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미디어위원회
2023-08-07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1 : Problem, Data, and Methodology) 

by Kenneth C. Griffith and Darrell K. White


개요 :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이라고 불리는 이 20편의 논문 시리즈는 주류 학자들이 선호하는 자료들을 포함하여, 고대 자료들의 광범위한 합의가 어셔(Ussher)의 성경 연대기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결과 고대 근동의 12,000년 전통적인 역사가, 노아 홍수로부터 알렉산더 대왕까지 총 2018년 동안의 상호 연결된 평행(동시에 있었던) 왕조들의 집합으로 깔끔하게 들어맞는다는 증거를 제시할 것이다. 이 첫 번째 논문에서는 그 문제점을 정의하고, 자료들을 소개하며, 사용할 방법론을 설명하고자 한다.

.키워드: 고대, 연대기, 이집트, 성경, 역사, 분산, 바벨, 홍수


들어가며


이 일련의 논문들은 고대 자료들의 강력한 합의가 어셔의 성경 연대기(Ussher’s chronology of the Bible)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결과 고대 근동(Ancient Near East, ANE)의 12,000년 전통 역사가 홍수부터 알렉산더 대왕까지 총 2,018년 동안 상호 연결된 평행(동시에 존재하던) 왕조들의 모음으로 깔끔하게 들어맞는다는 증거를 보여줄 것이다. 이 일련의 역사적 고증은 구약성경의 벌게이트 성경(Vulgate, 라틴어 번역 성경) 및 마소라 본문(Masoretic Text, MT)과 일치하는 틀 안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고대 근동의 역사를 수정하려는 시도이다. 그 결과 BC 2348/2347년에 대홍수가 있었고, BC 2192/2191년에 바벨에서의 분산이 있었다는, 35개의 성경 외적인 연대기 경로들을 발견했다(그림 1).

그림 1. 노아 홍수의 연대에 대한 50가지 경로들.


이 논문들의 시리즈에서는 7가지 단계를 따를 것이다(그림 2):

1. 문제점, 자료 세트, 방법론을 정한다.

   논문 1.

2. 바벨, 분산, 노아 홍수, 창조에 대한, 그리고 칼리 유가(Kali Yuga, 힌두), 삽타르쉬(Saptarshi Era, 힌두), 중국 왕조들의 세 시기에 대한 알려진 연대들로부터 그림 조각 맞추기의 가장자리를 찾는다.

   논문 2~4.

3. 다른 알려진 연대들로부터, 주어진 고대 역사의 기준점(anchor points)들을 정한다.

   논문 3.

4. 이집트와 바빌로니아 역사로부터, 바벨에서 분산, 출애굽, 아카드(Akkad)의 멸망, 힉소스의 퇴출, 캄비세스(Cambyses)에 의한 이집트의 멸망, 알렉산더에 의한 바빌론의 멸망, 로마의 세계 제국 건설 등의 기간을 찾는다. 이를 통해 바벨에서 알렉산더까지의 첫 번째 기간이 정확했음을 확인한다.

   논문 5~12.

5. 이집트 왕들에 대한 연대기적 날짜들을 정하고, 신아시리아 연대기(Neo-Assyrian Annals)에서 이집트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히타이트의 상대했던 왕들을 확인한다.

   논문 13.

6. 무르실리(Mursilis)에 의한 바빌론의 침략에서부터 귀환, 함무라비, 아카드의 함락, 분산에 이르는 기간을 다시 계수한다. 이것은 바벨의 분산에서 알렉산더 대왕까지의 총 기간에 대한 두 번째 확인이다.

   논문 14~18.

7. 결과들을 적용하여, 세 시대 시스템(Three Age System)을 재보정한다.

   논문 19~20.

그림 2. 연대기 입증 경로.


고대 세계의 연대기 개정이 필요한 이유


성경과 고대 세계의 역사를 모두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한 문제가 있다. BC 722년 샬만에셀(Shalmaneser)이 사마리아를 포위 공격한 시점부터 로마시대까지, 알려진 역사와 성경은 밀접하게 일치하지만, 샬만에셀을 넘어 과거로 올라갈수록, 고고학은 성경의 역사와 닮은 점이 줄어드는 것 같다는 것이다. 이스라엘 핀켈스타인(Israel Finkelstein)과 같은 고고학자들은 다윗과 솔로몬의 역사성은 물론, 모세의 역사성도 부정한다(Finkelstein and Silberman 2002, 5). 그는 이렇게 말했다 :

성경의 역사는 특정 시대에 기술된 것처럼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성경에서 가장 유명한 사건 중 일부는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고고학의 세 시대 체계(Three Age system,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에 따르면, 석기시대는 300만 년 이상 지속되었고, 그 후 2,000년 동안 청동기시대가 이어졌으며, BC 12세기부터 철기시대가 이어졌다는 것이다.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으로 BC 12,000년으로 측정된 괴베클리 테페(Göbekli Tepe, 튀르키예(터키) 동남아나톨리아 지역의 산맥 능선에 있는 유적지)의 신전과 같은 최근의 발견은, 성경으로부터 도출되는 연대기와 완전히 모순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 둘을 어떻게 조화시킬 수 있을까?

성경의 무오성을 믿지 않는 학자들은 성경이 포로기 이후에 쓰여진 반신화적인 이야기 모음집이라고 말해지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 하지만, 성경의 무오성을 옹호하는 성경학자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그냥 넘길 수 없다. 이 학자들은 두 가지 가능한 해결책에 주목하고 있다.


해결 방법 A : 홍수 연대를 더 이전으로 끌어내리고, 가장 최근의 사건에만 집중한다.

고고학이 초기 단계였던 18세기와 19세기에 조지 롤린슨(George Rawlinson)과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와 같은 고고학의 창시자들은 일반적으로 기독교 세계관을 갖고 있었지만, 성경의 연대기를 문자 그대로 믿지는 않았던 것 같다. 기독교 교회의 전통 내에서도 약 8세기 정도 차이가 나는 벌게이트 성경과 칠십인역(LXX)의 두 가지 경쟁적인 연대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초기 고고학자들은 이집트의 왕조들에 대한 마네토(Manetho)의 연대기를 순차적으로 사용했으며, 성경과 모순되는 것에 대해 걱정하지 않았다.

20세기 초 진화론이 대학에 자리를 잡으면서, 고고학은 네안데르탈인의 나이가 10만 년이 넘었다고 주장하고, 구석기시대의 연대를 330만 년 전으로 추정하는 등 기독교적 뿌리를 완전히 거부했다. 이후 올브라이트(Albright), 와이즈먼(Wiseman), 키친(Kitchen)과 같은 몇몇 기독교 학자들은 성경의 역사가 대체로 사실이라고 계속 옹호했지만, 과학 분야로서의 고고학은 성경의 연대기와는 전혀 관련이 없게 되었다.

적지 않은 기독교 고고학자들, 역사가들, 단체들이 성경의 원래 연대기를 기록한 진정한 기록으로 칠십인역(LXX)을 받아들였다. (ABR 2019; Gertoux 2022a, 7; Rudd 2019, 24).

칠십인역(LXX)은 노아 홍수와 아브라함 사이에 약 8세기를 추가했기 때문에, 이 그룹들은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왕조 시대가 BC 약 3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보았고, 진화론적 연대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를 주었다. 

이 그룹의 성경 주석을 뒷받침하는 무언의 기본적 가정은, 마네토가 언급한 이집트(Egypt, Aegyptiaca)의 31개 왕조들이 순차적으로 발생했으며, 이집트의 연대기가 성경보다 더 확실하다는 믿음이었다. 따라서 그들은 특정 시점에 대한 연대기를 뒷받침하는 사본 전통에 따라, LXX 또는 MT의 구절을 함께 연결하였다(Petrovich 2016; 2019). 덧붙여서, 이들 대부분은 논쟁이 되고 있는 네 시대 중 세 시대, 즉 이집트 체류 기간, 사사시대, 분열왕국 시대에 대해, LXX 연대기를 소상하게 설명한 요세푸스(Josephus)에 대해 반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만약 LXX가 히브리어 구약성서 원문을 가장 정확하게 번역한 것이라면, LXX 본문을 무오류로 간주하고, 그 내부 연대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일관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연대기에 대해서는 LXX를 사용하지만, 이집트에서의 체류 시기와 사사시대에 대해서는 MT를 사용하고, 분열왕국 시기에 대해서는 틸레(Thiele)의 연대기에 의존하고 있다.

