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창조설계

문어의 번식 방법은 진화론을 거부한다.

미디어위원회
2024-06-20

문어의 번식 방법은 진화론을 거부한다.

(Argonauts, octopuses, and death)

by Bruce Lawrence


    문어(octopus, 낙지)는 이상하게 생긴 아름다운 생물이다. 많은 종류의 문어들은 독특하고 환상적인 특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거의 모든 문어들은 공통점을 갖고 있는데, 냉정한 죽음의 번식 주기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아르고노트(argonaut, paper nautilus, 조개껍질을 갖고 있는 문어, 조개낙지, 집낙지)는 암컷이 매우 독특한 모습을 갖고 있는 문어 종이다. 암컷 아르고노트는 수컷보다 훨씬 크고, 탄산칼슘으로 만든 껍질을 갖고 있다. 수컷은 다른 문어 종들과 마찬가지로 번식에 사용되는 특수한 팔(specialized arm)을 갖고 있다. 이 팔은 수컷의 생식세포를 운반하여 암컷에게 전달한다. 하지만 여기서 유사성은 빠르게 끝이 난다.

16e9d0db1a10b.png

.아르고노트 (Argonaut). <Photo: © Rudie Kuiter, oceanwideimages.com>


수컷 아르고노트는 이 특수한 팔을 몸에서 분리할 수 있는 독특한 능력을 갖고 있다. 분리된 팔은 스스로 암컷에게 헤엄쳐 가서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암컷의 몸 안에 보관된다. 수컷 아르고노트는 일반적인 문어의 생물학적 특성을 이용해 이를 달성한다. 문어에는 9개의 뇌(nine brains)가 있다. 각 팔에 하나의 뇌가 있고, 머리에도 하나의 뇌가 있다. 문어의 팔에 있는 흡입 컵에는 후각기관도 있다(문어는 사물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 따라서 각 팔은 분리된 후에도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문어의 경우 이 특성이 번식에 활용된다.

수컷은 몸집이 훨씬 큰 암컷에게 잡아먹히지 않기 위해, 생식용 팔을 분리한다. 뇌와 후각이 장착된 팔은 암컷에게 헤엄쳐가도록 하는 임무를 수행한 후, 나중에 그 팔을 사용할 수 있도록, 팔을 보관할 수 있는 특수한 방으로 들어간다. 수컷은 이 팔을 잃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1] 수컷의 죽음은 번식을 위해 피할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것은 설계된 죽음과 고통의 사례로 보인다.


문어는 짝짓기 후 죽도록 창조되었을까?

타락(Fall)을 염두에 두고, 문어에 대해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것을 바탕으로, 우리는 무엇을 추론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문어와 문어의 번식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우리가 아는 것은 문어의 암수 모두 번식 후 죽음이 시각샘(optic gland)에 의해서 원인 된다는 것이다. 시각샘은 번식을 위해 몸을 준비하면서 매우 활발해지지만, 또한 시각샘은 (무엇보다도) 소화계의 종료를 시작한다.

그 결과 암컷은 서서히 굶어 죽지만, 수컷은 방향 감각을 잃고 색깔이 변하여, 굶어 죽기 훨씬 전에 잡아먹히는 경우가 많다. 암컷으로부터 시각샘을 수술로 제거하면, 암컷 문어는 번식 이후에도 계속 살며, 먹이를 구하러 둥지를 떠난다.[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것의 많은 부분은 문어의 콜레스테롤 생산량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문어에서 보여지는 행동 변화와 과도한 콜레스테롤 생성을 초래하는 유전적 장애를 앓고 있는 다른 생물 사이의 연관성이다. 그 기사는 인간 어린이에서 관찰되는 비슷한 상황에 주목하고 있다. 그 기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7-DHC의 높은 수치는 인간에게 독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7-DHC를 콜레스테롤로 전환하는 효소의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스미스-렘리-오피츠 증후군(Smith-Lemli-Opitz Syndrome)이라는 유전적 장애의 특징이다. 이 장애를 가진 어린이는 문어의 수명이 다한 행동을 연상시키는, 반복적인 자해를 포함하여, 심각한 발달 및 행동 장애를 겪는다.

