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by Gavin Cox
개요 : 노아와 홍수의 개념이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신앙에 혼합되어 있을까? 이러한 개념은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된, 여덟 명의 창조 신이 등장하는, 이집트의 신화적 우주론인 '헤르모폴리스의 오그도아드(Hermopolitan Ogdoad)'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여덟 신과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이집트 신왕국에서 잘 알려진 파라오 장례 비문에서 발견되는 증거들을 살펴본 다음, 이후 ‘사자의 서’를 살펴보고, 신전에서의 숭배 증거, 오그도아드의 매장 무덤을 조사하는 등, 이집트 역사의 후기 단계까지 조사를 이어갈 것이다. 본 저자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홍수 이야기의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10가지 사항들에 대한 탐색 또는 예측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투탕카멘(제18왕조 파라오)의 장례 가면(Tutankhamun’s funerary mask)
이집트 신왕국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2부 글에서는 이집트 신왕국(New Kingdom, NK)의 여러 정보 출처들에서 오그도아드(Ogdoad, 8명의 신들 무리)와 대홍수와 관련된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에 대해 논의하겠다. 이 출처들은 역사상 가장 잘 알려진 파라오의 장례식 비문(funerary inscriptions)에 등장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두 종교적 출처인, ‘천상의 소에 관한 서(Book of the Heavenly Cow, HC)’와 ‘사자(死者)의 서(Book of the Dead, BD)’를 분석할 것이며, 특히 ‘사자의 서’ BD 175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와 오그도아드
‘천상의 소(Heavenly Cow)’ 신화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BC 1539~1077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며, 여러 버전으로 보존되어 있다.[1]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이야기 속에서 슈(Shu)를 도와 하늘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는,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의 등장이다.[2] 여덟 명의 신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막고, 창조 세계가 홍수의 화신인 눈(Nun)으로 대표되는 태초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3] HC(‘천상의 소에 관한 서’)는 인류가 레(Re)에 대한 반란(sbi)을 일으켜, 레가 인류의 파괴를 명령하고, 이후 우주를 재조직한 후, 영구적으로 천국으로 은퇴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이집트 학자들은 HC가 대홍수에 의한 반란과 심판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인해, 대홍수와 인류의 멸망에 관한 메소포타미아 및 성경 구절을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4] HC에서 '신들의 아버지'인 누(Nu)는 자문을 얻는 신성한 회의에서 하토르(Hathor, 그의 딸 신)에게 인류 파괴의 심판을 선포한다. 이후 한 '홍수'[5]가 발생하는데, 그 목적은 하토르를 속이고, 그녀의 분노를 진정시켜, 남은 인류를 구하는 것이었다.[6]
HC는 투탕카멘(제18왕조, BC 1324년경)의 시대부터 처음으로 입증되었으며, 이후 세티 1세, 람세스 2세, 3세, 4세[7](제19왕조)의 무덤 비문(tomb inscriptions)에 등장하는데, 이 비문은 전용으로 마련된 왕의 석관이 있는 방의 보조 방에 위치해 있다. 이 텍스트의 연대는 신왕국 제18왕조부터 제20왕조까지 넓게 확장되어 있다.
HC의 구절은 투탕카멘의 신전 1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지만, 이 신화의 출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 특히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PT)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소(Cow)의 명칭은 mḥyt-wrt, "대홍수(Great Flood)"는 5개의 철자(1부에서 설명한 대로)로, 하늘을 지지하는 8명의 헤흐-신들(Ḥeḥ-gods)과 함께 등장한다.[8] 관 텍스트(Coffin Texts, CT)에서 HC를 직접 암시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CT 79에서 여덟 명의 헤흐-신들은 누(Nu)와 함께 등장하는데, 여기서 레(Re)는 천상의 소들(Heavenly Cow), 즉 "대홍수(Great Flood)" 위에서 쉬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투탕카멘, 대홍수, 그리고 여덟 헤흐-신들
'외관(外棺, Shrine, 석관들이 놓여있는 커다란 상자 모양의 구조물) 1'은 투탕카멘의 외관들 중에서 가장 큰 외관으로(그림 1), 안팎이 텍스트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왼쪽 면과 뒷쪽 면에는 ‘천상의 소에 관한 서’의 구절들이 있고, 뒤쪽 면에는 슈(Shu)가 여덟 헤흐 신(Ḥeḥ-gods)들의 도움을 받아, 대홍수(천상의 소로 표현됨)를 지탱하고 있는 그림이 새겨져 있다. 소의 배는 하늘을 상징하는 별(stars)들로 덮여 있으며, 태양신 라(Ra)가 그의 태양 배(solar bark, 태양 껍질 배)를 타고 항해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그림 2).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엘-바위티(el-Bawiti)의 제26왕조 무덤에서 볼 수 있듯이, 하늘을 지탱하는 슈를 돕는 여덟 신(Ḥeḥ-gods)의 기능이 오그도아드(Ogdoad)의 기능과 동일하다는 것으로, 따라서 여덟 신들의 정체성은 오그도아드의 그것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여덟 신을 대표하는 오그도아드는 대홍수로 인해 우주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있었다.
그림 1. 투탕카멘의 외관(外棺, shrine) I (Wikipedia Commons CC BY-SA 2.5)
투탕카멘의 외관 1에 있는 천상의 소 그림은 비문(inscription)으로 둘러싸여 있다 :
"대홍수(천상의 소)에 의해 말해진 말 : 내 몸의 아들이여 오라, 나의 사랑하는 자여, 두 땅의 군주 네브케페루레(Neb-Kheperu-Re). 당신의 아버지 레(Re)와 함께, 대홍수(Great Flood, Cow)의 곁에서 그를 따르는 이 신들 중 한 명으로 있네. 오시리스, 투탕카멘 왕, 남부 헬리오폴리스의 통치자는 살아나서, 그는 네크로폴리스에서 다시 죽지 않을 것이다!!"[10]
투탕카멘(Tutankhamun, Amen-tut-ankh)이라는 이름 자체가 오그도아드와 관련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그 소년 왕(18세에 사망)의 이름은 "아문의 살아있는 형상(living image of Amun)"을 의미하며, 아문(Amun)은 오그도아드의 남성 신들 중 한 명으로, 이 시기까지 그 자체로 중요한 신이었다. 따라서 투탕카멘의 장례 신전에 대홍수와 여덟 신에 대한 비문이 새겨져 있는 것은 그의 아문이라는 칭호와 일치한다. 여덟 신들과 대홍수에 대한 기억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몇몇 파라오의 이름에도 공유되어있는 것이다.
그림 2. 투탕카멘의 외관 I 에서, 천상의 소(대홍수)를 지탱하고 있는 슈를 돕고 있는 여덟 헤흐-신들(eight Ḥeḥ-gods). (in Piankoff[9])
사자의 서
이집트인들이 "빛으로 나오기(위한 책) (going out in daylight)"(prt m hrw)이라고 부르는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BD)’는 BC 1450년부터 AD 50년까지 약 1,500년에 걸친 역사를 갖고 있다.[11] 신왕국(New Kingdom, 제18왕조) 초기에 BD는 아직 형성 과정에 있었고, 사이스 왕조(Saite period, 제26왕조)에 이르러서야 모든 주문(spells)들이 일정한 장의 순서로 정리된 최종 정경이 완성되었다. BD는 죽은 자의 부활과 내세에서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능을 가진 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BD는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수집되어 새겨진 종교적 장례 의식과 주문을 대표하는 중왕국 관 텍스트(CT)와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PT)의 후속작으로, 구매자가 장례를 치를 때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BD 텍스트는 필기체 상형문자를 사용했으며, 화려한 잉크 그림과 함께 쓰여져 있다.
사자의 서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사자의 서(BD)에서 오그도아드를 언급하고 있는 본문으로는, BD 27:2 "나의 이 마음은 오그도아드 안에 있는 큰 마음이라"[12], BD 164:2(제26왕조 사본으로부터 알려진, BC 350년경)[13] "오그도아드(와) 그들의 관(ḏbꜢ t) 안에 살아있는 영혼들이 당신의 존엄을 찬양하고 있다..."[14] (흥미롭게도 노아의 방주(ark)에 사용된 히브리어는 ‘테밧(tēbat)’으로, 관(coffin)을 뜻하는 이집트어인 ḏbꜢ t의 음역(transliteration)으로 확인되고 있다.[15] (그들의 관 속의 오그도아드는 '죽은 신들(dead gods)'로 보는 개념은 나중에 설명한다).[16] 헤흐(Heh)는 BD 150:2에서 "헤흐의 거처(Abode of Ḥeḥ)"로 단독으로 언급되어 있다.[17] BD의 한 중요한 삽화(vignette)에는 오그도아드가 나타나 있는데(그림 3), 이것은 아문(Amun)의 제사장이었던 제21왕조의 콘수메스의 파피루스(papyrus of Khenumose)에서 나온 것이다.(오른쪽 상단에서 그의 상형문자를 볼 수 있음).