서로 다른 사본들의 연대 관련 구절들을 혼합하고, 일치시키는 것은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믿음에 문제를 일으킨다. 틸레가 히스기야와 호세아가 동시에 통치했다는 열왕기하 18:9-10절이 틀렸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했던 것을 감안할 때(Thiele 1994, 168), 그는 무오성을 전혀 고수하지 않았던 것 같다.

우리가 보기에 주류 기독교 연대기는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쓰여진 마네토(Manetho)의 텍스트에, 그리스(Greek) 대조 연대표를 추가한 것으로 보이는 ‘이집트사(Aegyptiaca)’의 발행인들로부터 시작된 긴 오류와 잘못된 가정을 약간 개조한 것일 뿐이다.(Luban 2012).


해결 방법 B : 성경 연대기와 일치하도록 이집트와 고대 근동 연대기를 수정한다.

1950년 이래로 고대 역사와 층서학에서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 서로 일관된 일치성을 갖도록, 성경뿐만 아니라 연대를 수정해야 한다는 20명 이상의 수정주의자(revisionists)들의 동료 검토 논문들, 책 등이 지속적으로 출판되었다. 여기에는 Velikovsky, Hoeh, Courville, Martin, Danelius, Rohl, Down, Bimson, James, Liel, Sweeney, Keyser, Ginenthal, Zwick, Heisman, Hickman, Osgood, Montgomery, Newgrosh, Stewart, Reilly, Scott, Clapham, Aitchison, Waite, Curnock, Heathcotte 등 여러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 연구의 질과 결론은 매우 다양했고, 일부는 무신론자이기도 했지만, 한 그룹으로서 기존의 연대기를 뒷받침하는 대부분의 가정들을 면밀히 조사했으며, 매우 흥미로운 부분들을 조사하여 뒤집어버렸다. 

지난 20년 동안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우리와 거의 동일한 결과에 도달한 다섯 편의 특별한 연구들이 발표되었다. 그것들은 ‘출애굽 미스터리 풀기(Solving the Exodus Mystery. Stewart 2003)’, ‘벨리코프스키 재조명(Revisiting Velikovsky. Aitchison 2016)’, ‘성경과 이집트(The Bible and Egypt. Waite 2016)’, ‘그들은 한 목소리로 말한다(They Speak With One Voice. Osgood 2020)’, ‘시대의 순서(Ages in Order. Montgomery 2021)’ 등이다. 레일리(Reilly, 2015)의 카사이트족(Kassites)에 대한 작업도 꽤 훌륭했다.

이러한 일련의 논문들로부터 노아 홍수에서 그리스도까지의 전체 시대를 포함하여, 히타이트, 수메르, 바빌로니아, 아시리아, 아일랜드, 중국, 페르시아, 인도가 더 광범위하게 포함되도록, 이들의 작업들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고, 미세 조정되고, 확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문제점

    

오늘날 우리가 계승하고 있는 고대사 모델은 모든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구축된 것이 아니다. 그 대신 BC 1세기경 그리스-로마 학자들이 마네토의 이집트 31개 왕조들에 대한 순차적 해석(sequential interpretation)을 바탕으로, 지난 2,000년 동안 다양한 수정과 추가를 거쳐 구축된 것이다. 어셔(Ussher)도 그의 ‘세계 연대기(Annals of the World)’의 이집트 항목에 마네토의 순차적 해석을 사용했다.

지난 2세기 동안 발굴된 서판(tablets)들에서 발견된 고대 왕들의 목록은 마네토의 틀(Manethoan framework)에 접목되었고, 석기시대에 대한 진화론적 가정을 수용하기 위해서, 모델들은 수만 년에서 수십만 년까지 확장되었다.

그 결과 연대기가 수세기, 수천 년씩 늘어나면서, 진정한 역사와 성경과의 동시화가 완전히 모호해질 정도로, 실제 연대가 확장되고 대체되었다. 진화론자들이 공룡들의 진화와 같은 추정 이야기를 지어내는 것처럼, 트레버 브라이스(Trevor Bryce, 1998)와 같은 학자들은 가짜 역사를 만들어내어, 그 간격들을 메우고, 능숙하게 연대표를 이어 붙였다. 그 결과 대학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고대사의 많은 부분들이 맥락에서 완전히 벗어났거나, 완전히 거짓이 되었다.

고대사(ancient history)에 대한 주류 학계의 접근 방식에는 세 가지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


1. 잘못된 권위

고고학(archaeology)의 권위(기념물, 유물,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등)는 성경이나, 고대 역사 기록들(고대 연대기들), 미드라시(Midrash)같은 유대인 구전 전승들, 그리고 이들의 조합보다 더 큰 권위를 갖고 있다.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이어져온 히브리 역사는 그들의 인접한 왕국들에 대한 종종 조각난 불연속적 기록을 수정하고 해석하는데 이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반대가 되고 있다. 오늘날의 관습처럼 말이다. (Jones 2019, 177)

학계는 동시대의 비문(inscriptions)들에 의해 지지되는 고대 역사 기록을 도외시하고, 의도적으로 성경을 무시하는 것 같다. 게르툭스(Gertoux, 2022b, 2)는 이렇게 요약했다 :

점진적으로 고고학자들이 역사가들을 대체하고 있으며, 따라서 역사를 ... 학술적 선전으로 바꾸고 있다. 그들은 어떻게 그러한 일에 성공할 수 있었을까? 고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역사의 두 가지 토대인 증언들과 연대기를 파괴함으로써,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 역사적 증언들은 오류가 있다는 구실로 거부되고, 오래된 역사적 연대는 고고학적 연대측정으로 대체된다.

역사가들은 시대들 사이의 기간을 더 길게 계산하고 기록하는 경향이 있지만, 비문(inscriptions)은 당시 왕의 연도보다 더 많은 시간을 가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고고학의 지배는 더 오랜 기간에 대한 강한 학문적 편견을 초래했다.

깨진 꽃병을 다시 붙이려면, 가장 큰 조각부터 시작하여, 작은 조각들이 붙는 위치를 찾아야 한다. 그러나 큰 조각(즉, 역사적 존속기간)들을 제외하고, 먼저 작은 조각들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붙이면, 원래의 꽃병은 다른 모양으로 복원될 것이다. 진화론자들은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을 갖고, 이와 비슷한 작업을 여러 번 수행했다(White 2003).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제시한 큰 조각(기간)들을 제외하면, 정확한 연대기를 구성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워지며, 학자들 자신이 믿고 싶어하는 그림과 맞도록 조각들을 가져다 붙일 유연성이 훨씬 더 커진다.

올브라이트(Albright)와 틸레(Thiele)의 뒤를 따랐던 성경 연대기 학자들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은 카르타고(Carthage), 이집트, 아시리아(Assyria)의 연대기가 확실하다고 가정한 다음, 그에 맞춰 성경을 해석하는 것이었다. 틸레는 심지어 히스기야와 호세아가 통치한 시기에 대해서 성경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주장했다(Thiele 1994, 168).

러드(Rudd, 2019, 1)는 성경의 올바른 사본을 결정하기 위해서, 고고학적 연대로부터 논증하는 유사한 접근 방식을 취했는데, 그가 주장한 전통적 성경은 칠십인역(LXX)이었다.


올바른 연대기, 올바른 지도 제작, 올바른 고고학을 갖게 될 때, 올바른 성경 본문을 갖게 될 것이다.


우리는 성경이 최우선이며, 최고의 권위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의 연대는 성경과 일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의 증언도 크게 무시한다.

성경 주석과 역사 문제 해결 모두에서 진실을 찾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가장 명확한 정보로부터 가장 모호한 정보를 추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학자들이 연대기에 도달한 해석학은 거꾸로 되어있는데, 왜냐하면 그들은 성경이 무오한 진실된 기록으로서 고대 근동역사에 빛을 비춰줄 것이라는 생각 대신에, 카르타고, 이집트, 아시리아의 불확실한 연대기로부터 성경의 전통적 사본들과 연대를 수정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성서연구협회(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BR 2019)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역사적 수정주의의 목표는 실패했다고 단언했다. 왜냐하면 :

한 사람이 이들 수천 가지의 함의를 모두 파악할 수 없으며, 전체 고대 근동(ANE) 연대기를 수정하는데 요구되는 필요한 지식을 모두 갖출 수 없다.

