.
다윈이 그의 이론을 주장하게 됐던 동기에 관해 많은 글들이 쓰여졌다. 다윈은 그의 자녀 세 명이 일찍 죽은 것으로 인해 심한 고통을 받았다. 많은 주석가들은 그가 사랑했던 10살짜리 딸 애니의 죽음이 궁극적으로 그가 가졌던 기독교 신앙의 흔적마저 파괴해 버렸다고 말한다. 그는 교회 출석을 그만 두었는데, 이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고 난 후에, 그렇게 했던 것과 같은 것이었다. 다윈은 이 세계는 무한히 오래 되었으며, 처음부터 죽음이 존재해왔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하나님’이 죽음과 고통을 만드신, 잔인하신 분이 되는 것이다. 다윈에게 왕(king)은 삶과 죽음의 권한을 가지신 예수님이 아니라(요한계시록 1:18), 죽음(사망)이었다.
이 "죽음이 왕이다"라는 주제는 심지어 대중 영화에서도 볼 수 있다. 공상과학 소설가로서 많은 영향을 주었던 허버트 조지 웰스(Herbert George Wells, 1866~1946, 타임머신, 투명인간, 우주전쟁 등을 씀)는 ‘다윈의 불독(Darwin’s bulldog)’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던 토마스 헉슬리(Thomas Huxley)의 밑에서 훈련받은 열렬한 진화론자였다. 2005년에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Stephen Spielberg)가 리메이크 했던 웰스의 공상과학소설 ‘우주전쟁(The War of the Worlds)’은 죽음과 투쟁에 관한 진화론적 교훈에 진정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나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웰스에게서 반기독교적인 개념을 발견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그 이야기는 (진화론적인 시간 틀로) 오랜 연대를 가진, 따라서 기술적으로 진보된 화성인들이 인류를 멸절시킬 목적으로 지구를 공격한다는 착상을 도입한다. 웰스는 이들 ‘우월한 외계인(superior aliens)’들이 인류를 어떻게 보았는지에 대해서 이렇게 썼다 :
”19세기의 마지막 해에, 사람처럼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이긴 하지만, 사람보다 더 위대한 지성적 존재가 이 세상을 날카롭게, 그리고 자세히 들여다보고 있다는 사실을 아무도 믿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이 여러 관심사로 바빴지만, 그들은 자세히 조사당하고, 분석당했다. 마치 한 방울의 물속에서 떼를 지어 이동하고 번식하는 덧없는 원생생물을 현미경으로 자세히 살펴보듯이, 그렇게 세밀하게 사람들을 관찰했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이란 덜 진화된 존재로서, 더 우등한 종에 의해 멸종될 존재일 뿐이라는 것이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화성인들은 지구상의 감염병에 걸려 죽고, 인간들은 면역되어 있었기 때문에 살아남는다. (웰스의 소설을 각색한) 그 영화는 이렇게 말한다. ”수십억 명의 죽음을 대가를 치르고, 인간은 면역력 즉, 이 행성의 무수한 생물들 중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따라서 어떤 사람도 헛되이 살거나, 헛되이 죽지 않는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은 ‘시간과 죽음’이고, 진화였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헛되이 죽는다. 개인에게 죽음 이후의 미래에 대한 소망은 아무것도 없다.
죽음에 관한 두 개의 대조되는 역사
진화론적 관점에서 죽음(death)은 우리를 진화시킨 좋은 일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여기에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고, 왜 우리가 여기에 있는지 논할 수도 없을 것이다.[4] 지진과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들을 통해서, 우리 주변에서 죽음을 볼 때, 또는 인간이 다른 인간에게 가한 잔학행위에 의한 죽음을 볼 때,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그러한 일들이 ‘자연적인’ 일이며, 하나님은 멀리 계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그런 생각에 빠지지 말라. 우리는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성경적으로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로마서 12:2).
우리는 성경의 렌즈를 통해서, 이러한 ‘악한 일’들은 보시기에 좋았던 이 창조세계에 무언가 비극적으로 크게 잘못되었다는 것을 강하게 기억해야만 하는 것이다.
