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에발 산에서 여호수아의 제단과 저주 서판의 발견

미디어위원회
2023-09-10

에발 산에서 여호수아의 제단과 저주 서판의 발견.

: 고고학적 발견은 성경의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다.

(Joshua’s Altar and the Mount Ebal Curse Tablet.

An archaeological find confirms biblical history)

by Simon Turpin


     성경 비판론자들은 종종 구약성경의 역사적 기록을 허구나 신화로 간주한다. 하지만 고고학(archaeology)이 구약성경에 기록된 내용을 확증해주고 있다면, 어떻게 말할까? 최근 에발 산(Mount Ebal)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발견은 구약성경의 기록들이 역사적 사실이었음을 강력하게 확인시켜주고 있었다.


여호수아의 제단이 발견되었는가?

신명기 27장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요단강을 건너 가나안 땅을 차지하기 전에, 모세는 가나안에 들어가면, 여섯 지파(시므온, 레위, 유다, 잇사갈, 요셉, 베냐민 지파)는 그리심 산(Mount Gerizim)에 서고, 하나님의 율법을 지킬 경우에 받게 될 축복을 큰 소리로 낭독하고, 모든 백성은 응답하여 말할 것을 명령하셨다. 나머지 여섯 지파(르우벤, 갓, 아셀, 스불론, 단, 납달리 지파)는 에발 산(Mount Ebal)에 서고, 하나님의 율법을 불순종할 경우 받게 될 저주를 낭독하고, 백성들은 응답하여 말해야 했다.

여호수아 8장에서 이스라엘 백성은 가나안 요새(또는 도시)인 아이(Ai) 성에서 승리를 거둔 후, 한쪽에는 그리심 산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에발 산이 있는 세겜 근처에서, 여호와(YHWH, יהוה)와 언약식을 거행했다(수 8:33). 여호수아가 여호와께 제단을 쌓은 곳은 에발 산이었다(여호수아 8:30). 에발 산은 사해 북서쪽, 예루살렘에서 북쪽으로 약 48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에발 산 남쪽에는 그리심 산이 있고, 그 사이에는 세겜(city of Shechem)이 있다(수 24:25).[1] 세겜 북쪽의 에발 산의 높이는 약 940m(3,084 feet)이며, 산 동쪽에는 이스라엘 하이파 대학(University of Haifa)의 세속적 고고학자인 아담 제르탈(Adam Zertal, 1936~2015) 교수가 발견했던 제단(altar)이 있다.[2]

1980년 제르탈 교수는 에발 산에서 대형 직사각형 제단(30㎡, 높이 3m, 아래 그림 참조)을 발견했고, 1982년부터 1989년까지 발굴 작업이 이어졌다. 제르탈 교수는 이 대형 직사각형 구조물이 여호수아의 언약 기념 제단(Joshua’s covenant ceremony altar, 여호수아 8:30-35)이라고 믿었다. 제르탈의 발견에 대해 고고학계의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히브리 대학의 벤자민 마자르(Benjamin Mazar) 교수 등 몇몇 저명한 고고학자들은 확신을 가졌다.

대형 구조물 주변을 발굴한 결과, 많은 양의 재(ash)와 주로 어린 수컷 동물(주로 정결한)의 뼈 1,000여 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이 유적지가 성경적 기준에 따라, 동물 희생 제사를 지내는 데 사용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르탈은 발견된 도자기(pottery)와 스카라베(scarabs, 스카라브, 스캐럽, 부적으로 사용된 풍뎅이 모양의 조각)를 근거로, 이 제단의 연대를 BC 13세기에서 12세기(BC 1225년경)로 추정했다.[3] 이것이 여호수아의 제단이라면, BC 15세기(BC 1446~1400년) 경에 일어난 출애굽과 가나안 정복 시기에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제르탈의 발굴 결과, 거대한 직사각형 제단 아래에 더 이른 초기의 제단이 있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아래 그림 참조).[4] 이 초기 제단은 원형으로, 지름이 2m에 불과했으며, 가공되지 않은(다듬지 않은) 중간 크기의 돌들로 만들어져 있었다. 제르탈은 이 작은 제단 바로 위에 깨끗한 재와 동물의 뼈들로 이루어진 10cm의 층이 있었고, 그 대부분은 불에 태워졌다고 말한다(신명기 27:7, 여호수아 8:31 참조). 제르탈은 더 작은 원형 제단이 더 큰 직사각형 제단보다 먼저 세워졌다고 믿고 있었지만, 그 연대는 거의 같은 시기(BC 1250년경)로 추정했다.

