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성경

앗수르의 최근 고고학적 발견은 성경을 확증하고 있다.

미디어위원회
2023-09-12

앗수르의 최근 고고학적 발견은 성경을 확증하고 있다.

(Recent Archaeological Finds in Assyria Corroborate Scripture)

by Troy Lacey


     2014년 이슬람 테러리스트 단체 ISIS는 고대 앗수르(Assyria, 아시리아)의 수도였던 니느웨(Nineveh, 니네베)가 있던 모술(Mosul) 전역을 포함하여, 이라크 일부를 다시 장악했다. 이 지역을 장악한 3년 동안 그들은 문화 파괴 캠페인을 시작하여, 여러 모스크와 무덤들을 파괴했다. (2014. 7. 24일에는 전통적으로 무슬림과 일부 기독교인들이[1] 예언자 요나(Jonah)의 무덤으로 믿고 있는[2] 모스크가 파괴되었다). 이슬람교의 엄격한 해석에 따르면, 이러한 모스크 내에 있는 제단과 무덤들은 이슬람교에 위배되거나 부패한 것으로 여겨져,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2017년 1월 말 ISIS가 패배하면서, 모술과 주변 지역은 이라크군에 의해서 재탈환되었다.


피의 도시

성경에서 니느웨(앗수르 나라를 의미하는)는 북왕국 이스라엘의 적이자, 정복자이자, 유다 왕국을 괴롭혔던 국가로 자주 언급되고 있지만, 요나의 설교를 듣고 일괄 회개한 나라로도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니느웨 사람들은 분명히 우상 숭배로 되돌아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후에 나훔과 같은 선지자들은 그들을 꾸짖고, 니느웨 성읍과 앗수르 제국의 멸망을 예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앗수르 왕들 중 몇몇이 언급되고 있는데, 대개 분열왕국 기간 동안 북이스라엘이나 유다 왕국과의 무역과 관련해서이다.

최근 이라크 매거진(Iraq magazine,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발행하는 고고학 저널)에 실린 한 논문에서[3], 저자인 알리 야신 알주부리(Ali Yaseen Al-Juboori) 박사는 니느웨에서 발굴된 여러 비문(inscriptions)과 유물 중 아직 공개되지 않은 1987~1992년에 발굴된 비문과 유물을 살펴보았다. 최근 ISIS가 묻혀 있는 앗수르의 보물이나 유물을 찾기 위해 파놓은 터널에서 다른 유물과 비문들이 발견되었는데[4], 암시장에서 그것들을 판매하여 테러 조직에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이러니하게도 1987~1992년 네비 유누스(Nebi Yunus, 선지자 요나) 언덕과 네르갈 게이트(Nergal Gate)에서 진행된 발굴 작업은 모스크와 요나의 전통 무덤을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중단되었다. 그러나 ISIS는 그러한 제약을 받지 않고, 이라크 및 외국 고고학자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지역까지 깊숙이 파고들어 도굴하고 있었다.

2017년 1월 도시가 탈환된 후, 고고학자들은 철거(파괴)되거나 약탈당한 유적지를 조사하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들은 수많은 터널들을 발견했다. 일부 유물들이 약탈당하고, 다른 유물들은 깨지거나 손상되었지만, 많은 유물들이 가치가 없고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아마도 해롭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ISIS에 의해 약탈당하지 않은 채로 방치되어 있었다. 이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발견 중 일부는 앗수르 왕들이 남긴 비문들이었다. 저자들은 2017년 3월에 이 새로운 발견을 조사하고, 1987~1992년 발굴에서 발견되었지만 공개되지 않은 유사한 비문들을 리뷰했다. 아래에서는 번역된 비문 중 일부를, 특히 성경의 역사와 사건을 다룬 비문을 소개한다.


벽에 새겨진 글

새로 발견된 비문(inscriptions) 중 일부는 1987~1992년에 발견된 비문과 마찬가지로 벽면 패널(wall panels)에서 발견되었고, 다른 비문은 동상과 기둥(statues and pillars, 또는 거상(colossi))에서 발견되었다. 저자들이 앗수르어로부터 영어로 번역한 문장은 아래와 같다.


