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by Gavin Cox
개요 : 노아와 대홍수의 개념이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신앙에 혼합되어 있었을까? 이러한 개념은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된, 여덟 명의 창조 신들이 등장하는, 이집트의 신화적 우주론인 '헤르모폴리스의 오그도아드(Hermopolitan Ogdoad)‘에서 찾아볼 수 있다. 2부로 구성된 이 글에서는 이 여덟 신과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이집트 제5왕조의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증거부터 조사를 시작하여, 관 텍스트(Coffin Texts, 관구문, 죽은 사람의 관 속에 미라와 함께 넣어두는 장례 문서),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파라오 신전 비문(Pharaonic temple inscriptions) 등을 조사하여, 역사를 통해 후대까지 진행하겠다. 본 저자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홍수 이야기의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10가지 사항들에 대한 탐색 또는 예측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며, 이는 이 연재 글의 기초가 될 것이다.
-----------------------------------------------------------
이집트 역사에서 노아와 대홍수의 흔적을 찾아보려 하지 않는 이유
간단히 말해, 이것은 세계관의 문제이다. 현대 성서학은 창세기 초기 장들이 전설이 아닌, 다른 것(역사)로 간주하는 개념을 버렸다. 한 세기 이상 동안 창세기는 바빌로니아 신화, 특히 에누마 엘리시(Enuma elish)에서 창조와 홍수 이야기를 빌려왔으며, 창세기 1-11장은 바빌로니아 유배 기간, 또는 그 이후에 제사장인 편집자 'P'의 작품이라고 주장해 왔다. 다시 말해, 노아와 그의 아들들 같은 신화 속 인물이나, 신화 속 전 지구적 홍수를 찾아볼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이러한 의문을 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바빌론이 아닌 다른 곳에서 이러한 신화의 근원을 찾을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Photo 7024110 / Pyramid © Luciano Mortula | Dreamstime.com>
성경 : 노아와 대홍수
히브리어 성경은 그리스어 '아이깁토스'(Aigyptos, Αἴγυπτος)에서 유래한 오늘날의 ’이집트(Egypt)‘ 영토에 대한 이름과 노아의 가족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있다.[1] 시편에는 이집트를 노아의 손자인, 함(Ham)의 아들 '미스라임(Mizraim)'으로 네 번이나(시 78:51, 105:23, 27, 106:22) 부르고 있으며, 이 셈어 명칭인 '미스라임'은 히브리어 성경에 약 680번이나 등장한다.
창세기 외에도 노아와 홍수는 역대상 1:4; 이사야 54:9; 에스겔 14:14,20 등의 구절에 등장한다. 신약성경에는 누가복음 3:36절의 예수님 족보에서 노아와 셈은 역사적 인물로서 등장한다. 예수님은 노아 시대의 홍수라는 현실을 바탕으로, 그분의 재림과 그에 수반되는 보편적인 죄의 심판을 언급하고 계신다(마 24:37-38, 눅 17:26-27). 신약성경의 기자들은 노아를 역사적 인물로서, 대홍수를 전 지구적 사건으로 취급하고 있다(히 11:7, 벧전 3:20, 벧후 2:5). 성경이 일관되게 노아와 대홍수를 역사적 사건으로 취급하고 있다면,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 따라서 노아와 대홍수는 분명 어떤 형태로든 역사에 흔적을 남겼을 것이므로, 성경 외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500여 개가 넘는 홍수 전설들이 알려져 있지만[2], 이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찾아볼 것이다.
주의 : 홍수인가, 대홍수인가?
이집트가 존재한 이래로 나일강은 매년 범람해 왔으며,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에 의존했기 때문에, 매년 홍수를 종교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파라오의 책임은 창조세계(마아트, ma’at)의 균형을 유지하여, 나일강의 홍수로 농작물과 건물이 파괴되거나, 수량 감소에 의한 식량 부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홍수'를 언급하는 모든 텍스트들은 문맥을 면밀히 파악하여, 나일강의 홍수를 성경의 전 지구적 홍수 개념에 적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3]
창세기 연대기에 의하면, 노아와 셈은 아브라함의 시대까지 살았다.
창세기 5장과 11장에 나오는 MT(마소라 사본)의 연대기에 의하면, 노아의 아들 셈은 아브라함의 시대에도 살아있었다. 이는 특히 연대기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더욱 분명해지는데(그림 1 참조), 노아가 죽었을 때 아브라함이 태어났고, 셈은 아브라함과 상당 기간을 같이 살았음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노아와 그의 가족들의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긴 수명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노아와 그의 가족들을 알고 있었고, 그들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사람들에게 노아와 그의 가족들은 놀랍고, 심지어 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졌을 것이다. 게다가 노아의 가족들은 홍수 이전의 모든 지식, 기술, 역사,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참된 믿음을 가지고 홍수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관련 질문을 하고,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탐색 사항 또는 예측들을 설정하여 진행할 수 있다(그림 2).

그림 1. 창세기 5장과 11장은 노아의 후손들이 상당 기간을 같이 살았음을 보여준다(after Paul Hansen[4]). (확대 사진은 여기를 클릭).
검토
성경 본문에 기초하면, 이집트는 바벨탑 이후의 문명으로 이해해야 한다(창세기 11:1-9). 노아와 그의 가족, 대홍수가 세속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면, 이집트의 초기 기록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카라(Saqqara)에 있는 제5왕조 피라미드는 BC 2321~2306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연대가 평가되어 있는데, 여기서 발견된 문서는 이집트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5] 그러나 성경적 시간틀을 가정할 때, 이러한 전통적인 이집트 연대는 피라미드의 건설 시기를 노아 홍수 당시(BC 2304±11년)로 설정하기 때문에[6], 받아들일 수 없다.
창세기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노아의 아들 함과 손자인 미스라임은 노아의 가족과 대홍수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비록 이교화된 형태이긴 하지만) 이집트에 정착했다. 그러나 함과 그의 가문은 배교에 빠졌을 가능성이 높다(창세기 9:20~27절의 의미에 비추어 볼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으로부터 전해 내려온 창조와 대홍수에 관한 설명은 우상 숭배로 인해 변질되었지만, 진실의 일부 측면이 간직되어 있었을 것이다.
노아와 그의 가족 : 신격화된 조상들
창세기 9:28~29절과 11:11절에 따르면, 노아와 셈은 각각 950년과 600년을 살았으며, 주변 사람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 홍수에서 살아남아 인류 지식의 총합을 새로운 세계로 가져가 새로운 삶을 시작한 노아와 그 아들들은 이교도 종교에서 신격화된 조상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집트의 파라오들이 관련 문헌에서 그들을 신으로 언급했을까? 따라서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파라오의 비문에서 홍수와 여덟 명의 기억에 대한 언급이 있는지 찾아볼 것이다.
노아의 그의 가족이 신격화된 조상으로서 이교적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면, 그들만의 성전과 사원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그들의 신전과 설화, 전통적 문서들에서 '8인 숭배(cult of the eight)'가 존재했을 것이 예측된다.
또한 노아, 함, 셈, 야벳의 이름이 고대 이집트의 고유명사학(onomastics, 지명학이나 인명학)에 보존되어 있어야 하며[7], 만약 함이 그의 아들들에 지식 등을 전수했다면, 그 이름도 보존되어 있어야 한다. 히브리어 성경과 이집트 언어와 비교했을 때, 이름뿐만 아니라, 그 의미도 전승되었다는 증거를 보여주어야 한다.
문명의 창시자(founders)가 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발명가/선구자 시조'로 사용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즉, 발명한 사람들은 그들의 이름이 발명품에 남아있는 경향이 있다.[8]

그림 2. 성경 본문을 기반으로 한 10가지 탐색 사항 : 1)가장 오래된 문서들, 2)이름들과 8이라는 숫자, 3)홍수 개념, 4)창조 개념, 5)신격화 된 조상들, 6)파라오 관련 문헌, 7)사원과 숭배, 8)이집트식 이름 대 히브리식 이름, 9)8명의 무덤, 10)이름들의 시조.
그렇게 긴 수명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아의 가족은 결국 죽었는데, 그들은 어디에 묻혔을까? 함과 그의 아들 미스라임은 당연히 이집트에 묻혔을 것이므로, 홍수에서 살아남은 여덟 명의 무덤들은 실제 시신은 아니더라도, 그들에 대한 기억을 남겨놓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덤의 비문에서 그들과 대홍수를 분명히 언급하고 있는, 그러한 무덤이 있을까?
여기서 논의한 탐색 기준/예측은 노아와 그의 아들들, 대홍수를 다룬 성경 본문의 함의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되는 것들이다. 그들의 경험은 비범했기 때문에, 세계사, 특히 이집트 역사 및 종교에 어떤 종류의 발자취를 남겼을 것이며, 이는 식별될 수 있어야 한다.