그림 3. 콘수메스 파피루스(Khonsumes papyrus), 오그도아드가 땅을 괭이로 파고 있다.(in Silverman)[18]
이 삽화에는 창조의 첫째 날에 세 단계로 떠오른 태양이 태초의 한 쌍의 산 지평선 뒤로 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북쪽(오른쪽)과 남쪽(왼쪽)을 상징하는 두 여신이 눈(Nun, 홍수)의 물을 쏟아붓고 있다. 태초의 땅에는 8명의 창조 신들이 대지를 괭이질하는 모습의 오그도아드가 그려져 있다. 이는 창세기 9:18절에 묘사된 대로 노아의 가족들이 방주에서 내려 농업을 시작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그림은 노아와 그의 가족이 홍수 이후 토양에서 새롭게 농업을 시작하여 첫 번째 작물을 수확함으로써, 인류의 삶이 번성할 수 있는 여건을 새롭게 조성한 문화적 기억을 상징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자연스럽게 그들을 창조의 신들로 기념했을 것이다.
누(Nu)가 일곱 신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 및/또는 오그도아드를 들고, 눈(Nun)에 서 있는 모습은 파라오의 신전 벽에서 볼 수 있는 그림으로, 제19왕조 아니(Ani)의 BD 파피루스[20]에 묘사되어 있다(그림 4). 누(Nu)는 하늘을 지탱하는 여덟 신들(Ḥeḥ-gods)과 오그도아드의 기능을 완전히 대신하여, 라(Ra)가 태양의 배를 타고 항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늘이 무너지고 혼돈과 눈(Nun)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있다.
BD 175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BD(사자의 서) 175에는 대홍수로 파괴되는 우주에 대한 기술이 있는데, 결과적으로 비인간적인 개념인 누(Nu)와 헤흐(Ḥḥw)와 함께, 오시리스(Osiris)와 아툼(Atum, 뱀으로 변형된)이 홀로 남게 된다. 이는 오그도아드의 개별 신들이 장례 문헌에서 나타나는 한 사례가 되고 있다.[22] 토트(Thoth)는 시작부터 언급되고 있는 주요 신으로, 그는 ḫmnw(Khemnw, 켐뉘, 8 신들의 도시)의 군주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구절에는 인류의 악, 반역(sbi), 폭력에 반대하는 한 신의 불만이 포함되어 있다. 신성한 심판의 일부는 인류의 시간(수명)이 제한되고, 창조된 모든 것이 홍수로 파괴된다는 것이다. BD 175의 다음 구절은 쿼크(Quirke)의 2013년 번역본에서 발췌한 것이다:
"(4) 오 토트(Thoth), 누트(Nut)의 자녀들에게 (5)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6) 그들은 소란을 일으켰고, 분쟁을 일으켰고, (7) 악을 행했고, 반역(sbiw)을 일으켰고, (8) 도살의 원인이 되었다... (13) 당신은 악을 보지 않을 것이며, 고통을 겪지 않을 것이다. (14) 그들의 연한은 제한되었고, (15) 그들의 달은 가까워지고 있으며... (51) 내가 참으로 내가 만든 모든 것을 멸하리니, (52) 이 땅은 눈(Nun)으로 돌아갈 것이다 (53) 홍수 물로서, 원래의 상태대로 ... ." [23]
그림 4. 누(Nu)가 레(Re)와 일곱 신들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solar bark, 태양의 껍질 배)를 지탱하고 있다. (in Wilkinson)[21]
표 1은 BD 175의 심판과 멸망 구절에서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네 이름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어휘들을 탐색하고, 표로 정리한 것이다.
표 1. BD 175의 오그도아드 어휘들(Ogdoad vocabulary)
여기에 묘사된 혼돈(chaos)과 눈(Nun)의 귀환은 오그도아드를 혼돈의 신으로 언급하는 언어유희에 의해 강조되고 있을 수 있다. 홍수 심판을 초래한 신의 불만은 인류의 도덕적 실패에 기인한 것으로, 반역(sbi), 악, 폭력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창세기 6:5,11절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탄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다. BD 175:14에서 인간의 연한을 "제한"으로, 달(months)을 "가까워짐"으로 묘사하는 것은 창세기 6:3절에서 인류의 기간을 120년으로 제한하는 신성한 저주(아마도 홍수 심판 전)를 연상시킨다. BD 175에서 사용된 "홍수 물(floodwater)"이라는 용어는 Wb 3, 56:15에서 "태고의 신(primeval god)"으로 정의된 ḥwḥw로, 아마도 오그도아드의 멤버 ḥḥ의 대체된 철자일 가능성이 높다.
제20왕조 라메시드 편지에서 오그도아드
라메시드(Ramesside) 후기(제20왕조)에 신관서체(hieratic)로 쓰여진, 50개의 파피루스 편지(papyri letters)들이 수집되어 연구되어왔다. 이 파피루스들은 테베(Thebes)에서 일했고,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살았던 서기관 데후티모세(Djehutymose)와 그의 아들 부테하문(Butehamun)의 가족 기록 보관소에서 나왔다. 이 편지들은 묘지의 수석 서기관들이 행정적인 목적으로 특정 개인에게 보낸 서신들이다. 이 편지들은 어느 정도 확실하게 람세스 11세(Ramses XI)의 통치 기간인 재위 1~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4] 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것은 오그도아드를 언급하는 네 개의 편지로서, 긴 소개의 축복과 간구(재위 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의 일부로 오그도아드를 언급함으로써, 헤르모폴리스(Hermopolis, Khemnw)와 오그도아드 및 그들의 무덤의 연관성에 대한 우발적인 문서적 입증자료가 되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 편지들(표 2)은 다음과 같다: 15번-파피루스 필립스, 16번-파피루스 토리노 1971, 28번-파피루스 대영박물관 10375, 50번-파피루스 토리노 2026.
표 2. 후기 라메시드 편지(Late Ramesside Letters, LRL)에 언급된 오그도아드.[25]
15, 16, 28번 편지는 "케프테-하이-네보스(Khefte-hi-nebos, meaning ‘opposite her lord’, 즉 메디넷 하부)에 안식하는 자"라는 문구에서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고 있다. 15번 편지는 오그도아드를 위해 만들어진 언덕과 오그도아드 무덤을 나타내는 "제메의 아문(Amun of Djeme)"을 언급하고 있다.[26] 이 라메시드 편지에서 한 중요한 관찰은 제20왕조 동안 메디넷 하부의 제메에 대해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는 전통이 확립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서 언급된 오그도아드의 무덤은 이 글의 뒷부분에서 설명하겠다.
제25왕조 피안키의 승전 석비 - 오그도아드 숭배에 대한 증언
제25왕조 동안인 BC 753~723년 이집트를 통치했던 누비아(Nubia, 수단 누비아 지방)의 침략 왕, 피안키(Piankhi, Piye, 피예)의 승전 석비(Victory Stela)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헤르모폴리스(Khemnw) 신전이 언급되어 있다. 화강암 비석(그림 5)은 159줄의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피안키(Piankhi)가 이집트와 헤르모폴리스에서 승리한 후, 오그도아드 신전에 들어가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비문 §13:l.58-60(그림 6)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그의 위엄은 그의 궁전에 가득했고, 케멘누(Khemennu, 켐뉘, 오그도아드의 도시)의 군주인 토트(Thoth) 신전으로 향했다. 그는 케멘누의 군주인 아버지 토트와 오그도아드 신전에서 황소, 뿔이 짧은 소, 가금을 오그도아드에게 제물로 바쳤다."[27]
피안키 석비에 나오는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은 짧고, 그룹 신들에 대한 이름은 없지만, "여덟 도시"인 켐뉘(Khemnw)에서 오그도아드가 숭배되었다는 제25왕조의 문헌적 증거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림 5. 피안키 석비(Piankhi stela)의 상단 부분. 오귀스트 마리에트(Auguste Mariette, 1821-1881).
그림 6. 피안키 석비의 오그도아드 비문(Piankhi stela Ogdoad inscription). 그리말(Grimal) [28]
여덟 도시와 오그도아드 사원
엘-아슈무네인(El-Ashmunein)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약 322km 떨어진 이집트 북부에 있는 한 오늘날의 도시에 대한 아랍어 이름으로, 이곳에는 오그도아드(Ogdoad)를 숭배하던 한 신전이 표기된 고고학적 유적지가 있다. 엘-아슈무네인 유적지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그리스-로마 시대의 토트 신전(temple of Thoth)이 있는데, 현대에 와서 파괴되었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그 아래에 제18왕조의 기초가 놓여있는 흔적이 남아 있다. 아슈무네인(Ashmunein)은 오그도아드를 기리는 콥트어(Ϣⲙⲟⲩⲛ, 슈문)에서 유래한 말로 "여덟의 도시(City of the Eight)"를 뜻한다.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헤르모폴리스 마그나(Hermopolis Magna, 이집트 신 토트와 연관된 그들의 신 헤르메스(Hermes)의 이름을 따서)라고 불렀다. 이집트인들에게 그것은 켐뉘(Khemnw, "여덟 도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고고학 보고서에서 스펜서(Spencer)는 이렇게 말한다 : "엘-아슈무네인의 초기 신전들 중 알아볼 수 있는 흔적은 남아 있지 않으며, 유적은 현재 지하수 수준보다 깊은 곳에 있을 것이다."[29] 그러나 엘-아슈무네인에서는 제18왕조 통치자 아메노피스 3세(Amenophis III)의 비문과 켐뉘(Khemnw)의 비문이 새겨진 네 개의 거대한 개코원숭이 조각상(baboon statues)이 출토되었다. 아부 바크르(Abu Bakr) 교수는 원래 8마리의 개코원숭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알려진 오그도아드와 일치하며, 오그도아드가 숭배되던 신전을 지키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스펜서는 지적한다.[30] 여기에 제시된 증거들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노아와 그의 가족을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했으며, 그들 자신의 신전에서 함께 숭배했을 것이라는 예측 5와 일치한다.
