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 왕은 부족장이 아니라, 도시들을 지배했다.
(King David Ruled Cities, Not Shepherds)
고대 유다의 키르벳 케이야파(Khirbet Qeiyafa)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고학 발굴 결과는 결론부터 말해서 당대에 그 지역이 강력한 성벽, 관청 건물, 청동기구와 철기구, 및 외국 강대국과의 상당한 무역 거래를 암시하는 유물들을 보유하거나 생산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발견들을 통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은, 다윗 왕은 존재했다하더라도 유목민의 부족장에 불과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축소 지향적' 연대기가 믿기 어렵게 되었다는 것이다.
토드 보렌(Todd Bolen)은 그의 블로그(Bible Places Blog)에서 주요한 발견물의 내용을 요약한바 있다. 요시 가핑클(Yossi Garfinkel) 등이 운영하는 이스라엘 문화재 관리청에 제출된 상세 보고서는 작년에 수행한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발굴의 목표가 방사성 연대측정에 의해 기원전 11세기 말과 10세기 초로 추정되는 예루살렘 남쪽의 고대 군사 도시의 특징들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키르벳 케이야파는 그 시대에 명문이 새겨진 도자기가 발견되어 2008년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11/16/2008, 1/07/2010). 그 새로운 보고서가 새겨진 내용까지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물들은 다윗 시대 동안에 고도화된 문명을 암시하고 있다:
하부 지층은 기원전 11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사이의 철기시대 IIA(Iron Age IIA)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드러난 이 정착지의 유적들을 살펴보면 그 지역의 상층부에서 두 개의 성문, 두 개의 성문 광장, 28개의 참호(20개는 완전한 형태로 발굴됨), 10개의 주거 건물, 행정 관청 건물 등이 발굴되었다. 대량의 인공유물들이 각 지역의 가옥 마루에서 발견되었으며, 복구가 가능한 수백 개의 도자기 그릇, 수백 개의 석조 물체, 수십 개의 금속 물체 및 소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이 지층이 어느 날 갑자기 파괴되었다는 것이다. 제례 의식에 관련된 많은 증거들이 발견되었으며 그 중에는 묘석(mazzevot), 제례실(cultic chamber), 사원 모형(2개는 세라믹, 1개는 돌로 만들어졌음), 소조각상 등이 있었다.
철기시대 도시에서 발견된 인상적인 구조물과 유물들 :
1. 유대 왕국의 도시 계획 특징. 이것은 베트 쉬메쉬(Bet Shemesh), 텔 엔 나스베(Tell en-Nasbeh), 텔 베이트 미르심(Tell Beit Mirsim) 및 브엘 쉐바(Be’er Sheva)와 같은 다른 지역들에서도 알려져 있다. 포곽벽(casemate wall)이 이들 지역 모두에 세워졌으며, 이 도시의 집들은 거주하는 하나의 방처럼 포곽벽과 접해져 있었다. 이러한 모델은 [당시의] 가나안, 팔레스타인 또는 이스라엘 왕국과 같은 지역의 양식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2. 대대적인 도시 요새화. 각각 8톤이 나가는 암석을 사용하여 건축되었다.
3. 2개의 성문. 오늘 날까지 이스라엘이나 유다에서 2개의 성문이 있는 철기시대 도시가 발견된 사례가 없다.
4. 각 성문 가까이 성문 광장을 위한 개방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C 지역에서는 세 개의 포곽벽과 병렬되게 오픈되어 있었고, D 지역에서는 네 개의 포곽벽과 병렬로 공간이 확보되어 있었다.
5. 이 도시의 주택들은 다닥다닥 붙어 있는 형태로 건축되었다.