어디에서부터 시작할까? - 오그도아드(Ogdoad)의 소개
이집트학자들은 그리스어로 ‘오그도아드(Ogdoad)’로 알려진, '여덟 명의 신들 그룹(a group of eight gods)‘을 잘 알고 있다. 이 단어는 현대 상형문자 음역에서는 ḫmnw (Khemnw, 켐뉘)로 표기된다. 오그도아드는 후기 프톨레마이오스(Ptolomaic) 시대와 로마(Roman) 시대의 문서들에서도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신학적 추측을 불러일으켜 왔다.[9] 이집트 학자 데이비드 실버만(David Silverman)은 눈(Nun)이라고 불리는 물의 심연(watery abyss)에서 우주가 창조되었다는, 이집트의 우주론적 신학에서 오그도아드의 역할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 일련의 추상적 개념으로, 물(water, Nu, Nun)의 이름에 깃든 가장 기본적인 특성인 물성(nwj), 무한성(hhw), 어둠(kkw), 문자 그대로 '잃어버림(tnmw)', 또는 숨겨짐(jmnw) ... 이들은 보통 네 쌍의 남신과 여신으로 묘사되며, 서로 남성과 여성에 대응하는 이름을 갖고 있다 : 누(Nu, Nun)와 누네트(Nunet, Naunet), 헤흐(Heh, Huh)와 헤헤트(Hehet, Hauhet), 켁(Kek, Kuk)과 케켓(Keket, Kauket), 아문(Amun, Ammun)과 아무네트(Amunet, Amuanet). 이 여덟 신들을 '오그도아드(Ogdoad)'라고 하는데, 이들은 '최초의 신들 이전에 있었던 아버지와 어머니'인 창조주 신들로 숭배받았다..."[10]
고고학자들이 지금까지 발견한 오그도아드의 가장 오래된 완전한 이름과 그림은 바하리야 오아시스(Bahariya Oasis)에 있는 엘-바위티(El-Bawiti) 제26왕조 무덤(BC 664-525년)에서 나온 것이다. 1942년 파크리(Fakhry)가 이곳을 발굴한 결과, 엘-바위티 마을의 부유했던 개인 무덤 4기가 발견되었다. 두 사람(Ba-n-nentiu and Ped’ashtar)의 무덤에는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그림이 새겨진 비문이 보존되어 있어 특히 흥미롭다(그림 3).

그림 3. 오그도아드가 공기의 신(air-god)인 슈(Shu)를 도와 하늘을 지탱하고 있다(from Fakhry[11]).

그림 4. 오그도아드가 네 명의 신과 함께 슈(Shu)를 도와 하늘을 지탱하고 있다.(from Fakhry[12]).
그림 3(하단부)에 묘사된 오그도아드는 의인화된 뱀 머리(이집트인들에게 물과 관련된 생물)를 하고 있으며,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머리 위에는 카르투시(cartouches, 카르투슈) 안에 이름이 적혀 있다. 그림 4(하단)는 오그도아드를 원숭이(이집트인들이 창조 당시 첫 일출을 숭배하는 것과 관련된 생물)로 묘사하고 있으며[13], 이름 없는 그림이 중왕국 초기 신전의 비문에 등장한다(2부 참조). 두 그림 모두 오그도아드가 하늘을 지탱하는 공기의 신 슈를 도와주고 있으며, 위로 태양신 레(Re, Ra, 라)의 태양의 배(solar bark, 태양의 껍질 배)가 항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은 나중에 고대 파라오 비문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집트인들은 이집트 우주론에서 오그도아드의 역할이 창조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즉, 눈(Nun, 이집트식 태고의 홍수 개념) 안으로 하늘이 다시 무너지는 것을, 창조물이 출현한 혼돈의 상태로 되는 것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창세기 1장에 드러난 창조의 개념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며, 홍수 이야기에서 테홈(tehôm, Great Deep, 큰 깊음)의 역할에도 반영되어 있다. 이 신들의 이름은 머리 위에 카르투시로 쓰여 있으며, 다음과 같다. 최고 신은 누(Nu)로, 노아와 발음적으로 비슷하며, 누의 아내는 여성형인 누네트(Nunet, Naunet)이다. 다른 신들은 헤흐와 헤헤트, 켁과 케켓, 아문과 아무네트이다.[14] (이 이름들의 현대식 음역은 다음과 같다: nw, nw.t; ḥḥ, ḥḥ.t; kk, kk.t; jmn, jmn.t. 그 의미는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지만, 별도의 기사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남성 이름인 누, 헤흐, 아문, 켁은 노아, 야벳, 셈, 함의 이집트식 종교적 이름이라고 나는 확신한다(배우자 이름은 같은 이름의 여성형일 뿐이다). 이 이름들의 의미를 간단히 비교해 보겠다(표 2 참조). 이는 가설일 수 있지만, 별도의 글에서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의미 : 노아와 아들들 대 오그도아드의 이름
히브리어 성경에서 이름의 의미는 관련된 음성 어근(phonetic roots, 일반적으로 단어의 핵심 소리를 형성하는 세 글자)에서 확립된다.[15] 이는 특히 창세기에서 볼 수 있는데, 창세기에서는 이름의 의미를 확립하기 위해서, 관련 소리 단어의 관점에서 이름을 자주 사용한다. 구약에는 80개 이상의 명시적인 어원(etymologies)들이 있는데, "사람과 장소를 지정하는 고유명사는 음성적 대응(일치)에 따라 의미 해석이 주어진다"는 것이다.[16] 노아의 이름의 의미는 창세기 5:29절에서 라멕이 노아를 예언적으로 명명할 때, "안위(comfort)"라는 관련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것에서 유추할 수 있다. 셈과 야벳의 이름은 술에 취한 후에 노아의 축복과 저주(창 9:25~28)에서 이해될 수 있다. 셈은 자신의 정체성/"이름(name)"을 여호와(YHWH)와 공유하며(셈의 하나님), 야벳의 축복은 "창대하게(enlarge)" 될 것이라고 말한다. 두 축복은 모두 아들의 이름에 해당하는 음성적 대응어를 사용하고 있다. 표준 히브리어 사전[17]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관련 어근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를 정의한다(표 1).

표 1. 노아, 함, 셈, 야벳의 관련 어근
오그도아드 이름들의 의미는 그 이름이 등장하는 본문의 문맥적 증거에서 파생되었다. 이집트 학자 제랄딘 핀치(Geraldine Pinch)는 이 이름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
"누와 그의 아내 누네트는 태고의 바다(primeval waters)의 신들이고... 아문과 아무네트는 보이지 않는 힘(invisible power) 또는 생명의 호흡(breath of life)의 신들이고... 켁과 케켓은 태고의 어둠(primeval darkness)을 나타내고... 헤흐와 헤헤트는 태고의 바다에서 강한 해류(strong currents)를 형상화했을 것이다."[18]
"단일 헤흐(single Heh) 신은 '수많은' 또는 ‘영원’을 나타내는 상형문자였다."[19]
표준 이집트어 사전에 따르면[20], 표 2에서 선정한 오그도아드 이름과 어원을 공유하는 어휘는 다음과 같다.[21]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예는 일반적으로 이집트 고왕국(Old Kingdom) 시대에 나온 것이 선호된다.

표 2. 오그도아드 이름과 관련된 이집트어의 어근
표 1과 2를 비교해 보면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오그도아드 남성 이름과 동등한 의미 또는 유사한 개념으로 겹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아(Noah) 이름의 "안위"와 "평안"의 측면은 nw라는 공통된 어근으로 공유되고 있다. 함(Ham)의 "어둠"은 켁(Kek)과 공유되고 있다. 셈(Shem) "이름"의 정체성은 "(이름의) 숨겨짐", "비밀" 또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단어의 어근으로 나타나는 아문(Amun)과 공유된다. "창대"를 의미하는 야벳(Japheth)은 "수많은" 및 "영원"과 어근을 공유하는 헤흐(Heh)와 비슷한 개념을 갖고 있다. 또한 각 어근 nw, kk, jmn, ḥḥ 들은 모두 그 자체가 홍수(flood)라는 뜻이 들어있는데, 이는 주목할만한 관찰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는 가설이 성립될 수 있다 :
노아 ≈ 누
함 ≈ 켁
셈 ≈ 아문
야벳 ≈ 헤흐
이 연결은 흥미롭고 추가 조사가 필요하므로, 더 많은 증거들은 별도의 기사에서 논의할 것이다.

그림 5. 이집트 사카라(Saqqara)에 있는 조세르(Djoser)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ped pyramid). (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개빈 콕스, 1999년 사진).
피라미드 텍스트에 나타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고왕국(Old Kingdom) 말기의 파라오 피라미드(현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20km 떨어진 사카라(Saqqara) 평야에 위치)의 벽과 회랑에 오늘날의 학계에서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PT)로 알려진 글들이 새겨져 있었다. 사카라는 이집트에서 최초로 건설된 피라미드인 조세르왕(Djoser, 제3왕조)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ped pyramid)가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림 5를 참조하라.[22] 제5왕조 텍스트는 사후 세계에 대한 매우 난해한 주문이 쓰여져 있는데, 고대 이집트에서 보존된 가장 오래된 종교적 언어 기록이다. 이러한 마법의 주문을 피라미드에 도입한 최초의 파라오는 제5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던 우나스(Unas, W)였다. 이 글들은 그의 매장실에서 발견되었다(아래 그림 6 참조).