다리우스 1세, 제27왕조 히비스 신전과 오그도아드 신전
남부 엘-카게 오아시스(el-Khargeh Oasis)의 중앙에 있는 히비스 신전(temple of Hibis)은 이집트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페르시아 기념물로서[31], 다리우스 1세(Darius I) 통치 시절부터 화려하게 장식되어있다(다니엘서 5장 참조). 히비스 신전은 특이한 형태의 모호한 신들을 포함하여, 성소에 약 700명의 신들이 묘사되어 있는 등, 후기 종교를 거의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다.[32] 가장 주목할만한 비문은 홀 기둥 아래의 남쪽 벽면에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로, 이 찬가에는 오그도아드를 눈(Nun), 누네트(Nunet), 켁(Kek), 케켓(Keket), 게레(Gereh), Gerehet(게레엣) (그림 7)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 비문에는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밤(night)" 또는 "중단(cessation)"이 나타나 있다.[33] 오그도아드의 이름은 독특한 방식으로 아문(Amun)과 아무네트(Amunet)가 대체되어 있다.
그림 7. 오그도아드 이름이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34]
오그도아드 남성은 개구리 머리(frog-headed), 여성은 뱀 머리(serpent-headed)로 묘사되어 있는데, 두 동물 모두 물과 홍수와 연관된 동물이다. 히비스(Hibis) 신전에 있는 오그도아드의 다른 묘사에는, 그들이 창조 첫날에 태양을 숭배하고 있는, 원숭이(simian)의 모습들로 그려져 있다.
제18왕조 아문 사원 - 오그도아드 무덤
프톨레마이오스(Ptolemaic) 시대와 로마 시대의 전통[35]과 라메시드 편지(Ramesside letters)에 따르면, 제18왕조의 아문을 숭배하던 작은 신전을(그림 8)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의 무덤으로 믿고 있었다. 이 사원은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있는데, 더 큰 제20왕조의 라메시드 3세 사원 단지(Ramesside III temple complex, 그림 9) 내에 위치한다. 아문 신전 안에 있는 오그도아드 무덤의 비문에는 독특한 일련의 복합 이름, 특히 Imn-Nwn과 Imn.t-Nwn.t, Kk.w과 Kk.t, Ḥḥ와 Ḥḥ.t, Niw와 Niw.t.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36] 시카고 대학 동양학 연구소는 1926년부터 1933년까지[37] 메디넷 하부 유적지를 발굴하여 14권의 고고학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브레스트(Breasted)와 머네인(Murnane)이 두 권의 책을 추가로 출간했다.
그림 8. 제18왕조 오그도아드 무덤 사원(Temple Ogdoad tomb)의 복원 <by Hölscher> [40]
그림 9. 라메시드 3세 신전(Ramesside III temple). <Gavin Cox>. (A)제20왕조 람세스 3세(Ramesses III) 신전, (B)제18왕조 아문 오그도아드 무덤, (C)눈(Nun) 또는 태초의 홍수를 상징하는 신성한 호수(lake).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호렘헤브(Horemheb), 세티 1세(Seti I) 시대로부터 내려오던 제18왕조 아문 신전의 입구와 바크 외관(bark shrine)은, 프톨레마이오스 8세 에우에르게테스 2세(Ptolemy VIII Euergetes II, BC 116년 사망)의 통치 시기에 프톨레마이오스 양식(Ptolemaic style)으로 다시 재조각되었다.[38] 신전 내부 그림들에는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오그도아드는 네 명씩 의인화된 두 그룹으로 나뉘어 앉아있으며, 모두 하늘의 기둥(pillars of the sky)들을 상징하는 와스 홀(Was-sceptres, 와스-셉트레, 끝이 갈라진 길고 곧은 지팡이)을 들고 있는데, 이 홀은 우주가 눈(Nun-홍수)으로 붕괴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문턱과 상인방에 새겨진 긴 우주론적 텍스트(그림 10)는 창조 당시 오그도드의 역할과 메디넷 하부(Djeme, 제메)에 묻힌 그들의 장례를 기술하고 있으며, 맥클레인(McClain)은 이 텍스트가 히비스의 ‘위대한 아문 찬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으로 기술했다.[39]
그림 10.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바크 외관(bark shrine)으로 가는 문.[41] (A)아문 신전에 묻힌 오그도아드에 대한 찬가로 덮인 문설주와 문턱, 프톨레미 8세와 클레오파트라의 제물을 받고 앉아있는 오그도아드의 모습, (B)바크 외관(bark shrine, 태양 (껍질) 배에 바쳐진 방).
바크 외관 안의 텍스트에는 대홍수와, 외관 안에 매장된 오그도아드에 대한 놀라운 언급이 담겨져 있다 :
"... 땅이 완전히 어둠 속에 있고, 존재하는 모든 것이 침수되었을 때, 눈(Nun, 홍수)에서 빛을 발한 태초를 가져온 고귀한 아버지들 ... 구름 폭발로 눈(Nun)이 왔을 때, 완전한 어둠 뒤에 빛을 열었다... 위대한 어른(great elder)으로, 저세상에서 그의 미라가 확장되었을 때, 그의 아버지의 앞에서, 그 시대의 범람(inundation)을 열었다: 그것은 아문 조세르와 함께(Amun Djeser-set), 눈(Nun)으로부터 앞으로 나간, 아버지들의 아버지, 아문의 영토 오그도아드와 함께 나란히 있다. (그들) 모두의 매장이 그안에 완성되고, (즉) 제메(Djeme)의 언덕에 잠자는 자들, 신들의 아버지가 있는 장소, 그들은 첫 번째로 모든 신들을 낳았고, 그들은 싸매어져(wrapping) 매장되었고, 그들은 그안에 있다. 제메의 언덕에..."[42]
맥클레인은 2011년에 발간한 고고학 보고서에서 이렇게 말한다:
"외관의 재건축 목적에 대한 부가된 설명으로, 이 텍스트는 특별히 위대한 어른 레(Re)의 아버지로서 아문(Amun)의 특징을 조명하고 있는데... 그는 장례 제물을 받기 위해 여기 제메의 언덕에 '나타난다' ... 우리는 또한 '제메의 언덕에서 잠을 자고있는 오그도아드의 숭배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그들은 싸매어져 묻혔고, 그들의 구성원들이 그 안에 있으며, 제메의 언덕이 아문의 안식처이며, 그들의 매장 장소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텍스트는 이들 숭배되는 '죽은' 창조 신들의 매장 장소를 분명히 선언하고 있었다."[43]
아문 신전 아래에서는 어두운 모래로 채워져 있었고, 기능을 알 수 없는, 미확인 지하 방들이 여러 개 발견되었다. 신전 내 다른 방의 바닥 아래에 더 많은 구덩이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고대 포장도로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 이 방들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다.[44] 현재까지 오그도아드 무덤으로 여겨지는 제18왕조 신전 아래에 오래된 구조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현대적 조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이곳에 묻혔다고 믿고 있지만, 신전 아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노아와 그의 가족이 이곳에 묻혔다는 사실은 알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다.
결론
1부에서는 창세기 9:29절, 11:11절에 기록된 노아와 그의 가족이 오랜 세월 동안 살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10가지 예측을 제시했다. 인류 역사에서 그들의 독특한 경험은 그들이 이교도 후손들로부터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했다. 성경은 이집트라는 이름이 노아의 아들 함과 그의 아들 미스라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음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특정 조사에 초점을 제공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예측을 탐색 기준으로 사용했다.
예측 1: 노아와 대홍수는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텍스트인 제5왕조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두 용어, '대홍수(Great Flood)'와 함께 '여덟(the Eight)'이라는 개념의 용어가 발견되는데, 이는 후기 그리스 문헌에서 오그도아드(Ogdoad), 또는 이집트어로 켐뉘(Khemnw)로 알려져 있다. 두 용어는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Nuw, Nuw.t and Amun, Amun.t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이름인 Kek과 Heh는 우주론적 개념으로 등장한다. 이 이름들은 이후 ‘관 텍스트(Coffin Texts)’와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로 알려진 텍스트 모음집에 등장한다. 특히 BD(사자의 서) 175에는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보내진 홍수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이름들은 혼돈의 세력에 대한 단어들의 어근들로 나타난다.
홍수와 관련된 여덟 신들의 그룹을 통칭하여, 여덟 헤흐 신(eight Heh gods, chaos)이라고 부르는데(하늘이 눈(Nun)으로 다시 붕괴되는 것을 막는 오그도아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 이 이름은 오그도아드에서 유래한 것으로, 투탕카멘, 세티 1세, 람세스 2, 3, 4세의 장례식 비문에도 나타난다. 또한 오늘날의 엘-아슈무네인('여덟 개의 도시'라는 뜻의 이집트 콥틱어에서 유래)에는 오그도아드 자체를 섬기는 제18왕조의 숭배 사원이 있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메디넷 하부에 있는 제18왕조의 아문 신전에 묻혔다고 믿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첫 번째 1부 글의 시작 부분(1부 글 그림2 참조)에 명시된 성경에 근거한 예측과 일치한다:
● '8이라는 숫자' (2번 예측);
● '홍수 개념' (3번);
● '신격화 된 조상' (5번);
● '파라오 관련 문헌' (6번);
● '사원과 숭배' (7번),
● '여덟 명의 무덤' (9번).