태초에 하나님은 창조를 마치시고 ”심히 좋았더라”고 말씀하셨다(창세기 1:31). 진화론과는 대조적으로, 성경은 사망을 맨 나중에 멸망 받을 원수로 설명하고 있다.(고린도전서 15:26). 죽음이 하나님의 원래의 인간 창조의 일부가 아니었다면, 그것은 자연적이거나 ‘좋은’ 것일 수 없다. 성경은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 이전에는 죽음과 고통이 없었다고 매우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다.
”그러므로 한 사람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오고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들어왔나니 이와 같이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느니라”(로마서 5:12).[5]
그것은 죄다!
인간의 동료 인간들에 대한 잔학행위이든지, 아니면 끊임없이 반복되는 자연재해이든지, 근본적인 원인은 같다. 그것은 죄(sin)이다! (죄의 삯은 사망이다- 로마서 6:23). 창세기에 의하면,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창조세계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이 저주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창세기 3:17). 이것은 신약성경에서도 강조되어 있다. 로마서 8:20~22절은 말한다.
”피조물이 허무한 데 굴복하는 것은 자기 뜻이 아니요 오직 굴복하게 하시는 이로 말미암음이라 그 바라는 것은 피조물도 썩어짐의 종 노릇 한 데서 해방되어 하나님의 자녀들의 영광의 자유에 이르는 것이니라 피조물이 다 이제까지 함께 탄식하며 함께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을 우리가 아느니라.”
그런데 이 신약성경 구절에서는 어떤 소망을 말하고 있는 것인가? 그것은 더 이상 사망이 없는, 새롭게, 회복된 ‘보시기에 좋았던’ 창조를 말한다(요한계시록 21:4). 무언가를 회복한다는 것은 원래의 조건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왜 ‘우리 주변에 죽음’이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 줄뿐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해 준다. 창세기 역사의 적절한 기초 위에 지어진, 죽음에 관한 올바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면, ”내가 죽으면 나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그리고 ”하나님이 선하시다면 왜 죽음과 고통이 있는가?” 등과 같은 인생의 큰 문제를 이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사람에게 대답을 해줄 수 있는 것이다.
신자들에게 - 이제 죽음은 선한 일이다!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것은 그분의 영광을 드러내고, 그분과 영원한 교제를 갖기 위함이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는 영원히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죄가 우리를 망쳤기 때문에, 영원히 산다는 것은 우리를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히 분리하는 것이 되어버렸다. 또한 우리는 그분의 창조의 정점에 있었으며, 다스릴 권한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창조에 대해 큰 책임이 있었다(창세기 1:28). 우리의 행동이 그분의 창조 전체를 망쳐버렸다.
이것이 복음, 즉 전능하신 예수님의 바로 그 희생이 장엄하게 보여지는 이유이다. 하나님이 죽음의 저주를 제정하셨을 때, 그것은 사실상 인간이 이 타락한 세상에서 구출되고, 그들의 창조주와 화해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하신 것이다. 우리가 그분의 창조를 망쳐버렸음에도 불구하고, 창조주 자신이 그분의 영광을 버리고 우리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우리의 행동에 대한 치욕을 겪으셨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 일이 아닌가?
칼 세이건 역시 코스모스 프로그램에서 이렇게 말했었다. ”어딘가에 어떤 믿기지 않는 일이 알려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의 이 말은 옳았다. 그는 실제로 그러한 큰 질문을 숙고하고 있었지만, 슬프게도 죽음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 때문에, 단순하고도 간단한, 복음의 진리에 대해 눈이 멀었던 것이다. 확실히 그는 무신론자로 죽었으며, 비극적이게도 지금은 불신자로서 ‘둘째 사망’을 겪게 될 것이다(요한계시록 2:11; 20:6; 20:14; 21:8).
”왜 내가 아닌가?”