이러한 발견은 문어의 콜레스테롤 생산 과정이 중단되면,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어의 노화(senescence)에 대한 연구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지만, 이번 발견은 문어가 원래 짝짓기 후에 죽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오히려 이것은 유전적 쇠퇴(genetic deterioration)의 산물이다. 더 큰 태평양줄무늬문어(Pacific striped octopus)는 여전히 시각샘을 갖고 있지만, 번식 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들은 작은 태평양줄무늬문어의 시각샘을 연구하여, 이 콜레스테롤 문제가 왜 발생하지 않는지 알아볼 계획이다.[3]


죽음, 친밀, 그리고 새끼들

문어는 일반적으로 짝짓기 후에 죽는다. 문어는 한 번의 번식을 위해 살며, 최고의 짝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이 과정에서 암컷은 종종 수컷을 잡아먹으려고 시도하기 때문에 수컷은 매우 조심해야 한다. 매우 차가운 분위기이다. 수컷은 조심스럽게 암컷에게 다가가 정자 꾸러미를 전달하려고 시도하고, 수컷은 암컷이 자신을 먹으려고 할 때를 대비해 도망칠 준비를 한다. 수컷은 정자 꾸러미를 암컷에게 전달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죽는다. 암컷은 훨씬 더 오래 생존한다. 암컷은 알을 낳은 후에도 둥지에 남아 새끼들을 보호한다. 이 과정에서 암컷은 둥지를 떠나 먹이를 수집하는 일을 하지 않는다. 암컷은 서서히 굶어 죽고, 변색되고, 심지어 자기를 먹는 행위(self-cannibalize)를 시작한다.


문어 노화에 대한 연구는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지만, 이번 발견은 문어가 원래 짝짓기 후에 죽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오히려 그것은 유전적 쇠퇴의 산물이다.


진화론은 이 이상한 번식 방법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진화론은 무작위적 돌연변이가 일어나, 한 생물이 성공적으로 번식할 수 있었던 방법을 바꾸었다는 것이다. 진화론은 생물이 자신을 더 잘 방어할 수 있거나, 더 많은 새끼를 낳거나, 적은 수의 새끼를 낳지만 번식하기 전까지 죽을 확률을 낮추는 방식으로 일어났다고 주장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적자생존'은 생물체가 얼마나 강하고, 똑똑하고, 튼튼한가에 관한 것이 아니다. 자연선택은 단지 “차등번식(differential reproduction)”일 뿐이다. 경쟁자보다 더 빠른 속도로 번식하는 생물이 '적자'가 되는 것이다. 이제 이 점을 명확히 했으니, 진화론자들이 이 번식 방법을 어떻게 설명하려고 시도했는지 살펴보자.


개체수의 과잉 방지?

문어의 자연적인 짧은 수명은 급격한 개체수 과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고 제안되었다.[4] 이것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인다. (왜 번식을 제한하는 것이 성공적으로 진화될 수 있었을까?) 과거 문어의 진화 과정에서 많은 문어 개체군이 너무도 빨리 증식하여, 그 결과 붕괴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돌연변이를 일으킨 문어는 개체 수가 지속 불가능한 속도로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새롭고 오래 지속되는 개체군을 형성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것이다.