표 3.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용어의 발생 빈도.
다른 흥미로운 피라미드들로는 페피 메리레 1세(Pepi Meryre I) 피라미드, 네이트 여왕(Queen Neith, Nt, 페피 1세의 딸) 피라미드, 메렌레(Merenre) 피라미드 등이 있다. 여기에는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이름들이 발견되는데, 특별히 우나스 피라미드(Unas pyramid)에는 W 301§446로 철자가 되어 있는 두 쌍의 누와 누네트, 아문과 아무네트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24] 네이트 여왕의 방에 있는 피라미드 텍스트 585§1580b-1581에는 오그도아드를 이름 없는 집단으로, 또는 그들에게 헌정된 도시일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25](2부를 보라), 메렌레 피라미드와 페피 메리레 1세 피라미드(740§2270 and 585§1580b-1581)에서도 반복되고 있다.[26] 대홍수에 대해서도 두 용어가 등장한다. 신성한 칭호인 mḥy.t-wr.t("Great Flood")는 W 317§508에 등장하며, Nt 493§1059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대홍수(Great Flood) 위에 있는 오시리스(Osiris)처럼, 네이트(Neith)가 그곳에서 와서 네[페르](Ne[per])처럼 먹게 하소서."[27] "대홍수"의 다른 용어는 페피 1세 피라미드와 우나스 피라미드에서도 Ꜣgb.w-wr로 나타나고 있다. 이집트 학자인 포크너(R.O. Faulkner)의 번역본 PT311§498-500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
"...곤경에 처한 자들과 그것을 파괴하려는 자들과 함께 맹렬한 격랑(fierce roaring)(?)에 맞서라. 내가 당신에게로 향할 때, 그들이 반대하지 않기를 바란다... 대홍수(Great Flood)라는 당신의 이 이름..."
이 대홍수 제목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다. 피라미드 텍스트를 분석해 보면,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모든 이름들은 신의 이름이거나, 인격체가 아닌 '대홍수(Great Flood)'라는 두 단어와 함께 우주적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에는 모든 사례가 요약되어 있다.
제시된 증거들로부터, '오그도아드'라는 용어는 '대홍수'에 대한 두 단어와 함께 신성한(신의) 이름 또는 우주적 개념으로, 피라미드 텍스트 전체에서 그 제목과 함께 등장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 이름들은 가장 오래된 이집트 텍스트에 나타나기 때문에, 후대에 발명된 것이 아니라고 확신할 수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대홍수에 대한 두 단어는 나중에 논의될 텍스트에서도 등장하는데, 그 범위는 우주적이고 종교적인 것이며, 나일강의 홍수와 관련하여 사용된 적이 없다).
관 텍스트 속의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이러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의 이름과 개념이 이집트 역사의 후기 단계까지 남아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려면, 다음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 기록인 '관 텍스트(Coffin Texts, CT, 코핀텍스트, 관구문)'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관 텍스트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Middle Kingdom, BC 1980~1760년경)에 관(coffins)에 장식되어 있는 장례 주문(funerary spells)을 나타낸다(그림 7).[28] 관 텍스트라는 이름은 중왕국의 부유했던 이집트인들의 관 내부, 드물게는 관 외부에 잉크로 쓰여졌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29] 그리고 파피루스(papyri), 미라 가면(mummy masks),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 무덤 벽, 석비(stelae) 등에서도 희귀한 텍스트가 발견되었다.[30] 관 텍스트는 찬가, 기도문, 마법 주문 등 다양한 장르로 이루어져 있다. 주제는 신, 악마, 사후세계의 장소에 대한 식별 등이 포함되며, 종종 매우 난해하고 뒤죽박죽이며,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31] 이러한 관 텍스트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사후 세계에 대한 안내서로 간주하는 소장품으로, 고왕국의 피라미드 텍스트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32] 다음 관 텍스트의 기록된 주문은 오그도아드를 논의하는 관점에서 흥미를 끌 수 있다.

그림 6. 우나스 피라미드의 3D 평면도. (in Lehner)[23]
오그도아드의 일원인 헤흐(Heh)의 이름에서 따온, "8명의 혼돈의 신들(eight Chaos-gods)"이라는 제목의 글은 CT 76, 78-81[33] ('슈의 책(Book of Shu)'으로 알려져 있음. 슈는 공기의 신 이름)에 등장하며, "혼돈의 신들(Chaos-gods)"이라는 제목은 CT 48, 50, 75, 107에 등장한다. 이들은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포크너의 번역에서 발췌).[34]

그림 7. 엘-비르사(el-Birsha)의 이것과 유사한 관에는 관 텍스트가 새겨져 있다.
관 텍스트의 여덟 혼돈의 신들(Chaos-gods, Ḥeḥ-gods)
76:1 "하늘의 방을 책임지는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6 혼돈과 심연과 어둠과 어둠 속에서 혼돈의 신들을 다시 낳은 나는... 7 내가 창조한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심연이 창조되었을 때 아툼(Atum)이 만든 너희들의 이름... 8 아툼이 혼돈과 어둠과 어둠 속에서 누(Nu)와 그 안에서 말을 했을 때..."
78:2 "너희 슈(Shu)가 잉태한... 누(Nu)가 낳은... 여덟 혼돈의 신들이여..."
79:23 "너희 슈에서 나온 여덟 혼돈의 신들이여, 그 이름은... 아툼이 혼돈과 심연과 어둠과 암흑 속에서 누의 말씀에 따라 창조한 것이다..."
80:1 "오,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너희 팔로 하늘을 에워싸는 진정한 혼돈의 신들아... 나는 혼돈의 신들을 만들었고 영원하다..."
81:3 "여덟 혼돈의 신들 위에 낭송되리니..."
107:118 "오 누(Nu), 혼돈의 신들과 함께..."
665:1 "게브(Geb)가 그 옆에 앉았고, 혼돈의 신이 나가고... 분쟁을 일으키는 자들은 처형(?)되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약탈을 일으키고, 홍수(Ꜣgb)를 예언하고, 투쟁이 올 때 정해진 것을 보고..."
1130:470 "내가 대홍수(Great Flood, Ꜣgb-wr)를 만들었다... 나를 위해 길을 준비하라, 누(Nuw)와 아문(Amun)을 볼 수 있게 하라."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신성한 이름, 또는 비인격적 암시가 있는 관 텍스트
포크너[35]의 관 텍스트에 등장하는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이름과 그에 상응하는 어휘들의 목록은 표 4에 나와 있다. 이들은 신의 이름, 또는 우주적 힘으로 나타나있다.

표 4. 오그도아드의 이름 및/또는 우주적 힘이 등장하고 있는 관 텍스트들.
CT 1130은 켐뉘(Khemnw, Eight City, 후에 논의)의 시립묘지인 엘 비르사(el-Bersha)에서 발견된 다섯 개의 관(그림 7, 대영 박물관, EA30842)으로부터 알려진 것이다. CT 1130에는 대홍수(Great Flood)를 의미하는 Ꜣgb-wr 라는 용어와 함께, 오그도아드의 이름 누(Nu)와 아문(Amun)을 볼 수 있다. 문맥상 대홍수를 창조의 "좋은 행위"로 묘사하고 있는 것 같다. 그 후에 인류의 반역(sbi)과 불순종이 언급되고, 신의 눈물로부터 인간을 창조하는 것을 다루는 구절이 나온다. '홍수'라는 용어가 관 텍스트(CT, Coffin Texts)에 등장하지만, 문맥이 혼동되거나(CT 1130의 경우처럼), 너무 짧아서, 어떤 종류의 홍수인지, 즉 유익했던 나일강의 홍수를 언급하는지, 우주적인 하늘의 홍수 또는 심판으로 보내진 전 지구적 홍수를 언급하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위에서 언급한 CT 665는 예외일 수 있는데, 이는 헤흐(Ḥeḥ) 신에 의한 심판의 맥락에서 홍수 구절로 읽힌다.
이 CT(관 텍스트) 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1. 오그도아드 이름은 중왕국의 관 텍스트(CT)에서 신들 이름과 우주적 힘으로 모두 등장한다.
2. 켐뉘(Khemnw, 오그도아드의 여덟 도시)와 여덟 혼돈의 신(ḥḥ)이라는 용어가 관 텍스트에 함께 등장한다.
3. nw는 신의 이름과 비인격적인 우주적 힘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4. kk는 일반적인 우주적, 비인격적 용어이다.