에살핫돈(Esarhaddon, 에사르하돈)의 궁전,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바빌론의 통치자, 수메르(Sumer)와 아카드(Akkad)의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산헤립(Sennacherib)의 아들,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Sargon Ⅱ)의 후손.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인 에살핫돈의 궁전,

바빌론의 통치자,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성전을 (재)건설한 사람

아슈르 신(god Aššur)은 에사길(Esagil)과 바빌론(Babylon)을 (재)건설하고, (그리고) 위대한 신들의 동상을 복원했다.

산헤립의 아들,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II)의 후손,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강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바빌론의 통치자인 에살핫돈의 궁전,

수메르와 아카드의 왕, (하부) 이집트와 상부 이집트의 왕, 네 지역의 왕,

앗수르의 왕 산헤립의 아들, 강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사르곤(II)의 아들.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의 궁전, 위대한 왕, 강력한 왕, 세계의 왕, 앗수르의 왕, 에살핫돈의 아들, 앗수르의 왕, 산헤립의 후손.


성경의 증언

에살핫돈의 비문에 언급되어 있는 앗수르 왕들은 모두 성경에 정확한 순서로 언급되어 있다. 사르곤 2세(Sargon II, 성경에서는 그냥 사르곤이라고 부름)는 이사야 20:1절에 한 번만 언급되어 있고, 산헤립(Sennacherib)은 여러 번 언급되어 있다(열왕기하 18~19장, 역대하 32장, 이사야 36~37장). 성경은 산헤립이 두 아들(아드람멜렉, 사레셀)에게 암살당했으며, 다른 아들인 에살핫돈이 그의 뒤를 이어 통치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에살핫돈은 열왕기하 19:37절과 이사야 37:38절에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고, 세 번 언급되어 있다. 에스라서 4:2절에도 앗수르가 정복한 사마리아인과 다른 나라의 혼합 민족이 에살핫돈에 의해 그곳에 정착했다고 언급되어 있다(BC 722년 이스라엘 북왕국이 정복된 후 언젠가). 위의 마지막 비문의 저자인 아슈르바니팔(Ashurbanipal)은 에살핫돈의 아들로서, 성경에도 언급되어 있지만, 번역에 따라 아슈르바니팔로 불리기도 하고, 에스라 4:10절에서 오스납발(Asnappar, Osnapper, or Asenaphar)로 불리기도 하며, 사마리아 지역으로 비-이스라엘 사람들을 이주시킨 앗수르의 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몇몇 비문은 ... 성경의 인물과 지명, 그리고 앗수르의 관습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확증해주고 있다.


1987~1992년 발굴에서 발견된 몇 가지 비문과 새로 발견된 터널 비문은 성경의 인물과 지명, 그리고 앗수르의 관습에 대한 성경의 기록을 확증해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 위에 언급된 왕의 전임 통치자, 통치 기간은 일반적으로 BC 883-859년으로 알려져 있음)의 비문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적혀 있다,

나 이전의 통치자였던 앗수르의 왕 살만에셀(Shalmaneser)이 건설했던 옛 도시 갈라(Calah)는 황폐해져 폐허의 언덕으로 변해버렸다. 나는 이 도시를 재건했다. 나는 내가 정복한 땅들에서 사람들을 데려와, 즉 수쿠(Suḫu) 땅, 라쿠(Laqû) 땅 전체, 유프라테스 강 건너편에 있는 성읍 시르쿠(Sirqu), 자무아(Zamua) 전 지역, 비트-아디니(Bīt-Adini), 하티(Ḫatti), 루바르나(Lubarna, 리부르나-Liburna), 하티누(Ḫatinu)의 사람들을 데려와 (그들을) 그 안에 정착시켰다. 


위의 아슈르나시르팔 2세(Ashurnasirpal II)의 비문에 쓰여진 글은 에스라 4:10절(NKJV)의 기록처럼, 여러 세대가 지난 후에도 이주 정책은 여전히 실행되고 있었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창세기 10:11~12절에 언급되어 있는 성읍 갈라(Calah)가 실존했음을 증거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 논문에서 언급된 소수의 비문들만 살펴보더라도, 성경과 모순되는 것은 하나도 없으며, 실제로 모두 성경의 역사적 사실성을 확증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성경은 사건들이 기술된 후 수백 년이 지난 후에 짜깁기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서술, 예언의 많은 부분들(아직 일어나지 않은 미래의 예언을 제외하고), 고대 민족과 왕국의 사람, 장소, 이름, 칭호, 관습을 정확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그중 많은 부분들이 지난 150년 동안 고고학자들에 의해서 발견되기 전까지 현대 고고학에서 알려지지 않았던 것들이다. 이는 디모데후서 3:16~17절과 베드로후서 1:20~21절에 언급된 것처럼, 성경의 저자들이 성령의 영감을 받아 기록했다는 것을 가리킨다. 해석학(hermeneutics)을 논의할 때 사용되는 주의점을 긍정적으로 해석하면[5], 성경의 역사적 부분은 신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인간의 죄와 그 죄에 대한 해결책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하여 말하는 것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다!