다음 예측은 이어진 글에서 조사할 예정이다:
●'창조 개념' (4번 예측). 함이 홍수 이전의 지식을 가져왔다면, 창세기 1-4장과 비교했을 때, 고대 이집트의 창조 개념 사이에는 현저한 유사점이 있을 것이다.
●'이집트식 이름 대 히브리식 이름' (8번). 논문 1부에서는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가 어떻게 오그도아드의 이름의 의미로 이어졌는지 간략하게 설명했다. 이는 이집트 오그도아드가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에 대한 다신교적 개념을 나타낸다는 전반적인 사례를 더욱 강화시켜주고 있음을, 별도의 기사에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이름들의 시조(개척자)' (10번): 고대 이집트에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를 기념하여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기본 개념들, 발명품 또는 일상용품들이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것들은 알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나타날까? 이러한 질문은 향후 글의 기초가 될 것이다.
감사의 말
이 글의 초고를 검토하고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 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익명의 검토자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이 글은 2023년 3월 31일 CMI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References and notes
1. Hornung, E., Krauss, R., Krauss, M.E., and Warburton, D.A. (Eds.), Ancient Egyptian Chronology, Brill, Leiden, p. 492, 2006.
2. Pinch, G.,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Press, CA, p. 197, 2002. Shu, an air god separated his children earth (son, Geb) and sky (daughter, Nut) from their embrace. He then held up Nut—an image of creation—keeping the sky from collapsing and returning to Nun. Shu was aided by the eight Heh gods.
3. Hornung, E., Der Ägyptische Mythos von der Himmelskuh: Eine Ätiologie des Unvollkommenen, University of Zurich, Freiburg, pp. 42–43, HC Line 157–168, 1982.
4. Lichtheim, M., Ancient Egyptian Literature—vol. II: The New Kingdom,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 198, 1976; also recognized by Pinch, ref. 2, p. 173, in her discussion of Nu’s role in the Heavenly Cow myth.
5. Hornung, ref. 3, pp. 39–40, HC Line 69–100. Specifically, a flood of beer, coloured by red ochre.
6. Piankoff, A. (Rambova, N., Ed.), The shrines of Tut-Ankh-Am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p. 29, 1962.
7. Hornung, E. (Lorton, D., trans.), 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Cornell University Press, London, p. 148, 1999.
8. PT 406§709a in Teti and Pepis II pyramids.
9. Piankoff, ref. 6, p. 142.
10. Piankoff, ref. 6, pp. 142–143.
11. Quirke, S., Going Out in Daylight: prt m hrw—the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Dead—translation, sources, meanings, Golden House Publications, London, p. vii, 2013.
12.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in the Oriental Institute Museum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s, Chicago, IL, p. 112, 1960.
13. Quirke, ref. 11, p. 399. Found on the papyrus of Nespasef, papyrus Marseille 291.
14.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or Going Forth by Daylight, The Un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60, 1974.
15. HALOT 10032 states: “2) The sbst. is a loanword from Egyptian and may be derived either a) from ḏb’t shrine, sarcophagus; or b) from tbt chest (see Erman-G. Wb. 5: 561; 261).”
16. HALOT 10032, see Wb 5, 261.6; 434.10–11; 561.
17. Allen, ref. 14, p. 273. Allen states Ḥeḥis ‘One of the Ogdoad of Hermopolis’.
18. Silverman, D.P.,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121, 1997.
19. Wilkinson, R.H.,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Egypt, Thames & Hudson Inc., London, p. 117, 2003. New Kingdom tombs in the Valley of the Kings including Ramses VI, where the descending shafts and associated images of Nun depict a return to Nun as an image of rebirth of the deceased.
20. Wilkinson, ref. 19, p. 117, Papyrus EA 10470/35.
21. Wilkinson, ref. 19, p. 117.
22. Zivie-Coche, C., ‘L’Ogdoade à Thèbes à l’époque ptolémaïque et ses antécédents’, Documents de Théologies Thébaines Tardives, pp. 167–225, 2009; p. 170.
23. Quirke, ref. 11, pp. 437–438, 2013, line numbers added for reference.
24. Wente, E.F., Late Ramesside Lett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1967.
25. Wente, ref. 24, pp. 189, 193, 194, and 197.
26. Helck, W. and Otto, E. (Eds.), Lexikon der Ägyptologie, band I, Wiesbaden, O. Harrassowitz, Germany, pp. 296 and 300, 1986.
27. Grimal, N.C., La Stèle Triomphale de Pi(‘ankh)y au Musée de Caire,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Paris, pp. 68–69, 1981.
28. Grimal, ref. 27, Pl.VIII:59.
29. Spencer, A.J., Excavations at El-Ashmunein II, the Temple Area, British Museum Press, London, p. 63, 1989.
30. Spencer, ref. 28, p. 64.
31. Cruz-Uribe, E., Hibis Temple Project,vol. 1, Van Siclen Books, San Antonio, p. 194, 1988.
32.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tudies, Yale Egyptological Institute, New Haven, pp. 1–5, 2006.
33. Cruz-Uribe, ref. 31, p. 22.
34. Davies, N. de G., The Temple of Hibis in el Khargêh Oasis III, The Decoration, Plantin Press, New York, Pl.33, 1953.
35. The Book of Fayyum, where the Ogdoad describe themselves as ‘resting in our bodies in the mound of Djeme’. O’Connor, D. and Quirke, S. (Eds), Mysterious Lands—Encounters with Ancient Egypt, UCL Press, London, p. 86, 2003.
36. The names are unique compound names, but are all forms of the Ogdoad names. McClain, B., The Cosmogonical Inscriptions of Ptolemy VIII Euergetes II and the Cultic Evolution of the Temple of Djeser-Set; in: Dorman, P.F. and Bryan B.M. (Eds.), Perspectives on Ptolemaic Thebes: Papers from the Theban Workshop 2006, pp. 69–96, Chicago, IL, 2011, p. 46.
37. The first expedi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8, 1927. and officially concluded in March 1933. Nelson, H.H, and Hoelscher, U., Medinet Habu, Chicago, IL., pp. 37–38; 91–92, 1924–1928.
38. McClain, ref. 36, p. 71.
39. McClain, ref. 36, p. 64.
40. Holscher, U., 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L, Plate 4, 1939.
41. McClain, ref. 36, p. 74.
42. McClain, ref. 36, pp. 79 and 83.
43. McClain, ref. 36, pp. 84–85.
44. Hölscher, U., The Excavation of Medinet Habu, vol. I—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5, 1939.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세계 곳곳의 홍수 전설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96&bmode=view
전 지구적 홍수를 가리키는 성경적, 과학적 증거들과 전 세계의 홍수 설화, 그리고 에누마 엘리쉬
https://creation.kr/Genesis/?idx=2851501&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중국 삼성퇴(싼싱두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3(3): 102–108, December 2019.
주소 : https://creation.com/noah-in-egypt-2
번역 : 양승원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2부
(The search for Noah and the Flood in ancient Egypt—part 2)
by Gavin Cox
개요 : 노아와 홍수의 개념이 고대 이집트의 종교와 신앙에 혼합되어 있을까? 이러한 개념은 네 명의 남성과 그들의 여성 배우자로 구성된, 여덟 명의 창조 신이 등장하는, 이집트의 신화적 우주론인 '헤르모폴리스의 오그도아드(Hermopolitan Ogdoad)'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 여덟 신과 노아, 그의 가족, 대홍수와의 연관성을 살펴볼 것이다. 먼저 이집트 신왕국에서 잘 알려진 파라오 장례 비문에서 발견되는 증거들을 살펴본 다음, 이후 ‘사자의 서’를 살펴보고, 신전에서의 숭배 증거, 오그도아드의 매장 무덤을 조사하는 등, 이집트 역사의 후기 단계까지 조사를 이어갈 것이다. 본 저자는 창세기 5장과 11장의 연대기와 창세기 6~9장의 홍수 이야기의 성경 본문의 함의를 바탕으로, 이집트 역사와 종교에 대한 10가지 사항들에 대한 탐색 또는 예측을 바탕으로 조사를 진행할 것이다.