5. nw, tnm.w, ḥḥ는 신들의 이름과 비인격적, 우주적 개념으로 발생한다. (여기서 tnm.w는 PT 585§1579에서 파생된 오그도아드의 아문(Amun)의 대체 이름으로 인식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36]
6. 비인격적, 우주적 개념/힘의 중요한 사중주는 신성한 칭호인 여덟 혼돈의 신과 함께 나타난다: nw, kk, ḥḥ, tnm.w. 이 조합은 특히 CT 76에서 이 사중주가 12번, CT 79, 80에서 한 번씩 함께 명명된 것이 특히 두드러진다.
7. 켐뉘 + 혼돈의 신들은 CT 50에서 함께 등장하는데, 이는 오그도아드의 장소와 혼돈의 신들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8. CT 1130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누(Niw)와 아문(Amun)은 우주적 힘으로서 ḥḥ와 함께 나타나 있는데, 이들은 창조(creation), 인간의 반역(rebellion, sbi), 대홍수(Great Flood, Ꜣgb-wr)를 언급한 구절에서 등장한다.
9. CT에서 홍수라는 단어는 자주 등장하지만, 그 문맥이 너무 짧거나, 홍수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판단하기 너무 애매한 경우가 많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역사적 사건으로서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대홍수를 기록하고 있는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10가지 탐색 사항들 또는 예측을 확인해보았다. 이러한 예측은 대홍수, 노아와 그의 아들들이 종교와 문화에 영향을 끼쳤을 것을 고려한 것이었다. 성경은 이집트와 함, 그의 아들 미스라임을 분명히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이집트에 집중하였다.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 문헌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기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 제기되었다. 1부의 글은 이러한 목적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제26왕조 종교적 문헌에서 알려져 있던 8명의 신들 그룹(group of eight gods)이 유력한 후보로 확인되었고, 이들은 4명의 남성 신들과 그들의 배우자인 여성 신들(그리스인들에게는 오그도아드로, 이집트인들에게는 '여덟'이라는 뜻의 켐뉘로 알려져있음)로 구성되었다. 이 신들은 눈(Nun)이라고 불리는 물의 심연과 관련된 이집트의 우주론적 사상과 분명히 연결되어 있으며, 신들의 머리 위 카르투시에 쓰여진 완전한 이름을 갖고 있다. 오그도아드의 가장 우두머리인 남성 신은 누(Nu)라고 불리는데, 이는 성경의 노아(Noah)와 발음적으로 비슷하다. 노아와 아들들의 히브리어 이름의 의미를 오그도아드의 남성 신들의 이름과 비교해 보면, 직접적인 의미나 병렬적인 개념 측면에서 흥미로운 연관성이 드러난다.
예측 1은 이 이름들은 고대 이집트의 기록에서 보여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이름들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텍스트인 제5왕조 피라미드 텍스트(5th Dynasty Pyramid Texts)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신성한 칭호(신들의 이름) 또는 우주적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텍스트들은 후대의 역사에서 알려진 ‘오그도아드(Ogdoad)’를 구성하고 있는 이름들과 함께, 켐뉘(Khemnw, 여덟 신 또는 오그도아드의 도시인 '여덟 도시'를 의미, 2부 참조)와 대홍수(Great Flood)라는 두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이름들은 고대 이집트 중왕국의 관 텍스트(Middle Kingdom Coffin Texts)으로 알려진, 이어진 자료 기록들에서도 추적될 수 있다.
2부 글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에 대해 알려진 사례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장례 비문과 신전 비문을 포함한 후기 텍스트 자료들을 조사할 것이다. 별도의 글에서는 노아의 가족과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어적 의미와 종교적 측면의 연관성에 대해 더 조사할 것이다.
감사의 말
이 논문의 초기 초안을 검토하고,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 주시고, 익명의 검토자의 추가 의견을 제공해 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23년 3월 24일 CMI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References and notes
1. “Egypt” is possibly derived from the Greek pronunciation/corruption of the ancient Egyptian name Hwt-Ka-Ptah(meaning “Mansion of the Spirit of Ptah”), being the temple of Aneb-Hetch, an ancient capital city of the first nome of lower Egypt, called “Memphis” by the Greeks.
2. Conolly, R. and Grigg, R.,Flood! Creation 23(1):26–30, 2000. Also, creation.com/many-flood-legends, accessed 8 February 2019.
3. There are specific Egyptian terms for the Nile flood e.g. Wb 3, 42.11–43.4; 13–14Hapj.
4. creation.com/images/pdfs/other/timeline_of_the_bible.pdf, accessed 1 February 2019.
5. Hornung, E., Krauss, R., Krauss, M.E., and Warburton, D.A. (Eds.), Ancient Egyptian Chronology, Leiden, p. 491, 2006.
6. Osgood, J. The Date of Noah’s Flood, J. Creation 4(1):10–13, 1981; creation.com/the-date-of-noahs-flood.
7. The study of the history and origin of proper names, especially personal names.
8. en.wikipedia.org/wiki/List_of_inventions_named_after_people.
9. The classic treatment of Sethe, von K.Amun und die acht Urgötter von Hermopolis. Eine Untersuchung über Ursprung und Wesen des ägyptischen Götterkönigs,, Berlin, 1929, and more recently Zivie-Coche, C.,‘L’Ogdoade à Thèbes à l’époque ptolémaïque et ses antécédents’, Documents de Théologies Thébaines Tardives, 167–225, 2009, have concentrated on Roman and Ptolemaic sources for the Ogdoad.
10. Silverman, D.,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20–121, 1997.
11. Fakhry, A.,Baḥria Oasis Vol. 1, Cairo, p. 72, 1942.
12. Fakhry, ref. 11, p. 75.
13. Pinch, G.,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Press, New York, p. 176, 2002.
14. Hornung, E. (Baines, J. trans.),Conceptions of God in Ancient Egypt: The one and the many, Ithaca, NY, pp. 218, 1996.
15. Weingreen, J., A practical grammar for classical Hebrew,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p. 99–100, 1959.
16. Marks H., Biblical Naming and Poetic Etymology, J. Biblical Literature114(1):21–42, 1995; p. 61.
17. Harris, R.L., Archer, G.L. Jr., and Waltke, B.K.,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Moody, Chicago, IL, 1980.
18. Pinch, ref. 13, p. 176.
19. Pinch, ref. 13, p. 139.
20. Grapow, H. and Erman, A.,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Berlin, 1961, and its online descendant at aaew.bbaw.de/tla/index.html, accessed 12 February 2019.
21. A separate article will offer more in-depth evidence. Only roots possessing the same hieroglyphic ‘spelling’ as used in the Ogdoad names were considered, and not merely their phonetic values.
22. Djoser’s pyramid was designed by the priest architect Imhotep who is arguably the most famous non-royal Egyptian.
23. Lehner, M.The Complete Pyramids Solving the Ancient Mysteries, Thames & Hudson Ltd, London, p. 155, 1997.
24. “Recitation. You have your bread-loaf, Nu and Naunet, you pair of the gods, who joined the gods with their shadow; you have your bread-loaf, Amun and Amaunet, you pair of the gods, who joined the gods with their shadow”. Allen, J.P.,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Atlanta, GA, p. 55, 2005.
25. Silverman, ref. 10, p. 121.
26. “Recitation. Sun, Neith has negated crookedness for the Lord of the Ogdoad. [Neith] is the eighth [of them]”. Allen, ref. 24, p. 312. And Faulkner sup. 81.
27. Schenkel, W., Loprieno, A., and Quack, J.F.,The Organization of the Pyramid Texts, Brill, Boston, MA, p. 399, 2012.
28. Hornung, ref. 5, p. 491.
29. Faulkner, R.O.,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Clarendon, Oxford, UK, preface, 1969.
30. Hornung, E. (Lorton, D., trans.),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London, p. 7, 1999.
31. Lichtheim, M.,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 The old and middle kingdoms, Berkeley, CA, p. 131, 1973.
32. Bard, K.A. and Shubert, S.B.,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London, p. 972, 1999.
33. Faulkner, ref. 29, pp. 77, 81–87.
34. Faulkner, ref. 29, “Chaos-gods”, pp. 44, 47, 72, 78.
35. Faulkner, R.O.,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II: Spells 355-787, Aris and Phillips, Warminster, UK, 1977; Faulkner, R.O.,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III: Spells 788-1185, Aris and Phillips, Warminster, UK, 1978.
36. Allen, J.P.,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Atlanta, GA, pp. 435, 438, 2005.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6792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3(3): 94–101, December 2019.
주소 : https://creation.com/noah-in-egypt-1
번역 : 양승원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1)
by Gavin Cox
개요 : 노아와 대홍수의 개념이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신앙에 혼합되어 있었을까? 이러한 개념은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된, 여덟 명의 창조 신들이 등장하는, 이집트의 신화적 우주론인 '헤르모폴리스의 오그도아드(Hermopolitan Ogdoad)‘에서 찾아볼 수 있다. 2부로 구성된 이 글에서는 이 여덟 신과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이집트 제5왕조의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증거부터 조사를 시작하여, 관 텍스트(Coffin Texts, 관구문, 죽은 사람의 관 속에 미라와 함께 넣어두는 장례 문서),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파라오 신전 비문(Pharaonic temple inscriptions) 등을 조사하여, 역사를 통해 후대까지 진행하겠다. 본 저자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홍수 이야기의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10가지 사항들에 대한 탐색 또는 예측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며, 이는 이 연재 글의 기초가 될 것이다.