몇 년 전, 고고학자 스콧 스트리플링(Scott Stripling) 박사는 에발 산에서 제르탈이 발견했던 것에 주목했다. 그러나 정치적 이유로 인해,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에발 산에서 제르탈이 발견한 것에 대한 발굴 작업을 계속할 수 없었다. 하지만 제르탈이 발견한 대형 구조물(제단) 옆의 파편 더미에 남겨져 있는 물질들을 습식 선별(wet-sift, 물로 체에 쳐서)할 수 있었다.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작은 원형 제단이 큰 직사각형 제단보다 먼저 세워졌다는 데 동의하고 있었으며, 이 제단에 대한 제르탈의 연대가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높으며, 연대는 BC 15세기(BC 1400년경)로 봐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5] 스트라이플링 박사는 제르탈에서 출토된 유물을 습식 선별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증거들을 통해, 이러한 해석을 뒷받침하고 있었다. 스트리플링 박사는 이 유적지에서 더 이른 시기의 도자기를 발견했는데, 이는 이 장소가 더 일찍 사용되었음을 시사한다.


에발 산의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BC 15세기 출애굽과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과 일치한다.


원형 제단(round altar)과 관련된 물질에서, 파라오 투트모세 3세(Thutmose III, BC 1504~1450년경)의 스크라베(scarab)가 발견되었다. 전통적인 견해는 투트모세 3세 스크라베는 기념품(commemorative)이며, BC 13세기의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나 스트리플링 박사는 "이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에발 산, 실로(Shiloh), 여리고(Jericho)와 같은 유적지에서 제18왕조(Eighteenth Dynasty, BC 15세기) 스크라베가 발견되었는데, 이것들은 기념품으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발견들은 지배적인 후기 연대설(late-date theory, 후기 출애굽설)에 도전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이 경우도 그 이론이 해석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6] 그러나 스트리플링이 믿고 있는 것처럼, 투트모세 3세의 스크라베가 기념품이 아니라면, 이 풍뎅이 모양의 스크라베는 작은 원형 제단이 더 일찍 건설되었다는 증거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 원형 제단은 초기 가나안 인들의 제단이 될 수 없다. 왜냐하면 여호수아는 그들의 제단을 허물라는 명령을 받았기 때문이다.(따라서 모두 허물었을 것이다).(사사기 2:2; 출 34:13 참조). 또한 원형 제단에 속한 모든 돌들은 가공되지(쇠 연장으로 다듬어지지) 않았으며, 이는 여호수아 8:31절의 요구 사항에 부합한다. 에발 산의 원형 제단은 여호수아의 제단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BC 15세기 경의 출애굽과 여호수아의 가나안 정복과 일치한다.

.에발 산에 있는 여호수아의 제단(Joshua’s altar). <Image courtesy of Melissa Barreiro/Armstrong Institute of Biblical Archaeology>


에발 산의 저주 서판

2022년 성서연구협회(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ABR)의 스트리플링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에발 산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히브리어 비문이 새겨진 작은 납판(lead tablet, 가로 세로 2cm)을 발견했다고 밝혔다.[7] 이 납판은 2019년에 제르탈이 에발 산에서 발굴한 동쪽 파편 더미를 습식선별(wet-sift)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발견되었다. 고고학적 배경과 서문 분석에 따르면, 이 저주 서판(curse tablet, Defixio, 데픽시오)은 후기 청동기시대(BC 1400~12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었다.[8] 이는 고대 이스라엘에서 알려진 히브리어 비문보다 최소 2세기 이상 더 오래된 것이다.[9] 접힌 납으로 된 판에는 철필(iron stylus)로 납에 새겨놓은 고대 히브리어 비문이 들어 있었는데(욥기 19:23-24 참조), 원시 알파벳 문자(또는 원시 히브리어 문자)인 48개의 철자(하나는 하나님의 다른 히브리어 이름인 엘(El)과 결합된 신성한 이름 YHW(YHWH)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었다.[10] 비문은 교차대구 병행법(chiastic parallelism) 구조로 되어 있었으며, 이렇게 읽혀진다 :

당신은 yhw 신의 저주를 받았다, 저주를 받았다.

당신은 죽을 것이다, 저주받고 저주받고, 당신은 반드시 죽을 것이다.

저주받은 당신은 yhw에 의해서 저주받았다.[11]

.에발 산에서 발굴된 납으로 된 저주 서판(Curse Tablet). <Image courtesy of Associates for Biblical Research> (*The Mount Ebal Curse Tablet


이 발견은 히브리인들이 한 하나님을 경배했지만, 그분에 대한 다른 이름을 갖고 있었음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4:35, 6:4, 10:17).


동일한 하나님을 두 히브리어 이름(YHW and EL)을 사용하여 함께 지칭하고 있는 것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문서가설((documentary hypothesis)의 한 주요 요소를 반박하는 것이다. 성경을 비판하는 학자들은 토라(Torah, 오경)는 BC 15세기 경에 모세에 의해 쓰여진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시기(BC 960~550년경)에 여러 저자(약칭 J, E, D, P)들에 의해 편찬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다른 신, 즉 여호와(YHWH)와 엘/엘로힘(El/Elohim)을 경배했던 것으로 보고 있다.(The Documentary Hypothesis, 참조). 그러나 이 발견은 히브리인들이 한 하나님을 경배했지만, 이름이 서로 달랐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4:35, 6:4, 10:17).(Evidence for Mosaic Authorship of the Torah 참조). 또한 히브리인들이 글을 읽을 줄 알았다는 사실도 확인시켜 준다(신명기 6:9).