이 말은 양날의 검과도 같다. 만약 어떤 한 사람이 기원전 연대기를 수정할 만큼 충분히 알 수 없다면, 어떤 한 사람도 받아들여진 연대기를 확인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알 수 없다. 하나님만이 정확한 연대기를 구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알고 계신다. 따라서 성경에서부터 시작해야 할 것이다.

칠십인역(LXX) 연대기를 받아들이는 성서학자들은 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를 잘라내기 위해, 약간의 수정을 가한 기존의 고대사 모델에 일반적으로 만족해한다(Wood and Smith 2012).

그러나 마소라 본문(MT)과 벌게이트(Vulgate) 성경이 구약성경의 원래 연대기에 대한 두 증거라고 믿고 있는 기독교인들은 일반적으로 노아 홍수가 BC 24세기 경에 일어났다는 데 동의한다. 따라서 이는 고대 근동(ANE)의 공인된 연대기와 피할 수 없는 충돌을 일으킨다.

수십 명의 수정주의자들이 있었지만, 성경의 우위를 고수하는 사람들은 최근에야 벌게이트 성경과 마소라 본문의 숫자(연대)를 사용하여, 일관되고 포괄적인 고대사 모델을 구축하려고 시도했다. 그들의 수는 손가락으로 셀 수 있을 정도로 적다. 여기에는 호(Hoeh, 1967, 1969), 웨이트(Waite, 2016), 오스굿(Osgood, 2020), 몽고메리(Montgomery, 2021)가 포함된다. 쿠르빌(Courville, 1971)은 그 문제의 이집트 부분에서 큰 공헌을 했다. 벨리코프스키(Velikovsky, 1952, 1955, 1960, 1977, 1978)와 롤(Rohl, 1995)의 영향을 받아, 스튜어트(Stewart, 2003)와 다운(Down, 2006)은 이집트 연대기를 수정하려고 시도했다.

이 작업은 방대하고 어렵지만, 우리의 신앙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고, 성경의 진리를 반영하는 연대기에 도달하기 위해, 그러한 고대사 모델을 계속 연구할 것을 요구한다. 진리를 찾는 일은 언제나 노력할만한 가치가 있다.


2. 오해와 편견

고고학적 기념물들과 유물들은 오해와 오인에 취약하다. 진화론자들이 돼지 이빨로 네브라스카인(Nebraska Man)이라는 유인원을 만들어냈던 것처럼(Taylor 1991), 고고학자와 역사학자들도 단편적인 증거를 바탕으로 실타래를 짜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편견은 벨리코프스키(Immanuel Velikovsky)가 기존의 역사 연대기에 이의를 제기했다는 이유로, 그의 책에 대한 불매운동, 학술 저널에 대한 검열, 배척 등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진화론적 연대기 틀 안에 있을 때에만, 학자의 견해는 허용되는 것이다.

전통적 역사의 몇 가지 중요한 기둥들은 단지 이름 연관성만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추측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네페르호텝 1세(Neferhotep I) 치하의 비블로스(Byblos)의 왕이었던 인틴(Intin)은, 짐리림(Zimri-Lim) 통치 시기에 마리 왕(King of Mari)에게 선물을 보냈던 비블로스의 얀틴암무(Yantin-Ammu)와 같은 인물로 가정되고 있다. 이러한 동시성(synchronism) 하나만을 근거로, 레반트(Levant)의 중기 청동기시대(Middle Bronze Age II)는 이집트 제13왕조로 고정되었다.

그러나 그 시대에 이 두 시간 틀을 하나로 묶도록 지지해주는 다른 동시성이나 기간은 없으며, 상당한 증거들은 이 두 시기가 전혀 동시대가 아니었음을 가리키고 있다.

만약 우리가 비블로스의 왕들의 전체 목록을 갖고 있고, 그중 단 한 명만 얀틴 또는 인틴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다면, 이 동시성을 받아들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BC 612년 니느웨가 함락되기 전까지 16세기 동안, 비블로스의 왕들 10명 미만의 이름만을 알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동시화는 수세기 간격으로 비블로스를 통치했던 얀틴이라는 두 명의 다른 인물을 혼동한 것일 수도 있다. 만약 그렇다면, 이 동시성은 바지 한 벌을 가져다가 한쪽 다리의 소맷자락을 다른 쪽 다리의 무릎에 꿰매는 것과 비슷하다. 그 바지를 입고 잘 걸을 수 있기를 빈다! 이러한 잘못된 동시화는 역사를 수 세기나 뒤바꿔 놓을 수 있다.

두 번째 예는 유세비우스(Eusebius)와 신셀루스(Syncellus)가 말했던 것처럼, 마네토의 31개의 이집트 왕조들이 미스라임 후손들의 평행한(parallel, 동시에 있었던) 도시 왕조들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sequentially, 연속적으로) 해석되고 있다는 것이다(Manetho, 1964, 9). 이러한 잘못된 해석은 세속적 연대기의 기초가 되었으며, 모든 국가들의 역사를 서로 연결하는, 전통적인 역사 모델이 되었다.

평행했던(동시에 있었던) 왕조들을 일렬로(순차적으로) 나열하는 오류는 여러 타임라인에서 유령 사건들을 만들어낸다(그림 3과 4). 이러한 예들로서, 요셉의 기근은 이집트 제2, 제5, 제12왕조들에서 발견되고, 출애굽 이후 이집트의 붕괴는 제1중간기와 제2중간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타하르카(Taharqa)의 하이집트 탈출은 여러 이집트 왕조들에서 발견되는 등 다른 여러 경우에서 이러한 사례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림 3. 동시대 왕조들의 시간 틀에서 발생된 사건.

그림 4. 왕조들을 순차적으로 직렬화하면, 유령 사건들이 생성된다.


애치슨(Aitchison, 2016, 485), 레일리((Reilly, 2015), 다운(Down, 2002)과 같은 일부 수정주의자들은 이집트, 히타이트, 그리스, 앗수르 왕조의 고정되어 있는 연도를, 애치슨의 경우는 631년을, 레일리의 경우는 450년을 재배치(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그림 5). 그러나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그림 4에서 볼 수 있듯이, 일련의 평행(동시에 있던) 왕조들을 순차적으로 나열함으로 만들어졌던 유령 사건들은, 그 사건을 기록했던 각 왕조들에서 서로 차이(offsets)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그림 3과 그림 4의 가상 예시에서, BC 400년에 다섯 왕조가 경험했던 동일한 사건을 순차적으로 직렬화하면, BC 750년, 900년, 1280년, 1750년에 4개의 유령사건들이 만들어진다. 1~4번 왕조를 350년씩 아래로 이동하면, 4번 왕조만 재조정되고, 다른 왕조는 동시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비드 다운(David Down)이 했던 것처럼 모든 왕조를 단순히 X 년씩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그림 5). 대신 왕조들을 신중하게 연구하고, 역사적 기간과 강력한 동시성을 기반으로 하여 병렬 배치해야 한다.

그림 5. 데이비드 다운의 모든 왕조들에 대한 X 년씩 이동도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Down 2002).

    

마네토의 이집트 왕조들, 수메르 왕 목록(Sumerian King List), 바빌로니아 왕 목록(Babylonian King List)이 고대와 현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실수로, 경우에 따라서는 고의적으로, 다른 도시들에 있는 평행(동시대에 있었던) 군주들의 목록이었는지, 순차적으로 기재된 목록이었는지에 관한 증거들을 살펴볼 것이다.


3. 오류의 토대 위에 성을 쌓았다.

오류는 더 많은 오류를 낳고, 그 결과 역사에 공백(존재하지 않는 암흑기)이 생기고, 역사의 누락이 발생하였다.


간격

평행(parallel, 동시에 있었던) 왕조를 연속적으로(serializing, 순차적으로) 나열함으로써 발생한 간격(gaps)의 예로는 청동기시대 붕괴기(Bronze Age Collapse)와 할슈타트 고원(radiocarbon Hallstatt Plateau,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표시하는 그래프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평평한 영역) 등이 있다.

청동기시대 붕괴기는 플린더스 페트리(Flinders Petrie)의 이집트 연대기에서, 그리스(Greece)와 아나톨리아(Anatolia)에서 수 세기 동안 주거지 층(habitation layers)이 누락된 것을 설명하기 위해 발명되었다(그림 6). 빅뱅 우주론에서 모순되는 관측을 설명하기 위해 암흑물질(dark matter)과 암흑에너지(dark energy)를 발명해낸 것처럼, 청동기시대 붕괴 이후에 암흑시대(dark age)가 여러 왕조들에서 연쇄적으로 생겨났다.