-----------------------------------------------------------
이집트 역사에서 노아와 대홍수의 흔적을 찾아보려 하지 않는 이유
간단히 말해, 이것은 세계관의 문제이다. 현대 성서학은 창세기 초기 장들이 전설이 아닌, 다른 것(역사)로 간주하는 개념을 버렸다. 한 세기 이상 동안 창세기는 바빌로니아 신화, 특히 에누마 엘리시(Enuma elish)에서 창조와 홍수 이야기를 빌려왔으며, 창세기 1-11장은 바빌로니아 유배 기간, 또는 그 이후에 제사장인 편집자 'P'의 작품이라고 주장해 왔다. 다시 말해, 노아와 그의 아들들 같은 신화 속 인물이나, 신화 속 전 지구적 홍수를 찾아볼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학계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이러한 의문을 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바빌론이 아닌 다른 곳에서 이러한 신화의 근원을 찾을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Photo 7024110 / Pyramid © Luciano Mortula | Dreamstime.com>
성경 : 노아와 대홍수
히브리어 성경은 그리스어 '아이깁토스'(Aigyptos, Αἴγυπτος)에서 유래한 오늘날의 ’이집트(Egypt)‘ 영토에 대한 이름과 노아의 가족을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있다.[1] 시편에는 이집트를 노아의 손자인, 함(Ham)의 아들 '미스라임(Mizraim)'으로 네 번이나(시 78:51, 105:23, 27, 106:22) 부르고 있으며, 이 셈어 명칭인 '미스라임'은 히브리어 성경에 약 680번이나 등장한다.
창세기 외에도 노아와 홍수는 역대상 1:4; 이사야 54:9; 에스겔 14:14,20 등의 구절에 등장한다. 신약성경에는 누가복음 3:36절의 예수님 족보에서 노아와 셈은 역사적 인물로서 등장한다. 예수님은 노아 시대의 홍수라는 현실을 바탕으로, 그분의 재림과 그에 수반되는 보편적인 죄의 심판을 언급하고 계신다(마 24:37-38, 눅 17:26-27). 신약성경의 기자들은 노아를 역사적 인물로서, 대홍수를 전 지구적 사건으로 취급하고 있다(히 11:7, 벧전 3:20, 벧후 2:5). 성경이 일관되게 노아와 대홍수를 역사적 사건으로 취급하고 있다면, 우리도 그렇게 해야 한다. 따라서 노아와 대홍수는 분명 어떤 형태로든 역사에 흔적을 남겼을 것이므로, 성경 외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500여 개가 넘는 홍수 전설들이 알려져 있지만[2], 이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찾아볼 것이다.
주의 : 홍수인가, 대홍수인가?
이집트가 존재한 이래로 나일강은 매년 범람해 왔으며, 이집트인들은 나일강에 의존했기 때문에, 매년 홍수를 종교적인 측면에서 바라보았다. 파라오의 책임은 창조세계(마아트, ma’at)의 균형을 유지하여, 나일강의 홍수로 농작물과 건물이 파괴되거나, 수량 감소에 의한 식량 부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홍수'를 언급하는 모든 텍스트들은 문맥을 면밀히 파악하여, 나일강의 홍수를 성경의 전 지구적 홍수 개념에 적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3]
창세기 연대기에 의하면, 노아와 셈은 아브라함의 시대까지 살았다.
창세기 5장과 11장에 나오는 MT(마소라 사본)의 연대기에 의하면, 노아의 아들 셈은 아브라함의 시대에도 살아있었다. 이는 특히 연대기 정보를 그래프로 표시하면 더욱 분명해지는데(그림 1 참조), 노아가 죽었을 때 아브라함이 태어났고, 셈은 아브라함과 상당 기간을 같이 살았음을 보여준다. 그렇기에 노아와 그의 가족들의 믿을 수 없을 만큼 놀라운 긴 수명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노아와 그의 가족들을 알고 있었고, 그들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사람들에게 노아와 그의 가족들은 놀랍고, 심지어 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졌을 것이다. 게다가 노아의 가족들은 홍수 이전의 모든 지식, 기술, 역사, 그리고 하나님에 대한 참된 믿음을 가지고 홍수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관련 질문을 하고,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탐색 사항 또는 예측들을 설정하여 진행할 수 있다(그림 2).
그림 1. 창세기 5장과 11장은 노아의 후손들이 상당 기간을 같이 살았음을 보여준다(after Paul Hansen[4]). (확대 사진은 여기를 클릭).
검토
성경 본문에 기초하면, 이집트는 바벨탑 이후의 문명으로 이해해야 한다(창세기 11:1-9). 노아와 그의 가족, 대홍수가 세속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면, 이집트의 초기 기록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사카라(Saqqara)에 있는 제5왕조 피라미드는 BC 2321~2306년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연대가 평가되어 있는데, 여기서 발견된 문서는 이집트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5] 그러나 성경적 시간틀을 가정할 때, 이러한 전통적인 이집트 연대는 피라미드의 건설 시기를 노아 홍수 당시(BC 2304±11년)로 설정하기 때문에[6], 받아들일 수 없다.
창세기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노아의 아들 함과 손자인 미스라임은 노아의 가족과 대홍수에 대한 기억을 가지고(비록 이교화된 형태이긴 하지만) 이집트에 정착했다. 그러나 함과 그의 가문은 배교에 빠졌을 가능성이 높다(창세기 9:20~27절의 의미에 비추어 볼 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으로부터 전해 내려온 창조와 대홍수에 관한 설명은 우상 숭배로 인해 변질되었지만, 진실의 일부 측면이 간직되어 있었을 것이다.
노아와 그의 가족 : 신격화된 조상들
창세기 9:28~29절과 11:11절에 따르면, 노아와 셈은 각각 950년과 600년을 살았으며, 주변 사람들보다 더 오래 살았다. 홍수에서 살아남아 인류 지식의 총합을 새로운 세계로 가져가 새로운 삶을 시작한 노아와 그 아들들은 이교도 종교에서 신격화된 조상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집트의 파라오들이 관련 문헌에서 그들을 신으로 언급했을까? 따라서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파라오의 비문에서 홍수와 여덟 명의 기억에 대한 언급이 있는지 찾아볼 것이다.
노아의 그의 가족이 신격화된 조상으로서 이교적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면, 그들만의 성전과 사원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그들의 신전과 설화, 전통적 문서들에서 '8인 숭배(cult of the eight)'가 존재했을 것이 예측된다.
또한 노아, 함, 셈, 야벳의 이름이 고대 이집트의 고유명사학(onomastics, 지명학이나 인명학)에 보존되어 있어야 하며[7], 만약 함이 그의 아들들에 지식 등을 전수했다면, 그 이름도 보존되어 있어야 한다. 히브리어 성경과 이집트 언어와 비교했을 때, 이름뿐만 아니라, 그 의미도 전승되었다는 증거를 보여주어야 한다.
문명의 창시자(founders)가 된다는 것은 논리적으로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발명가/선구자 시조'로 사용될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즉, 발명한 사람들은 그들의 이름이 발명품에 남아있는 경향이 있다.[8]
그림 2. 성경 본문을 기반으로 한 10가지 탐색 사항 : 1)가장 오래된 문서들, 2)이름들과 8이라는 숫자, 3)홍수 개념, 4)창조 개념, 5)신격화 된 조상들, 6)파라오 관련 문헌, 7)사원과 숭배, 8)이집트식 이름 대 히브리식 이름, 9)8명의 무덤, 10)이름들의 시조.
그렇게 긴 수명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아의 가족은 결국 죽었는데, 그들은 어디에 묻혔을까? 함과 그의 아들 미스라임은 당연히 이집트에 묻혔을 것이므로, 홍수에서 살아남은 여덟 명의 무덤들은 실제 시신은 아니더라도, 그들에 대한 기억을 남겨놓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무덤의 비문에서 그들과 대홍수를 분명히 언급하고 있는, 그러한 무덤이 있을까?
여기서 논의한 탐색 기준/예측은 노아와 그의 아들들, 대홍수를 다룬 성경 본문의 함의에서 논리적으로 도출되는 것들이다. 그들의 경험은 비범했기 때문에, 세계사, 특히 이집트 역사 및 종교에 어떤 종류의 발자취를 남겼을 것이며, 이는 식별될 수 있어야 한다.