.투탕카멘(제18왕조 파라오)의 장례 가면(Tutankhamun’s funerary mask)
이집트 신왕국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2부 글에서는 이집트 신왕국(New Kingdom, NK)의 여러 정보 출처들에서 오그도아드(Ogdoad, 8명의 신들 무리)와 대홍수와 관련된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에 대해 논의하겠다. 이 출처들은 역사상 가장 잘 알려진 파라오의 장례식 비문(funerary inscriptions)에 등장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두 종교적 출처인, ‘천상의 소에 관한 서(Book of the Heavenly Cow, HC)’와 ‘사자(死者)의 서(Book of the Dead, BD)’를 분석할 것이며, 특히 ‘사자의 서’ BD 175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천상의 소에 관한 서’와 오그도아드
‘천상의 소(Heavenly Cow)’ 신화는 이집트 신왕국 시대(BC 1539~1077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며, 여러 버전으로 보존되어 있다.[1] 특히 흥미로운 것은 이야기 속에서 슈(Shu)를 도와 하늘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는, 여덟 헤흐 신들(eight Ḥeḥ-gods)의 등장이다.[2] 여덟 명의 신들은 하늘이 무너지는 것을 막고, 창조 세계가 홍수의 화신인 눈(Nun)으로 대표되는 태초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한다.[3] HC(‘천상의 소에 관한 서’)는 인류가 레(Re)에 대한 반란(sbi)을 일으켜, 레가 인류의 파괴를 명령하고, 이후 우주를 재조직한 후, 영구적으로 천국으로 은퇴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이집트 학자들은 HC가 대홍수에 의한 반란과 심판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인해, 대홍수와 인류의 멸망에 관한 메소포타미아 및 성경 구절을 연상시킨다고 지적했다.[4] HC에서 '신들의 아버지'인 누(Nu)는 자문을 얻는 신성한 회의에서 하토르(Hathor, 그의 딸 신)에게 인류 파괴의 심판을 선포한다. 이후 한 '홍수'[5]가 발생하는데, 그 목적은 하토르를 속이고, 그녀의 분노를 진정시켜, 남은 인류를 구하는 것이었다.[6]
HC는 투탕카멘(제18왕조, BC 1324년경)의 시대부터 처음으로 입증되었으며, 이후 세티 1세, 람세스 2세, 3세, 4세[7](제19왕조)의 무덤 비문(tomb inscriptions)에 등장하는데, 이 비문은 전용으로 마련된 왕의 석관이 있는 방의 보조 방에 위치해 있다. 이 텍스트의 연대는 신왕국 제18왕조부터 제20왕조까지 넓게 확장되어 있다.
HC의 구절은 투탕카멘의 신전 1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지만, 이 신화의 출처는 가장 오래된 텍스트, 특히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 PT)에서 발견될 수 있는데, 여기서 소(Cow)의 명칭은 mḥyt-wrt, "대홍수(Great Flood)"는 5개의 철자(1부에서 설명한 대로)로, 하늘을 지지하는 8명의 헤흐-신들(Ḥeḥ-gods)과 함께 등장한다.[8] 관 텍스트(Coffin Texts, CT)에서 HC를 직접 암시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CT 79에서 여덟 명의 헤흐-신들은 누(Nu)와 함께 등장하는데, 여기서 레(Re)는 천상의 소들(Heavenly Cow), 즉 "대홍수(Great Flood)" 위에서 쉬고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투탕카멘, 대홍수, 그리고 여덟 헤흐-신들
'외관(外棺, Shrine, 석관들이 놓여있는 커다란 상자 모양의 구조물) 1'은 투탕카멘의 외관들 중에서 가장 큰 외관으로(그림 1), 안팎이 텍스트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왼쪽 면과 뒷쪽 면에는 ‘천상의 소에 관한 서’의 구절들이 있고, 뒤쪽 면에는 슈(Shu)가 여덟 헤흐 신(Ḥeḥ-gods)들의 도움을 받아, 대홍수(천상의 소로 표현됨)를 지탱하고 있는 그림이 새겨져 있다. 소의 배는 하늘을 상징하는 별(stars)들로 덮여 있으며, 태양신 라(Ra)가 그의 태양 배(solar bark, 태양 껍질 배)를 타고 항해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그림 2).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엘-바위티(el-Bawiti)의 제26왕조 무덤에서 볼 수 있듯이, 하늘을 지탱하는 슈를 돕는 여덟 신(Ḥeḥ-gods)의 기능이 오그도아드(Ogdoad)의 기능과 동일하다는 것으로, 따라서 여덟 신들의 정체성은 오그도아드의 그것과 동일하다는 것이다. 즉, 여덟 신을 대표하는 오그도아드는 대홍수로 인해 우주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 있었다.
그림 1. 투탕카멘의 외관(外棺, shrine) I (Wikipedia Commons CC BY-SA 2.5)
투탕카멘의 외관 1에 있는 천상의 소 그림은 비문(inscription)으로 둘러싸여 있다 :
"대홍수(천상의 소)에 의해 말해진 말 : 내 몸의 아들이여 오라, 나의 사랑하는 자여, 두 땅의 군주 네브케페루레(Neb-Kheperu-Re). 당신의 아버지 레(Re)와 함께, 대홍수(Great Flood, Cow)의 곁에서 그를 따르는 이 신들 중 한 명으로 있네. 오시리스, 투탕카멘 왕, 남부 헬리오폴리스의 통치자는 살아나서, 그는 네크로폴리스에서 다시 죽지 않을 것이다!!"[10]
투탕카멘(Tutankhamun, Amen-tut-ankh)이라는 이름 자체가 오그도아드와 관련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만 한다. 그 소년 왕(18세에 사망)의 이름은 "아문의 살아있는 형상(living image of Amun)"을 의미하며, 아문(Amun)은 오그도아드의 남성 신들 중 한 명으로, 이 시기까지 그 자체로 중요한 신이었다. 따라서 투탕카멘의 장례 신전에 대홍수와 여덟 신에 대한 비문이 새겨져 있는 것은 그의 아문이라는 칭호와 일치한다. 여덟 신들과 대홍수에 대한 기억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몇몇 파라오의 이름에도 공유되어있는 것이다.
그림 2. 투탕카멘의 외관 I 에서, 천상의 소(대홍수)를 지탱하고 있는 슈를 돕고 있는 여덟 헤흐-신들(eight Ḥeḥ-gods). (in Piankoff[9])
사자의 서
이집트인들이 "빛으로 나오기(위한 책) (going out in daylight)"(prt m hrw)이라고 부르는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 BD)’는 BC 1450년부터 AD 50년까지 약 1,500년에 걸친 역사를 갖고 있다.[11] 신왕국(New Kingdom, 제18왕조) 초기에 BD는 아직 형성 과정에 있었고, 사이스 왕조(Saite period, 제26왕조)에 이르러서야 모든 주문(spells)들이 일정한 장의 순서로 정리된 최종 정경이 완성되었다. BD는 죽은 자의 부활과 내세에서의 안전을 보장하는 기능을 가진 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BD는 파피루스 두루마리에 수집되어 새겨진 종교적 장례 의식과 주문을 대표하는 중왕국 관 텍스트(CT)와 고왕국 피라미드 텍스트(PT)의 후속작으로, 구매자가 장례를 치를 때 사용할 수 있게 되어있다. BD 텍스트는 필기체 상형문자를 사용했으며, 화려한 잉크 그림과 함께 쓰여져 있다.
사자의 서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사자의 서(BD)에서 오그도아드를 언급하고 있는 본문으로는, BD 27:2 "나의 이 마음은 오그도아드 안에 있는 큰 마음이라"[12], BD 164:2(제26왕조 사본으로부터 알려진, BC 350년경)[13] "오그도아드(와) 그들의 관(ḏbꜢ t) 안에 살아있는 영혼들이 당신의 존엄을 찬양하고 있다..."[14] (흥미롭게도 노아의 방주(ark)에 사용된 히브리어는 ‘테밧(tēbat)’으로, 관(coffin)을 뜻하는 이집트어인 ḏbꜢ t의 음역(transliteration)으로 확인되고 있다.[15] (그들의 관 속의 오그도아드는 '죽은 신들(dead gods)'로 보는 개념은 나중에 설명한다).[16] 헤흐(Heh)는 BD 150:2에서 "헤흐의 거처(Abode of Ḥeḥ)"로 단독으로 언급되어 있다.[17] BD의 한 중요한 삽화(vignette)에는 오그도아드가 나타나 있는데(그림 3), 이것은 아문(Amun)의 제사장이었던 제21왕조의 콘수메스의 파피루스(papyrus of Khenumose)에서 나온 것이다.(오른쪽 상단에서 그의 상형문자를 볼 수 있음).
그림 3. 콘수메스 파피루스(Khonsumes papyrus), 오그도아드가 땅을 괭이로 파고 있다.(in Silverman)[18]
이 삽화에는 창조의 첫째 날에 세 단계로 떠오른 태양이 태초의 한 쌍의 산 지평선 뒤로 지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북쪽(오른쪽)과 남쪽(왼쪽)을 상징하는 두 여신이 눈(Nun, 홍수)의 물을 쏟아붓고 있다. 태초의 땅에는 8명의 창조 신들이 대지를 괭이질하는 모습의 오그도아드가 그려져 있다. 이는 창세기 9:18절에 묘사된 대로 노아의 가족들이 방주에서 내려 농업을 시작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 그림은 노아와 그의 가족이 홍수 이후 토양에서 새롭게 농업을 시작하여 첫 번째 작물을 수확함으로써, 인류의 삶이 번성할 수 있는 여건을 새롭게 조성한 문화적 기억을 상징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집트인들은 자연스럽게 그들을 창조의 신들로 기념했을 것이다.
누(Nu)가 일곱 신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 및/또는 오그도아드를 들고, 눈(Nun)에 서 있는 모습은 파라오의 신전 벽에서 볼 수 있는 그림으로, 제19왕조 아니(Ani)의 BD 파피루스[20]에 묘사되어 있다(그림 4). 누(Nu)는 하늘을 지탱하는 여덟 신들(Ḥeḥ-gods)과 오그도아드의 기능을 완전히 대신하여, 라(Ra)가 태양의 배를 타고 항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하늘이 무너지고 혼돈과 눈(Nun)으로 돌아가는 것을 막고 있다.