예수님은 하나님이 그 해를 악인과 선인에게 비추시며, 비를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게 내려주신다고 말씀하셨다(마태복음 5:45).[6] 신자나 불신자 모두 죄로 저주받은 이 행성을 동일하게 공유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구원하기 위해 우리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신자의 차이점은 하나님이 이 세상의 모든 죽음과 고통에 대해, 그리고 그들의 조건에 대해 무언가를 행하셨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보내셨다!(요한복음 3:16). 이것이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우리에게 나타내신 방법이다. 은혜란 공로 없이 받는 호의라고 되어 있다. 얼마나 맞는 말인가!
따라서 (죽음에 대해) ”왜 나인가?”라고 묻는 대신에, ”왜 내가 아닌가?”라고 물어야 할 것이다. 끔찍한 죽음의 유산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주신 하나님께 진정으로 감사하자.
Related Articles
Why would a loving God allow death and suffering?
Two histories of death
Crossing the thin red line: There are answers
Critique of the introductory chapter of Hugh Ross’ book A Matter of Days: Resolving a Creation Controversy
Thinking ‘upside-down’!
Is cancer ‘very good’?
The first book of public hygiene
Further Reading
Death and Suffering Questions and Answers
Creation: Why it Matters
References and notes
1. Segments from the TV shows of both Sagan and David Attenborough, featuring statements endorsing evolution, have been put to music in a video series called Symphony of Science. This one of Sagan’s is in the episode titled The Unbroken Thread.
2. Darwin, C., The Origin of Species, Sixth Edition, p. 463, Everyman’s Library, London and New York, 1956.
3. See Darwin’s bulldog—Thomas H. Huxley; creation.com/huxley.
4. There is a problem for those who reject evolution but accept the alleged geologic record of millions of years. The rock layers reveal countless fossils showing death and suffering of creatures. If the millions of years for the layers are correct then death would have been something that God has permitted well before any human appeared and hence before sin. This violates the necessity for the Gospel and a Saviour.
5. Though this verse in context specifically zeroes in on human death, the Scripture unmistakably indicates that this applied to all nephesh (soulish) life. See Sarfati, J., The Fall: a cosmic catastrophe, J. Creation 19(3):60–64, December 2005; creation.com/plant_death (including the ‘further reading’ web articles listed there).
6. This applies equally to rain as a blessing (e.g. watering crops, where unbelievers share in ‘common grace’) or a disaster (e.g. flood damage).
번역 - 이종헌
링크 - http://creation.com/understanding-death
출처 - Creation 35(1):42–44, January 2013.
죽음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 왜 하나님은 나쁜 일이 일어나도록 허용하시는가?
(Understanding death. Answering the question,
"Why does God allow bad things to happen?")
Gary Bates
우리들 대부분은 심지어 어린아이들까지도 우리가 죽어야 할 운명이라는 것을 껄끄럽게 생각한다. 우리 모두가 결국에는 죽을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은 매우 우울한 전망이다. 그리고 나는 개인적 경험을 통해서, 이것이 때때로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가까운 시일 내에 일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우리 중의 아무도 죽음을 좋아하지 않는다. 장수하시다 돌아가셨건, 너무 젊을 때 죽었건, 우리는 그들이 떠나는 것을 몹시 슬퍼한다. 상실의 고통은 우리로 하여금 아마도 ”왜?”라는 질문을 많이 하게 한다. ”결국 먼지가 될 것이라면, 우리는 왜 여기에 있는가?” 그리고, ”왜 나인가?” 혹은 ”왜 우리인가?” 내 경험으로는, 대부분의 기독교인들도 이 질문과 싸우고 있다. 우리는 사랑이 많으시고 전능하신 우리의 창조주 하나님이 왜 그분의 귀한 자녀들이 고통을 겪고, 때로는 번민하다가, 결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하시는지 의아해 할 것이다.