어디에서부터 시작할까? - 오그도아드(Ogdoad)의 소개
이집트학자들은 그리스어로 ‘오그도아드(Ogdoad)’로 알려진, '여덟 명의 신들 그룹(a group of eight gods)‘을 잘 알고 있다. 이 단어는 현대 상형문자 음역에서는 ḫmnw (Khemnw, 켐뉘)로 표기된다. 오그도아드는 후기 프톨레마이오스(Ptolomaic) 시대와 로마(Roman) 시대의 문서들에서도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신학적 추측을 불러일으켜 왔다.[9] 이집트 학자 데이비드 실버만(David Silverman)은 눈(Nun)이라고 불리는 물의 심연(watery abyss)에서 우주가 창조되었다는, 이집트의 우주론적 신학에서 오그도아드의 역할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
"... 일련의 추상적 개념으로, 물(water, Nu, Nun)의 이름에 깃든 가장 기본적인 특성인 물성(nwj), 무한성(hhw), 어둠(kkw), 문자 그대로 '잃어버림(tnmw)', 또는 숨겨짐(jmnw) ... 이들은 보통 네 쌍의 남신과 여신으로 묘사되며, 서로 남성과 여성에 대응하는 이름을 갖고 있다 : 누(Nu, Nun)와 누네트(Nunet, Naunet), 헤흐(Heh, Huh)와 헤헤트(Hehet, Hauhet), 켁(Kek, Kuk)과 케켓(Keket, Kauket), 아문(Amun, Ammun)과 아무네트(Amunet, Amuanet). 이 여덟 신들을 '오그도아드(Ogdoad)'라고 하는데, 이들은 '최초의 신들 이전에 있었던 아버지와 어머니'인 창조주 신들로 숭배받았다..."[10]
고고학자들이 지금까지 발견한 오그도아드의 가장 오래된 완전한 이름과 그림은 바하리야 오아시스(Bahariya Oasis)에 있는 엘-바위티(El-Bawiti) 제26왕조 무덤(BC 664-525년)에서 나온 것이다. 1942년 파크리(Fakhry)가 이곳을 발굴한 결과, 엘-바위티 마을의 부유했던 개인 무덤 4기가 발견되었다. 두 사람(Ba-n-nentiu and Ped’ashtar)의 무덤에는 오그도아드의 이름과 그림이 새겨진 비문이 보존되어 있어 특히 흥미롭다(그림 3).
그림 3. 오그도아드가 공기의 신(air-god)인 슈(Shu)를 도와 하늘을 지탱하고 있다(from Fakhry[11]).
그림 4. 오그도아드가 네 명의 신과 함께 슈(Shu)를 도와 하늘을 지탱하고 있다.(from Fakhry[12]).
그림 3(하단부)에 묘사된 오그도아드는 의인화된 뱀 머리(이집트인들에게 물과 관련된 생물)를 하고 있으며,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머리 위에는 카르투시(cartouches, 카르투슈) 안에 이름이 적혀 있다. 그림 4(하단)는 오그도아드를 원숭이(이집트인들이 창조 당시 첫 일출을 숭배하는 것과 관련된 생물)로 묘사하고 있으며[13], 이름 없는 그림이 중왕국 초기 신전의 비문에 등장한다(2부 참조). 두 그림 모두 오그도아드가 하늘을 지탱하는 공기의 신 슈를 도와주고 있으며, 위로 태양신 레(Re, Ra, 라)의 태양의 배(solar bark, 태양의 껍질 배)가 항해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그림은 나중에 고대 파라오 비문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집트인들은 이집트 우주론에서 오그도아드의 역할이 창조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믿고 있었다. 즉, 눈(Nun, 이집트식 태고의 홍수 개념) 안으로 하늘이 다시 무너지는 것을, 창조물이 출현한 혼돈의 상태로 되는 것을 막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창세기 1장에 드러난 창조의 개념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며, 홍수 이야기에서 테홈(tehôm, Great Deep, 큰 깊음)의 역할에도 반영되어 있다. 이 신들의 이름은 머리 위에 카르투시로 쓰여 있으며, 다음과 같다. 최고 신은 누(Nu)로, 노아와 발음적으로 비슷하며, 누의 아내는 여성형인 누네트(Nunet, Naunet)이다. 다른 신들은 헤흐와 헤헤트, 켁과 케켓, 아문과 아무네트이다.[14] (이 이름들의 현대식 음역은 다음과 같다: nw, nw.t; ḥḥ, ḥḥ.t; kk, kk.t; jmn, jmn.t. 그 의미는 아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지만, 별도의 기사에서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남성 이름인 누, 헤흐, 아문, 켁은 노아, 야벳, 셈, 함의 이집트식 종교적 이름이라고 나는 확신한다(배우자 이름은 같은 이름의 여성형일 뿐이다). 이 이름들의 의미를 간단히 비교해 보겠다(표 2 참조). 이는 가설일 수 있지만, 별도의 글에서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다.
의미 : 노아와 아들들 대 오그도아드의 이름
히브리어 성경에서 이름의 의미는 관련된 음성 어근(phonetic roots, 일반적으로 단어의 핵심 소리를 형성하는 세 글자)에서 확립된다.[15] 이는 특히 창세기에서 볼 수 있는데, 창세기에서는 이름의 의미를 확립하기 위해서, 관련 소리 단어의 관점에서 이름을 자주 사용한다. 구약에는 80개 이상의 명시적인 어원(etymologies)들이 있는데, "사람과 장소를 지정하는 고유명사는 음성적 대응(일치)에 따라 의미 해석이 주어진다"는 것이다.[16] 노아의 이름의 의미는 창세기 5:29절에서 라멕이 노아를 예언적으로 명명할 때, "안위(comfort)"라는 관련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것에서 유추할 수 있다. 셈과 야벳의 이름은 술에 취한 후에 노아의 축복과 저주(창 9:25~28)에서 이해될 수 있다. 셈은 자신의 정체성/"이름(name)"을 여호와(YHWH)와 공유하며(셈의 하나님), 야벳의 축복은 "창대하게(enlarge)" 될 것이라고 말한다. 두 축복은 모두 아들의 이름에 해당하는 음성적 대응어를 사용하고 있다. 표준 히브리어 사전[17]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관련 어근이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를 정의한다(표 1).
표 1. 노아, 함, 셈, 야벳의 관련 어근
오그도아드 이름들의 의미는 그 이름이 등장하는 본문의 문맥적 증거에서 파생되었다. 이집트 학자 제랄딘 핀치(Geraldine Pinch)는 이 이름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
"누와 그의 아내 누네트는 태고의 바다(primeval waters)의 신들이고... 아문과 아무네트는 보이지 않는 힘(invisible power) 또는 생명의 호흡(breath of life)의 신들이고... 켁과 케켓은 태고의 어둠(primeval darkness)을 나타내고... 헤흐와 헤헤트는 태고의 바다에서 강한 해류(strong currents)를 형상화했을 것이다."[18]
"단일 헤흐(single Heh) 신은 '수많은' 또는 ‘영원’을 나타내는 상형문자였다."[19]
표준 이집트어 사전에 따르면[20], 표 2에서 선정한 오그도아드 이름과 어원을 공유하는 어휘는 다음과 같다.[21]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예는 일반적으로 이집트 고왕국(Old Kingdom) 시대에 나온 것이 선호된다.
표 2. 오그도아드 이름과 관련된 이집트어의 어근
표 1과 2를 비교해 보면 노아와 아들들의 이름이 오그도아드 남성 이름과 동등한 의미 또는 유사한 개념으로 겹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노아(Noah) 이름의 "안위"와 "평안"의 측면은 nw라는 공통된 어근으로 공유되고 있다. 함(Ham)의 "어둠"은 켁(Kek)과 공유되고 있다. 셈(Shem) "이름"의 정체성은 "(이름의) 숨겨짐", "비밀" 또는 "정체성"을 나타내는 단어의 어근으로 나타나는 아문(Amun)과 공유된다. "창대"를 의미하는 야벳(Japheth)은 "수많은" 및 "영원"과 어근을 공유하는 헤흐(Heh)와 비슷한 개념을 갖고 있다. 또한 각 어근 nw, kk, jmn, ḥḥ 들은 모두 그 자체가 홍수(flood)라는 뜻이 들어있는데, 이는 주목할만한 관찰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는 가설이 성립될 수 있다 :
노아 ≈ 누
함 ≈ 켁
셈 ≈ 아문
야벳 ≈ 헤흐
이 연결은 흥미롭고 추가 조사가 필요하므로, 더 많은 증거들은 별도의 기사에서 논의할 것이다.
그림 5. 이집트 사카라(Saqqara)에 있는 조세르(Djoser)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ped pyramid). (오른쪽에서 세 번째가 개빈 콕스, 1999년 사진).
피라미드 텍스트에 나타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고왕국(Old Kingdom) 말기의 파라오 피라미드(현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20km 떨어진 사카라(Saqqara) 평야에 위치)의 벽과 회랑에 오늘날의 학계에서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PT)로 알려진 글들이 새겨져 있었다. 사카라는 이집트에서 최초로 건설된 피라미드인 조세르왕(Djoser, 제3왕조)의 계단식 피라미드(stepped pyramid)가 있는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림 5를 참조하라.[22] 제5왕조 텍스트는 사후 세계에 대한 매우 난해한 주문이 쓰여져 있는데, 고대 이집트에서 보존된 가장 오래된 종교적 언어 기록이다. 이러한 마법의 주문을 피라미드에 도입한 최초의 파라오는 제5왕조의 마지막 왕이었던 우나스(Unas, W)였다. 이 글들은 그의 매장실에서 발견되었다(아래 그림 6 참조).