6. 약 500개의 단지(jar) 손잡이에서 손가락 한 개의 지문이, 일부에서는 두 개 또는 세 개 손가락의 지문이 발견되었다. 단지 손잡이는 유대 왕국의 독특한 양식이며, 이러한 모양은 Iron Age IIA 시기에 이미 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7. 대량의 청동기구와 철기구들이 발견되었다. 철기구들에는 검 3자루, 단검 약 20자루, 창촉2개, 화살촉 다수가, 청동기에는 도끼 한 자루, 다수의 화살촉 및 반지, 작은 사발 한 개가 포함되어 있다.
8. 무역을 통해서 수입된 물품. 해안 평야 지역으로부터 수입된 아슈도드(Ashdod) 물품들이 그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현무암으로 만든 그릇들이 1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수입되었으며, 사이프러스 산 점토 물병(clay juglet, 물을 차갑게 보관하기 위한 병)들과 두 개의 이집트 산 앨러베스터 그릇(alabaster vessels)들이 발견되었다.
키르벳 케이야파는 비교적 작은 유대의 외곽지역의 요새였다. 유적 발굴단이 내린 결론은 다음의 증거를 볼 때 축소지향적 연대기는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키르벳 케이야파의 발굴은 기원전 11세기 말에 이미 유대에 도시 사회가 존재했음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대 왕국이 기원전 8세기 말 또는 이후의 다른 시기에 이르러서야 발전되었다는 주장은 더 이상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우연히도 이 요새에서 보면 다윗과 골리앗이 싸웠던 엘라 계곡(Elah valley)이 보인다.
2012년 5월 8일 업데이트 :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제사 도구들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이스라엘 외무성의 보도 자료를 통해 발표되었다. 두 개의 제단은 수세기 이후에 나타난 그리스 신전을 연상시키는 정밀한 건축 요소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나타내는 사실은 정교한 건축 양식이 다윗 왕 시기만큼이나 이른 시기에도 발전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한 건축 양식은 왕족 사회 양식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서, 국가 형성, 엘리트 집단의 구축, 그 지역의 사회적 수준과 도시 생활 등의 모습이 이스라엘의 초기 왕들의 시기에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유물들은 솔로몬 시대의 왕궁과 성전에 대한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과 높은 건축 기술 수준을 뒷받침해주고 있는 것이다.
BiblePlaces.com에서 토드 보렌의 기고 글을 읽어보면, 이 유물들의 성경적 중요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림 끝에 나온 희소식이 아닌가? 최소주의자(minimalists)들은 다윗 왕이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이었다 하더라도, 실제 도시들을 통치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부족장 정도로) 주장해왔다. 그러나 당신이 그러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사실이 밝혀질 때까지 판단을 유보했던 것은 잘한 일이 아니었을까? 최소주의자들을 축소시켜야 한다. [고고학적] 인공 유물들에 대한 팩트(fact)를 찾아내는 사람들의 의견을 최대화해야 한다. 왜냐하면 대개의 경우 이들이야말로 성경 기록의 역사성을 확인하고 회의론자들을 굴복시키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고고학은 일종의 지적설계 과학임을 잊지 말라. 이 인공 유물들을 통해서 그것을 만든 사람들의 지성과 목적을 추론할 수 있다. 물론 우리는 그것을 디자인한 사람들을 만난 적도 없고, 그들의 이름도 모르며, 그 작품을 존재하도록 한 모든 과정을 설명할 수도 없다. 추론되는 사실로부터, 지적설계는 과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과학적 원칙과 방법임을 보여주는데 부족함이 없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유전 암호나 네트워크, 미세하게 조정된 물리법칙들과 같은 현상들에서 지적 원인을(어떤 초월적 지성이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 이스라엘 학자 '다윗왕 궁전터 발견”주장 (2013. 7. 22.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view?ra=Sent1101m_View&corp=fnnews&arcid=13072202063787&cDateYear=2013&cDateMonth=07&cDateDay=22
번역 - 김형중
링크 - http://crev.info/2012/04/king-david-ruled-cities-not-shepherds/
출처 - CEH, 2012. 4. 24.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5625
참고 : 3233|5515|4852|5463|5116|4458|5402|4329|4405|4409|4422|4376|5627|5741|5852|5969|5985|6017|6066|6089|6179|6283|6351|6353|6387|6401|6432
다윗 왕은 부족장이 아니라, 도시들을 지배했다.