사실상 그것은 아름다운 그림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이나, 전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단순히 그들이 이해할 수 없는 무서운 재앙들을 보고서, 하나님으로부터 등을 돌리는 비극적인 경우들이 있다. 그러나 죽음의 의미에 대한 이러한 갈등은 기독교인을 포함하여 사람들이 죽음을 진화론적으로 이해할 때(종종 자기가 진화론적 생각에 젖어있음을 인식하지 못한 채로) 상황은 더 악화된다. 그럴 경우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죽음은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개념을 포함하여, 약간의 틀린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러한 개념으로는 다른 사람에게 만족스러운 답을 제공할 수 없다.
직설적인 간결한 해답은 창세기에서 발견할 수 있다. 성경은 진화론이 주는 잘못된 이해가 아니라, 올바른 역사에 의한 성경적 이해를 제공한다. 더욱이, 창조주 하나님이 우리의 비참한 처지를 아시고, 그에 관해 실제적으로 무언가를 행하셨다는 것을 실감할 때, 우리는 커다란 기쁨을 찾을 수 있다.
진화론에서 죽음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어느 정도까지는 세상의 진화론적 장구한 시간 개념에 영향을 받고 있다. 즉, 모든 생물들은 죽음의 곡조에 맞춰 춤을 춰왔고, 수억 수천만 년 동안 고통을 겪어 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교과서, 대학, 언론매체, 잡지, 박물관, 심지어 아이들 책을 통해서도 끊임없이 우리를 세뇌시켜 왔다. 이 ‘오랜 시간과 죽음’이라는 주제는 일종의 교리가 되어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예를 들면 진화론자이며 천문학자였던 칼 세이건(Carl Sagan)은 그가 진행했던 매우 유명한 TV 과학 시리즈인 ‘코스모스(Cosmos)’에서 이렇게 말했다 :
오늘날 대부분의 과학자들도 마찬가지로, 그의 진화론적 관점은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의 유명한 책 ‘종의 기원’이 보급시켰던 사상을 단순하게 반향하는 것일 뿐이다. 다윈은 이렇게 썼다 : ”따라서 자연의 투쟁으로부터, 기근과 죽음으로부터,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가장 고상한 존재인 고등한 생물이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이다.”[2]
다윈이 그의 이론을 주장하게 됐던 동기에 관해 많은 글들이 쓰여졌다. 다윈은 그의 자녀 세 명이 일찍 죽은 것으로 인해 심한 고통을 받았다. 많은 주석가들은 그가 사랑했던 10살짜리 딸 애니의 죽음이 궁극적으로 그가 가졌던 기독교 신앙의 흔적마저 파괴해 버렸다고 말한다. 그는 교회 출석을 그만 두었는데, 이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고 난 후에, 그렇게 했던 것과 같은 것이었다. 다윈은 이 세계는 무한히 오래 되었으며, 처음부터 죽음이 존재해왔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하나님’이 죽음과 고통을 만드신, 잔인하신 분이 되는 것이다. 다윈에게 왕(king)은 삶과 죽음의 권한을 가지신 예수님이 아니라(요한계시록 1:18), 죽음(사망)이었다.
이 "죽음이 왕이다"라는 주제는 심지어 대중 영화에서도 볼 수 있다. 공상과학 소설가로서 많은 영향을 주었던 허버트 조지 웰스(Herbert George Wells, 1866~1946, 타임머신, 투명인간, 우주전쟁 등을 씀)는 ‘다윈의 불독(Darwin’s bulldog)’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던 토마스 헉슬리(Thomas Huxley)의 밑에서 훈련받은 열렬한 진화론자였다. 2005년에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Stephen Spielberg)가 리메이크 했던 웰스의 공상과학소설 ‘우주전쟁(The War of the Worlds)’은 죽음과 투쟁에 관한 진화론적 교훈에 진정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나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웰스에게서 반기독교적인 개념을 발견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그 이야기는 (진화론적인 시간 틀로) 오랜 연대를 가진, 따라서 기술적으로 진보된 화성인들이 인류를 멸절시킬 목적으로 지구를 공격한다는 착상을 도입한다. 웰스는 이들 ‘우월한 외계인(superior aliens)’들이 인류를 어떻게 보았는지에 대해서 이렇게 썼다 :
간단히 말해서, 인간이란 덜 진화된 존재로서, 더 우등한 종에 의해 멸종될 존재일 뿐이라는 것이다.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화성인들은 지구상의 감염병에 걸려 죽고, 인간들은 면역되어 있었기 때문에 살아남는다. (웰스의 소설을 각색한) 그 영화는 이렇게 말한다. ”수십억 명의 죽음을 대가를 치르고, 인간은 면역력 즉, 이 행성의 무수한 생물들 중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따라서 어떤 사람도 헛되이 살거나, 헛되이 죽지 않는다.” 이 영화에서 주인공은 ‘시간과 죽음’이고, 진화였다! 그러나 사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헛되이 죽는다. 개인에게 죽음 이후의 미래에 대한 소망은 아무것도 없다.