그림 6. 이집트 왕조들의 순차적 배열로 인해 원인된 층서학적 암흑시대(dark age).(Roger Waite. Used with permission).


우리는 본질적으로 그리스나 아나톨리아에는 암흑시대가 없었고(비록 고전 역사에서 지중해에서 한 전쟁이 있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청동기시대 붕괴기 자체가 없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선사시대(prehistoric times)도 없었다고 주장할 것이지만,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는 잃어버린 역사의 시대들이 있었다. 고대 연대기 기록들과 서판(tablets)들은 BC 4004년 경의 창조로 거슬러 올라가는 성경을 보완하며, 기록된 역사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동시에 존재했던 왕조들이 역사가들에 의해서 연대기적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었다면, 방사성탄소 연대측정(radiocarbon dating) 결과는 기존 연대기로 몇 세기씩 구분된 왕조들의 유물들에 대해, 동일한 연대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실제로 할슈타트 고원에서 바로 그런 문제가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방사성탄소 붕괴가 BC 800년에서 400년 사이 4세기 동안 효과적으로 멈췄다고 단호하게 말한다(van der Plicht, 2005, 46, 48, 51). 이러한 주장이 얼마나 비과학적인지는, 인지 부조화라는 표현으로도 부족할 지경이다. 피터 제임스(Peter James)는 이를 첫 번째 밀레니엄 방사성탄소 재앙(first millennium radiocarbon disaster)이라고 불렀다(James et al. 1993,  Appendix 1). 그러나 이것은 우리가 평행(동시에 있었던) 왕조를 실수로 순차적으로 나열시켰을 때, 예상되는 결과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 방법에는 학문적 부정이 만연해있다. 왜냐하면 이 측정방법은 이중 맹검(double blinding)이 결여되어 있고, 다른 연구자들에게 시료 접근이 차단되어 있으며, 책임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Bergman 2009; Harding 2005).


잃어버린 역사 : 다윗과 솔로몬, 출애굽, 여호수아의 정복, 아비멜렉

기원전 근동의 거의 모든 도시들이 여러 번 파괴되었지만, 성경에 언급되어 있는 독특한 세부 사항을 갖는 파괴 패턴이, 수 세기 일찍 동일한 도시에서 발견되는 것을 반복적으로 볼 수 있다. 성경은 여리고 성벽이 무너져 내렸고, 여호수아가 그 도시를 약탈하지 않고 불태웠다고 기록하고 있다(수 6:20-24).

여리고(Jericho)는 기존의 전통적인 정복 날짜보다 몇 세기 이전인 초기 청동기시대 말기(Early Bronze III)에 불태워졌던 것으로 발견되어왔다. 청동기시대 말기의 여리고 성의 파괴는 성벽의 벽돌들이 바깥쪽으로 무너져 내렸고, 불에 탄 곡물들이 남아 있었는데, 이는 도시가 불에 탔지만, 약탈당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것었이다. 이것은 여리고에 관한 성경 기록이 사실임을 가리키는 세 가지 세부 사항들이다. 캐슬린 케년(Kathleen Kenyon)은 이러한 여리고의 파괴가 여호수아 시대보다 몇 세기 이전에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였다.(Kenyon, 1957, 258-259).

세겜(Shechem)에는 바알브릿(Baal Berith) 신전이 있었고, 그 안에 사람들이 숨어 있는 망대(tower)가 있었는데, 사사시대에 화재로 소실되었다(사사기 9장). 1926년 세겜이 발굴되었을 때, 화재로 파괴된 망대가 있는 큰 신전이 발견되었고, 불에 탄 사람들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이 구조는 청동기시대 중기(Middle Bronze Age IIC)로 연대가 평가되었고, 화재로 인한 파괴는 기드온의 아들 아비멜렉 시대보다 4세기 반 이전인, BC 1650년 경으로 평가되었다.(Courville 1971, 172; Montgomery 2019, chapter 3). 다시 한 번, 성경에 기록된 특별한 세부 사항들을 보여주고 있는 도시들의 파괴가 수세기 이전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이다.

헤스본(Heshbon), 아랏(Arad), 여리고(Jericho), 하솔(Hazor), 아이(Ai) 등 많은 초기 청동기시대의 도시들이 가나안 유목민 침략자들에 의해 완전히 영구적으로 파괴되었지만, 이는 전통적인 정복 날짜보다 7세기 이전인 BC 2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연대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고고학자들은 침략자들이 누구였는지 알지 못한다.

지금까지 조사된 팔레스타인의 모든 마을들은 동일한 단절을 보여주고 있다. 새로 들어온 사람들은 마을 생활에 관심이 없는 유목민이었으며, 이미 약화되고 쇠퇴된 오래된 인구 집단을 완전히 몰아내거나, 흡수하여, 초기 청동기시대 문명의 모든 흔적들이 사라졌다. (Kenyon 1965, 134)

이 논문 시리즈에서는 이스라엘 왕 이스보셋(Ishbosheth), 솔로몬(Solomon), 여호아하스(Jehoahaz)의 실제 서신들을 포함하여, 고대 도시의 외교 기록보관소와 같은 추가 사례들을 보여줄 것이다. 이러한 기록들은 수 세기나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현재 인식되지 않고 있는 잃어버린 역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간격과 누락된 역사는 현재의 표준 연대기가 잘못되었으며, 모든 것들이 들어맞을 때까지 진지하게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외치고 있는 것이다.


수정주의자 버섯

키친(Kitchen)과 우드(Wood)는 아마추어들이 ANE(고대 근동)의 연대기를 계속 수정하려 시도한다고 불평했다(Kitchen 1996, preface; Wood 1999; ABR 2019). 버섯은 죽은 나무에서 자라난다. 기독교인이나 무신론자를 막론하고, 고대사 수정주의자들이 우후죽순처럼 계속 생겨나는 이유는 학계가 우리에게 팔고 있는 ANE 연대기가 알려진 모든 정보들을 만족스럽게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고학자들은 성경에 기록된 사건들이 그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반복해서 말하고 있지만, 특별한 세부 사항들을 포함하는 동일한 사건이 몇 세기 전에 일어났었다는 증거들이 발견되고 있다. 고고학자들은 이러한 발견들이 성경에 기록된 사건이나 사람들이 아닐 것이라고 주장한다.

만약 여러 문화권의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고대사의 틀을 형성하는 연대에 대해서 본질적으로 동의하고 있다면, 그리고 그들의 확언이 (우리가 이 세계의 진정한 역사로 알고 있는) 성경 연대기와 일치한다면, 고대 근동의 실제 역사는 더 쉽게 결정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우리의 연대기 틀(chronological framework)이 절대적이지도, 완전하지도 않지만, 우리는 이 연대기 틀이 어셔-존스(Ussher-Jones)의 성경 연대기와 합리적인 방식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으며, 이는 알려진 대부분의 정보들을 존중하면서, 고대사에 대한 우리의 실제 지식을 확장할 수 있다고 믿는다.

우리는 기존 연대기보다 역사적 데이터들을 더 잘 설명한다고 믿는 한 새로운 모델을 창조론자 커뮤니티에 검토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ARJ 저널(Answers Research Journal)에 제출된 20편의 논문들로 구성된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CFAH,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 시리즈의 첫 번째 논문이다.


이 연대기적 틀은 어떻게 다른가?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학문이 좁은 기간(시대)에 초점을 맞춘 다음, 동료 학자들의 최근 연구들을 바탕으로 구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연대기적 틀을 만들어내는 첫 번째 단계는 앵커 포인트(anchor points, 기준점)들을 찾아내는 것으로, 이것은 일반적인 접근 방식과 다르다. 우리는 두 가지 질문을 살펴보고자 한다 :

1.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은 정확한 정보를 기록했는가? 그리고

2. 서로 다른 문화권 간에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는가?

한 대학이나 국가의 연대학자들은 자신의 연대기가 표준화될 것을 기대할 수 있지만, 여러 고대 문화의 연대기 기록자들이 그렇게 할 기회나 권한을 가졌을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여러 고대 국가의 연대기들이 서로 일치되는 것이 발견된다면, 이는 그들의 증언이 신뢰할 만하다는 강력한 증거이다.

우리는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서로를 확증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어떤 말을 했었는지 알아보기 시작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연대기에서 어셔-존스 연대기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음을 발견했다. 이 논문은 다섯 편의 논문 중 첫 번째 부분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 우리는 연대 틀을 더 작은 기간으로 세분화하기 위해서, 다른 기간들을 조사했다.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은 강요됨 없이 그 틀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했다. 이것이 6-18번째 논문이다.