표 3.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용어의 발생 빈도.
다른 흥미로운 피라미드들로는 페피 메리레 1세(Pepi Meryre I) 피라미드, 네이트 여왕(Queen Neith, Nt, 페피 1세의 딸) 피라미드, 메렌레(Merenre) 피라미드 등이 있다. 여기에는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이름들이 발견되는데, 특별히 우나스 피라미드(Unas pyramid)에는 W 301§446로 철자가 되어 있는 두 쌍의 누와 누네트, 아문과 아무네트의 이름이 포함되어 있다.[24] 네이트 여왕의 방에 있는 피라미드 텍스트 585§1580b-1581에는 오그도아드를 이름 없는 집단으로, 또는 그들에게 헌정된 도시일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으며[25](2부를 보라), 메렌레 피라미드와 페피 메리레 1세 피라미드(740§2270 and 585§1580b-1581)에서도 반복되고 있다.[26] 대홍수에 대해서도 두 용어가 등장한다. 신성한 칭호인 mḥy.t-wr.t("Great Flood")는 W 317§508에 등장하며, Nt 493§1059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대홍수(Great Flood) 위에 있는 오시리스(Osiris)처럼, 네이트(Neith)가 그곳에서 와서 네[페르](Ne[per])처럼 먹게 하소서."[27] "대홍수"의 다른 용어는 페피 1세 피라미드와 우나스 피라미드에서도 Ꜣgb.w-wr로 나타나고 있다. 이집트 학자인 포크너(R.O. Faulkner)의 번역본 PT311§498-500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
"...곤경에 처한 자들과 그것을 파괴하려는 자들과 함께 맹렬한 격랑(fierce roaring)(?)에 맞서라. 내가 당신에게로 향할 때, 그들이 반대하지 않기를 바란다... 대홍수(Great Flood)라는 당신의 이 이름..."
이 대홍수 제목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다. 피라미드 텍스트를 분석해 보면,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모든 이름들은 신의 이름이거나, 인격체가 아닌 '대홍수(Great Flood)'라는 두 단어와 함께 우주적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에는 모든 사례가 요약되어 있다.
제시된 증거들로부터, '오그도아드'라는 용어는 '대홍수'에 대한 두 단어와 함께 신성한(신의) 이름 또는 우주적 개념으로, 피라미드 텍스트 전체에서 그 제목과 함께 등장한다는 것이 분명하다. 이 이름들은 가장 오래된 이집트 텍스트에 나타나기 때문에, 후대에 발명된 것이 아니라고 확신할 수 있다.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대홍수에 대한 두 단어는 나중에 논의될 텍스트에서도 등장하는데, 그 범위는 우주적이고 종교적인 것이며, 나일강의 홍수와 관련하여 사용된 적이 없다).
관 텍스트 속의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이러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의 이름과 개념이 이집트 역사의 후기 단계까지 남아있을까? 이 질문에 답하려면, 다음으로 가장 오래된 문자 기록인 '관 텍스트(Coffin Texts, CT, 코핀텍스트, 관구문)'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관 텍스트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Middle Kingdom, BC 1980~1760년경)에 관(coffins)에 장식되어 있는 장례 주문(funerary spells)을 나타낸다(그림 7).[28] 관 텍스트라는 이름은 중왕국의 부유했던 이집트인들의 관 내부, 드물게는 관 외부에 잉크로 쓰여졌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29] 그리고 파피루스(papyri), 미라 가면(mummy masks), 카노푸스의 단지(canopic jars), 무덤 벽, 석비(stelae) 등에서도 희귀한 텍스트가 발견되었다.[30] 관 텍스트는 찬가, 기도문, 마법 주문 등 다양한 장르로 이루어져 있다. 주제는 신, 악마, 사후세계의 장소에 대한 식별 등이 포함되며, 종종 매우 난해하고 뒤죽박죽이며,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31] 이러한 관 텍스트는 고대 이집트인들이 사후 세계에 대한 안내서로 간주하는 소장품으로, 고왕국의 피라미드 텍스트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32] 다음 관 텍스트의 기록된 주문은 오그도아드를 논의하는 관점에서 흥미를 끌 수 있다.
그림 6. 우나스 피라미드의 3D 평면도. (in Lehner)[23]
오그도아드의 일원인 헤흐(Heh)의 이름에서 따온, "8명의 혼돈의 신들(eight Chaos-gods)"이라는 제목의 글은 CT 76, 78-81[33] ('슈의 책(Book of Shu)'으로 알려져 있음. 슈는 공기의 신 이름)에 등장하며, "혼돈의 신들(Chaos-gods)"이라는 제목은 CT 48, 50, 75, 107에 등장한다. 이들은 아래에 나열되어 있다(포크너의 번역에서 발췌).[34]
그림 7. 엘-비르사(el-Birsha)의 이것과 유사한 관에는 관 텍스트가 새겨져 있다.
관 텍스트의 여덟 혼돈의 신들(Chaos-gods, Ḥeḥ-gods)
76:1 "하늘의 방을 책임지는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6 혼돈과 심연과 어둠과 어둠 속에서 혼돈의 신들을 다시 낳은 나는... 7 내가 창조한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심연이 창조되었을 때 아툼(Atum)이 만든 너희들의 이름... 8 아툼이 혼돈과 어둠과 어둠 속에서 누(Nu)와 그 안에서 말을 했을 때..."
78:2 "너희 슈(Shu)가 잉태한... 누(Nu)가 낳은... 여덟 혼돈의 신들이여..."
79:23 "너희 슈에서 나온 여덟 혼돈의 신들이여, 그 이름은... 아툼이 혼돈과 심연과 어둠과 암흑 속에서 누의 말씀에 따라 창조한 것이다..."
80:1 "오, 너희 여덟 혼돈의 신들아, 너희 팔로 하늘을 에워싸는 진정한 혼돈의 신들아... 나는 혼돈의 신들을 만들었고 영원하다..."
81:3 "여덟 혼돈의 신들 위에 낭송되리니..."
107:118 "오 누(Nu), 혼돈의 신들과 함께..."
665:1 "게브(Geb)가 그 옆에 앉았고, 혼돈의 신이 나가고... 분쟁을 일으키는 자들은 처형(?)되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약탈을 일으키고, 홍수(Ꜣgb)를 예언하고, 투쟁이 올 때 정해진 것을 보고..."
1130:470 "내가 대홍수(Great Flood, Ꜣgb-wr)를 만들었다... 나를 위해 길을 준비하라, 누(Nuw)와 아문(Amun)을 볼 수 있게 하라."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신성한 이름, 또는 비인격적 암시가 있는 관 텍스트
포크너[35]의 관 텍스트에 등장하는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이름과 그에 상응하는 어휘들의 목록은 표 4에 나와 있다. 이들은 신의 이름, 또는 우주적 힘으로 나타나있다.
표 4. 오그도아드의 이름 및/또는 우주적 힘이 등장하고 있는 관 텍스트들.
CT 1130은 켐뉘(Khemnw, Eight City, 후에 논의)의 시립묘지인 엘 비르사(el-Bersha)에서 발견된 다섯 개의 관(그림 7, 대영 박물관, EA30842)으로부터 알려진 것이다. CT 1130에는 대홍수(Great Flood)를 의미하는 Ꜣgb-wr 라는 용어와 함께, 오그도아드의 이름 누(Nu)와 아문(Amun)을 볼 수 있다. 문맥상 대홍수를 창조의 "좋은 행위"로 묘사하고 있는 것 같다. 그 후에 인류의 반역(sbi)과 불순종이 언급되고, 신의 눈물로부터 인간을 창조하는 것을 다루는 구절이 나온다. '홍수'라는 용어가 관 텍스트(CT, Coffin Texts)에 등장하지만, 문맥이 혼동되거나(CT 1130의 경우처럼), 너무 짧아서, 어떤 종류의 홍수인지, 즉 유익했던 나일강의 홍수를 언급하는지, 우주적인 하늘의 홍수 또는 심판으로 보내진 전 지구적 홍수를 언급하는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위에서 언급한 CT 665는 예외일 수 있는데, 이는 헤흐(Ḥeḥ) 신에 의한 심판의 맥락에서 홍수 구절로 읽힌다.
이 CT(관 텍스트) 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1. 오그도아드 이름은 중왕국의 관 텍스트(CT)에서 신들 이름과 우주적 힘으로 모두 등장한다.
2. 켐뉘(Khemnw, 오그도아드의 여덟 도시)와 여덟 혼돈의 신(ḥḥ)이라는 용어가 관 텍스트에 함께 등장한다.
3. nw는 신의 이름과 비인격적인 우주적 힘으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4. kk는 일반적인 우주적, 비인격적 용어이다.