죽음에 관한 두 개의 대조되는 역사
진화론적 관점에서 죽음(death)은 우리를 진화시킨 좋은 일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여기에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고, 왜 우리가 여기에 있는지 논할 수도 없을 것이다.[4] 지진과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들을 통해서, 우리 주변에서 죽음을 볼 때, 또는 인간이 다른 인간에게 가한 잔학행위에 의한 죽음을 볼 때, 대부분의 기독교인들은 그러한 일들이 ‘자연적인’ 일이며, 하나님은 멀리 계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그런 생각에 빠지지 말라. 우리는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성경적으로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성경의 렌즈를 통해서, 이러한 ‘악한 일’들은 보시기에 좋았던 이 창조세계에 무언가 비극적으로 크게 잘못되었다는 것을 강하게 기억해야만 하는 것이다.
태초에 하나님은 창조를 마치시고 ”심히 좋았더라”고 말씀하셨다(창세기 1:31). 진화론과는 대조적으로, 성경은 사망을 맨 나중에 멸망 받을 원수로 설명하고 있다.(고린도전서 15:26). 죽음이 하나님의 원래의 인간 창조의 일부가 아니었다면, 그것은 자연적이거나 ‘좋은’ 것일 수 없다. 성경은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아담과 하와의 불순종 이전에는 죽음과 고통이 없었다고 매우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다.
그것은 죄다!
인간의 동료 인간들에 대한 잔학행위이든지, 아니면 끊임없이 반복되는 자연재해이든지, 근본적인 원인은 같다. 그것은 죄(sin)이다! (죄의 삯은 사망이다- 로마서 6:23). 창세기에 의하면, 사람뿐만 아니라, 모든 창조세계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들이 저주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창세기 3:17). 이것은 신약성경에서도 강조되어 있다. 로마서 8:20~22절은 말한다.
그런데 이 신약성경 구절에서는 어떤 소망을 말하고 있는 것인가? 그것은 더 이상 사망이 없는, 새롭게, 회복된 ‘보시기에 좋았던’ 창조를 말한다(요한계시록 21:4). 무언가를 회복한다는 것은 원래의 조건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왜 ‘우리 주변에 죽음’이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게 해 줄뿐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강조해 준다. 창세기 역사의 적절한 기초 위에 지어진, 죽음에 관한 올바른 관점을 가지고 있다면, ”내가 죽으면 나에게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그리고 ”하나님이 선하시다면 왜 죽음과 고통이 있는가?” 등과 같은 인생의 큰 문제를 이해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다른 사람에게 대답을 해줄 수 있는 것이다.
신자들에게 - 이제 죽음은 선한 일이다!
하나님이 인간을 창조하신 것은 그분의 영광을 드러내고, 그분과 영원한 교제를 갖기 위함이었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는 영원히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우리의 죄가 우리를 망쳤기 때문에, 영원히 산다는 것은 우리를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히 분리하는 것이 되어버렸다. 또한 우리는 그분의 창조의 정점에 있었으며, 다스릴 권한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창조에 대해 큰 책임이 있었다(창세기 1:28). 우리의 행동이 그분의 창조 전체를 망쳐버렸다.