BD 175에서 오그도아드와 대홍수
BD(사자의 서) 175에는 대홍수로 파괴되는 우주에 대한 기술이 있는데, 결과적으로 비인간적인 개념인 누(Nu)와 헤흐(Ḥḥw)와 함께, 오시리스(Osiris)와 아툼(Atum, 뱀으로 변형된)이 홀로 남게 된다. 이는 오그도아드의 개별 신들이 장례 문헌에서 나타나는 한 사례가 되고 있다.[22] 토트(Thoth)는 시작부터 언급되고 있는 주요 신으로, 그는 ḫmnw(Khemnw, 켐뉘, 8 신들의 도시)의 군주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 구절에는 인류의 악, 반역(sbi), 폭력에 반대하는 한 신의 불만이 포함되어 있다. 신성한 심판의 일부는 인류의 시간(수명)이 제한되고, 창조된 모든 것이 홍수로 파괴된다는 것이다. BD 175의 다음 구절은 쿼크(Quirke)의 2013년 번역본에서 발췌한 것이다:
"(4) 오 토트(Thoth), 누트(Nut)의 자녀들에게 (5)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6) 그들은 소란을 일으켰고, 분쟁을 일으켰고, (7) 악을 행했고, 반역(sbiw)을 일으켰고, (8) 도살의 원인이 되었다... (13) 당신은 악을 보지 않을 것이며, 고통을 겪지 않을 것이다. (14) 그들의 연한은 제한되었고, (15) 그들의 달은 가까워지고 있으며... (51) 내가 참으로 내가 만든 모든 것을 멸하리니, (52) 이 땅은 눈(Nun)으로 돌아갈 것이다 (53) 홍수 물로서, 원래의 상태대로 ... ." [23]
그림 4. 누(Nu)가 레(Re)와 일곱 신들이 타고 있는 태양의 배(solar bark, 태양의 껍질 배)를 지탱하고 있다. (in Wilkinson)[21]
표 1은 BD 175의 심판과 멸망 구절에서 오그도아드와 관련된 네 이름들에 대해 이론적으로 암시하는 역할을 하는 어휘들을 탐색하고, 표로 정리한 것이다.
표 1. BD 175의 오그도아드 어휘들(Ogdoad vocabulary)
여기에 묘사된 혼돈(chaos)과 눈(Nun)의 귀환은 오그도아드를 혼돈의 신으로 언급하는 언어유희에 의해 강조되고 있을 수 있다. 홍수 심판을 초래한 신의 불만은 인류의 도덕적 실패에 기인한 것으로, 반역(sbi), 악, 폭력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창세기 6:5,11절에 기록된 하나님의 한탄과 개념적으로 유사하다. BD 175:14에서 인간의 연한을 "제한"으로, 달(months)을 "가까워짐"으로 묘사하는 것은 창세기 6:3절에서 인류의 기간을 120년으로 제한하는 신성한 저주(아마도 홍수 심판 전)를 연상시킨다. BD 175에서 사용된 "홍수 물(floodwater)"이라는 용어는 Wb 3, 56:15에서 "태고의 신(primeval god)"으로 정의된 ḥwḥw로, 아마도 오그도아드의 멤버 ḥḥ의 대체된 철자일 가능성이 높다.
제20왕조 라메시드 편지에서 오그도아드
라메시드(Ramesside) 후기(제20왕조)에 신관서체(hieratic)로 쓰여진, 50개의 파피루스 편지(papyri letters)들이 수집되어 연구되어왔다. 이 파피루스들은 테베(Thebes)에서 일했고,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살았던 서기관 데후티모세(Djehutymose)와 그의 아들 부테하문(Butehamun)의 가족 기록 보관소에서 나왔다. 이 편지들은 묘지의 수석 서기관들이 행정적인 목적으로 특정 개인에게 보낸 서신들이다. 이 편지들은 어느 정도 확실하게 람세스 11세(Ramses XI)의 통치 기간인 재위 1~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4] 이 연구에서 흥미로운 것은 오그도아드를 언급하는 네 개의 편지로서, 긴 소개의 축복과 간구(재위 1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의 일부로 오그도아드를 언급함으로써, 헤르모폴리스(Hermopolis, Khemnw)와 오그도아드 및 그들의 무덤의 연관성에 대한 우발적인 문서적 입증자료가 되고 있다.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이 포함된 편지들(표 2)은 다음과 같다: 15번-파피루스 필립스, 16번-파피루스 토리노 1971, 28번-파피루스 대영박물관 10375, 50번-파피루스 토리노 2026.
표 2. 후기 라메시드 편지(Late Ramesside Letters, LRL)에 언급된 오그도아드.[25]
15, 16, 28번 편지는 "케프테-하이-네보스(Khefte-hi-nebos, meaning ‘opposite her lord’, 즉 메디넷 하부)에 안식하는 자"라는 문구에서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고 있다. 15번 편지는 오그도아드를 위해 만들어진 언덕과 오그도아드 무덤을 나타내는 "제메의 아문(Amun of Djeme)"을 언급하고 있다.[26] 이 라메시드 편지에서 한 중요한 관찰은 제20왕조 동안 메디넷 하부의 제메에 대해 오그도아드 무덤을 언급하는 전통이 확립되었다는 점이다. 여기서 언급된 오그도아드의 무덤은 이 글의 뒷부분에서 설명하겠다.
제25왕조 피안키의 승전 석비 - 오그도아드 숭배에 대한 증언
제25왕조 동안인 BC 753~723년 이집트를 통치했던 누비아(Nubia, 수단 누비아 지방)의 침략 왕, 피안키(Piankhi, Piye, 피예)의 승전 석비(Victory Stela)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헤르모폴리스(Khemnw) 신전이 언급되어 있다. 화강암 비석(그림 5)은 159줄의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피안키(Piankhi)가 이집트와 헤르모폴리스에서 승리한 후, 오그도아드 신전에 들어가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비문 §13:l.58-60(그림 6)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 "그의 위엄은 그의 궁전에 가득했고, 케멘누(Khemennu, 켐뉘, 오그도아드의 도시)의 군주인 토트(Thoth) 신전으로 향했다. 그는 케멘누의 군주인 아버지 토트와 오그도아드 신전에서 황소, 뿔이 짧은 소, 가금을 오그도아드에게 제물로 바쳤다."[27]
피안키 석비에 나오는 오그도아드에 대한 언급은 짧고, 그룹 신들에 대한 이름은 없지만, "여덟 도시"인 켐뉘(Khemnw)에서 오그도아드가 숭배되었다는 제25왕조의 문헌적 증거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림 5. 피안키 석비(Piankhi stela)의 상단 부분. 오귀스트 마리에트(Auguste Mariette, 1821-1881).
그림 6. 피안키 석비의 오그도아드 비문(Piankhi stela Ogdoad inscription). 그리말(Grimal) [28]
여덟 도시와 오그도아드 사원
엘-아슈무네인(El-Ashmunein)은 카이로에서 남쪽으로 약 322km 떨어진 이집트 북부에 있는 한 오늘날의 도시에 대한 아랍어 이름으로, 이곳에는 오그도아드(Ogdoad)를 숭배하던 한 신전이 표기된 고고학적 유적지가 있다. 엘-아슈무네인 유적지에는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던 그리스-로마 시대의 토트 신전(temple of Thoth)이 있는데, 현대에 와서 파괴되었지만,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그 아래에 제18왕조의 기초가 놓여있는 흔적이 남아 있다. 아슈무네인(Ashmunein)은 오그도아드를 기리는 콥트어(Ϣⲙⲟⲩⲛ, 슈문)에서 유래한 말로 "여덟의 도시(City of the Eight)"를 뜻한다.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헤르모폴리스 마그나(Hermopolis Magna, 이집트 신 토트와 연관된 그들의 신 헤르메스(Hermes)의 이름을 따서)라고 불렀다. 이집트인들에게 그것은 켐뉘(Khemnw, "여덟 도시")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고고학 보고서에서 스펜서(Spencer)는 이렇게 말한다 : "엘-아슈무네인의 초기 신전들 중 알아볼 수 있는 흔적은 남아 있지 않으며, 유적은 현재 지하수 수준보다 깊은 곳에 있을 것이다."[29] 그러나 엘-아슈무네인에서는 제18왕조 통치자 아메노피스 3세(Amenophis III)의 비문과 켐뉘(Khemnw)의 비문이 새겨진 네 개의 거대한 개코원숭이 조각상(baboon statues)이 출토되었다. 아부 바크르(Abu Bakr) 교수는 원래 8마리의 개코원숭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알려진 오그도아드와 일치하며, 오그도아드가 숭배되던 신전을 지키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스펜서는 지적한다.[30] 여기에 제시된 증거들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노아와 그의 가족을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했으며, 그들 자신의 신전에서 함께 숭배했을 것이라는 예측 5와 일치한다.