발견된 위치와 연대는 신명기 11:29절의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가 가서 차지할 땅으로 너를 인도하여 들이실 때에 너는 그리심 산에서 축복을 선포하고 에발 산에서 저주를 선포하라”는 성경 말씀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신명기 27장과 여호수아 8장에 따르면, 에발 산은 저주의 산이었다.[12] 서판의 연대가 BC 1400년경이라면, 이는 여호수아가 가나안을 정복한 시기와 일치하며, 성경의 출애굽 연도인 BC 1446년 경에서 약 46년 후(광야 40년 + 가나안 정복 약 6년)로서, 출애굽의 성경적 연대를 확고히 지지해주는 것이다(열왕기상 6:1 참조).

여호수아는 에발 산에서 모세의 율법을 돌에 새겼다(여호수아 8:32). 이 예표적 사건은 우리들 자신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갈라디아서 3:10절에서 사도 바울은 무릇 율법 행위에 의존하고 있는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다며 이렇게 말씀한다 : 

“무릇 율법 행위에 속한 자들은 저주 아래에 있나니 기록된 바 누구든지 율법 책에 기록된 대로 모든 일을 항상 행하지 아니하는 자는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아담의 후손인 인류는 율법의 저주 아래 있으며, 그 저주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3:13절에서 이렇게 말씀한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저주를 받은 바 되사 율법의 저주에서 우리를 속량하셨으니 기록된 바 나무에 달린 자마다 저주 아래에 있는 자라 하였음이라” 

예수님이 십자가 위에서 우리를 대신해 죽으심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사람들은 죄의 저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예수님은 축복의 장소인 하늘로부터, 하나님의 저주 장소인 땅으로 오셔서(창세기 3:17), 인류의 죄를 사하시기 위한 희생 제물로 자신을 바치셨던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마땅히 받아야 할 저주를 받지 않고, 받을 수 없는 신령한 복을 받게 되는 것이다.(에베소서 1:3).


Footnotes

1. Shechem is where Abraham first sacrificed to God when he entered Canaan around 600 years earlier (Genesis 12:6–7).

2. The altar is oriented toward the east (a ramp was uncovered on the western side of the altar). If a priest was ascending the altar on the ramp to offer sacrifices, then he would be facing east (cf. Exodus 27:13).

3. Adam Zertal, “Has Joshua’s Altar Been Found on Mt. Ebal?” BAR 11, no. 1 (1985): 26–43.

4. Adam Zertal, “An Early Iron Age Cultic Site on Mount Ebal: Excavation Seasons 1982–1987,” Tel Aviv 14 (1987): 110.

5. Scott Stripling, “The Fifteenth-Century (Early Date) Exodus View,” in Five Views On the Exodus, ed. Mark D. Janzen (Grand Rapids, Michigan: Zondervan, 2021), 47.

6. Stripling, “The Fifteenth-Century (Early Date) Exodus View,” 47–48.

7. The findings have been peer-reviewed. See Dr. Scott Stripling et al., “‘You are Cursed by the God YHW:’ an early Hebrew inscription from Mt. Ebal,” Heritage Science 11, no. 105 (May 2023): https://heritagesciencejournal.springeropen.com/articles/10.1186/s40494-023-00920-9.

8. There are only two choices for dates for contents from the dump piles from Mount Ebal: Late Bronze Age II (1400–1200 BC) or Iron Age I (1200–1100 BC).

9. It would predate the Khirbet Qeiyafa ostracon (tenth century BC) by at least two centuries.

10. The inside of the curse tablet contains 48 “proto-alphabetic” letters, 9 of which are aleph (the first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In the 23-word English translation of the inscription, the word curse (’arur) appears six times and the sacred name, YHW, appears twice.

11. A tomographic scanner from the Institute of Theoretical and Applied Mechanics in Telč (Czech Republic) was used to find the reading on the inside of the lead tablet. On the tablet, there was an image of an “Ox-Head,” the symbol which later developed into the first letter of the Hebrew alphabet, aleph. This symbol was part of the “proto-alphabetic” script and was used prior to 1200 BC. Some of the earliest known “proto-alphabetic” texts were discovered near turquoise mines in the Sinai Peninsula. These are similar to the text in the Mount Ebal curse tablet.

12. It is possible that the Mount Ebal curse tablet reflects a verdict against an individual sinner under a divine curse (see Deuteronomy 21:22–23).


*참조 :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창세기의 문서가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5109&t=board

▶ 문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960&t=board

▶ 점토판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820&t=board

▶ 출애굽의 증거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723&t=board

▶ 여리고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2794&t=board


출처 : AiG, 2023. 7. 12.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joshuas-altar-and-mount-ebal-curse-tablet/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