이것이 복음, 즉 전능하신 예수님의 바로 그 희생이 장엄하게 보여지는 이유이다. 하나님이 죽음의 저주를 제정하셨을 때, 그것은 사실상 인간이 이 타락한 세상에서 구출되고, 그들의 창조주와 화해할 수 있는 길을 제공하신 것이다. 우리가 그분의 창조를 망쳐버렸음에도 불구하고, 창조주 자신이 그분의 영광을 버리고 우리를 대신하여 십자가에서 죽으심으로, 우리의 행동에 대한 치욕을 겪으셨다는 것이 믿기지 않는 일이 아닌가?
칼 세이건 역시 코스모스 프로그램에서 이렇게 말했었다. ”어딘가에 어떤 믿기지 않는 일이 알려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그의 이 말은 옳았다. 그는 실제로 그러한 큰 질문을 숙고하고 있었지만, 슬프게도 죽음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 때문에, 단순하고도 간단한, 복음의 진리에 대해 눈이 멀었던 것이다. 확실히 그는 무신론자로 죽었으며, 비극적이게도 지금은 불신자로서 ‘둘째 사망’을 겪게 될 것이다(요한계시록 2:11; 20:6; 20:14; 21:8).
”왜 내가 아닌가?”
예수님은 하나님이 그 해를 악인과 선인에게 비추시며, 비를 의로운 자와 불의한 자에게 내려주신다고 말씀하셨다(마태복음 5:45).[6] 신자나 불신자 모두 죄로 저주받은 이 행성을 동일하게 공유하고 있으며, 그 영향으로부터 우리 자신을 구원하기 위해 우리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다.
신자의 차이점은 하나님이 이 세상의 모든 죽음과 고통에 대해, 그리고 그들의 조건에 대해 무언가를 행하셨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보내셨다!(요한복음 3:16). 이것이 하나님의 은혜와 자비를 우리에게 나타내신 방법이다. 은혜란 공로 없이 받는 호의라고 되어 있다. 얼마나 맞는 말인가!
따라서 (죽음에 대해) ”왜 나인가?”라고 묻는 대신에, ”왜 내가 아닌가?”라고 물어야 할 것이다. 끔찍한 죽음의 유산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주신 하나님께 진정으로 감사하자.
Related Articles
Why would a loving God allow death and suffering?
Two histories of death
Crossing the thin red line: There are answers
Critique of the introductory chapter of Hugh Ross’ book A Matter of Days: Resolving a Creation Controversy
Thinking ‘upside-down’!
Is cancer ‘very good’?
The first book of public hygiene
Further Reading
Death and Suffering Questions and Answers
Creation: Why it Matters
References and notes
1. Segments from the TV shows of both Sagan and David Attenborough, featuring statements endorsing evolution, have been put to music in a video series called Symphony of Science. This one of Sagan’s is in the episode titled The Unbroken Thread.
2. Darwin, C., The Origin of Species, Sixth Edition, p. 463, Everyman’s Library, London and New York, 1956.
3. See Darwin’s bulldog—Thomas H. Huxley; creation.com/huxley.
4. There is a problem for those who reject evolution but accept the alleged geologic record of millions of years. The rock layers reveal countless fossils showing death and suffering of creatures. If the millions of years for the layers are correct then death would have been something that God has permitted well before any human appeared and hence before sin. This violates the necessity for the Gospel and a Saviour.
5. Though this verse in context specifically zeroes in on human death, the Scripture unmistakably indicates that this applied to all nephesh (soulish) life. See Sarfati, J., The Fall: a cosmic catastrophe, J. Creation 19(3):60–64, December 2005; creation.com/plant_death (including the ‘further reading’ web articles listed there).
6. This applies equally to rain as a blessing (e.g. watering crops, where unbelievers share in ‘common grace’) or a disaster (e.g. flood damage).
번역 - 이종헌
링크 - http://creation.com/understanding-death
출처 - Creation 35(1):42–44, January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