5e3ea6bd5a57b.png

.태평양줄무늬문어(Pacific striped octopus)


물론 개체수 조절을 위해 진화했다는 생각은 큰 태평양줄무늬문어와 작은 태평양줄무늬문어를 보면 기각된다. 이 태평양줄무늬문어(Pacific striped octopus)는 번식과 사회적 행동이라는 두 가지 영역을 제외하고는, 다른 문어 종들에 비해 특별하지 않다. 큰 태평양줄무늬문어 중에서도 암컷과 수컷은 더 부드럽고 친밀한 구애 과정을 거친다. 수컷은 먹히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짝짓기를 할 때 두 개의 주둥이를 감싸 안는다. 이후 암컷은 알을 낳고, 수컷은 알이 부화하는 동안 암컷과 함께 생활하며, 암컷과 먹이를 나눠 먹는다. 알이 부화하면 수컷과 암컷은 둥지에 머물며 새끼를 돌본다. 다른 종들과 달리 수컷과 암컷은 번식 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한 후 곧바로 죽지 않는다. 대신 계속 살아서 여러 번 번식을 한다.


이 번식 방법이 우월하다면, 진화는 왜 본질적으로 같은 생물에서 정반대의 번식 방법을 선호했을까? 번식 방법의 진화는 모든 생물에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지 않는가? 이것은 진화론이 실제 생물학에서 쓸모없다는 이유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한 번의 산란에 대한 진화론적 정당성은 개체 수 과잉을 막기 때문에 유익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태평양줄무늬문어는 일생동안 여러 번 산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번식 방법이 더 우월하다는 진화 이야기도 있다. “이 종의 암컷은 또한 여러 개의 알을 생산할 수 있어 첫 알을 낳은 후 죽는 다른 종보다 우월하다.”[5]. 이 번식 방법이 우월하다면, 진화는 왜 본질적으로 같은 생물에서 정반대의 번식 방법을 선호했을까? 번식 방법의 진화는 모든 생물에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하지 않는가? 이것은 진화론이 실제 생물학에서 쓸모없다는 이유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일회 번식과 반복 번식 중 어느 것이 먼저였을까?

또한 어느 것이 먼저였는지에 대한 질문도 제기된다. 일회 번식(single reproduction) 방식이 먼저였다면, 개체 수 과잉이 일어나지 않아 이것을 막기 위한 진화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반대로 내가 참고한 논문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반복(여러 번) 번식(multiple reproduction)이 독창적이고 우월하다면, 왜 자연선택은 대부분의 문어 품종에서 번식 성공을 방해하는 번식 방법(일회 번식)을 선호했을까? 고 필립 스켈(Philip Skell) 박사의 말처럼 말이다 :

나는 다윈의 진화론이 뚜렷한 근거를 제공하지는 못했음에도, 흥미로운 이론으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을 알았다.... 거기에서 언급된 노력은 실험생물학이 아니라, 이미 검증된 현상, 즉 인간 본성 같은 것을 다윈주의적 용어로 설명하려는 시도였다. 또한 그러한 것들에 대한 진화론적 설명은 종종 너무도 임의적이다 : 자연선택은 인간을 이타적이고 평화롭게 만드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기중심적이고 공격적으로 만든다. 또는 자연선택은 충실한 보호자이자 부양자인 수컷을 선호할 때를 제외하고, 열심히 씨를 퍼뜨리는 정력적인 수컷을 선호한다. 설명이 너무 유연해서(양쪽을 다 설명) 어떤 행동을 설명하는 경우, 이를 실험적으로 테스트하기가 어렵고, 과학적 발견의 촉매제로 사용하기 매우 어렵다. 다윈주의 진화론은 다른 장점이 무엇이든 간에, 실험생물학에서 유익한 휴리스틱(heuristic, 발견법)을 제공하지 못한다."[6]

대부분의 진화론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공개적으로 말할 수 있을 만큼, 정직하고 용감한 진화 과학자들이 가끔씩 있다는 것에 대해, 우리는 감사할 수 있다.