(King David Ruled Cities, Not Shepherds)
고대 유다의 키르벳 케이야파(Khirbet Qeiyafa)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고학 발굴 결과는 결론부터 말해서 당대에 그 지역이 강력한 성벽, 관청 건물, 청동기구와 철기구, 및 외국 강대국과의 상당한 무역 거래를 암시하는 유물들을 보유하거나 생산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발견들을 통해서 말할 수 있는 것은, 다윗 왕은 존재했다하더라도 유목민의 부족장에 불과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자유주의 신학자들의 '축소 지향적' 연대기가 믿기 어렵게 되었다는 것이다.
토드 보렌(Todd Bolen)은 그의 블로그(Bible Places Blog)에서 주요한 발견물의 내용을 요약한바 있다. 요시 가핑클(Yossi Garfinkel) 등이 운영하는 이스라엘 문화재 관리청에 제출된 상세 보고서는 작년에 수행한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발굴의 목표가 방사성 연대측정에 의해 기원전 11세기 말과 10세기 초로 추정되는 예루살렘 남쪽의 고대 군사 도시의 특징들을 확인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키르벳 케이야파는 그 시대에 명문이 새겨진 도자기가 발견되어 2008년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11/16/2008, 1/07/2010). 그 새로운 보고서가 새겨진 내용까지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물들은 다윗 시대 동안에 고도화된 문명을 암시하고 있다:
철기시대 도시에서 발견된 인상적인 구조물과 유물들 :
1. 유대 왕국의 도시 계획 특징. 이것은 베트 쉬메쉬(Bet Shemesh), 텔 엔 나스베(Tell en-Nasbeh), 텔 베이트 미르심(Tell Beit Mirsim) 및 브엘 쉐바(Be’er Sheva)와 같은 다른 지역들에서도 알려져 있다. 포곽벽(casemate wall)이 이들 지역 모두에 세워졌으며, 이 도시의 집들은 거주하는 하나의 방처럼 포곽벽과 접해져 있었다. 이러한 모델은 [당시의] 가나안, 팔레스타인 또는 이스라엘 왕국과 같은 지역의 양식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2. 대대적인 도시 요새화. 각각 8톤이 나가는 암석을 사용하여 건축되었다.
3. 2개의 성문. 오늘 날까지 이스라엘이나 유다에서 2개의 성문이 있는 철기시대 도시가 발견된 사례가 없다.
4. 각 성문 가까이 성문 광장을 위한 개방 공간이 마련되어 있었다. C 지역에서는 세 개의 포곽벽과 병렬되게 오픈되어 있었고, D 지역에서는 네 개의 포곽벽과 병렬로 공간이 확보되어 있었다.
5. 이 도시의 주택들은 다닥다닥 붙어 있는 형태로 건축되었다.
6. 약 500개의 단지(jar) 손잡이에서 손가락 한 개의 지문이, 일부에서는 두 개 또는 세 개 손가락의 지문이 발견되었다. 단지 손잡이는 유대 왕국의 독특한 양식이며, 이러한 모양은 Iron Age IIA 시기에 이미 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7. 대량의 청동기구와 철기구들이 발견되었다. 철기구들에는 검 3자루, 단검 약 20자루, 창촉2개, 화살촉 다수가, 청동기에는 도끼 한 자루, 다수의 화살촉 및 반지, 작은 사발 한 개가 포함되어 있다.
