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씹고 삼키기 : 이러한 복잡한 협력 시스템은 설계를 가리킨다.

미디어위원회
2024-02-08

씹고 삼키기 : 이러한 복잡한 협력 시스템은 설계를 가리킨다.

(Chewing and Swallowing

: Examining the Complex Design of These Coordinated Systems)

Dr. Jerry Bergman



요약 :


   이 논문은 동물의 음식 섭취 시스템의 진화에 대한 증거를 살펴보고 있다. 가장 단순한 시스템은 세포 내로 흡수하는 세포내이입(endocytosis)이고, 다음으로 복잡한 시스템은 음식을 통째로 삼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복잡한 시스템은 음식을 더 작고 삼키기 쉬운 조각으로 나누어 씹고 삼키는 것이다. 이 중요한 진화론적 진화에 대한 화석이나 기타 증거는 관련 문헌에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진화의 단계를 설명할 수 있는 그랬을 것이라는 이야기(just-so stories)도 제시되지 않고 있다. 현존하는 증거들을 고려할 때, 가장 합리적인 시나리오는 무(無)에서 유(有)가 창조되었다는 것이다.


 

서론에서는 동물들이 영양분을 섭취하는 두 가지 주요 방법, 즉 단세포 동물에서 일반적 방법인 세포내이입(endocytosis)과 확산(diffusion), 두 번째는 입을 통한 섭취(다세포 동물에서 발견되는)에 대해 설명한다. 세포내이입은 세포 외부의 물질을 세포 내로 흡수하는 과정이며, 이는 식작용(phagocytosis, cell eating)과 음세포작용(pinocytosis, cell drinking)으로 나뉜다. 입(mouth)은 모든 동물에 존재하며, 외부에서 구강으로 들어가는 입구와 먹이를 먹을 수 있는 소화관의 시작 부분으로 구성된다.(Chen et al. 2017). 입의 진화는 진화론자들에게 난제로, 입이 진화 과정에서 단 한 번만 생겨났다는 결론에 이르렀다.(Chen et al. 2017). "입의 단일 기원에 대한 증거는 foxA 및 otx2 유전자를 포함하여, '입 유전자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유전자들의 집합이 보존되어 있는 것이다.“(Chen et al. 2017). 다른 증거로는 알려진 모든 동물의 입들이 생식 배아의 외배엽 층과 내배엽 층의 결합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도 있다.

다세포 동물 중 첫 번째로 정의된 입을 가진 것은 산호, 해파리 등을 포함하는 이배엽동물(diploblasts)이다. 동물들은 통째로 삼키거나 씹어서 음식을 섭취하는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하며, 이 모든 시스템은 입에서 항문까지 완전히 기능적이고 운영 가능할 때까지 생존할 수 없다. 이 복잡한 시스템은 진화론에 커다란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문에서는 파충류와 포유류의 소화계와 소화 과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파충류의 경우, 대부분의 종들이 이빨을 갖고 있으며, 이 이빨들은 주로 먹이를 붙잡는 데 사용된다. 파충류의 이빨은 대개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먹이를 삼키는 방식도 특이하다. 예를 들어 뱀은 먹이를 통째로 삼키며, 이를 위해 특별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반면, 포유류는 복잡한 저작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이는 여러 구조와 기능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만 작동된다. 포유류의 저작 시스템은 식사를 위해 음식을 씹고, 삼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는 다양한 근육, 신경, 혈관 등이 관여하며, 음식의 물리적 분해 및 효율적인 소화를 위해 중요하다. 또한 진화론적 관점에서 포유류의 저작 시스템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진화론자들은 유전자 돌연변이와 자연선택이 진화의 주 메커니즘으로서 말하고 있지만, 포유류의 저작 시스템이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이는 포유류가 식사를 위해 필요한 여러 복잡한 구조들이 모두 생겨나 기능적으로 통합되기 전까지, 생존할 수 없었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은 진화론에 커다란 문제를 제기한다고 결론짓는다.


결론적으로 논문은 구강, 저작, 소화계의 진화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증거가 없다고 결론짓고 있다. 과학 문헌 검토 결과, 진화론적 '그냥 그랬을 것이다'라는 이야기조차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관의 진화에 대한 증거 부족은 "입이 진화 과정 중 한 번만 생겨났고, 모든 동물들 사이에 입에 관한 기본적 측면이 유지되어왔다"라는 결론에 이르게 했다(Chen et al. 2017). "위장관 형태의 진화"와 같은 논문은 생물들 사이의 위장관 구조의 차이에 대해서만 말하고, 단순히 진화가 그 차이의 원인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Riddle et al. 2019). 하버드 대학의 에른스트 마이어(Ernst Mayr) 교수는 화석 기록에 의하면 갑자기 새로운 유형의 생물들이 나타나며, 그 직전 조상들이 이전 지질층에서 결여되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었다. 이러한 관찰은 입, 삼킴, 관련 구조들의 진화에 대한 주장은 잘못되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이 시스템은 '무에서(ex nihilo)'부터 창조되었음을 가리키고 있는 것이다.


논문 전문 바로가기 :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biology/chewing-swallowing-examining-complex-design-systems/


*참조 : ▶ 경이로운 인체 구조 - 몸

https://creation.kr/Topic104/?idx=6558262&bmode=view

▶ 경이로운 인체 구조 - 치아

https://creation.kr/Topic104/?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57501&t=board

▶ 관측되지 않는 진화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60103&t=board

▶ 캄브리아기 폭발

https://creation.kr/Topic203/?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62418&t=board


출처 : ARJ 2023 Volume 16: pp.457–461

요약 및 교정 : ChatGPT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