Footnotes

1. Accepted more so by Muslims than by the majority of Christians. “What Is the Tomb of the Prophet Jonah?,” The Gates of Nineveh, July 11, 2014, https://gatesofnineveh.wordpress.com/2014/07/11/what-is-the-tomb-of-the-prophet-jonah/.

2. But Nineveh as the burial place for Jonah seems highly unlikely since Jonah detested the city and its inhabitants, even though God spared them. It is much more likely he was buried near his hometown of Gath-hepher (now called Mashad). “The Tomb of the Prophet Jonah in Mashad,” Mystagogy Resource center, September 21, 2012, http://www.johnsanidopoulos.com/2012/09/the-tomb-of-prophet-jonah-in-mashad.html.

3. Ali. Y. Al-Juboori, “Recently Discovered Neo-Assyrian Royal Inscriptions from the Review Palace and Nergal Gate of Nineveh,” Iraq 79 (2017): doi:10.1017/irq.2017.7.

4. Josie Ensor, “Previously Untouched 600 BC Palace Discovered Under Shrine Demolished by Isil in Mosul,” February 28, 2017, The Telegraph, http://www.telegraph.co.uk/news/2017/02/27/previously-untouched-600bc-palace-discovered-shrine-demolished/.

5. We often state if you can’t trust the historical sections of Scripture then how can you be consistent and say you trust the sections which speak on moral issues, the miracles of the NT and the gospel?


*참조 : Evidentialism : the Bible and Assyrian chronology

https://creation.com/evidentialism-the-bible-and-assyrian-chronology

The Historic Jonah

https://creation.com/images/pdfs/tj/j02_1/j02_1_105-116.pdf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1.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 of Judah’s deliverance from Assyrian invaders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1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2.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Hezekiah’s preparations in Jerusalem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2

When God rescued King Hezekiah, part 3. 

Archaeology confirms the biblical account—Jerusalem’s deliverance and Sennacherib’s end

https://creation.com/hezekiah-archaeology-3

성경 역사를 확증해주고 있는 고대 앗수르 유물. 대영박물관에 있는 성경의 고고학적 증거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83&bmode=view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신뢰성을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46&bmode=view

모압 석비가 입증하고 있는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 : 모압 왕 메사의 자랑은 창세기를 확인해주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2759771&bmode=view

바빌로니아 점토판에 성경 속 인물이 언급되어 있었다 : 느부갓네살 왕의 환관장 살스김의 이름이 새겨진 점토판의 발견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6&bmode=view

다윗과 솔로몬의 역사적 사실성! : 최근 고고학적 발견들은 성경의 기록이 사실임을 계속 입증하고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288730&bmode=view

성경의 연대를 확인해주는 지구자기장 데이터 : 고대 이스라엘의 파괴된 도시들에 대한 새로운 연대측정.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3449526&bmode=view

고대사의 연대기적 틀 - 1부 : 문제점, 자료, 및 방법론 ; 고대 근동 및 이집트 역사는 크게 부풀려져 있다.

https://creation.kr/archaeology/?idx=15978817&bmode=view

▶ 성경을 지지하는 고고학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24724&t=board

▶ 성경적 역사를 지지하는 발견들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791252&t=board

▶ 인장(이세벨, 이사야, 히스기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34&t=board

▶ 느헤미야

https://creation.kr/Topic502/?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6816927&t=board


출처 : AiG, March 13, 2018

주소 : https://answersingenesis.org/archaeology/recent-archaeological-finds-assyria-corroborate-scripture/

번역 : 미디어위원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3

대표전화 02-419-6465  /  팩스 02-451-0130  /  desk@creation.kr

고유번호 : 219-82-00916             Copyright ⓒ 한국창조과학회

상호명 : (주)창조과학미디어  /  대표자 : 박영민

사업자번호 : 120-87-70892

통신판매업신고 : 제 2021-서울종로-1605 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26길 28-5

대표전화 : 02-419-6484

개인정보책임자 : 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