“의사, 수의사, 농부, 기타 생명과학에 종사자에게 필수적인 것은, 수억 수천만 년 전에 어떻게 생겨났을지에 대한 추측이 아니라, 생물체가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다.” -필립 스켈(Philip Skell) 박사.[7]

큰 태평양줄무늬문어에 대한 향후 연구가 무엇을 밝혀낼지 지켜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이지만, 우리가 이미 알 수 있는 것은 진화론적 이야기 지어내기가 통찰력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Published: CMI, 1 December 2022


*전에는 진화론자였던 핀란드의 생화학자 마티 레이솔라(Matti Leisola) 박사는 진화에 대한 모호한 정의로 인해, 진화론은 아무것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며 이렇게 말한다 :

진화는 속도가 빠를 때를 제외하고, 느리고 점진적이다. 진화는 수억 년 동안 모든 것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역동적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엄청난 변화를 일으킨다. 진화는 극단적인 복잡성과 우아한 단순성을 모두 설명할 수 있다. 진화는 새들이 어떻게 나는 법을 배웠는지, 어떤 새들은 어떻게 그 능력을 잃어버렸는지를 말해준다. 진화는 치타를 빠르게 만들었고, 거북이를 느리게 만들었다. 진화는 어떤 생물은 크게 만들었고, 어떤 생물은 작게 만들었다. 진화는 어떤 생물은 아름답게 만들었고, 어떤 생물은 지루할 정도로 단순하게 회색으로 만들었다. 진화는 물고기를 걷게 만들었고, 걷던 동물을 바다로 돌아가게 만들었다. 그것은 수렴될 때를 제외하고, 분기되었고, 쓰레기(junk)를 만들 때를 제외하고, 미세하게 조정된 정교한 디자인을 만들어낸다. 진화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진행될 때를 제외하고, 무작위적이며 방향이 없다. 진화 중인 생물들은 이타주의적 행동을 보여줄 때를 제외하고, 잔인한 전쟁터이다. 진화는 미덕과 악행, 사랑과 증오, 종교와 무신론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점점 더 많은 부수적인 가설들과 함께 이 모든 것을 진행하고 있다. 현대 진화론은 많은 이론들로 구축된 루브 골드버그(Rube Goldberg, 미국의 만화가 루브 골드버그가 고안한 연쇄 반응에 기반한 기계) 장치이다. 그리고 이 모든 사색적 독창성의 결과는 무엇일까? 폐기된 플로지스톤(phlogiston) 이론처럼, 그것은 아무것도 잘 설명하지 못하면서, 모든 것을 설명한다. 


References and notes

1. Catchpoole, D., Amazing argonauts, Creation 38(1):34-37, 2016; creation.com/argonauts. 

2. O’Toole, T., Octopus Surgery Has a Surprising End: Longer Life, The Washington Post, 1 Dec 1977. 

3. Wood, M., Changes in cholesterol production lead to tragic octopus death spiral, biologicalsciences.uchicago.edu, 12 May 2022. 

4. Wodinsky, J., Hormonal Inhibition of Feeding and Death in Octopus: Control by optic gland secretion, Science 198(4320):948–951, 1977. 

5. larger Pacific striped octopus, americanoceans.org. 

6. Philip Skell, ‘Why Do We Invoke Darwin? Evolutionary theory contributes little to experimental biology’, The Scientist 19(16):10, 29 August 2005. 

7. Skell, P., The Dangers of Overselling Evolution, 23 Feb 2009, forbes.com. See also creation.com/skell. 


Related Articles

The Fall: a cosmic catastrophe

Amazing argonauts

The Octopus

The mimic octopus


Further Reading

Nephesh chayyāh

‘It’s not science’

Science, Creation and Evolutionism


*관련기사 : 문어에 관한 놀라운 비밀 10가지 (2024. 3. 19. 청색경제뉴스)

https://www.blueconom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500

똑똑한 문어, 새끼 깨어나면 자해하며 죽는다…도대체 왜? (2022. 5. 17.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ecology_evolution/1043136.html


*참조 : 문어

https://creation.kr/Topic1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507360&t=board

우스꽝스러운 진화이야기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60069&t=board

관측되지 않는 진화

https://creation.kr/Topic40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60103&t=board


출처 : CMI

주소 : https://creation.com/octopus-death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오경숙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