다리우스 1세, 제27왕조 히비스 신전과 오그도아드 신전
남부 엘-카게 오아시스(el-Khargeh Oasis)의 중앙에 있는 히비스 신전(temple of Hibis)은 이집트에서 현존하는 가장 큰 페르시아 기념물로서[31], 다리우스 1세(Darius I) 통치 시절부터 화려하게 장식되어있다(다니엘서 5장 참조). 히비스 신전은 특이한 형태의 모호한 신들을 포함하여, 성소에 약 700명의 신들이 묘사되어 있는 등, 후기 종교를 거의 완벽하게 표현하고 있다.[32] 가장 주목할만한 비문은 홀 기둥 아래의 남쪽 벽면에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로, 이 찬가에는 오그도아드를 눈(Nun), 누네트(Nunet), 켁(Kek), 케켓(Keket), 게레(Gereh), Gerehet(게레엣) (그림 7)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이 비문에는 이집트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밤(night)" 또는 "중단(cessation)"이 나타나 있다.[33] 오그도아드의 이름은 독특한 방식으로 아문(Amun)과 아무네트(Amunet)가 대체되어 있다.
그림 7. 오그도아드 이름이 있는 ‘위대한 아문 찬가(Great Amun Hymn)’[34]
오그도아드 남성은 개구리 머리(frog-headed), 여성은 뱀 머리(serpent-headed)로 묘사되어 있는데, 두 동물 모두 물과 홍수와 연관된 동물이다. 히비스(Hibis) 신전에 있는 오그도아드의 다른 묘사에는, 그들이 창조 첫날에 태양을 숭배하고 있는, 원숭이(simian)의 모습들로 그려져 있다.
제18왕조 아문 사원 - 오그도아드 무덤
프톨레마이오스(Ptolemaic) 시대와 로마 시대의 전통[35]과 라메시드 편지(Ramesside letters)에 따르면, 제18왕조의 아문을 숭배하던 작은 신전을(그림 8)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의 무덤으로 믿고 있었다. 이 사원은 메디넷 하부(Medinet Habu)에 있는데, 더 큰 제20왕조의 라메시드 3세 사원 단지(Ramesside III temple complex, 그림 9) 내에 위치한다. 아문 신전 안에 있는 오그도아드 무덤의 비문에는 독특한 일련의 복합 이름, 특히 Imn-Nwn과 Imn.t-Nwn.t, Kk.w과 Kk.t, Ḥḥ와 Ḥḥ.t, Niw와 Niw.t. 등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36] 시카고 대학 동양학 연구소는 1926년부터 1933년까지[37] 메디넷 하부 유적지를 발굴하여 14권의 고고학 보고서를 발간했으며, 브레스트(Breasted)와 머네인(Murnane)이 두 권의 책을 추가로 출간했다.
그림 8. 제18왕조 오그도아드 무덤 사원(Temple Ogdoad tomb)의 복원 <by Hölscher> [40]
그림 9. 라메시드 3세 신전(Ramesside III temple). <Gavin Cox>. (A)제20왕조 람세스 3세(Ramesses III) 신전, (B)제18왕조 아문 오그도아드 무덤, (C)눈(Nun) 또는 태초의 홍수를 상징하는 신성한 호수(lake).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호렘헤브(Horemheb), 세티 1세(Seti I) 시대로부터 내려오던 제18왕조 아문 신전의 입구와 바크 외관(bark shrine)은, 프톨레마이오스 8세 에우에르게테스 2세(Ptolemy VIII Euergetes II, BC 116년 사망)의 통치 시기에 프톨레마이오스 양식(Ptolemaic style)으로 다시 재조각되었다.[38] 신전 내부 그림들에는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오그도아드는 네 명씩 의인화된 두 그룹으로 나뉘어 앉아있으며, 모두 하늘의 기둥(pillars of the sky)들을 상징하는 와스 홀(Was-sceptres, 와스-셉트레, 끝이 갈라진 길고 곧은 지팡이)을 들고 있는데, 이 홀은 우주가 눈(Nun-홍수)으로 붕괴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문턱과 상인방에 새겨진 긴 우주론적 텍스트(그림 10)는 창조 당시 오그도드의 역할과 메디넷 하부(Djeme, 제메)에 묻힌 그들의 장례를 기술하고 있으며, 맥클레인(McClain)은 이 텍스트가 히비스의 ‘위대한 아문 찬가’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것으로 기술했다.[39]
그림 10. 프톨레마이오스 8세(Ptolemy VIII)와 클레오파트라 2세(Cleopatra II)가 오그도아드를 숭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바크 외관(bark shrine)으로 가는 문.[41] (A)아문 신전에 묻힌 오그도아드에 대한 찬가로 덮인 문설주와 문턱, 프톨레미 8세와 클레오파트라의 제물을 받고 앉아있는 오그도아드의 모습, (B)바크 외관(bark shrine, 태양 (껍질) 배에 바쳐진 방).
바크 외관 안의 텍스트에는 대홍수와, 외관 안에 매장된 오그도아드에 대한 놀라운 언급이 담겨져 있다 :
"... 땅이 완전히 어둠 속에 있고, 존재하는 모든 것이 침수되었을 때, 눈(Nun, 홍수)에서 빛을 발한 태초를 가져온 고귀한 아버지들 ... 구름 폭발로 눈(Nun)이 왔을 때, 완전한 어둠 뒤에 빛을 열었다... 위대한 어른(great elder)으로, 저세상에서 그의 미라가 확장되었을 때, 그의 아버지의 앞에서, 그 시대의 범람(inundation)을 열었다: 그것은 아문 조세르와 함께(Amun Djeser-set), 눈(Nun)으로부터 앞으로 나간, 아버지들의 아버지, 아문의 영토 오그도아드와 함께 나란히 있다. (그들) 모두의 매장이 그안에 완성되고, (즉) 제메(Djeme)의 언덕에 잠자는 자들, 신들의 아버지가 있는 장소, 그들은 첫 번째로 모든 신들을 낳았고, 그들은 싸매어져(wrapping) 매장되었고, 그들은 그안에 있다. 제메의 언덕에..."[42]
맥클레인은 2011년에 발간한 고고학 보고서에서 이렇게 말한다:
"외관의 재건축 목적에 대한 부가된 설명으로, 이 텍스트는 특별히 위대한 어른 레(Re)의 아버지로서 아문(Amun)의 특징을 조명하고 있는데... 그는 장례 제물을 받기 위해 여기 제메의 언덕에 '나타난다' ... 우리는 또한 '제메의 언덕에서 잠을 자고있는 오그도아드의 숭배에 대해서도 알게 된다. 그들은 싸매어져 묻혔고, 그들의 구성원들이 그 안에 있으며, 제메의 언덕이 아문의 안식처이며, 그들의 매장 장소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 텍스트는 이들 숭배되는 '죽은' 창조 신들의 매장 장소를 분명히 선언하고 있었다."[43]
아문 신전 아래에서는 어두운 모래로 채워져 있었고, 기능을 알 수 없는, 미확인 지하 방들이 여러 개 발견되었다. 신전 내 다른 방의 바닥 아래에 더 많은 구덩이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고대 포장도로를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 이 방들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다.[44] 현재까지 오그도아드 무덤으로 여겨지는 제18왕조 신전 아래에 오래된 구조물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현대적 조사는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이곳에 묻혔다고 믿고 있지만, 신전 아래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노아와 그의 가족이 이곳에 묻혔다는 사실은 알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을 것이다.
결론
1부에서는 창세기 9:29절, 11:11절에 기록된 노아와 그의 가족이 오랜 세월 동안 살았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10가지 예측을 제시했다. 인류 역사에서 그들의 독특한 경험은 그들이 이교도 후손들로부터 신성한 조상으로 숭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했다. 성경은 이집트라는 이름이 노아의 아들 함과 그의 아들 미스라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음을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특정 조사에 초점을 제공한다. 이를 염두에 두고 성경 본문의 의미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예측을 탐색 기준으로 사용했다.
예측 1: 노아와 대홍수는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텍스트인 제5왕조 ‘피라미드 텍스트(Pyramid Texts)’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두 용어, '대홍수(Great Flood)'와 함께 '여덟(the Eight)'이라는 개념의 용어가 발견되는데, 이는 후기 그리스 문헌에서 오그도아드(Ogdoad), 또는 이집트어로 켐뉘(Khemnw)로 알려져 있다. 두 용어는 피라미드 텍스트에서 Nuw, Nuw.t and Amun, Amun.t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이름인 Kek과 Heh는 우주론적 개념으로 등장한다. 이 이름들은 이후 ‘관 텍스트(Coffin Texts)’와 ‘사자의 서(Book of the Dead)’로 알려진 텍스트 모음집에 등장한다. 특히 BD(사자의 서) 175에는 인류를 멸망시키기 위해 보내진 홍수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이름들은 혼돈의 세력에 대한 단어들의 어근들로 나타난다.
홍수와 관련된 여덟 신들의 그룹을 통칭하여, 여덟 헤흐 신(eight Heh gods, chaos)이라고 부르는데(하늘이 눈(Nun)으로 다시 붕괴되는 것을 막는 오그도아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 이 이름은 오그도아드에서 유래한 것으로, 투탕카멘, 세티 1세, 람세스 2, 3, 4세의 장례식 비문에도 나타난다. 또한 오늘날의 엘-아슈무네인('여덟 개의 도시'라는 뜻의 이집트 콥틱어에서 유래)에는 오그도아드 자체를 섬기는 제18왕조의 숭배 사원이 있었다. 또한 이집트인들은 오그도아드가 메디넷 하부에 있는 제18왕조의 아문 신전에 묻혔다고 믿고 있었다.