데이터들이 강제되었는지(억지로 맞추어졌는지)에 대한 한 테스트는, 주요 기간들이 다른 일련의 데이터들을 지지하도록 결정될 수 있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다. 데이터로 작동되는 대안적인 틀을 발견하지는 못했지만, 다른 연구자들이 시도해 보기를 권장한다.


기간에 대한 데이터와 표

이 연대기 틀(chronological framework)을 구축하는 데 사용된 데이터가 포함된 보충 자료들은 이 논문의 부록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 자료들은 기간, 기준점, 가정된 동시성, 참고문헌 등의 탭(tab)으로 나뉘어진다. 우리는 서판(tablets)과 비문(inscriptions)뿐만 아니라, 연대 기록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고대 연대기 데이터의 전체 세트를 포괄적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했다.


기간

기간(durations)  탭은 프로젝트의 기본 데이터 세트이다. 여기에는 사건들 사이의 고대 자료들로부터 보고된 약 400개의 기간들을 목록화하였다.

사건, 기간 길이, 출처 및 참고문헌과 같은 부문 외에도, 출처를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세 개의 열(column)이 더 있다. 첫 번째 열은 기간에 고유한 번호를 부여하여, 참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색인 열은 기간의 길이를 나열하여, 표를 길이별로 정렬할 수 있게 해준다.


기준점

각 논문에서 우리는 사건의 연대를 삼각 측량하여(triangulate), 그것들을 앵커 포인트(anchor points, 기준점)로 숫자를 정하였다. 이 탭에는 처음 5개 논문들로 결정된 순서대로 기준점들이 나열되며, 이 시리즈의 논문들은 CFAH-X로 목록화된다(여기서 X는 논문 번호). 당신은 현재 CFAH-1을 읽고 있다. 이 시리즈가 완료될 때까지, 각 세트의 논문들이 포함된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의 업데이트를 실행할 예정이다.


잘못 가정된 동시성

이 탭은 역사가들이 기록된 동일한 사건에 대해서, 양쪽 모두에서 연대측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이름 붙이지 않고, 가정되고 있는 연대기를 기반으로 동시 발생한 것으로 만들어버린 경우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아시리아의 투쿨티 니누르타 1세(Tukulti Ninurta I)는 니흐리야 전투(Battle of Nihriya)에서 히타이트 왕 투드할리야 4세(Tudkhaliya IV)를 물리친 것으로 종종 인용된다. 문제는 두 왕 모두 상대 왕의 이름을 밝히지 않았고, 투드할리야의 편지에는 전투에 대한 언급조차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전통적 연대기에서 두 왕이 동시대에 있었고, 상대방이었을 것으로 가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학자들은 투쿨티 니누르타가 아닌 샬만에세르 1세( Shalmaneser I)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다른 방법에서 그들이 다른 시기에 살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면, 이 동시성(synchronisms, 사건의 동시적 처리)은 먼지가 되어 무너질 것이다.

역사책과 백과사전에는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이러한 가정된 동시화가 많이 존재하며, 우리 스스로도 이러한 동시화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


방법론

    

우리는 성경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조지 롤린슨(George Rawlinson)이 처음 사용하고, 나중에 플로이드 놀렌 존스(Floyd Nolen Jones)가 개선한 삼각측량(triangulation)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였다(Jones 2019, 135-137). 우리는 존스의 방법을 성경 외의 역사적 데이터들에 적용했다.


우리의 가정 

1. 성경은 창조주 하나님이 인류에게 주신 무오한 말씀이며, 인류의 구속과 관련된 역사를 기록한다는 점에서 세계의 진정한 역사를 담고 있다. 성경은 외부 왕국과 제국의 통치 기간에 일어난 많은 사건들의 연대를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성경적 역사를 다른 고대 왕국들과 연결시키는 동시성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 창세기 대홍수는 전 지구적으로 일어났으며, 방주 안에 보존된 것을 제외한, 코로 기식을 호흡하는(air-breathing) 모든 육상 척추동물들을 파괴했다. 따라서 오늘날 지구상의 모든 인간은 노아와 그와 함께 방주에 탔던 일곱 명의 후손이며, 모든 육상 척추동물도 방주 안에 있던 동물의 후손이라고 믿는다. 또한 노아 홍수는 지구의 지형을 완전히 파괴하고 다시 만들었기 때문에, 퇴적암 아래에 묻혀있는 도시를 제외하고, 알려진 모든 고고학적 유적들은 홍수 이후의 것이다.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의 역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가장 오래된 병목 사건이었던 노아 홍수의 날짜는 모든 역사적 연대기를 보정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데이터 지점이다. 바벨탑의 건축과 인류의 분산은 모든 국가에 비슷한 수준과 보편성을 가지고 남아 있다.

3.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은 사원과 왕실 도서관의 정확한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당대의 사건부터 과거의 주요 사건들까지 정확한 연대를 계산할 수 있었다. 메소포타미아 도시의 사원에는 초기 청동기시대인 BC 4천 년 전까지 연대가 표기된 대여(loans) 기록이 있다. 고대 연대기 작가들은 이러한 기록에 접근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지난 2세기 동안 수만 개의 서판(tablets)들이 발굴되어 번역되었다. 연대기 기록자 중 일부는 특정 지점에서 오류를 범하기도 했지만, 그들의 증언이 성경과 모순되지 않고, 두세 명의 독립적인 증인이 동의할 정도로 서로 확인된다면, 과거의 주요 사건에 대한 확실한 날짜로 설정한다.

4. 우리는 창세기의 연대기가 연대기적 간격(gaps)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시대들의 정확한 연대를 구축하는 데 신뢰할 수 있다고 믿는다.

5. 인간은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적 연대기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달력과 날짜 기록 방법으로 인해, 고대 역사에서 대부분의 날짜는 최소 1년의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천문학은 천문학자의 가정들이 모두 정확하다면, 날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최선은 약 1년 정도 오차의 정확도를 가진 표준 연대기를 만들어내는 것이다(Jones 2019, v).

6. 성경에는 창조(Creation)부터 고레스 대왕(Cyrus the Great, 키루스 대왕)의 칙령까지, 정확한 연대기를 구성할 수 있는 연대 데이터들이 포함되어 있다. 성경 연대기를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서기(AD) 시대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대 제국들의 연대기를 참조해야 한다.


그러나 각 주요 구절에 대해 두 가지, 때로는 서너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성경 데이터로부터 100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연대기를 구성할 수 있다. 그중 하나만 모든 시점에서 정확할 수 있다. 올바른 성경 연대기는 해당 예언을 포함하여, 성경에 주어진 모든 기간들을 조화시켜야 한다(Montgomery 1998).

우리는 외부 증인들이 성경을 뒷받침하도록 해야지, 성경 해석을 강요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고 믿는다. 우리의 성경 해석이 정확하고, 외부 데이터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정확하다면, 두 가지가 일치해야 한다.

성경 연대기와 성경 외 자료 사이에 충돌이 발견된다면, 어느 쪽의 해석이 잘못되었는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우리는 성경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잘못되었을 수 있는지, 성경 외 자료에 대한 우리의 해석이 잘못되었을 수 있는지, 아니면 성경 외 자료 자체에 오류가 있을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우리는 틸레(Thiele 1994, 168)가 주장했던 것처럼, 성경 자체에 오류가 있을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을 것이다.

성경은 우리에게 완전한 연대기적 표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성경의 무오성에 근거하여 정확한 연대기 표를 만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러한 어떠한 연대표도 성경의 해석에 기초한 파생적 저작물이므로, 무오성을 주장할 수는 없다.

우리는 플로이드 놀렌 존스(Floyd Nolan Jones, 2019)의 ‘구약성경 연대기(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가 BC 536년 고레스 칙령 이전의 날짜들에 대한 성경적 연대기의 가장 일관된 해석으로 간주하고, 그의 작업을 어셔-존스 연대기(Ussher-Jones Chronology, 표 1)로 지칭할 것이다. 비록 사사시대 일부 날짜들에서 최대 10년의 차이가 있지만 말이다.

표 1. 어셔-존스(Ussher-Jones)를 사용하여 만든 성경적 연대기


그러나 우리는 어셔-존스의 연대기에 맞추기 위해 결과를 구부리지 않았다. 우리는 어셔와 존스 모두 BC 721년경 사마리아 함락 이전의 이방인 통치자들에 대한 거의 모든 역사적 사실에 오류가 있음을 발견했다.