5. nw, tnm.w, ḥḥ는 신들의 이름과 비인격적, 우주적 개념으로 발생한다. (여기서 tnm.w는 PT 585§1579에서 파생된 오그도아드의 아문(Amun)의 대체 이름으로 인식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36]
6. 비인격적, 우주적 개념/힘의 중요한 사중주는 신성한 칭호인 여덟 혼돈의 신과 함께 나타난다: nw, kk, ḥḥ, tnm.w. 이 조합은 특히 CT 76에서 이 사중주가 12번, CT 79, 80에서 한 번씩 함께 명명된 것이 특히 두드러진다.
7. 켐뉘 + 혼돈의 신들은 CT 50에서 함께 등장하는데, 이는 오그도아드의 장소와 혼돈의 신들 사이의 연관성을 나타낸다.
8. CT 1130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인 누(Niw)와 아문(Amun)은 우주적 힘으로서 ḥḥ와 함께 나타나 있는데, 이들은 창조(creation), 인간의 반역(rebellion, sbi), 대홍수(Great Flood, Ꜣgb-wr)를 언급한 구절에서 등장한다.
9. CT에서 홍수라는 단어는 자주 등장하지만, 그 문맥이 너무 짧거나, 홍수가 무엇을 가리키는지 판단하기 너무 애매한 경우가 많다.
결론
이 연구에서는 역사적 사건으로서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대홍수를 기록하고 있는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10가지 탐색 사항들 또는 예측을 확인해보았다. 이러한 예측은 대홍수, 노아와 그의 아들들이 종교와 문화에 영향을 끼쳤을 것을 고려한 것이었다. 성경은 이집트와 함, 그의 아들 미스라임을 분명히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는 이집트에 집중하였다. 고대 이집트의 종교적 문헌에서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기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이 제기되었다. 1부의 글은 이러한 목적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지금까지 제26왕조 종교적 문헌에서 알려져 있던 8명의 신들 그룹(group of eight gods)이 유력한 후보로 확인되었고, 이들은 4명의 남성 신들과 그들의 배우자인 여성 신들(그리스인들에게는 오그도아드로, 이집트인들에게는 '여덟'이라는 뜻의 켐뉘로 알려져있음)로 구성되었다. 이 신들은 눈(Nun)이라고 불리는 물의 심연과 관련된 이집트의 우주론적 사상과 분명히 연결되어 있으며, 신들의 머리 위 카르투시에 쓰여진 완전한 이름을 갖고 있다. 오그도아드의 가장 우두머리인 남성 신은 누(Nu)라고 불리는데, 이는 성경의 노아(Noah)와 발음적으로 비슷하다. 노아와 아들들의 히브리어 이름의 의미를 오그도아드의 남성 신들의 이름과 비교해 보면, 직접적인 의미나 병렬적인 개념 측면에서 흥미로운 연관성이 드러난다.
예측 1은 이 이름들은 고대 이집트의 기록에서 보여질 수 있을 것이다. 이 이름들은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텍스트인 제5왕조 피라미드 텍스트(5th Dynasty Pyramid Texts)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신성한 칭호(신들의 이름) 또는 우주적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들 텍스트들은 후대의 역사에서 알려진 ‘오그도아드(Ogdoad)’를 구성하고 있는 이름들과 함께, 켐뉘(Khemnw, 여덟 신 또는 오그도아드의 도시인 '여덟 도시'를 의미, 2부 참조)와 대홍수(Great Flood)라는 두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이름들은 고대 이집트 중왕국의 관 텍스트(Middle Kingdom Coffin Texts)으로 알려진, 이어진 자료 기록들에서도 추적될 수 있다.
2부 글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에 대해 알려진 사례들을 확인하기 위해서, 장례 비문과 신전 비문을 포함한 후기 텍스트 자료들을 조사할 것이다. 별도의 글에서는 노아의 가족과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어적 의미와 종교적 측면의 연관성에 대해 더 조사할 것이다.
감사의 말
이 논문의 초기 초안을 검토하고,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 주시고, 익명의 검토자의 추가 의견을 제공해 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023년 3월 24일 CMI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50972&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References and notes
1. “Egypt” is possibly derived from the Greek pronunciation/corruption of the ancient Egyptian name Hwt-Ka-Ptah(meaning “Mansion of the Spirit of Ptah”), being the temple of Aneb-Hetch, an ancient capital city of the first nome of lower Egypt, called “Memphis” by the Greeks.
2. Conolly, R. and Grigg, R.,Flood! Creation 23(1):26–30, 2000. Also, creation.com/many-flood-legends, accessed 8 February 2019.
3. There are specific Egyptian terms for the Nile flood e.g. Wb 3, 42.11–43.4; 13–14Hapj.
4. creation.com/images/pdfs/other/timeline_of_the_bible.pdf, accessed 1 February 2019.
5. Hornung, E., Krauss, R., Krauss, M.E., and Warburton, D.A. (Eds.), Ancient Egyptian Chronology, Leiden, p. 491, 2006.
6. Osgood, J. The Date of Noah’s Flood, J. Creation 4(1):10–13, 1981; creation.com/the-date-of-noahs-flood.
7. The study of the history and origin of proper names, especially personal names.
8. en.wikipedia.org/wiki/List_of_inventions_named_after_people.
9. The classic treatment of Sethe, von K.Amun und die acht Urgötter von Hermopolis. Eine Untersuchung über Ursprung und Wesen des ägyptischen Götterkönigs,, Berlin, 1929, and more recently Zivie-Coche, C.,‘L’Ogdoade à Thèbes à l’époque ptolémaïque et ses antécédents’, Documents de Théologies Thébaines Tardives, 167–225, 2009, have concentrated on Roman and Ptolemaic sources for the Ogdoad.
10. Silverman, D.,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120–121, 1997.
11. Fakhry, A.,Baḥria Oasis Vol. 1, Cairo, p. 72, 1942.
12. Fakhry, ref. 11, p. 75.
13. Pinch, G.,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Press, New York, p. 176, 2002.
14. Hornung, E. (Baines, J. trans.),Conceptions of God in Ancient Egypt: The one and the many, Ithaca, NY, pp. 218, 1996.
15. Weingreen, J., A practical grammar for classical Hebrew,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p. 99–100, 1959.
16. Marks H., Biblical Naming and Poetic Etymology, J. Biblical Literature114(1):21–42, 1995; p. 61.
17. Harris, R.L., Archer, G.L. Jr., and Waltke, B.K.,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Moody, Chicago, IL, 1980.
18. Pinch, ref. 13, p. 176.
19. Pinch, ref. 13, p. 139.
20. Grapow, H. and Erman, A.,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Berlin, 1961, and its online descendant at aaew.bbaw.de/tla/index.html, accessed 12 February 2019.
21. A separate article will offer more in-depth evidence. Only roots possessing the same hieroglyphic ‘spelling’ as used in the Ogdoad names were considered, and not merely their phonetic values.
22. Djoser’s pyramid was designed by the priest architect Imhotep who is arguably the most famous non-royal Egyptian.
23. Lehner, M.The Complete Pyramids Solving the Ancient Mysteries, Thames & Hudson Ltd, London, p. 155, 1997.
24. “Recitation. You have your bread-loaf, Nu and Naunet, you pair of the gods, who joined the gods with their shadow; you have your bread-loaf, Amun and Amaunet, you pair of the gods, who joined the gods with their shadow”. Allen, J.P.,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Atlanta, GA, p. 55, 2005.
25. Silverman, ref. 10, p. 121.
26. “Recitation. Sun, Neith has negated crookedness for the Lord of the Ogdoad. [Neith] is the eighth [of them]”. Allen, ref. 24, p. 312. And Faulkner sup. 81.
27. Schenkel, W., Loprieno, A., and Quack, J.F.,The Organization of the Pyramid Texts, Brill, Boston, MA, p. 399, 2012.
28. Hornung, ref. 5, p. 491.
29. Faulkner, R.O.,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 Clarendon, Oxford, UK, preface, 1969.
30. Hornung, E. (Lorton, D., trans.),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London, p. 7, 1999.
31. Lichtheim, M.,Ancient Egyptian Literature: Volume I: The old and middle kingdoms, Berkeley, CA, p. 131, 1973.
32. Bard, K.A. and Shubert, S.B.,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London, p. 972, 1999.
33. Faulkner, ref. 29, pp. 77, 81–87.
34. Faulkner, ref. 29, “Chaos-gods”, pp. 44, 47, 72, 78.
35. Faulkner, R.O.,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II: Spells 355-787, Aris and Phillips, Warminster, UK, 1977; Faulkner, R.O.,Ancient Egyptian Coffin Texts III: Spells 788-1185, Aris and Phillips, Warminster, UK, 1978.
36. Allen, J.P.,The Ancient Egyptian pyramid Texts,Atlanta, GA, pp. 435, 438, 2005.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2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67923&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3(3): 94–101, December 2019.
주소 : https://creation.com/noah-in-egypt-1
번역 : 양승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