8. 무역을 통해서 수입된 물품. 해안 평야 지역으로부터 수입된 아슈도드(Ashdod) 물품들이 그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현무암으로 만든 그릇들이 10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수입되었으며, 사이프러스 산 점토 물병(clay juglet, 물을 차갑게 보관하기 위한 병)들과 두 개의 이집트 산 앨러베스터 그릇(alabaster vessels)들이 발견되었다.
키르벳 케이야파는 비교적 작은 유대의 외곽지역의 요새였다. 유적 발굴단이 내린 결론은 다음의 증거를 볼 때 축소지향적 연대기는 잘못되었다는 것이다. ”키르벳 케이야파의 발굴은 기원전 11세기 말에 이미 유대에 도시 사회가 존재했음을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대 왕국이 기원전 8세기 말 또는 이후의 다른 시기에 이르러서야 발전되었다는 주장은 더 이상 받아들이기 어렵습니다.”
우연히도 이 요새에서 보면 다윗과 골리앗이 싸웠던 엘라 계곡(Elah valley)이 보인다.
2012년 5월 8일 업데이트 :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제사 도구들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이스라엘 외무성의 보도 자료를 통해 발표되었다. 두 개의 제단은 수세기 이후에 나타난 그리스 신전을 연상시키는 정밀한 건축 요소들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키르벳 케이야파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나타내는 사실은 정교한 건축 양식이 다윗 왕 시기만큼이나 이른 시기에도 발전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한 건축 양식은 왕족 사회 양식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서, 국가 형성, 엘리트 집단의 구축, 그 지역의 사회적 수준과 도시 생활 등의 모습이 이스라엘의 초기 왕들의 시기에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유물들은 솔로몬 시대의 왕궁과 성전에 대한 성경 기록의 역사적 사실성과 높은 건축 기술 수준을 뒷받침해주고 있는 것이다.
BiblePlaces.com에서 토드 보렌의 기고 글을 읽어보면, 이 유물들의 성경적 중요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림 끝에 나온 희소식이 아닌가? 최소주의자(minimalists)들은 다윗 왕이 역사적으로 실존했던 인물이었다 하더라도, 실제 도시들을 통치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부족장 정도로) 주장해왔다. 그러나 당신이 그러한 이야기를 들었을 때, 사실이 밝혀질 때까지 판단을 유보했던 것은 잘한 일이 아니었을까? 최소주의자들을 축소시켜야 한다. [고고학적] 인공 유물들에 대한 팩트(fact)를 찾아내는 사람들의 의견을 최대화해야 한다. 왜냐하면 대개의 경우 이들이야말로 성경 기록의 역사성을 확인하고 회의론자들을 굴복시키는 자들이기 때문이다.
고고학은 일종의 지적설계 과학임을 잊지 말라. 이 인공 유물들을 통해서 그것을 만든 사람들의 지성과 목적을 추론할 수 있다. 물론 우리는 그것을 디자인한 사람들을 만난 적도 없고, 그들의 이름도 모르며, 그 작품을 존재하도록 한 모든 과정을 설명할 수도 없다. 추론되는 사실로부터, 지적설계는 과학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과학적 원칙과 방법임을 보여주는데 부족함이 없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유전 암호나 네트워크, 미세하게 조정된 물리법칙들과 같은 현상들에서 지적 원인을(어떤 초월적 지성이 존재함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 이스라엘 학자 '다윗왕 궁전터 발견”주장 (2013. 7. 22. 파이낸셜뉴스)
http://www.fnnews.com/view?ra=Sent1101m_View&corp=fnnews&arcid=13072202063787&cDateYear=2013&cDateMonth=07&cDateDay=22
번역 - 김형중
링크 - http://crev.info/2012/04/king-david-ruled-cities-not-shepherds/
출처 - CEH, 2012. 4. 24.
구분 - 3
옛 주소 -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5625
참고 : 3233|5515|4852|5463|5116|4458|5402|4329|4405|4409|4422|4376|5627|5741|5852|5969|5985|6017|6066|6089|6179|6283|6351|6353|6387|6401|6432