이 일련의 논문에서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을 제시하는 것은, 성경에 충실하면서도,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자료들을 조화시키기 위한 최선의 노력이며, 이러한 시도를 한 것은 우리가 처음도 아니고, 마지막도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기간과 삼각측량

“...두세 증인의 입으로 말마다 확정하리라” (고린도후서 13:1)

역사(history) 연구는 오늘날에 다시 실험으로 검증해볼 수 있거나, 반복해볼 수 없기 때문에, 과학(science)이 아니다. 역사는 실제로 현장에 있었던 고대 목격자와 목격자의 증언을 기록한 다른 목격자의 증언을 바탕으로,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규명하려는 법정 소송에 더 가깝다.

법정 소송과 달리 우리는 고대 증인들에게 질문을 던져 반대 심문을 해볼 수가 없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그들의 증언은 다른 여러 사람을 통해 걸러졌기 때문에, 증언의 상당수가 소문(hearsay)에 불과하다. 아슈르바니팔 도서관(the library of Ashurbanipal)에 있는 고대 학자들의 기록조차도 사건이 일어난 지 수 세기가 지난 후에 편찬되었기 때문에, 여전히 소문에 불과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가정이 정확하다면, 고대 연대기 기록자들이 서로 확인한 모든 연대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견고한 연대기 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성경과 성경 외의 역사 사이의 동시성(synchronisms)이 결과로 나타나야 하며, 그 결과 국가들이 연대순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우리의 방법은 고대 문헌의 인용문에서, 다음 기준을 충족하는 기간을 검색하여 찾는 것이다:

1. 신뢰성

2. 날짜가 잘 기록된 사건에 근거할 것

3. 두세 명의 증인으로부터

4. 삼각검증(三角檢證, triangulation)을 통해 상호 확인한다.(Jones 2019, 109).


1. 신뢰할 수 있는 기간들. 만약 고대 연대기 기록자가 한 고대 사건이 훨씬 후대의 사건보다 정확히 몇 년 이전에 발생했다고 언급했다면, 그렇지 않다는 것이 입증되지 않는 한, 이 연대기 기록자가 해당 기간을 계산할 수 있는 데이터에 접근(access, 이용)할 수 있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기간은 정확한 원래 목격자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은... 후기 아시리아 군주들은 자신들의 역사와 바빌론의 역사에서 일어난 사건의 정확한 날짜를 자신들로부터 1600~1700년이나 먼 시간까지 고정(결정)할 수 있는 수단이 있었다고 믿고 있었다는 것이다." (Rawlinson 1879, vol. 1, 152–153).

2. 연대가 잘 알려진 사건에 기준점을 두기. 주어진 기간의 한쪽 끝은 알려진 날짜의 것이어야 한다. "BC 385년부터 BC 61년까지... 1,200개 이상의 천문 일기(astronomical diaries) 조각들이... 이 시기의 연대기를 확고하게 정립"하고 있으므로, BC 747년 나보나사르 시대(Era of Nabonassar)부터 고대 후기까지의 날짜들은 알려진 것으로 받아들일 것이다.(Jonsson 1998, 157-158).

3. 복수의 독립적인 고대 자료들. 진실을 확립하려면 두 명 이상의 증인이 필요하다.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나온 증언은 강력한 증거가 된다. 고대 자료는 일반적으로 AD 455년 로마 멸망 이전에 작성된 자료로 간주 된다. 만약 우리가 더 오래된 출처를 확인할 수 없고, 더 강력한 증언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중세 연대기 기록자나 필사자가 제공한 연대는 받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네토(Manetho)와 베로수스(Berossus)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고대와 중세의 연대기 저자들을 통해 전적으로 보존되었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데이터에 직접 접근했거나, 직접 접근했던 이전 연대기 기록자의 기록을 인용하는 것이다.

4.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면, 삼각검증으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출처에서 사건 A가 사건 B보다 50년 전에 발생했다고 말하고, 두 번째 출처에서 사건 B가 사건 C보다 75년 전에 발생했다고 말하고, 세 번째 출처에서 사건 A가 사건 C보다 125년 전에 발생했다고 말하면 AB + BC = AC(Jones 2019, 135)가 되기 때문에 삼각검증을 할 수 있다.

    

존스(Jones)는 롤린슨(Rawlinson)이 처음 사용한 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삼각검증(triangulation)이라는 단어를 만들었지만, 기하학적으로 이것은 삼각형을 형성하지 않는다. 실제로 사용되는 규칙은 "전체는 부분의 합과 같아야 한다"는 것으로, 수학자들은 이를 "분할 가정(partition postulate)"이라고 부른다. 즉, 더 긴 지속 시간은 더 짧은 지속 시간들의 합과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존스가 삼각검증에서 의미했던 바이며, 여기서는 삼각형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점에 유의하면서, 동일한 방식으로 이 용어를 계속 사용할 것이다. 즉, 날짜가 다른 세 개의 사건 사이의 기간들이 하나의 날짜에 수렴한다는 의미이다.

최소 두 곳 이상의 서로 다른 출처에서 주어진 세 개의 기간은 이 규칙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서로를 확인하는 것으로 확인한다. 세 기간 간의 이러한 관계가 입증되면, 세 사건 모두에 대해 확정 날짜가 설정된다.

서로 다른 출처의 연대를 사용하여 만든 단일 삼각검증만으로도, 한 고대 사건에 대해 도출된 날짜가 정확하고 사용된 데이터가 정확하다는 확신을 가질 수 있다. 이 연대가 실제로 정확하다면, 이 연대와 삼각측량된 다른 연대가 추가로 발견되어, 그 정확성이 더욱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것을 보는 또 다른 방법은 회로가 완성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알려진 날짜에서 고대 사건까지 한 세트의 기간으로 거슬러 올라간 다음, 다른 기간 세트를 사용하여, 동일하거나 다른 알려진 날짜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회로를 완성했다고 할 수 있다. 회로를 완료하면, 두 기간 세트와 삼각측량한 날짜가 모두 확인된다.


삼각검증은 얼마나 정확할 필요가 있는가?    

모든 측정값에는 측정값의 가장 작은 정확도의 1/2에 해당하는 오차가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기간이 연 단위로 제공되었으므로, 대부분의 기간에 대한 기본 오차율은 ±6개월이다.

여러 개의 작은 측정값들을 합산하여 하나의 큰 측정값을 결정함으로써 과도한 오차가 누적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열왕기, 역대기, 마네토, 또는 바빌로니아 왕조 목록의 왕조들을 합산하여 왕조의 기간을 구하려는 시도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역사적 날짜는 통치했던 왕이나 왕조의 년(year)를 기준으로 제공되므로, 역사적 기간에는 약간의 오류 검사가 내장되어 있다. 일부 고대근동 문화권에서는 연대기에서 누적된 오류를 제거하는 즉위년 연대법(accession-year dating)을 사용했다. 다른 문화권에서는 왕 당 최대 1년의 오차가 추가되는 비-즉위년 연대법(non-accession year dating)를 사용하기도 했다.

근사치나 반올림된 숫자가 분명한 연대의 경우, 훨씬 더 넓은 범위에서 삼각 연대측정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600년은 가장 가까운 100년으로 반올림하여 오차 범위가 ±50년이다. 이것은 정확한 기간이 1,550년에서 1,650년 사이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1,600년 이상이라는 진술은 1,601년에서 1,650년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삼각 측량된 날짜를 확인한다고 할 수 있다.

만약 한 날짜가 이미 최소 한 번의 정확한 삼각검증으로 확립된 경우, 그리고 두 번째 기간이 논쟁 중인 날짜 기간의 1% 이내에 해당할 경우, 삼각측량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것을 느슨한 삼각검증(loose triangulation)으로 분류할 것이다.

동일한 사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계산된 두 개의 기간이 오차 범위 내에서 겹치는 경우, 삼각검증이 되었다고 말해질 수 있다.


가장 먼 지점으로 보정

토지 측량을 수행할 때, 가능한 가장 긴 측정을 수행하면, 작은 오차들이 누적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정확도가 가장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홍수, 바벨탑의 건축, 분산 및 국가의 건국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긴 기간은 처음부터 유효하다면, 그 사이의 날짜에 대한 연대기를 보정할 수 있는 책버팀(bookend, 세워 놓은 책들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것)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모서리와 가장자리를 먼저 찾아서 그림 조각을 맞추는 것과 비슷하다. 가장 오래된 사건의 기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누적 오차를 알고 있는 한, 더 작은 기간들을 합산하여 구할 수 있다.