이러한 사실들을 종합해 보면 첫 번째 1부 글의 시작 부분(1부 글 그림2 참조)에 명시된 성경에 근거한 예측과 일치한다:
● '8이라는 숫자' (2번 예측);
● '홍수 개념' (3번);
● '신격화 된 조상' (5번);
● '파라오 관련 문헌' (6번);
● '사원과 숭배' (7번),
● '여덟 명의 무덤' (9번).
다음 예측은 이어진 글에서 조사할 예정이다:
●'창조 개념' (4번 예측). 함이 홍수 이전의 지식을 가져왔다면, 창세기 1-4장과 비교했을 때, 고대 이집트의 창조 개념 사이에는 현저한 유사점이 있을 것이다.
●'이집트식 이름 대 히브리식 이름' (8번). 논문 1부에서는 노아와 그의 아들들의 이름의 의미가 어떻게 오그도아드의 이름의 의미로 이어졌는지 간략하게 설명했다. 이는 이집트 오그도아드가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에 대한 다신교적 개념을 나타낸다는 전반적인 사례를 더욱 강화시켜주고 있음을, 별도의 기사에서 추가로 설명할 것이다.
●'이름들의 시조(개척자)' (10번): 고대 이집트에 노아와 그의 가족, 홍수를 기념하여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기본 개념들, 발명품 또는 일상용품들이 있을까? 만약 그렇다면, 그것들은 알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나타날까? 이러한 질문은 향후 글의 기초가 될 것이다.
감사의 말
이 글의 초고를 검토하고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해 주신 게리 베이츠(Gary Bates)와 익명의 검토자에게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이 글은 2023년 3월 31일 CMI 홈페이지에 게재되었다.
References and notes
1. Hornung, E., Krauss, R., Krauss, M.E., and Warburton, D.A. (Eds.), Ancient Egyptian Chronology, Brill, Leiden, p. 492, 2006.
2. Pinch, G., Egyptian Mythology: A guide to the gods, goddesses and traditions of ancient Egypt, Oxford Press, CA, p. 197, 2002. Shu, an air god separated his children earth (son, Geb) and sky (daughter, Nut) from their embrace. He then held up Nut—an image of creation—keeping the sky from collapsing and returning to Nun. Shu was aided by the eight Heh gods.
3. Hornung, E., Der Ägyptische Mythos von der Himmelskuh: Eine Ätiologie des Unvollkommenen, University of Zurich, Freiburg, pp. 42–43, HC Line 157–168, 1982.
4. Lichtheim, M., Ancient Egyptian Literature—vol. II: The New Kingdom,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p. 198, 1976; also recognized by Pinch, ref. 2, p. 173, in her discussion of Nu’s role in the Heavenly Cow myth.
5. Hornung, ref. 3, pp. 39–40, HC Line 69–100. Specifically, a flood of beer, coloured by red ochre.
6. Piankoff, A. (Rambova, N., Ed.), The shrines of Tut-Ankh-Am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York, p. 29, 1962.
7. Hornung, E. (Lorton, D., trans.), The Ancient Egyptian Books of the Afterlife, Cornell University Press, London, p. 148, 1999.
8. PT 406§709a in Teti and Pepis II pyramids.
9. Piankoff, ref. 6, p. 142.
10. Piankoff, ref. 6, pp. 142–143.
11. Quirke, S., Going Out in Daylight: prt m hrw—the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Dead—translation, sources, meanings, Golden House Publications, London, p. vii, 2013.
12.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in the Oriental Institute Museum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Oriental Institute Publications, Chicago, IL, p. 112, 1960.
13. Quirke, ref. 11, p. 399. Found on the papyrus of Nespasef, papyrus Marseille 291.
14. Allen, T.G., The Egyptian Book of the Dead or Going Forth by Daylight, The Un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60, 1974.
15. HALOT 10032 states: “2) The sbst. is a loanword from Egyptian and may be derived either a) from ḏb’t shrine, sarcophagus; or b) from tbt chest (see Erman-G. Wb. 5: 561; 261).”
16. HALOT 10032, see Wb 5, 261.6; 434.10–11; 561.
17. Allen, ref. 14, p. 273. Allen states Ḥeḥis ‘One of the Ogdoad of Hermopolis’.
18. Silverman, D.P., Ancient Egyp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p. 121, 1997.
19. Wilkinson, R.H.,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Egypt, Thames & Hudson Inc., London, p. 117, 2003. New Kingdom tombs in the Valley of the Kings including Ramses VI, where the descending shafts and associated images of Nun depict a return to Nun as an image of rebirth of the deceased.
20. Wilkinson, ref. 19, p. 117, Papyrus EA 10470/35.
21. Wilkinson, ref. 19, p. 117.
22. Zivie-Coche, C., ‘L’Ogdoade à Thèbes à l’époque ptolémaïque et ses antécédents’, Documents de Théologies Thébaines Tardives, pp. 167–225, 2009; p. 170.
23. Quirke, ref. 11, pp. 437–438, 2013, line numbers added for reference.
24. Wente, E.F., Late Ramesside Lett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1967.
25. Wente, ref. 24, pp. 189, 193, 194, and 197.
26. Helck, W. and Otto, E. (Eds.), Lexikon der Ägyptologie, band I, Wiesbaden, O. Harrassowitz, Germany, pp. 296 and 300, 1986.
27. Grimal, N.C., La Stèle Triomphale de Pi(‘ankh)y au Musée de Caire, 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 Paris, pp. 68–69, 1981.
28. Grimal, ref. 27, Pl.VIII:59.
29. Spencer, A.J., Excavations at El-Ashmunein II, the Temple Area, British Museum Press, London, p. 63, 1989.
30. Spencer, ref. 28, p. 64.
31. Cruz-Uribe, E., Hibis Temple Project,vol. 1, Van Siclen Books, San Antonio, p. 194, 1988.
32. Klotz, D., Adoration of the Ram: five hymns to Amun-Re from Hibis temple Yale Egyptological studies, Yale Egyptological Institute, New Haven, pp. 1–5, 2006.
33. Cruz-Uribe, ref. 31, p. 22.
34. Davies, N. de G., The Temple of Hibis in el Khargêh Oasis III, The Decoration, Plantin Press, New York, Pl.33, 1953.
35. The Book of Fayyum, where the Ogdoad describe themselves as ‘resting in our bodies in the mound of Djeme’. O’Connor, D. and Quirke, S. (Eds), Mysterious Lands—Encounters with Ancient Egypt, UCL Press, London, p. 86, 2003.
36. The names are unique compound names, but are all forms of the Ogdoad names. McClain, B., The Cosmogonical Inscriptions of Ptolemy VIII Euergetes II and the Cultic Evolution of the Temple of Djeser-Set; in: Dorman, P.F. and Bryan B.M. (Eds.), Perspectives on Ptolemaic Thebes: Papers from the Theban Workshop 2006, pp. 69–96, Chicago, IL, 2011, p. 46.
37. The first expedi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8, 1927. and officially concluded in March 1933. Nelson, H.H, and Hoelscher, U., Medinet Habu, Chicago, IL., pp. 37–38; 91–92, 1924–1928.
38. McClain, ref. 36, p. 71.
39. McClain, ref. 36, p. 64.
40. Holscher, U., 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L, Plate 4, 1939.
41. McClain, ref. 36, p. 74.
42. McClain, ref. 36, pp. 79 and 83.
43. McClain, ref. 36, pp. 84–85.
44. Hölscher, U., The Excavation of Medinet Habu, vol. I—The temples of the Eighteenth Dynas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IL, p. 15, 1939.
Related Articles
Further Reading
*참조 :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703689&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3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886160&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노아와 대홍수를 찾아서 – 4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6097725&bmode=view
고대 이집트에서 아담 찾기
https://creation.kr/Genesis/?idx=14698183&bmode=view
이집트의 태양신 호루스는 신격화된 함이다 : 1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221417&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의 임호텝과 요셉은 동일 인물이었는가?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404153&bmode=view
요셉과 임호텝은 동일 인물이었을까? 1
https://creation.kr/archaeology/?page=1#7535860
노아의 16명의 손자 : 고대의 지명과 민족들의 이름 속에 남아있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81&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세계 곳곳의 홍수 전설들
https://creation.kr/EvidenceofFlood/?idx=1288396&bmode=view
전 지구적 홍수를 가리키는 성경적, 과학적 증거들과 전 세계의 홍수 설화, 그리고 에누마 엘리쉬
https://creation.kr/Genesis/?idx=2851501&bmode=view
중국의 ‘알려지지 않은’ 신에 대한 기원 : 고대 상형문자인 한자 속에 나타나있는 성경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09&bmode=view
중국 삼성퇴(싼싱두이)의 청동나무 : 창세기를 묘사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유물?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5&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바벨탑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661&t=board
▶ 창세기의 역사성
https://creation.kr/Topic502/?idx=6825522&bmode=view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전 세계의 홍수 전설
https://creation.kr/Topic2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600948&t=board
출처 : Journal of Creation 33(3): 102–108, December 2019.
주소 : https://creation.com/noah-in-egypt-2
번역 : 양승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