어원적 이름 식별    

우리는 다른 증거에 의해 두 사람이 시간적으로 같은 기간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이름 연관성의 증거로서 고려할 것이다. 우연적으로 유사할 가능성이 너무 많고, 역사상 이전 영웅과 왕들의 이름을 딴 인물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이름 연관성만으로 연대기를 결정할 수는 없다.


시간 단위

    “사랑하는 자들아 주께는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다는 이 한 가지를 잊지 말라” (베드로후서 3:8, NKJV)

우리가 확인한 정확한 기간 중 상당수는 아카드어와 이집트어에서 그리스어로, 아리안어, 산스크리트어, 중국어에서 영어로 번역된 것이다. 이러한 연대는 종종 텍스트에서 매우 큰 숫자로 표시된다. 그러나 원래 숫자는 일, 월, 분기 또는 계절인 경우도 있고, 힌두교의 경우 두 시간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거기에는 간혹 연(years)으로 인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다른 세 개의 짧은 시간 단위도 사용됐던 것으로 보인다.

말라라스(John Malalas)에 의해서 보존된 마네토의 기록 중 하나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말을 듣게 된다 : 

"캄(Kham) 가문의 메스트라임(Mestraim)이 이집트인들을 다스렸다... 그 후 헤파이스토스(Hephaistos)가 1,680일 동안 이집트인을 다스렸으니, 이는 4년 7개월 3일에 해당된다 : 당시 이집트인들은 연(years)을 측정하는 방법을 몰랐지만, 하루의 주기를 '년'이라고 불렀다 ... 당시 이집트인이나 다른 누구도 숫자를 계산하는 방법을 몰랐기 때문에, 달의 주기를 년으로 계산하는 사람도 있었고, 낮의 주기를 년으로 계산하는 사람도 있었다. 12개월 단위로 계산하는 것은 나중에 과세 간격에 대한 명칭이 도입된 후 발전했다." (Verbrugghe and Wickersham 1996, 153)

우리는 말라라스의 추론과는 달리, 고대 이집트인들이 하루, 한 달, 1년의 차이를 완벽하게 잘 알고 있었다는 강력한 증거들을 살펴볼 것이다. 그러나 베로수스(Berossus), 마네토, 바빌로니아 왕 목록 및 수메르 왕 목록에서 우리는 각 사례에서 사제들이 일, 월, 기타 시간 단위를 년으로 계산함으로서 숫자를 다루고 있는 예들을 볼 수 있다.

우리의 400여 개의 기간들 중 약 12개는 일, 분기, 또는 힌두교의 경우 두 시간 등 특이한 단위들로 기록되어 있지만, 텍스트에서는 연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해석이 필요하지만, 적합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동시성

우리는 역사적 주장들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고대 역사가 근거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동시성(synchronism, 동시 발생, 동기)의 질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동시성이란 한 사건이 서로 다른 두 사람, 또는 다른 두 왕국의 역사 시간표(타임라인)에서 식별되는 것으로, 두 왕국의 시간 또는 역사를 서로 동시화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우리가 이상적으로 양쪽 모두에 기록되기를 원하는 세 가지 유형의 정보가 있다 : 사건의 세부 사항, 상대 왕의 이름, 날짜(보통 재위 연도 단위로 표시됨)이다.

많은 역사적 동시성은 두 왕국 중 한 왕국의 기록만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단면 동시성(one-sided synchronism)라고 하는데, 양면 동시성(two-sided synchronism)보다 품질이 훨씬 떨어진다. 완전한 양면 동시성을 인정받으려면, 양쪽에서 모두 사건을 언급하고 있고, 양쪽에서 독립적으로 연대 평가가 가능해야 한다. 양측 모두 상대방 왕의 이름을 언급하고 있으면, 추가 보너스를 받을 수 있다.


예시 : 단면 동시성

쿠르크 석비(Kurkh Monolith)에는 살만에셀 3세(Shalmaneser III)가 카르카르(QarQar) 시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12명의 왕으로 구성된 연합군과 싸웠으며, 그중 한 명이 야우브 스릴리트(Yaub Srilit)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이스라엘의 아합(Ahab) 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두 가지 이유로 품질이 낮은 동시성이다. 첫째, 이스라엘 연대기에는 이 전투나 원정에 대한 기록이 없으며, 이스라엘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아시리아 단어는 스릴리트가 아니라, 쿰리(Khumri)였다. 둘째, 성경에는 이스라엘과 유다 왕국에 대해 이 시기를 다루고 있는 5개의 연대기 데이터 세트들이 있는데, 모두 아합의 죽음을 살만에셀 3세가 즉위하기 40여 년 전으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은 이스라엘 측의 연대기와 모순되는 약한 단면 동시성이다. 아마도 더 나은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예시 : 양면 동시성

이집트 국경의 도시 펠루시움에서 벌어졌던, 페르시아 캄비세스(Cambyses) 군대와 이집트 제26왕조의 프삼티크 3세(Psamtik III) 군대가 벌인 여러 전투 중 하나인 펠루시움 전투(Battle of Pelusium)는 양측 모두에 의해 기록되어 있다. 헤로도토스(Herodotus)와 다른 여러 자료들은 그 이야기를 페르시아 측에서 기록하고 있다. 이집트 사제 마네토의 기록은 우리에게 BC 332년 알렉산더의 이집트 정복부터 펠루시움 전투까지, 제27~31왕조의 통치 기간을 합산하여 계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집트 데이터는 세 명의 다른 편집자들이 제공한 것으로, 그 범위가 조금씩 달라서, BC 332년 이전의, 191~204년 사이의 범위를 갖는다. 그리스와 페르시아 자료는 캄비세스 제5년에 일어난 정복을 BC 560년 키루스(Cyrus, 고레스)가 안산(Anshan)을 점령한 것에서 아래로 다른 방향으로 계산하여, BC 525년이라는 날짜를 제시한다. 두 문화권 모두 사건의 세부 사항, 일반적인 날짜, 적이었던 두 왕의 이름이 일치하기 때문에, 이것은 강력한 양면 동시성이다.

단면 동시성은 모순되는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지만, 양면 동시성은 훨씬 더 높은 확실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역사의 다른 시대에 비슷한 이름을 가진 두 세트의 통치자가 있는 경우와 같이, 명백한 양면 동시성조차도 잘못된 경우가 드물게 있을 수 있다.


줄리안력

고대 근동 문화권에서는 새해를 세는 날이 서로 달랐다. 바빌로니아력(Babylonian calendar)의 BC 747년은 줄리안력(Julian calendar)으로는 BC 747년 3월 ~ BC 746년 2월까지이다. 줄리안력으로 주어진 연도는 단순히 BC 747년으로 표시되는 반면, 다른 문화권에서 새해 연도는 BC 747/746년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어서, 해당 연도의 시작과 끝이 되는 줄리안력을 알 수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할 것이다.


결론

    

지금까지 기존의 고대사(ancient history) 모델은 잘못된 권위, 잘못 알려진 증거들에 대한 의존, 오류의 토대 위에 역사 모델을 구축했기 때문에,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사실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고대 자료에서 사건들 사이의 기간을 검색한 다음, 다른 목격자와 삼각검증을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기간을 걸러내는(filtering) 방법을 정의했다.

여기에 설명된 방법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고대 근동의 연대기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처리했다. 그 결과 바벨에서 알렉산더 대왕까지 세 주요 경로들과, 성경 외부의 총 49개의 작은 경로들을 통해서 얻어진 동일한 수의 연대들을 시간 틀에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의 결과는 특히 이집트의 제12왕조와 제18왕조에 대한 스튜어트(Stewart), 다운(Down), 웨이트(Waite), 오스굿(Osgood), 몽고메리(Montgomery)의 연대기와 상당히 일치한다. 주요 차이는 솔로몬의 사망 날짜에 관한 것과(이것은 어셔-존스와 일치한다), 히타이트, 수메르, 바빌로니아 왕조에 대한 우리의 배치이다.

모든 세부 사항들을 의심의 여지없이 증명할 수는 없으며, 아직 적합하지 않은 부분도 남아 있다. 그러나 이 결과로 도출된 시간 틀은 고대사를 구약성서 본문, 특히 거기서 파생된 어셔-존스 연대기와 조화시키는 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이스라엘의 왕들 중 몇 명이 고고학 기록에 등장한다.

다음 논문에서는 그림 맞추기의 가장자리 퍼즐인, 바벨탑 사건에 의한 분산 이후 국가들의 건국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References

Aitchison, J. Eric. 2016. Revisiting Velikovsky: An Audit of an Innovative Revisionist Attempt. Fremantle, Australia: Vivid Publishing.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2019. “Statement on Ancient Near Eastern and Biblical Chronologies.” 7 June. https://biblearchaeology.org/about/neareasternstatement.

Bergman, Jerry. 2009. “Fraud and Forgery in Paleoanthropology.” Answers Research Journal 2 (December 23): 201–210.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fraud-and-forgery-in-paleoanthropology/.

Bryce, Trevor. 1998. The Kingdom of the Hittites. Oxford, United Kingdom: Clarendon Press.

Courville, Donovan. 1971. The Exodus Problem and Its Ramifications. Vols. 1 and 2. Challenge Books, Loma Linda, California.

Down, David. 2002. “False History—‘Out With David and Solomon!’ Archaeological Challenges to the Historicity of the Bible are the Latest ‘Fad’. What are the Facts?” Creation 24, no. 4 (September): 16–19.

Down, David. 2006. Unwrapping the Pharaohs: How Egyptian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Timeline.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Finkelstein, Israel and Neil Asher Silberman. 2002. The Bible Unearthed: Archaeology’s New Vision of Ancient Israel and the Origin of Sacred Texts. New York, New York: Free Press.

Gertoux, Gerard. 2022a. “Dating the Biblical Chronology.” https://www.academia.edu/3290630/Dating_the_Biblical_Chronology.

Gertoux, Gerard. 2022b. “Dating the Birth of Israel: ca. 1500 or 1200 BCE?” https://www.academia.edu/3807111/Dating_the_Birth_of_Israel_ca_1500_or_1200_BCE_.

Harding, Luke. 2005. “History of Modern Man Unravels as German Scholar is Exposed as Fraud.” The Guardian, 19 February.

Hoeh, Herman L. 1967. Compendium of World History. Vol. 1. Pasadena, California: Ambassador College.

Hoeh, Herman L. 1969. Compendium of World History. Vol. 2. Pasadena, California: Ambassador College.

James, Peter, I. J. Thorpe, Nikos Kokkinos, Robert Morkot, and John A. Frankish.1993. Centuries of Darkness: A Challenge to the Conventional Chronology of Old World Archaeology. New Brunswick,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Jones, Floyd Nolen. 2019. 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 A Return to Basics. 21st ed.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Jonsson, Carl Olof. 1998. The Gentile Times Reconsidered. Atlanta, Georgia: Commentary Press.

Kenyon, Kathleen M. 1957. Digging Up Jericho. London, United Kingdom: Ernest Benn.

Kenyon, K. 1965. Archaeology in the Holy Land. London, United Kingdom: Ernest Benn Limited

Kitchen, Kenneth. 1996. The Third Intermediate Period in Egypt: 1100–650 BC. Oxford, United Kingdom: Oxbow Books.

Luban, Marianne. 2012. Manetho Demystified. Utah, United States: Pacific Moon Publications.

Manetho of Sennebytus. 1964. Manetho. Translated by W. G. Waddell.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Montgomery, Alan. 1998. “Towards a Biblically Inerrant Chronology.” In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on, edited by R. E. Walsh, pp. 395–406. Pittsburgh, Pennsylvania: Creation Science Fellowship.

Montgomery, Alan. 2021. Ages in Order: A Velikovskian Revision. Kanata, Ontario: Best Bard Press.

Osgood, John. 2020. They Speak With One Voice: A Correlation of the Biblical Record with Archaeology. Bunjurgen, Queensland, Australia: Self Published.

Petrovich, Douglas. 2016. The World’s Oldest Alphabet: Hebrew as the Language of the Proto-Consonantal Script. Jerusalem, Israel: Carta.

Petrovich, Douglas. 2019. “Determining the Precise Length of the Israelite Sojourn in Egypt.” Near East Archaeological Society Bulletin 64: 21–41.

Rawlinson, George. 1879. The Five Great Monarchies of the Ancient Eastern World. 4th ed. London, United Kingdom: John Murray.

Reilly, Jim. 2015. “Paper #2: Babylonian Dynastic History—A Late 10th to Late 8th Century Outline. The Beginning of a Revision of Babylonian History.” http://www.displaceddynasties.com/uploads/6/2/6/5/6265423/paper_2__babylonian_dynastic_history_%E2%80%93_a_late_10th_to_late_8th_century_outline.pdf.

Rohl, David M. 1995. Pharaohs and Kings: A Biblical Quest. New York, New York: Crown Publishers.

Rudd, Steven. 2019. Nimrod and the Archaeology of the Tower of Babel: Christian Archaeological Dating (CAD). Ontario, Canada: Bible.ca.

Stewart, Ted T. 2003. Solving the Exodus Mystery. Vol. 1: Discovery of the True Pharaohs of Joseph, Moses and the Exodus. Houston, Texas: Biblemart.com.

Taylor, Ian T. 1991. “‘Nebraska Man’ Revisited.” Creation 13, no. 4 (September): 13.

Thiele, Edwin R. 1994.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 Illustrated ed. Grand Rapids, Michigan: Kregel Ministry.

Ussher, James. 2007. The Annals of the World, translated by Larry Pierce and Marion Pierce. Green Forest, Arkansas: Master Books.

van der Plicht, J. 2005. “Radiocarbon, The Calibration Curve and Scythian Chronology.” In Impact of the Environment on Human Migration in Eurasia, vol. 42, edited by E M. Scott et al., pp. 45–61.

Velikovsky, Immanuel. 1952. Ages in Chaos: A Reconstruction of Ancient History From the Exodus to King Akhnaton.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55. Earth In Upheaval.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60. Oedipus and Akhnaton: Myth and History.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77. Peoples of the Sea.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likovsky, Immanuel. 1978. Ramses II and His Time. New York, New York: Doubleday.

Verbrugghe, Gerald, and John M. Wickersham. 1996. Berossos and Manetho Introduced and Translated: Native Traditions in Ancient Mesopotamia and Egypt. Ann Arbor, Michigan: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Waite, Roger. 2016. The Bible and Egypt: In Search of a Correct Egyptian Chronology. http://www.rogerswebsite.com/articles/TheBibleandEgypt.pdf.

White, Monty. 2003. “The Piltdown Man Fraud.” Answers in Genesis, November 24. https://answersingenesis.org/human-evolution/piltdown-man/the-piltdown-man-fraud/.

Wood, Bryant. 1999. “An Editorial Comment.” Bible and Spade 12, no. 4 (Fall): 99–99.

Wood, Bryant; and Henry Smith. 2012. “We Hear You!” Bible and Spade 25 no. 3 (Summer): 58.


*Supplementary Material

Available in a single file at https://assets.answersresearchjournal.org/doc/articles/arj/v15/cfah-data.xlsx.


*참조 1 :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 2 : Founding of the Nations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tower-of-babel/chronological-framework-ancient-history-2/

Chronological Framework of Ancient History. 3: Anchor Points of Ancient History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ancient-egypt/chronological-framework-ancient-history-3/


*참조 2 : 이집트 연대기와 성경 : 현장 고고학자 데이비드와의 대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29&bmode=view

이집트 역사와 성경 기록 : 완벽한 조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326240&bmode=view

이집트에 히브리인들이 살았다는 증거 : 그리고 출애굽 연대에 대한 고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218772&bmode=view

여호수아의 파괴 이후의 여리고 성 : 성경과 고고학의 일치.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3837349&bmode=view

여리고의 성벽 : 고고학적 확인에 의하면 여리고성의 벽은 정말로 무너져 내렸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3&bmode=view

여호수아의 아이성에 대한 새로운 고고학적 발굴 : 또 다시 확인된 성경 기록의 정확성.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2&bmode=view

가나안의 하솔 - 성경이 옳았다! : 성경에 보존된 고대 도시의 흔치않은 지식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4048467&bmode=view

출애굽의 역사성을 확증하고 있는 영화, “증거의 패턴 : 출애굽”이 개봉되었다. 

https://creation.kr/BiblenHistory/?idx=1289000&bmode=view

“증거의 패턴 : 홍해의 기적” - 성경의 진실성을 입증하는 영화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3156850&bmode=view

▶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들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출처 : Answers Research Journal 15(2022): 377–390.

주소 : https://answersresearchjournal.org/ancient-egypt/chronological-framework-ancient-history-1/

번역 : 양승원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